KR101186785B1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785B1
KR101186785B1 KR1020100032482A KR20100032482A KR101186785B1 KR 101186785 B1 KR101186785 B1 KR 101186785B1 KR 1020100032482 A KR1020100032482 A KR 1020100032482A KR 20100032482 A KR20100032482 A KR 20100032482A KR 101186785 B1 KR101186785 B1 KR 101186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unshade
outside
pai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227A (ko
Inventor
김진욱
심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0003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78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1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 E04F10/061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whereby the pivot axis of the articul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92Front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장치에 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한 쌍의 고정바 사이에 구비되는 차양막;을 포함된다. 여기서, 차양막의 일단면은 반사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는 차양막 하단면이 반사막으로 형성되어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방출된 빛을 건물 외부로 반사시켜 건물 외부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양장치{An awning}
본 발명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양막을 통해 건물 외부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장치는 일반주택이나 상업용 건물벽,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햇빛이나 눈, 비 등을 차단한다. 또한, 차양장치는 건물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기 위해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술한 차양장치는 햇빛이나 눈, 비, 건물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차단하지만 건물 내부에서 방출된 빛은 건물 외부로 방출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햇빛이나 눈, 비,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며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된 빛을 통해 건물 외부의 조도를 향상시키는 차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차양막 일측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을 건물 외부의 지면으로 반사시켜 건물 외부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양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에 구비되는 차양막;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양막의 일단면은 반사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조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막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 크롬, 니켈, 티타늄, 및 스텐레스 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차양장치는 차양막 하단면이 반사막으로 형성되어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된 빛을 건물의 외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차양장치는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된 빛을 건물 외부의 지면으로 반사시켜 건물 외부의 외관미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건물 외부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가 적용된 건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가 적용된 건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에 반사되는 빛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가 적용된 건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가 적용된 건물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에 반사되는 빛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양장치(100)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 지지프레임(1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120), 및 한 쌍의 고정바(120) 사이에 구비되는 차양막(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양막(130)의 일단면은 반사막(131)으로 이루어진다.
차양장치(100)는 건물(200)의 벽체(210) 또는 입구, 창문 등에 부착되어 태양의 직사광선이나 비를 차단하는 것으로, 고정식, 구동식, 인테리어용 등 다양한 모양과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분류된다. 이하에서는 구동식 차양장치(100)를 통해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 벽체(210)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이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10)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바(120)는 차양막(130)을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10)의 양단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정바(130)는 건물 벽체(210)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건물 벽체(210)와 대면하면 고정바(120)의 하단에는 차양막(130)이 권취된 권취드럼(14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권취드럼(140)은 건물 벽체(210)와 대면하는 제1 고정바(120a) 상부에 지지되어, 제1 고정바(120a)와 제2 고정바(120b) 사이로 차양막(130)을 공급한다. 이러한 차양막(130)은 관절 운동하도록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권취되거나 권출된다. 즉, 차양막(130)은 관절 동작하는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권취드럼(140)으로부터 권출되거나 권취되어 제1 고정바(120a)와 제2 고정바(120b) 사이로 펼쳐지거나 접혀진다.
한편, 건물 벽체(210)와 대면하는 차양막(130)의 일단면은 반사막(131)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건물 내부(I)에서 외부(O)로 방출된 빛을 건물 외부(O)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건물 벽체(210)와 대면하는 차양막(130)의 일단면을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131)으로 형성하여, 건물 내부(I)에서 외부(O)로 방출되는 빛을 건물 외부(O)로 반사시킨다.
반사막(131)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 크롬, 니켈, 티타늄, 및 스텐레스 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사막(131)은 차양막(130)의 일면에 코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막으로 제작되어 차양막(13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양막(130)은 조명장치(300)로부터 발광된 빛이 건물 외부(O)로 용이하게 반사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차양막(130)은 지면(350)으로부터 이격된 제1 고정바(120a)의 높이가 제2 고정바(120b)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다. 또한, 차양막(130)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가능하여, 건물 외부(I) 또는 건물 내부(O)로 반사되는 빛의 방향 및 빛의 반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막(131)은 건물 내부(I)에서 방출된 빛을 건물 외부(O)로 반사시켜, 건물 외부(O)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반사막(131)에 의해 반사된 빛은 건물 외부(O)의 지면(350)으로 반사되어 건물(200) 주변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200)의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양장치(100)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되, 한 쌍의 고정바(430a,430b) 중 어느 하나에 조명부(440)가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440)는 제2 고정바(420b)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조명부(440)는 외부로 노출되거나 차양막(4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바(420b)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제2 고정바(420b)의 통공에 조명부(440)가 삽입된다.
이러한 조명부(440)는 조명 설치판(441)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442), 전선, 안정기, 전원 공급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부(440)에 설치되는 조명(442)은 발광 다이오드, 유기 전계 발광 다이오드, 백열구, 형광등 및 램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양장치(400)의 프론트부인 제2 고정바(420b)의 일단에 조명부(440)가 설치되어 건물 외부(O)의 조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1에서 전술한 반사막(131)은 건물 내부(I)에서 방출된 빛을 건물 외부(O)로 반사시켜 건물 외부(O)의 조도를 향상시키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에 따른 반사막(431)은 건물 내부(O)에서 방출된 빛과 조명부(440)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건물 외부(O)로 반사시켜 건물 외부(O)의 조도를 향상시키는 바, 도 1에서 전술한 차양장치보다 외부(O)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바(420b)의 일단에 조명부(440)가 설치되어 차양장치(400)가 설치된 공간을 야외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양장치 110 : 지지프레임
120 : 고정바 130 : 차양막
131 : 반사막 140 : 권취드럼
200 : 건물 210 : 건물 벽체
300 : 조명장치 350 : 지면

Claims (3)

  1. 건물 외부의 벽체에 설치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양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에 구비되는 차양막;
    상기 차양막의 일단면에 구비되는 반사막;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바 내부에 형성된 통공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막은 상기 건물 내부에 설치된 조명장치 및 상기 조명부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빛을 상기 건물 외부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조명부가 더 구비되는 차양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 크롬, 니켈, 티타늄, 및 스텐레스 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차양장치.
KR1020100032482A 2010-04-09 2010-04-09 차양장치 KR10118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482A KR101186785B1 (ko) 2010-04-09 2010-04-09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482A KR101186785B1 (ko) 2010-04-09 2010-04-09 차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227A KR20110113227A (ko) 2011-10-17
KR101186785B1 true KR101186785B1 (ko) 2012-09-27

Family

ID=4502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482A KR101186785B1 (ko) 2010-04-09 2010-04-09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10A (ko) 2017-09-04 2019-03-13 김천지 이동식 간이 하우스
KR20190026104A (ko) 2017-09-04 2019-03-13 김유빈 컨테이너 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10A (ja) 1999-03-30 2000-10-13 Kajima Corp 建築物の採光構造
KR200229208Y1 (ko) * 2001-01-26 2001-07-03 김병일 멀티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형 광고차량의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10A (ja) 1999-03-30 2000-10-13 Kajima Corp 建築物の採光構造
KR200229208Y1 (ko) * 2001-01-26 2001-07-03 김병일 멀티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형 광고차량의 광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10A (ko) 2017-09-04 2019-03-13 김천지 이동식 간이 하우스
KR20190026104A (ko) 2017-09-04 2019-03-13 김유빈 컨테이너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227A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7092B1 (en) Curved light shelf system for daylighting an interior space
US10480736B2 (en) Daylighting system
US3715776A (en) Curtain box
KR101186785B1 (ko) 차양장치
JP6425436B2 (ja) 反射形ledを備えた形材
JP5991455B2 (ja) 採光ブラインド
EP1382902A2 (en) Door or window with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ection associated therewith
JP439397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4905795B2 (ja) ガラス固定装置
KR101153897B1 (ko) 엘이디 끝발광기능을 갖는 커튼 월
KR100759860B1 (ko) 고성능 채광용 평판형 광선반 장치
KR20210148582A (ko) 건물 벽면 설치형 조명장치
JP6510321B2 (ja) 反射形ledを備えた形材
KR100770971B1 (ko) 기능성 건축용 붙박이 창.
CN213204563U (zh) 一种基于灯带的发光装饰墙
KR20100013823A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 마감재
JP6425437B2 (ja) 建物の開口のled照射システム
US20230062998A1 (en) Light rung for kinetic facade system
WO2015076386A1 (ja) 窓部構造、窓部構造の設置方法および窓部構造の改修方法
JP3598435B2 (ja) 二重庇システム
JP5038100B2 (ja) 採光装置
JP2016156254A (ja) ブラインド
JP6972916B2 (ja) 住宅の玄関構造
KR200423532Y1 (ko) 계단식 유리지붕 건축물
WO2018079652A1 (ja) 照明器具を備えた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