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032B1 -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032B1
KR101047032B1 KR1020080121458A KR20080121458A KR101047032B1 KR 101047032 B1 KR101047032 B1 KR 101047032B1 KR 1020080121458 A KR1020080121458 A KR 1020080121458A KR 20080121458 A KR20080121458 A KR 20080121458A KR 101047032 B1 KR101047032 B1 KR 10104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vehicle
filter unit
fil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708A (ko
Inventor
문형기
신인수
Original Assignee
대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032B1/ko
Priority to DE102008061363A priority patent/DE102008061363A1/de
Priority to CN2008101866379A priority patent/CN101456354B/zh
Priority to US12/332,867 priority patent/US7802651B2/en
Priority to JP2008317427A priority patent/JP5479722B2/ja
Publication of KR2010006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7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absorbing, damping, insulating or reflecting materials, e.g. porous foams, fibres, rubbers, fabrics, coatings or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4Combined air cleaners and silen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에어 덕트의 경로를 따라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입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 되는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에어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초기 엔진 시동시 발생 되는 저주파의 주파수 영역 대에서의 소음 감쇄와 함께 모든 주파수 영역대에 걸쳐 소음 감쇄를 실시하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최소의 소음으로 차량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레조네이터(Resonator)를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 가능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에어 덕트, 레조네이트, 신기, 유입, 감쇄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Air Duct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에어 덕트에 전 주파수 영역에 걸쳐서 소음 감쇄가 가능한 필터를 설치하여 초기 시동이 이루어진 시점에서부터 고속 주행의 상태에 걸쳐 외부 공기 흡입에 따라 발생 되는 소음 감쇄를 효과적으로 실시하여 정숙한 차량 환경을 제공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흡기장치는 에어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되는 에어 클리너와 상기 에어 클리너와 흡기 매니폴드의 서지 탱크를 연결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와, 상기 서지 탱크에 장착되는 스로틀바디와, 흡입된 외기를 각 실린더로 분배할 수 있도록 구분된 배출 포트를 구비한 흡기 매니폴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기장치를 통해 엔진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외부 공기는 엔진의 흡기부압에 의해 흡입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흡입되면서 유동하는 경우, 공기 유동에 따른 흡기소음이 차 실내로 전달되어 안락한 운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흡기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자 에어 클리너와 연결설치된 에어 덕트 상에 레조네이터를 설치하여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유 동하는 소음을 감쇄시켜 왔다.
상기 레조네이터(Resonator)는 흡배기 통로를 따라 흐르는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공명(共鳴)의 원리를 이용하여 저감 시키는 장치로서,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소음 감쇄를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레조네이터가 현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레조네이터는 특정 주파수의 영역을 튜닝하여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레조네이터의 설치는 엔진룸의 레이아웃 및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고, 또한 상기 레조네이터를 설치하고서도 목표로 하는 주파수 영역 대에 대한 안정적인 감쇄가 이루어지지 못해 의도하지 않은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소음을 유발하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의 안락한 주행을 방해하였으며 차량에 대한 신뢰감 저하와 불만을 야기시켜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보다 근본적으로 차량의 에어 덕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덕트에서 발생 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음을 감쇄하여 차량 내부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이고 정숙한 차량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일단이 엔진룸 외부의 신기(Fresh Air)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이 에어 클리너와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개구홀이 형성된 에어 덕트; 및 상기 에어 덕트의 개구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유동 되는 흡입 공기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 감쇄가 가능하도록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재질로 형성된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는 50 ~ 10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는 80ppi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덕트는 제1 에어 덕트와 개구홀이 형성된 제2 에어 덕트가 각각 결합 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에어 덕트에는 제2 에어 덕트에 형성된 개구홀과 서로 마주보는 제1 에어 덕트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엔진의 회전수 변화에 따라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유동하는 흡입 공기의 이동 경로를 지연시켜 소음 감쇄를 실시하기 위한 소음 저감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에 있어 제1 에어 덕트는 유입구가 형성된 부분의 가로길이가 수직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져 유출구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가로길이는 짧아지고 세로길이는 길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어 덕트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에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에어 덕트는 제1 에어 덕트의 하측에 결합 되며 제2 에어 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에는 필터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고정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커버에는 필터부를 경유하여 유동하는 흡입공기의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커버에는 필터부가 수납되어 안착 가능하도록 배출공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커버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에어 덕트에 결합되는 걸림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에는 상기 고정커버의 외부면에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1단 또는 그 이상의 유도판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에어 덕트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하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것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는 상기 에어 덕트의 개구홀에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필터부가 초음파용착 또는 열용착에 의해 직접 설치하도록 하여 작업 공수를 줄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는 필터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기 위해, 다공이 형성된 스크린을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은 스태킹융착에 의해 상기 에어 덕트에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흡입 공기의 속도(V)를 지연 가능하게 하는 공간인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가장 자리 부분이 하측을 향해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된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고, 가장 자리 부분이 상측을 향해 절곡된 제2 절곡부가 형성된 제2 필터; 상기 제1 필터와 제2 필터가 상호 간에 면 접촉된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흡입 공기의 속도(V)를 지연 가능하게 하는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구성하는 제1,2 필터부는 제1,2 절곡부의 절곡된 전체 두께를 t1 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2 필터부 중앙의 두께는 흡입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하면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1/2*t1의 관계가 성립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하측에는 상기 필터부를 경유하여 에어 덕트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흡입 공기의 방향을 차량의 전방쪽으로 유도하여 차 실내로의 소음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베인에는 배출 공기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이드 베인의 내측에 흡음재가 설치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덕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레조네이터를 사용하는 것 없이 단순히 필터만을 사용하여 모든 소음을 저감하도록 한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1)는 일단이 엔진룸 외부의 신기(Fresh Air)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02)가 형성되고, 타단이 에어 클리너(2)와 연결되는 유출구(104)가 형성되며,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개구홀(106)이 형성된 에어 덕트(100); 및 상기 에어 덕트(100)의 개구홀(106)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덕트(100)를 통해 유동 되는 흡입 공기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 감쇄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공극(Pore)이 형성된 필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100)의 개구홀(106)은 에어 클리너(2)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에어 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흡입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에어 덕트(100)에서는 공명 현상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에어 덕트(10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위치 중 상기 에어 클리너(2)와 인접한 위치에서 흡기 소음이 최대로 발생 되기 때문에 상기 흡기 소음 저감을 위해서는 에어 클리너(2)와 인접한 곳에 개구홀(10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100)의 개구홀(106)은 상기 에어 덕트(100)의 전체길이를 L이라고 가정할 때, 유입구(102)의 위치에서 2/3L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100)는 제1 에어 덕트(110)와 제2 에어 덕트(120)가 각각 결합 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 에어 덕트(110)는 유입구(102)가 형성된 부분의 가로길이가 수직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져 유출구(104)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04)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가로길이는 짧아지고 세로길이는 길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어 덕트(1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에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에어 덕트(120)는 제1 에어 덕트(110)의 하측에 결합 되며 제2 에어 덕트(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2 에어 덕트(120) 상에 개구홀(10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100)의 제1 에어 덕트(110)에는 제2 에어 덕트(120)에 형성된 개구홀(106)과 서로 마주보는 제1 에어 덕트(110)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엔진의 회전수 변화에 따라 상기 에어 덕트(100)를 통해 유동하는 흡입 공기의 이동 경로를 지연시켜 소음 감쇄를 실시하기 위한 소음 저감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 저감부(300)는 제1 에어 덕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 저감부(300)는 반구(Hemisphere) 형태 또는 타원(Ellipse) 형태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엔진룸 상에 에어 덕트(100)가 설치될 때, 주변 구성품과의 간섭을 받지 않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음 저감부(300')는 제1 에어 덕트(110)의 가로 방향 상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에어 덕트(120)의 개구홀(106)은 상기 제2 에어 덕트(120)의 굴곡진 형태를 따라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00)는 50 ~ 10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200)는 8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00)는 가로길이(a)와 세로길이(b)가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지나, 가로길이 또는 세로길이 중의 어느 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제2 에어 덕트(120)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100)에는 필터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200)의 하측에 고정 커버(40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 커버(400)에는 필터부(200)를 경유하여 유동하는 흡입공기의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배출공(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 커버(400)에는 필터부(200)가 수납되어 안착 가능하도록 배출공(410)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 커버(400)의 내측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홈(420)과, 상기 안착홈(420)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에어 덕트(100)에 결합되는 걸림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200')는 가장 자리 부분이 하측을 향해 절곡된 제1 절곡부(212')가 형성된 제1 필터(210')와, 상기 제1 필터(21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고, 가장 자리 부분이 상측을 향해 절곡된 제2 절곡부(222')가 형성된 제2 필터(220')와, 상기 제1 필터(210')와 제2 필터(220')가 상호 간에 면 접촉된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210')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흡입 공기의 속도(V)를 지연 가능하게 하는 챔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2 필터부(210', 220')는 제1,2 절곡부(212', 222')의 절곡된 전체 두께를 t1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2 필터부(210', 220') 중앙의 두께는 흡입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하면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1/2*t1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2 필터부(210', 220')의 제1,2 절곡부(212', 222')는 면접촉된 부분에 접착층(240')이 도포되어 상기 제 1,2 필터부(210', 2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00)의 하측에는 상기 필터부(200)를 경유하여 에어 덕트(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흡입 공기의 방향을 차량의 전방쪽으로 유도하여 차 실내로의 소음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이드 베인(5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500)에는 배출 공기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이드 베인의 내측에 흡음재(5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음재(510)는 발포재를 사용하여 가이드 베인(500)을 통해 배출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1)는 제1 에어 덕트(110)의 하측에 제2 에어 덕트(120)가 결합 된다. 상기 제1 에어 덕트(110)에는 유입구(102)와 유출구(104) 사이의 좌, 우 양측을 따라 구비된 연결구(114)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2 에어 덕트(120)에 형성된 삽입홈(124)에 각각 결합 되어 제1,2 에어 덕트(110, 120)가 상호 간에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작업자는 제2 에어 덕트(120)에 형성된 개구홀(106)에 필터부(200)를 설치하기 위해 고정 커버(400)의 안착홈(420)에 필터부(200)를 안착시킨다. 작업자는 상기 필터부(200)가 수납된 고정 커버(4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2 에어 덕트(120)의 개구홀(106)의 하측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 커버(400)에는 안착홈(420)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걸림구(430)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제2 에어 덕트(120)에 결합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에어 덕트(110)에는 제1 지지부가 상기 제1 에어 덕트(110)의 횡 방향 상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에어 덕트(120)에는 개구홀(106)에서 부터 유출구가 형성된 위치에 이르는 곳에 제2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2 에어 덕트(110, 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흡입 공기가 유입구(102)를 거쳐 유출구(104) 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구조적인 강성을 동시에 보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개구홀(106)에는 관통 형성된 개구홀(106)의 전체 면적을 격자 형태로 분할하는 제1 분할편(10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분할편(107)은 개구홀(106)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구조적인 강성을 지지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고정 커버(400)의 배출공(410)에도 상기 개구홀(106)에 형성된 제1 분할편(107)과 동일한 구조의 제2 분할편(440)이 형성되어 고정 커버(400)의 지지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1)가 모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결합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1)는 유입구(102)의 가로길이가 세로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져 있으며, 유출구(106)의 가로길이는 상기 유입구(102)의 가로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고, 유출구(104)의 세로길이는 유입구(102)의 세로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에 대해 첨부된 도 3의 A-A'선을 따라 단면을 잘라서 바라보았을 때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00)는 제2 에어 덕트(120)의 하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걸림구(430)에 의해 제2 에어 덕트(120)에서 이탈되지 않고 위치하게 된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개구홀(106)(도 1 참조)은 제2 에어 덕트(120)의 형태에 따라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b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필터부(200)와 고정 커버(400)가 결합 된다.
첨부된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 커버(4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정 커버(400)는 형성된 끼움돌기부(450)를 사용하여 에어 덕트(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커버(400)와 에어 덕트(100)의 결합을 단순히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생산공정의 수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정 커버(40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덕트(100)의 개구홀(10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한 소음을 아래방향으로 유도하는 것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 덕트(10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커버(400)의 외부면에 고정 커버(400)의 상부 일단으로부터 하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유도판(460)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유도판(460)은 상기 도면에서는 2단으로 설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사양에 의해 상기 단의 증감은 언제든지 가능하다.
첨부된 도 8a 및 도 8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100)의 개구홀(106)에 고정 커버(400)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는 것 없이, 단순히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필터부(200)를 초음파용착 또는 열용착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하도록 한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 부분을 초음파용착 또는 열용착을 행하여 에어 덕트(100)의 개구홀(106)을 막도록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고정 커버(400)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 없이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된 필터부(200)를 에어 덕트(100)의 개구홀(106)에 직접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첨부된 도 9a, 9b 및 9c에는 에어 덕트(100)에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필터부(200)를 결합하도록 하는 다른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470)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필터부(200)를 에어 덕트(100)에 결합하도록 하는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필터부(200)는 다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470)을 통해 에어 덕트(100)에 결합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상기 스크린(470)과 상기 에어 덕트(100)는 표시된 부분에 별도의 고정부재(480)를 사용하여 스태킹(stacking) 용착을 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그 결합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폼 재질로 형성된 필터부(200)를 에어 덕트(100)에 결합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 구체적으로, 고정 커버(400)의 사용, 스크린(470)의 사용 또는 단순히 필터부(200) 자체만을 결합하도록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은 각각의 제품의 설계사양 및 설계환경에 따라 그 어느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100)의 제1 에어 덕트(110)의 상면에는 제2 에어 덕트(120)의 개구홀(106)과 마주보는 위치에 반구(Hemisphere) 형상 또는 타원(Ellipse)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음 저감부(300)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에어 덕트(120)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1 에어 덕트(110)와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에어 덕트(110)의 소음 저감부(300)의 크기는 개구홀(106)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홀(106)을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첨부된 도 10a에 도시된 소음 저감부(300)는 제1 에어 덕트(110)의 가로 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덕트(110)의 세로 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00)는 가로길이(a)와 세로길이(b)가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필터부(200)의 두께(t)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2a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200')는 도 11에 도시된 필터부(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00')는 제1 절곡부(210')와 제2 절곡부(22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절곡부(212', 222')는 제1,2 필터(210', 220')의 가 장 자리를 따라 각각 절곡되어 있으며, 제1,2 필터(210', 220') 사이에는 챔버(23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챔버(230')는 제1,2 필터부(210', 220') 사이에 일종의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챔버(230')의 상세한 역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2 절곡부(212', 222')의 두께를 t1이라고 할 때, 상기 챔버(230')의 두께는 1/2*t1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챔버(230')의 두께가 t1의 두께를 초과할 경우에는 에어 덕트 조립체(1) 상에 설치하기 어려우며, 그로 인한 소음 감쇄 효과도 변동되므로 위와 같이 챔버(230')의 두께(230')가 1/2*t1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2 절곡부(212', 222')는 양단부에 접착층(240')이 도포되어 제1,2 필터(210', 220')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1)에는 필터부(200)를 경유하여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흡입 공기의 흐름을 차량의 전방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가이드 베인(5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500)은 고정 커버(400)와 결합 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베인(500)과 고정 커버(400)와의 결합은 일반적인 걸림턱에 의한 결합 방식 또는 상기 고정 커버(400)에 가이드 베인(500)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형태로 상호 간에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커버(400)와 가이드 베인(500) 상 호 간의 결합 관계는 본 발명에서는 요부 사항이 아니므로 생략하며 위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로의 변경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500)의 내측 영역, 즉 흡입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에는 흡음재(510)가 설치되어 흡입 공기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감쇄하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2)상에 별도의 쉴드 커버(3)가 설치된다. 상기 쉴드 커버(3)는 차량의 본네트 상에 마운팅 가능하도록 마운팅 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유입구(102) 상에 연결 설치되고, 유출구(104)(도 1 참조)는 에어 클리너(2)와 연결 설치된다.
첨부된 도 16a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6a를 참조하면, 차량에 에어 덕트 조립체(1)가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을 온(On) 하게 되면, 엔진(미도시)의 흡기 부압에 의해 차량 외부의 신기(Fresh Air)가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다.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흡입공기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자체 형상을 따라 이동하다가 개구홀(106)(도 1 참조)이 형성된 지점에 이르러서 흡입 공기 중의 일부의 공기는 필터부(200)를 통해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흡입 공기는 유출구(104)를 통해 에어클리너(2)(도 19 참조)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200)는 50 ~ 10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재질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50ppi(Pore Per Inch) 이하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재질을 필터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극을 통해 더스트가 쉽게 유입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강성이 취약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재질로는 적절치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100ppi 이상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음 감쇄 효과가 떨어져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로 사용하기에는 적절치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200)는 50 ~ 10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재질을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작용은 첨부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비교예로 그래프에 도시된 남색 라인은 본 발명과 같은 개구홀 또는 필터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관 형상의 에어 덕트이고, 제2 비교예로 그래프에 도시된 하늘색 라인은 본 발명과 같은 개구홀에 설치된 필터부가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에어 덕트이다. 본 발명은 분홍색 라인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 개구홀에 8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재질로 형성된 필터부가 장착된 에어 덕트이다.
본 발명과 상기 제1,2 비교예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70~100HZ 구간 과 280~300HZ 구간 및 400~500HZ 구간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8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필터부가 상기 제1,2 비교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음 감쇄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70~100HZ 구간은 차량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엔진이 초기 작동될 때의 저주파 소음 구간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8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필터부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의 소음 감쇄가 상기 제1,2 비교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7dB 이상 소음 감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70~100Hz 구간은 엔진 알피엠으로 환산했을 때 500rpm 전, 후를 의미한다.
280~300HZ 구간은 차량이 출발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초기 주행 구간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8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필터부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의 소음 감쇄가 제1,2 비교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7dB 이상 소음 감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280~300Hz 구간은 엔진 알피엠으로 환산했을 때 1500rpm 전, 후를 의미한다.
400~500HZ 구간은 차량이 본격적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는 주행 구간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8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필터부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의 소음 감쇄가 제1,2 비교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10dB 이상 소음 감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400~500Hz 구간은 엔진 알피엠으로 환산했을 때 2000 ~ 2500rpm 전, 후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폴리우레탄 폼 재질로 형성된 필터부(200, 200')를 에어 덕트 조립체(1)의 개구홀(106)에 장착하도록 한 것이, 본 발 명과 같은 개구홀(106) 및 필터부(200, 200')를 포함하지 않은 에어 덕트보다 소음감쇄의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폴리우레탄 폼 재질로 형성된 필터부(200, 200')를 에어 덕트 조립체(1)의 개구홀(106)에 장착하도록 한 본원발명이, 필터부(200, 200')의 재질로 부직포를 사용한 제2 비교예보다도 엔진의 초기작동시, 초기 주행 구간 및 본격적인 주행 구간에서 소음 감쇄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6b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소음 저감부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6b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흡입공기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자체 형상을 따라 이동하다가 반구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 소음 저감부(300)에 이르러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흡입 공기의 이동 경로가 변화하게 되고, 상기 소음 저감부(300) 상에서 흡입 공기가 갖고 있는 파장이 분산되면서 그에 따른 음파 에너지(Energy)가 저감 되고, 필터부(200)를 통해 이동하게되어 엔진의 흡기 부압에 따른 흡입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16d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가이드 베인(5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6d를 참조하면,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는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상태로 유입되다가 일부의 공기는 유출구(104)를 통해 에어 클리너로 이동되고, 일부의 공기는 필터부(200)를 경유하여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엔진의 흡기 부압에 의해 흡입이 이루어지는 외부 공기가 에어 덕트 조립체(1)의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객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베인(500)이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베인(500)은 필터부(200)를 경유한 흡입 공기의 배출 방향을 차량 전방으로 변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석 방향으로 공기 배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베인(500)의 내측에 흡음재(510)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500)을 경유하여 이동하는 흡입 공기의 소음을 감쇄하여 차량 전방으로 배출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 실내로의 소음 전달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00)는 50 ~ 100ppi 범위의 공극을 갖도록 하여 에어 덕트 조립체(1)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80ppi의 공극을 갖는 필터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80ppi의 공극을 갖는 필터부에 대한 소음 평가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범위 내에서 다른 공극을 갖는 필터부의 작동 상태도 유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 18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의 두께에 따른 소음 감쇄도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00)는 다양한 두께(t)로 변경하여 개구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18에 도시된 필터A의 두께는 5mm의 두께를 갖고, 필터B의 두께는 10mm의 두께를 갖고, 필터C의 두께는 15mm의 두께를 갖고, 필터D의 두께는 20mm의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두께를 갖는 필터A ~ 필터D에 대해 소음 감쇄도를 실험하게 되면, 필터부의 두께가 5mm ~ 20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이 소음 감쇄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두께를 갖는 필터부가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1)는 소음 감쇄 효과가 있음을 뒷받침하게 된다.
첨부된 도 19a 내지 도 1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와 제3 비교예와의 전, 후석 소음 감쇄 상태를 비교 설명한다.
첨부된 도 19a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와 제3 비교예(필터부가 설치되지 않은 에어 덕트)와의 전석소음 발생에 따른 소음 감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19a를 참조하면, 굵은 실선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의 그래프이고, 점선은 제3 비교예의 그래프이다. D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1)는 제3 비교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음 감쇄를 실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D구간은 엔진 알피엠이 1500 ~ 2000rpm 사이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제1,2 비교예와의 소음 감쇄를 뒷받침하게 된다.
첨부된 도 19b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와 제3 비교예(필터부가 설치되지 않은 에어 덕트)와의 후석소음 발생에 따른 소음 감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1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덕트 조립체(1)는 E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비교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음 감쇄를 실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엔진의 흡기 부압에 따른 소음 감쇄를 안정적으로 실시함과 동시에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객에게 엔진의 알피엠 변화에 상관 없이 소음 감쇄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레조네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엔진룸 내부의 레이 아웃을 만족하면서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 및 차량에 대한 상품성이 증가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저면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필터부를 결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유도판이 형성된 고정 커버를 결합하는 도면.
도 7b는 도 7a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필터부를 초음파용착 또는 열용착에 의해 결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필터부를 스크린을 사용하여 결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소음 저감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가이드 베인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가이드 베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설치 상태도.
도 16a 네지 도 16d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와 제1,2 비교예와의 소음평가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18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구비된 필터부의 두께에 따른 소음 감쇄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 19a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실 내부의 전, 후석 소음 상태를 비교예 3과 비교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어 덕트 102 : 유입구
104 : 유출구 106 : 개구홀
200,200' : 필터부 210' : 제1 필터
220' : 제2 필터 230' : 챔버
240' : 접착층 300 : 소음 저감부
400 : 고정 커버 410 : 배출공
420 : 안착홈 430 : 걸림구

Claims (16)

  1. 일단이 엔진룸 외부의 신기(Fresh Air)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02)가 형성되고, 타단이 에어 클리너(2)와 연결되는 유출구(104)가 형성되는 제 1 에어 덕트(110)와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개구홀(106)이 형성된 제 2 에어 덕트(100)가 각각 결합 되어 구성되는 에어 덕트(100);
    상기 개구홀(106)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덕트(100)를 통해 유동 되는 흡입 공기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 감쇄가 가능하도록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재질로 형성된 필터부(200); 및
    상기 제 1 에어 덕트(110)에는 상기 개구홀(106)과 서로 마주보는 제 1 에어 덕트(110)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엔진의 회전수 변화에 따라 상기 에어 덕트(100)를 통해 유동하는 흡입공기의 이동 경로를 지연시켜 소음 감쇄를 실시하기 위한 소음 저감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50 ~ 100ppi(Pore Per Inch)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80ppi의 공극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덕트(110)는 유입구(102)가 형성된 부분의 가로길이가 수직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져 유출구(104)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04)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가로길이는 짧아지고 세로길이는 길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어 덕트(1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에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에어 덕트(120)는 제1 에어 덕트(110)의 하측에 결합 되며 제2 에어 덕트(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100)에는 필터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200)의 하측에 고정커버(40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커버(400)에는 필터부(200)를 경유하여 유동하는 흡입공기의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배출공(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400)에는 필터부(200)가 수납되어 안착 가능하도록 배출공(410)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커버(4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홈(420), 상기 안착홈(420)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에어 덕트(100)에 결합되는 걸림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400)는 에어 덕트(100)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400)의 외부면에는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1단 또는 그 이상의 유도판(460)이 형성되어,
    에어 덕트(100)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에어 덕트(1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하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것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100)에는 필터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기 위해, 다공이 형성된 스크린(470)을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스크린(470)은 스태킹융착에 의해 상기 에어 덕트(100)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부(200)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흡입 공기의 속도(V)를 지연 가능하게 하는 공간인 챔버(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가장 자리 부분이 하측을 향해 절곡된 제1 절곡부(212')가 형성된 제1 필터(210');
    상기 제1 필터(21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고, 가장 자리 부분이 상측을 향해 절곡된 제2 절곡부(222')가 형성된 제2 필터(220');
    상기 제1 필터(210')와 제2 필터(220')가 상호 간에 면 접촉된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210')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흡입 공기의 속도(V)를 지연 가능하게 하는 챔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필터부(210',220')는 제1,2 절곡부(212',222')의 절곡된 전체 두께를 t1 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2 필터부(210',220') 중앙의 두께는 흡입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하면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1/2*t1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의 하측에는 상기 필터부(200)를 경유하여 에어 덕트(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흡입 공기의 방향을 차량의 전방쪽으로 유도하여 차 실내로의 소음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이드 베인(5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500)에는 배출 공기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이드 베인(500)의 내측에 흡음재(5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KR1020080121458A 2007-12-12 2008-12-02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KR101047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58A KR101047032B1 (ko) 2008-12-02 2008-12-02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DE102008061363A DE102008061363A1 (de) 2007-12-12 2008-12-10 Luftkanalanordnung für Fahrzeuge
CN2008101866379A CN101456354B (zh) 2007-12-12 2008-12-11 用于车辆的空气管道组件
US12/332,867 US7802651B2 (en) 2007-12-12 2008-12-11 Air duct assembly for vehicles
JP2008317427A JP5479722B2 (ja) 2007-12-12 2008-12-12 車両用エアダクトアッセンブ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58A KR101047032B1 (ko) 2008-12-02 2008-12-02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08A KR20100062708A (ko) 2010-06-10
KR101047032B1 true KR101047032B1 (ko) 2011-07-06

Family

ID=4236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458A KR101047032B1 (ko) 2007-12-12 2008-12-02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494B1 (ko) 2013-11-05 201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풍압 연동식 외기도입장치
KR102341728B1 (ko) 2017-03-21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90007259A (ko) 2017-07-12 2019-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초음파 융착형 휠 공명기
KR102594199B1 (ko) * 2021-07-29 202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공형 부품 및 중공형 부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324A (ja) * 1999-06-23 2001-01-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吸気ダクト
JP2001323853A (ja) * 2000-05-17 2001-11-22 Toyoda Gosei Co Ltd 吸気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58103B1 (ko) 2006-03-22 2007-09-11 대기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레조네이터
KR100876201B1 (ko) 2008-06-20 2008-12-31 대기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324A (ja) * 1999-06-23 2001-01-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吸気ダクト
JP2001323853A (ja) * 2000-05-17 2001-11-22 Toyoda Gosei Co Ltd 吸気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58103B1 (ko) 2006-03-22 2007-09-11 대기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레조네이터
KR100876201B1 (ko) 2008-06-20 2008-12-31 대기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08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9722B2 (ja) 車両用エアダクトアッセンブリ
KR101164152B1 (ko) 자동차의 소음기 장치
US7631726B2 (en) Silencer for air induction system and high flow articulated coupling
RU2328202C2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CN106871204A (zh) 吸油烟机
KR101047032B1 (ko)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RU2337604C2 (ru) Пылесос с системой понижения шума двигателя и система понижения шума двигателя для пылесоса
JP2009100840A (ja)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RU2005112142A (ru) Всасывающий входной узел для пылесоса
KR100876201B1 (ko)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WO2013124939A1 (ja) 電気掃除機
JPWO2017090480A1 (ja)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
CN105615768A (zh) 吸尘器的地刷组件和具有其的吸尘器
WO2016054948A1 (zh) 吸尘器的尘杯组件及具有它的吸尘器
CN110822506B (zh) 用于吸油烟机的蜗壳、风机和吸油烟机
KR100710232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 장치
KR101592677B1 (ko) 자동차 공조기의 공기 흡인 장치
CN101456354B (zh) 用于车辆的空气管道组件
KR100758103B1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KR20090007011A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CN210520895U (zh) 用于吸尘器的电机组件和吸尘器
KR101583958B1 (ko) 삽입식 확장관 일체형 에어클리너 및 이를 적용한 엔진 흡기계
JP2006291810A (ja) 吸気サイレンサ
CN110822505B (zh) 吸油烟机
CN111379616A (zh) 集成式高位进气管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