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132B1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132B1
KR101045132B1 KR1020090013991A KR20090013991A KR101045132B1 KR 101045132 B1 KR101045132 B1 KR 101045132B1 KR 1020090013991 A KR1020090013991 A KR 1020090013991A KR 20090013991 A KR20090013991 A KR 20090013991A KR 101045132 B1 KR101045132 B1 KR 10104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onductive bar
breaker
open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048A (ko
Inventor
도시히로 오이도
마나부 야노
이종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덴코 덴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덴코 덴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덴코 덴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0Auxiliary 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 for cleaning or lubricating contact-mak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 H01H11/003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allowing different types or orientation of connection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 차단기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분전반은 주 차단기의 2차 측에 접속된 2개의 도전 바아(3)를 갖는 분기 접속부(2)와,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도전 바아(3)가 삽입 접속되는 1차 측 접속부(51)를 갖는 동시에 본체(50)의 바닥면에 클로부(54a)를 구비한 돌출부(54)가 형성된 복수의 분기 차단기(5)를 구비하며, 분기 접속부(2)는 분기 차단기(5)를 탑재하는 탑재면에 분기 차단기(54)의 돌출부(54)가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구부(41d)가 형성된 탑재대(4)를 구비하고, 개구부(41d)의 개구 가장자리부(41e)는 돌출부(54)를 개구부(41d)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도전 바아(3) 측으로 이동시켜, 1차 측 접속부(51)에 대한 도전 바아(3)의 삽입량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돌출부(54)의 클로부(54a)와 본체(50)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Description

분전반{CABINET PANEL}
본 발명은 분전반, 특히 주택 내에 설치되는 주택용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분전반으로서, 교류 50 Hz 또는 60 Hz의 단상 2선식 100 V 또는 단상 3선식 100/200 V의 전기회로에 있어서, 주로 주택 등의 인입 장치로서 사용하는 주택용 분전반(주택반이라고도 함)이 제공되어 있다.
이 종류의 분전반은 주 차단기(주 개폐기)나, 주 차단기의 2차 측에 접속된 주 전기회로(모선)로부터 분기하여 부하(전기 기기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기 전기회로(분기선)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분기 차단기(분기 개폐기) 등의 내부 기기와, 해당 내부 기기가 수납되는(조립되는) 캐비넷(분전반 본체)으로 구성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도시되는 분전반은 단상 3선식이고, 주 전기회로로서 3개의 도전 바아(급전 바아)를 구비한다. 이 3개의 도전 바아 중 2개는 주 차단기를 거쳐서 전압선(전위가 100 V 또는 -100 V인 전압선)에 접속되고, 나머지 1개는 주 차단기를 거쳐서 중성선(전위가 0 V인 중성선)에 접속된다. 분기 차단기는 3개의 도전 바아 중 2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캐비넷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전 바 아 사이의 전위차에 따른 교류 전원, 구체적으로는 100 V의 교류 전원 또는 200 V의 교류 전원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241543호 공보
한편, 특허문헌 1에 도시되는 분전반에서는 분기 차단기를 캐비넷에 수납함에 있어서, 분기 차단기를 도전 바아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부와, 분기 차단기를 캐비넷에 고정하는 부착 부재가 이용된다. 접속 단자부는 대략 Ω형태의 날 받이(受刃) 형상을 한 한 쌍의 접속 단자와,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단자편과, 접속 단자와 단자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이 대판(帶板) 형상의 도전 부재로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접속 단자의 개구부에 도전 바아가 그 폭 방향으로부터 삽입 접속된다. 한편, 부착 부재는 분기 차단기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것이고, 부착 부재에 있어서의 캐비넷과의 대향면에는 캐비넷측에 마련된 긴 구멍에 삽입되는 계지(係止) 클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도시되는 분전반에서는 분기 차단기에 접속 단자부 및 부착 부재를 부착하고, 부착 부재의 계지 클로부를 긴 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를 도전 바아 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접속 단자부의 접속 단자에 도전 바아가 삽입 접속되는 동시에, 계지 클로부와 대향면 사이에서 긴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져서 부착 부재가 캐비넷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으로는 분기 차단기를 캐비넷에 장착함에 있어서, 접속 단자부와, 부착부를 분기 차단기에 부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의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부착 부재를 분기 차단기에 부착할 때에 잘못된 부착 방식으로 부착해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분기 차단기 를 캐비넷에 부착하려 해도, 부착부가 캐비넷에 고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접속 단자부의 접속 단자에 도전 바아가 충분히 삽입되지 않으며(삽입량이 부족하며), 그 결과 분기 차단기의 시공 상태가 나빠져서, 분기 차단기의 접속 불량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분기 차단기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항의 발명에서는 주 차단기와, 주 차단기의 2차 측에 접속된 기다란 판 형상의 복수의 도전 바아를 갖는 분기 접속부와, 분기 접속부의 도전 바아에 접속된 분기 차단기를 캐비넷 내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며, 분기 접속부는 분기 차단기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탑재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전 바아는 탑재대의 탑재면의 전방에, 각각의 길이 방향을 가지런히 하고, 또한 서로 평행한 형태로 배치되며, 분기 차단기는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도전 바아가 삽입 접속되는 1차 측 접속부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탑재대에 탑재한 분기 차단기를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과 분기 차단기를 탑재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가이드 수단은 분기 차단기에 있어서의 탑재면과의 대향면 및 탑재대의 상기 탑재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대향면 및 상기 탑재면 중 어느 타방에 형성되어 돌출부가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개구부로 구성되고, 고정 수단은 돌출부와 개구부의 내면 중 어느 일방 에 마련한 끼워맞춤 돌기부와, 돌출부와 개구부의 내면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되고, 돌출부를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를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도전 바아 측으로 이동시키고, 분기 차단기의 1차 측 접속부에 대한 도전 바아의 삽입량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끼워맞춤 돌기부와 요철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오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의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를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를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도전 바아 측으로 이동시키고, 분기 차단기의 1차 측 접속부에 대한 도전 바아의 삽입량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끼워맞춤 돌기부와 끼워맞춤 오목부가 요철 끼워맞춤되어 분기 차단기가 탑재대에 고정됨으로써, 종래예와는 달리 분기 차단기를 탑재대에 고정하기 위해서 부착 부재 등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고, 부착 부재를 분기 차단기에 잘못 부착하는 것에 기인하는 분기 차단기의 접촉 불량이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의 전기 접속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분기 차단기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고정 수단에 의해 분기 차단기가 탑재대에 고정되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가 탑재대로부터 빠져서 캐비넷으로부터 탈락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 바아를 분기 차단기의 1차 측 접속부에 지나치게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분기 차단기의 본체에 도전 바아가 접촉하고, 도전 바아에서 생긴 열이 본체에 열전도 되어버리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항의 발명에서는 제 1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기 접속부는 상기 캐비넷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상기 탑재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분기 차단기의 적어도 일부를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보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항의 발명에 의하면, 분기 차단기가 캐비넷으로부터 탈락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3 항의 발명에서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분기 차단기의 상기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1차 측 접속부가 마련된 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클로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탑재대의 상기 탑재면에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돌기부는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의 클로부와 상기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항의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의 클로부와 분기 차단기의 대향면 사이에서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끼운 상태로 분기 차단기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를 캐비넷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1차 측 접속부에 도전 바아를 삽입할 수 있으며, 1차 측 접속부와 도전 바아를 접속할 때에, 도전 바아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기 차단기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분전반은 저압 배전선으로서 소정 전위(일 예로 서는 220 V)가 주어진 전압선(R상)과 접지된 중성선(N상)을 갖는 단상 2선식의 배전 방식에 대응하는 주택용 분전반이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전압선(전력선) 및 중성선이 접속되는 주 차단기(1)와, 주 차단기(1)의 2차 측에 접속된 기다란 판 형상의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도전 바아(3)를 갖는 분기 접속부(2)와, 분기 접속부(2)의 도전 바아(3)에 접속된 복수개(도시예에서는 24개)의 분기 차단기(5)를 캐비넷(6)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분전반의 전후 방향, 즉 캐비넷(6)의 전후 방향(두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주 차단기(1)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일 예로서는 페놀 수지)에 의해 형성된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a)를 구비한다. 본체(1a)에는 전압선 및 중성선 각각을 접속하는 2개의 1차 측 단자부(10), 및 기계 접점(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1차 측 단자부(10)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2개의 2차 측 단자부(11)가 구비된다. 1차 측 단자부(10) 및 2차 측 단자부(11)는 예를 들면, 나사 단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 차단기(1)에서는 1차 측 단자부(10) 및 2차 측 단자부(11)의 예로서, 나사 단자를 도시하고 있지만, 1차 측 단자부(10) 및 2차 측 단자부(11)는 나사 단자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1차 측 단자부(10)를 구별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전압선이 접속되는 1차 측 단자부(10)를 부호(10R), 중성선이 접속되는 1차 측 단자부(10)를 부호(10N)로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2개의 2차 측 단자부(11)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 전압선이 접속되는 2차 측 단자부(11)를 부호(11R), 중성선이 접속되는 2차 측 단자부(11)를 부호(11N)로 각각 나타낸다.
또한, 주 차단기(1)는 본체(1a)에 변위 가능하게(예를 들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수동 조작용 조작 핸들(12)을 갖고 조작 핸들(12)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 접점을 개폐하는 개폐 기구부(도시하지 않음)와, 1차 측 단자부(10R)와 2차 측 단자부(11R) 사이 또는 1차 측 단자부(10N)와 2차 측 단자부(11N) 사이에 과전류가 흐른 때에 상기 기계 접점을 해제시키는 인출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러한 주 차단기(1)로서는 종래 주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기 접속부(2)는 2개의 도전 바아(3)에 더하여, 주 차단기(1) 및 분기 차단기(2)를 탑재하는(고정하는) 도전 재료제(예를 들면,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제)의 탑재대(4)를 구비한다.
도전 바아(3)는 금속 재료(예를 들면, 동 등의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도전 바아(3)는 어느 것이나 폭 치수 및 두께가 동등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도전 바아(3)의 폭 치수는 분기 차단기(5)의 후술하는 1차 측 접속부(51)를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도전 바아(3)의 길이는 분기 차단기(5)를 분기 차단기(5)의 폭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 따라 복수개(도시예에서는 12개) 배열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분전반에서는, 도전 바아(3)는 주 차단기(1)의 2차 측[2차 측 단자부(11)]에 급송선(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도전 바아(3) 의 길이 방향 일단부(도 2에 있어서의 좌단부)에는 급송선(7)을 접속하는 나사 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자부(3a)가 형성된다. 따라서, 급송선(7)은 단자 나사(T)에 의해 도전 바아(3)에 결선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도전 바아(3)를 구별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2개의 도전 바아(3) 중 앞측(도 4에 있어서의 상측)의 도전 바아(3)를 부호(3R)로 나타내고, 후측의 도전 바아(3)를 부호(3N)로 나타낸다.
탑재대(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비넷(6)에 고정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베이스(40)를 구비한다. 베이스(40)는 고정 나사(S1) 등에 의해 캐비넷(6)에 고정된다.
베이스(40)의 전면(도 4에 있어서의 상면) 측에는, 분기 차단기(2)를 탑재하는 받침부(41)가 마련된다. 받침부(41)는 분기 차단기(2)를 탑재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탑재부(41a)와, 탑재부(41a)의 짧은 변 방향(도 4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 각각으로부터 후방에 수직 설치된 각부(41b)와, 각부(41b)의 선단부에서 외측을 향해서 돌출 형성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칼라부(41c)를 일체로 구비한다. 칼라부(41c)에는 받침부(41)를 베이스(40)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S2)용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두께 방향(도 4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설치된다. 베이스(40)에는 고정 나사(S2)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관통 설치되어 있고, 칼라부(41c)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시킨 고정 나사(S2)를 베이스(40)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받침부(41)가 베이스(40)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받침부(41)는 베이스(40)의 긴 변 방향 일단 측(도 2에 있어서의 우단 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40)의 긴 변 방향 타단 측(도 2에 있어서의 좌단 측)에, 주 차단기(1)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탑재부(41a)의 전면은 평탄한 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전면이 분기 차단기(5)를 탑재하는 탑재면이 된다. 또한 탑재부(41a)의 짧은 변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분기 차단기(5)를 그 길이 방향에 2개 배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고, 긴 변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도전 바아(3)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된다. 탑재부(41a)의 긴 변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양측 각각은 제 1 지지 포스트(42) 및 제 2 지지 포스트(43) 각각이 부착된다. 제 1 지지 포스트(42) 및 제 2 지지 포스트(43)는 탑재부(41a)의 긴 변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도록 해서, 탑재부(41a)의 짧은 변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 마련된다.
제 1 지지 포스트(42)는 도전 바아(3)의 긴 변 방향 일단부(도 2에 있어서의 좌단부)를 지지하는 것이고, 제 2 지지 포스트(43)는 도전 바아(3)의 길이 방향 타단부(도 2에 있어서의 우단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들 제 1 지지 포스트(42) 및 제 2 지지 포스트(43)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다. 즉, 제 1 지지 포스트(42) 및 제 2 지지 포스트(43)는 각각 절연 재료제이기 때문에, 도전 바아(3)와 받침부(41) 사이는 절연된다.
제 1 지지 포스트(42)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모 기둥 형상의 제 1 지지부(420)와, 제 1 지지부(420)보다 낮은(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작음) 제 2 지지부(421)를 일체로 구비한다. 제 1 지지부(420)는 전측의 도전 바 아(3R)의 고정에 사용되고, 제 2 지지부(421)는 후측의 도전 바아(3N)의 고정에 사용된다. 제 2 지지부(421)는 제 1 지지부(4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 2 지지부(421)의 후면과 제 1 지지부(420)의 후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 2 지지부(421)의 전면은 제 1 지지부(42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지지부(420)의 전면과 제 2 지지부(421)의 전면은 서로 평행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지지부(420)의 전면에는 단자 나사(T)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도전 바아(3)를 고정하는 고정 나사(S3)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지지부(420)에는 제 2 지지부(421)에 고정된 도전 바아(3N)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틈새 홈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해당 틈새 홈부의 폭 치수(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도전 바아(3)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그 내부 바닥면[법선 방향이 전방향에 따른 면으로, 도전 바아(3)가 탑재되는 면]은 제 2 지지부(420)의 전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제 2 지지부(421)의 전면에는 제 1 지지부(420)와 동일하게, 단자 나사(T)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도전 바아(3)를 고정하는 고정 나사(S3)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 제 2 지지부(421)에 도전 바아(3N)를 고정한 때에는, 도전 바아(3N)의 일부는 제 1 지지부(420)의 상기 틈새 홈부 내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지지 포스트(42)의 짧은 변 방향 양쪽 외측면 각각은 칼라부(422)가 돌출 형성된다. 각 칼라부(422)에는 고정 나사(S4)용 삽입 관통 구멍 (도시하지 않음)이 개구하고, 이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시킨 고정 나사(S4)를 받침부(41)에 형성한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 1 지지 포스트(42)가 받침부(41)에 고정된다. 제 1 지지 포스트(42)를 받침부(41)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제 1 지지 포스트(42)의 긴 변 방향[제 1 지지부(420)와 제 2 지지부(421)가 배열하는 방향]을 받침부(41)의 긴 변 방향에 따르게 한다.
제 2 지지 포스트(4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모 기둥 형상의 지지부(430)를 구비한다. 지지부(430)의 양측(도 2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양측) 각각은 칼라부(431)가 돌출 형성된다. 각 칼라부(431)에는 고정 나사(S4)용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개구하고, 이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시킨 고정 나사(S4)를 받침부(41)에 형성한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 2 지지 포스트(43)가 받침부(41)에 고정된다. 지지부(430)에는 도전 바아(3R)의 길이 방향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 1 홈부(도시하지 않음)와, 도전 바아(3N)의 길이 방향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 2 홈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1 홈부의 내부 바닥면[법선 방향이 전방향에 따른 면으로 도전 바아(3)가 탑재되는 면]은 제 1 지지부(420)의 전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제 2 홈부의 내부 바닥면[법선 방향이 전방향에 따른 면으로 도전 바아(3)가 탑재되는 면]은 제 2 지지부(421)의 전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도전 바아(3R)는 길이 방향 일단부를 제 1 지지부(420)에 탑재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 타단부를 제 2 지지 포스트(43)의 제 1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제 1 지지 포스트(42)와 제 2 지지 포스트(43) 사이에 가설된다. 도전 바아(3N)는 길이 방향 일단부를 제 2 지지부(421)에 탑재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 타단부를 제 2 지지 포스트(43)의 제 2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제 1 지지 포스트(42)와 제 2 지지 포스트(43) 사이에 가설된다. 또한, 각 도전 바아(3)는 고정 나사(S3)에 의해 제 1 지지 포스트(4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각 도전 바아(3)를 제 1 지지 포스트(42)와 제 2 지지 포스트(43) 사이에 가설함으로써, 2개의 도전 바아(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재대(4)의 전방에, 각각의 길이 방향을 가지런히 하고, 또한 캐비넷(6)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겹친 상태에서, 캐비넷(6)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평행한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도전 바아(3)는 길이 방향을 탑재부(41a)의 긴 변 방향에 따르게 한 상태에서, 탑재부(41a)의 짧은 변 방향 중앙부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상에 의해, 구성된 분기 접속부(2)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 바아(3)의 폭 방향 양측에 분기 차단기(5)가 탑재되고, 이로써 합계 24개의 분기 차단기(5)가 분기 접속부(2)에 고정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분전반에 있어서는 도전 바아(3R)는 급송선(7)에 의해 주 차단기(1)의 2차 측 단자부(11R)에 접속되고, 도전 바아(3N)는 급송선(7)에 의해 주 차단기(1)의 2차 측 단자부(11N)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 바아(3N)가 도전 바아(3R)보다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복수의 도전 바아(3)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한 도전 바아(3N)는 중성선용 도전 바아(3)가 되고, 그 전위는 0 V가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전 바아(3) 중 후측의 도전 바아(3N)의 단자부(3a)는 직전의 도전 바아(3R)의 단자부(3a)와 전후 방향에 있어 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분기 차단기(5)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일 예로서는 페놀 수지)에 의해 형성된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본체(50)를 구비한다. 본체(50)는 길이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높이(전후)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폭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법선 방향)의 순차로 치수가 작아지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본체(50)의 길이 방향 일측면(도 1에 있어서의 우측면)에는 도전 바아(3)가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한 2개의 슬릿(50a, 50b)이 형성된다. 2개의 슬릿(50a, 50b)은 도전 바아(3) 사이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본체(50)의 높이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격된다. 본체(50)에는 슬릿(50a, 50b)에 삽입된 도전 바아(3)를 접촉 보지하는 상술한 1차 측 접속부(51)가 수납된다. 1차 측 접속부(51)는 도전 바아(3)의 두께 방향 일면(전면) 및 타면(후면) 각각에 접촉 접속되는 한 쌍의 가로대(51a)를 갖는 날 받이로 이루어진다. 가로대(51a)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부터 대략 S자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다. 한 쌍의 가로대(51a)는 거울상 관계가 되는 형태로 대향 배치되고, 그 일단 측(도 1에 있어서의 우단 측)이 도전 바아(3)와의 접촉 접속에 이용된다.
그 때문에, 분기 차단기(5)의 2개의 슬릿(50a, 50b) 각각에 도전 바아(3R, 3N) 각각을 그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도전 바아(3R, 3N)가 각 슬릿(50a, 50b) 내의 1차 측 접속부(51)의 한 쌍의 가로대(51a)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즉, 도전 바아(3)는 1차 측 접 속부(51)에 삽입 접속된다. 이렇게 분기 차단기(5)는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도전 바아(3)에 접속되는 1차 측 접속부(51)를 구비한다.
본체(50)의 길이 방향 타측면(도 1에 있어서의 좌측면)에는 부하 등을 접속하기 위한 2차 측 접속부(52)가 마련된다. 2차 측 접속부(52)는 예를 들면,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본체(50)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전선 삽입 구멍(도시하지 않음)보다 본체(50)내에 삽입된 전선을 보지하는 속결 단자 등의 전선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2차 측 접속부(52)로서는 종래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기 차단기(5)의 본체(50)에는 1차 측 접속부(51)와 2차 측 접속부(52)가 구비된다. 2차 측 접속부(52)는 기계 접점 등의 개폐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1차 측 접속부(51)에 접속된다.
또한, 분기 차단기(5)는 본체(50)에 변위 가능하게(일 예로서는 회동 가능하게)에 부착된 수동 조작용 조작 핸들(53)을 구비하고, 해당 조작 핸들(53)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 수단을 개폐하는 개폐 기구부(도시하지 않음)와, 1차 측 접속부(51)와 2차 측 접속부(52) 사이에 과전류가 흐른 때에 상기 개폐 수단을 해제시키는 인출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된다. 이들 개폐 기구부 및 인출 장치로서는 종래 주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기 차단기(5)의 바닥면, 즉 탑재대(4)의 탑재면의 대향면[탑재대(4)에 접촉되는 면]에는 돌출부(5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탑재부(41a)의 전면(탑재면)에는 돌출부(54)가 삽입되는 개구부(41d)가 개구한다. 개구부(41d)는 복수개(본 실 시형태에서는 24개)의 분기 차단기(5) 각각에 대응해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4)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탑재부(41a)에는 탑재부(41a)의 길이 방향에 따라 12개의 개구부(41d)가, 탑재부(41a)의 짧은 변 방향 양측 각각에 형성된다.
이 개구부(41d)는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긴 변 방향(길이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이고, 그 폭 방향(짧은 변 방향)의 치수는 돌출부(54)의 폭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법선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개구부(41d)에는, 돌출부(54)가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돌출부(54)와 개구부(41d)에 의해, 탑재대(4)에 탑재된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이 구성된다.
그런데, 돌출부(54)는 1차 측 접속부(51)가 마련된 측, 즉 본체(50)의 길이 방향 일단 측(도 1에 있어서의 우단 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클로부(54a)를 갖는 L자 형으로 형성된다. 클로부(54a)와 본체(50)의 바닥면의 간극의 치수는 탑재부(41a)의 두께 정도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분기 차단기(5)의 돌출부(54)를 개구부(41d) 내에 삽입하고,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도전 바아(3) 측으로 이동(미끄럼 이동)시키면, 개구부(41d)의 개구 가장자리부(41e)가 클로부(54a)와 본체(50) 사이에 들어가, 클로부(54a)와 본체(50) 사이에서 끼인 상태로 지지되고, 이에 의해 분기 차단기(5)가 탑재대(4)에 고정된다. 즉, 개구부(41d)의 개구 가장자리부(41e)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 돌기 부와, 클로부(54a)와 본체(50)의 바닥면(상기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 오목부로 분기 차단기(5)를 탑재대(4)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구성된다.
여기서, 개구부(41d)의 개방 구멍 가장자리부가 클로부(54a)와 본체(50) 사이에 완전히 끼운 상태로 지지되는 타이밍[즉,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돌기부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끼워맞춤 돌기부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가 요철 끼워맞춤되는 타이밍]은 분기 차단기(5)의 1차 측 접속부(51)에 대한 도전 바아(3)의 삽입량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로 한다. 상기 규정량은 예를 들면, 1차 측 접속부(51)와 도전 바아(3)의 도전 접촉이 확실하게 실행된 때의 1차 측 접속부(51)에 대한 도전 바아(3)의 삽입량이다.
즉, 돌출부(54)를 개구부(41d)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도전 바아(3) 측으로 이동시키고, 분기 차단기(5)의 1차 측 접속부(51)에 대한 도전 바아(3)의 삽입량이 상기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끼워맞춤 돌기부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가 요철 끼워맞춤된다. 또한, 상기 타이밍의 설정은 개구부(41d)의 위치와 도전 바아(3)의 위치 관계 등을 조정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의 분전반에서는 분기 차단기(5)의 돌출부(54)를 탑재대(4)의 개구부(41d)에 삽입한 후에,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 측으로 이동[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미끄럼 이동]하여, 분기 차단기(5)의 2개의 슬 릿(50a, 50b) 각각에 도전 바아(3R, 3N) 각각을 삽입하는 것으로,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에 접속한다. 그리고, 분기 차단기(3)의 1차 측 접속부(51)가 도전 바아(3)에 접속된 때에는 개구부(41d)의 가장자리부가 클로부(54a)와 본체(50)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그 때문에, 분기 차단기(5)는 1차 측 접속부(51) 및 돌출부(54)로 분기 접속부(2)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분전반에서는 돌출부(54)의 클로부(54a)와 분기 차단기(5)의 상기 대향면 사이에서 개구부(41d)의 개구 가장자리부(41e)를 끼운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5)를 캐비넷(6)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방향[즉 도전 바아(3)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1차 측 접속부(51)에 도전 바아(3)를 삽입할 수 있게 되어서, 1차 측 접속부(51)와 도전 바아(3)를 접속할 때에, 도전 바아(3)에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부하가 걸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러한 부하에 의해 도전 바아(3)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분기 접속부(2)에는 분기 차단기(5)를 탑재대(4)에 보지하는 보지 부재(44)가 마련된다. 보지 부재(44)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의해 기다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보지 부재(44)의 긴 변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분기 차단기(5)의 본체(50)의 폭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의 3배 정도로 설정된다. 이 보지 부재(44)에는 그 긴 변 방향에 따라 3개의 계지 클로부(44a)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계지 클로부(44a)는 보지 부재(44)의 짧은 변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보지 부재(44)의 중앙부에는 고정 나사(S5)용 나사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개구한다. 탑재부(41a)에는 고정 나사(S5)용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보지 부재(44)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시킨 고정 나사(S5)를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보지 부재(44)가 탑재대(4)에 고정된다.
한편, 분기 차단기(5)의 길이 방향 타측면(도 1에 있어서의 좌측면)에는 계지 클로부(44a)가 삽입되는 계지 홈부(55)가 형성된다. 보지 부재(44)는 3개의 계지 클로부(44a) 각각을 분기 차단기(5)의 계지 홈부(55)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 나사(S5)에 의해 탑재대(4)에 고정된다. 보지 부재(44)를 탑재대(4)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탑재대(4)의 탑재면과 계지 클로부(44a)의 후면의 거리는 분기 차단기(5)의 본체(50)에 있어서의 계지 홈부(55)의 내면과 본체(5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줄어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캐비넷(6)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분기 차단기(5)의 본체(50)에 있어서의 계지 홈부(55)의 내면과 본체(50)의 바닥면 사이의 부위(P)가 보지 부재(44)의 계지 클로부(44a)와 탑재대(4)의 탑재면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보지 부재(44)에는 계지 클로부(44a)가 3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분기 차단기(5)를 1개의 보지 부재(44)로 보지할 수 있다.
캐비넷(6)은 전면(도 4에 있어서의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상자형 박스(60)를 구비한다. 이 박스(60) 내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차단기(1), 분기 접속부(2), 및 복수개(도시예에서는 24개)의 분기 차단기(5)가 수납된다. 이 박스(6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커버(61)가 부착된다. 중간 커버(61)는 주 차단기(1), 분기 접속부(2), 및 분기 차단기(5)에 있어서의 충전 부분을 덮는 형태로 박스(60)의 전면에 피착된다. 그리고, 중간 커버(61)에는 주 차단기(1)의 조작 핸들(12)이나, 분기 차단기(5)의 조작 핸들(53) 등을 노출시키는 창문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중간 커버(61)를 박스(60)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주 차단기(1)의 조작 핸들(12)이나, 분기 차단기(5)의 조작 핸들(53) 등의 조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중간 커버(61)의 전면측에는, 도어(62)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어(62)는 박스(60)의 전면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서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분전반에 의하면, 돌출부(54)를 개구부(41d)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도전 바아(3) 측으로 이동시키고, 분기 차단기(5)의 1차 측 접속부(51)에 대한 도전 바아(3)의 삽입량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끼워맞춤 돌기부[개구부(41d)의 개구 가장자리부(41e)]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돌출부(54)의 클로부(54a)와 본체(50) 사이의 공간부]가 요철 끼워맞춤되어 분기 차단기(5)가 탑재대(4)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종래예와는 달리 분기 차단기(5)를 탑재대(4)에 고정하기 위해서 부착 부재 등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고, 부착 부재를 분기 차단기(5)에 잘못 부착하는 것에 기인하는 분기 차단기(5)의 접촉 불량이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5)의 전기 접속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분기 차단기(5)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차 측 접속부(51)에 대한 도전 바아(3)의 삽입량을 상기 규정량에 머물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 바아(3)를 분기 차단기(5)의 1차 측 접속부(51)에 지나치게 삽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예컨대, 도전 바아(3)를 1차 측 접속부(51)에 지나치게 삽입하여서, 도전 바아(3)가 분기 차단기(5)의 본체(5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전 바아(3)로 생긴 열이 도전 바아(3)로부터 본체(50)에 열전도되어서, 해당 열에 의해 본체(50)가 용융해버리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돌기부 및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고정 수단에 의해 분기 차단기(5)가 탑재대(4)에 고정되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5)가 탑재대(4)로부터 빠져서 캐비넷(6)으로부터 탈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래예와 같이 접속 단자부나 부착부를 부착하는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5)의 캐비넷(6)으로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또한 분전반을 구성하는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분기 접속부(2)는 캐비넷(6)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탑재부(41a)의 탑재면 사이에서 분기 차단기(5)의 일부[분기 차단기(5)의 본체(50)에 있어서의 계지 홈부(55)의 내면과 본체(50)의 바닥면 사이의 부위(P)]를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보지 부재(44)를 구비하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5)를 강고하게 탑재대(4)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서, 분기 차단기(5)가 캐비넷(6)으로부터 탈락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분전반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을 본 실시형태의 분전반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은 당연히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는 돌출부(54)를 탑재대(4)측에, 개구부(41d)를 분기 차단기(5)측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즉, 가이드 수단은 분기 차단기(5)에 있어서의 탑재면과의 대향면 및 탑재대(4)의 탑재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돌출부(54)와, 분기 차단기(5)의 대향면 및 탑재대(4)의 탑재면 중 어느 타방에 형성된 개구부(41d)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부(41d)는 탑재부(41a)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지만, 개구부(41d)는 돌출부(54)를 삽입할 수 있는 구덩이이어도 좋다. 또한, 고정 수단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54)와 개구부(41d)의 내면 중 어느 일방에 마련한 끼워맞춤 돌기부와, 돌출부(54)와 개구부(41d)의 내면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되고, 돌출부(54)를 개구부(41d)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5)를 도전 바아(3)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도전 바아(3) 측으로 이동시키고, 분기 차단기(5)의 1차 측 접속부(51)에 대한 도전 바아(3)의 삽입량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끼워맞춤 돌기부와 요철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오목부로 구성되는 것이면 좋다. 또한, 보지 부재(44)는 3개의 분기 차단기(5)를 보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많은 분기 차단기(5)를 보지 가능한 형태로 형성해도 좋고, 1개의 분기 차단기(5)만을 보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기 차단기(5)에, 보지 부재(44)의 계지 클로부(44a)가 삽입되는 계지 홈부(55)를 마련했지만, 계지 홈부(55)를 대신하여, 계지 클로부 (44a)에 걸려지는 돌기부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분전반은 단상 2선의 저압 배전선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단상 3선의 저압 배전선에 대응하도록 설계 변경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분전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상기 분전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전면도,
도 3은 상기 분전반의 짧은 변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분전반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차단기 2 : 분기 접속부
3 : 도전 바아 4 : 탑재대
5 : 분기 차단기 41d : 개구부
41e : 개구 가장자리부(끼워맞춤 돌기) 44 : 보지 부재
50 : 본체 51 : 1차 측 접속부
54 : 돌출부 54a : 클로부

Claims (3)

  1. 주 차단기와, 주 차단기의 2차 측에 접속된 기다란 판 형상의 복수의 도전 바아를 갖는 분기 접속부와, 분기 접속부의 도전 바아에 접속된 분기 차단기를 캐비넷 내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며,
    분기 접속부는 분기 차단기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탑재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전 바아는 탑재대의 탑재면의 전방에, 각각의 길이 방향을 가지런히 하고, 또한 서로 평행한 형태로 배치되며,
    분기 차단기는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도전 바아가 삽입 접속되는 1차 측 접속부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탑재대에 탑재된 분기 차단기를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과,
    분기 차단기를 탑재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가이드 수단은 분기 차단기에 있어서의 탑재면과의 대향면 및 탑재대의 상기 탑재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대향면 및 상기 탑재면 중 타방에 형성되어 돌출부가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개구부로 구성되며,
    고정 수단은 돌출부와 개구부의 내면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끼워맞춤 돌기부와, 돌출부와 개구부의 내면 중 타방에 마련되고, 돌출부를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기 차단기를 도전 바아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도전 바아 측 으로 이동시켜, 분기 차단기의 1차 측 접속부에 대한 도전 바아의 삽입량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끼워맞춤 돌기부와 요철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오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접속부는, 상기 캐비넷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탑재대의 상기 탑재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분기 차단기의 적어도 일부를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보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분기 차단기의 상기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1차 측 접속부가 마련된 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클로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탑재대의 상기 탑재면에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돌기부는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의 클로부와 상기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KR1020090013991A 2008-02-21 2009-02-19 분전반 KR101045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0522 2008-02-21
JP2008040522A JP2009201263A (ja) 2008-02-21 2008-02-21 分電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048A KR20090091048A (ko) 2009-08-26
KR101045132B1 true KR101045132B1 (ko) 2011-06-30

Family

ID=4114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991A KR101045132B1 (ko) 2008-02-21 2009-02-19 분전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201263A (ko)
KR (1) KR1010451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122A (ja) * 1997-02-28 1998-09-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分電盤
JP2007073256A (ja) * 2005-09-05 2007-03-22 Kawamura Electric Inc ブレーカ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122A (ja) * 1997-02-28 1998-09-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分電盤
JP2007073256A (ja) * 2005-09-05 2007-03-22 Kawamura Electric Inc ブレーカ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01263A (ja) 2009-09-03
KR20090091048A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7227B2 (en) Circuit-breaking device
US76060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able power distribution
US7713072B2 (en) Adapter device for a low voltage switching device
US20190115676A1 (en) Device for a Busbar System
KR100942605B1 (ko) 조립식 분전반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RU2420845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112952499B (zh) 用于汇流排系统的适配器装置
US20160372846A1 (en) Terminal strip and terminal strip block
US9601290B2 (en) Switching device with several regions of connection
JPS609014A (ja) 開閉器用補助導線連結装置
EP2912735B1 (en) Busbar assembly
PL182547B1 (pl) Przyrząd rozdzielczy do montażu w szafce rozdzielczej
KR101045132B1 (ko) 분전반
US7446635B2 (en) Combination of two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s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KR101045138B1 (ko) 분전반
JP4661432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
KR100635102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KR101806242B1 (ko) 배전반
RU22517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ключения для камеры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выдвижными приборными блоками
KR100934623B1 (ko) 분전반용 플러그
PL179204B1 (pl) Urzadzenie do przylaczania elektrycznych urzadzen instalacyjnych PL
JP2015119591A (ja) 分電盤
CN215300097U (zh) 一种配电母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