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539B1 - 촬상 모듈 및 휴대폰 - Google Patents

촬상 모듈 및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539B1
KR101044539B1 KR1020057017867A KR20057017867A KR101044539B1 KR 101044539 B1 KR101044539 B1 KR 101044539B1 KR 1020057017867 A KR1020057017867 A KR 1020057017867A KR 20057017867 A KR20057017867 A KR 20057017867A KR 101044539 B1 KR101044539 B1 KR 10104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module
lens
image sensor
sensor chip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386A (ko
Inventor
튀니스 에이 카세나
Original Assignee
티피오 홍콩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피오 홍콩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피오 홍콩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1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2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one len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촬상 모듈(1)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부(20, 60, 70, 80) 및 하부(10, 30, 40, 50)를 포함한다. 하부(10, 30, 40, 50)는 이미지 센서 칩(10)을 유지하며, 교대로 있는 짧은 슬롯(53) 및 긴 슬롯(54)을 포함하는 치형 오목부(52)를 갖는다. 상부(20, 60, 70, 80)는 렌즈(20)를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로터(80)를 포함한다. 로터(80)의 돌출부(82)는 하부(10, 30, 40, 50)의 오목부(52)에 위치되며, 상부는 스프링(90)의 영향하에서 상향으로 가압된다. 상부(20, 60, 70, 80)가 하부(10, 30, 40, 50)를 향해 가압되고, 이어서 해제될 때마다, 로터(80)의 돌출부(82)는 다른 슬롯(53, 54)에 의해 수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렌즈(20)와 이미지 센서 칩(1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모듈 및 휴대폰{CAMERA COMPRISING MEANS FOR RETAINING A LENS AT TWO DIFFERENT POSITIONS}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미지 센서 칩 및 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모듈(imaging module)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촬상 모듈은 공지되었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cellular phone)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촬상 모듈의 이러한 적용을 위해,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촬상 모듈의 높이는 가능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용 가능한 수준의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초점 거리는 적어도 몇 밀리미터의 낮은 한계보다 작아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상태에 따르면, 상술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거리에 관한 딜레마는 이동 가능한 렌즈 홀더가 설치된 촬상 모듈로 해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한 렌즈 홀더의 위치는 경사 램프를 갖는 슬라이드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는 렌즈 홀더가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해 이동 가능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경사 램프를 통해 렌즈 홀더와 접촉한다. 렌즈 홀더는 경사 램프상에 놓여있고, 렌즈 홀더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거리는 슬라이드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히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슬라이드는 수축 위치(retracted position)와 추출 위치(ex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렌즈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 위치는 촬상 모듈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본 기술분야의 상태에 따른 촬상 모듈보다 작동시키기 쉬운 촬상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촬상 모듈은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별개의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센서 칩과, 렌즈로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이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렌즈와, 렌즈를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해 제 1 거리로 유지하기 위한 제 1 유지 수단과, 렌즈를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해 제 2 거리로 유지하기 위한 제 2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 모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에 있어서, 렌즈 및 이미지 센서는 렌즈의 대칭축이 연장되는 방향인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촬상 모듈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유지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유지 수단은 본 촬상 모듈 내에 존재하며, 제 1 유지 수단은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한 제 1 거리에 렌즈를 유지하며, 제 2 유지 수단은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한 제 2 거리에 렌즈를 유지한다. 이러한 2개의 거리는 제 1 거리가 초점 거리에 대응하고, 제 2 거리가 제 1 거리보다 작도록 선택될 수 있어, 촬상 모듈이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렌즈가 추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렌즈가 제 1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위치를 제 1 유지 위치로, 렌즈가 제 2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위치를 제 2 유지 위치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한 렌즈의 위치는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유지 위치로부터 시작하면 오직 3 단계만이 제 2 유지 위치로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해 실행되는 것이 필요하며, 제 1 단계는 렌즈를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한 내부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유지 수단으로부터 렌즈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2 단계는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한 외부 방향으로 렌즈가 이동할 때 렌즈와 제 2 유지 수단 사이의 결합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시작 위치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3 단계는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한 외부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요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3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은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한 렌즈의 이동이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은 서로에 대한 외부 방향으로 렌즈 및 이미지 센서 칩을 가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유지 위치로부터 제 2 유지 위치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공정의 제 1 단계 동안, 내측으로 향하는 압력은 가압 수단을 압축하고 제 1 유지 수단으로부터 렌즈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하다. 렌즈가 제 2 유지 수단과 결합하도록 준비된 위치로 이동하는 제 2 단계 동안, 내측으로 향하는 압력이 유지된다. 사실상, 제 1 단계 동안, 가압 수단은 배제되며, 제 2 단계 동안, 렌즈의 위치는 렌즈가 가압 수단이 다시 작동될 때 제 2 유지 수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마지막으로 제 3 단계 동안, 가압 수단은 실제로 다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
도 2는 촬상 모듈의 렌즈가 제 1 유지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렌즈가 제 2 유지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모듈의 다른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1)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촬상 모듈(1)은 감광성 표면(11) 및 렌즈(20)를 구비한 이미지 센서 칩(10)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상부", "하부" 등의 용어 및 파생 용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촬상 모듈(1)의 배향과 관련되며, 렌즈(20)가 촬상 모듈(1)의 상부면에 위치될 때, 이미지 센서 칩(10)은 촬상 모듈(1)의 하부면에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모듈(1)이 완전히 상이한 배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의가 임의적이란 것은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정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촬상 모듈(1)은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된 관통 구멍(31)을 갖는 풋(foot)(30)을 포함한다. 구멍(31)의 기부에는 이미지 센서 칩(10)이 위치되는 반면, 구멍의 상단에 적외선 필터(40)가 위치된다. 풋(30)의 외주 근처에, 삼각형의 돌출부(32)의 환형 열(string)이 풋(30)의 상단 표면(33)상에 존재한다.
풋(30)은 개방 단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형상의 하우징(50)을 지지한다. 하우징(50)의 중심축은 대체로 이미지 센서 칩(10)의 감광성 표면(11)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내부 표면(51)의 일부가 제거되어, 치형부를 갖는 오목부(recess)(52)가 형성되며, 이러한 오목부(52)는 하우징(5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우징(50)의 상부면으로 연장하고, 하우징(50)의 하부면에서 접근하기 쉬운 짧은 슬롯(53) 및 긴 슬롯(54)을 교대로 포함한다.
렌즈(20)는 캡(60)에 의해 유지되며, 이 캡(60)은 하나의 개방 단부 및 하나의 폐쇄 단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폐쇄 단부에는 관통 구멍(61)이 제공되며, 렌즈(20)는 이러한 구멍(61)의 하부에 위치된다. 구멍(61)은 광선을 렌즈로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캡(60)의 내부면의 곡선부는 예를 들어, 접착제 같은 수단에 의해 캡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배럴(barrel)(70)에 의해 덮여진다. 배럴(70)의 하부측은 캡(60)의 하부측을 지나 연장되고, 플랜지(71)를 포함하며, 플랜지(71)의 상부측은 캡(60)의 하부측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오목부는 플랜지(71)의 상부측과 캡(60)의 하부측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는 로터(80)의 링(81)이 위치되며, 이 링(81)은 플랜지(71)의 상부측에 의해 지지되고 배럴(70)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로터(80)는 링(81)의 외주면에 위치한 복수의 삼각형 돌출부(82)를 포함한다. 로터(80)의 돌출부(82)가 하우징(50)의 내부 표면(51)의 치형 오목부(52) 내측에 위치되도록 캡(60), 배럴(70) 및 로터(80) 전체가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1)은 캡(60)과 풋(30) 사이에서 연장되는 헬리컬 스프링(90)을 포함한다. 스프링(90)은 풋(30)으로부터 멀리 캡(60)을 가압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터의 돌출부(82)는 하우징(50)의 내부 표면(51) 내의 오목부(52)를 벗어날 수 없으므로, 촬상 모듈(1)의 요소의 이탈은 불가능하다. 로터(80)의 돌출부(82)가 하우징(50) 내의 오목부(52)의 긴 슬롯(54)의 내부에 있을 때, 이미지 센서 칩(10)과 렌즈(2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며, 돌출부(82)가 짧은 슬롯(53) 내부에 있을 때, 상기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다는 것은 쉽게 이해될 것이다. 하기에서는 이미지 센서 칩(10)과 렌즈(2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0)가 제 1 유지 위치에 있을 때, 렌즈(20)와 이미지 센서 칩(10) 사이의 거리는 렌즈(20)의 초점 거리와 같다. 따라서, 렌즈(20)가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촬상 모듈(1)은 작동 상태에 있으며,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촬상 모듈(1)이 작동 상태에 있을 때, 로터(80)의 돌출부(82)는 하우징(50) 내의 오목부(52)의 긴 슬롯(54)의 상부측(55)과 인접한다. 긴 슬롯(54)의 상부측(55)이 하우징(50)의 상부측에 근접하고, 로터(80)가 촬상 모듈(1)의 작동 상태에서 캡(60)의 하부측에 위치될 때, 캡(60)의 하부측은 대략 하우징(50)의 상부측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촬상 모듈(1)의 모든 가능한 위치에서, 렌즈(20)는 상방으로 향하는 압력을 캡(60)상에 인가하는 스프링(90)의 영향하에서 제 1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작동 상태로부터 비작동 상태로 촬상 모듈(1)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내측으로 향하는 압력, 즉 이미지 센서 칩(10)을 향한 압력을 캡(60)상에 인가해야 한다.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내측으로 향하는 압력이 스프링(90)에 의해 가해진 외측으로 향하는 압력보다 클 때, 캡(60), 배럴(70), 로터(80) 및 렌즈(20) 전체는 이미지 센서 칩(10)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이동시의 한 단계에서, 로터(80)의 돌출부(82)는 풋(30)의 상단 표면(33)상에 존재하는 돌출부(32)에 접촉한다. 한편의 로터(80)의 돌출부(82) 및 다른 한편의 풋(30) 상의 돌출부(32)의 형상 및 위치는, 이동이 계속될 때 로터(80)가 회전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서로 순응된다. 공정 동안에, 로터(80)의 돌출부(82)의 경사진 표면은 로터(80)의 돌출부(82)의 최하단 팁(83)이 2개의 돌출부(32) 사이의 중간 지점인, 풋(30) 상의 일련의 돌출부(32)의 가장 낮은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풋(30) 상의 돌출부(32)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활주한다. 그 순간에, 사용자는 더 이상 캡(60)이 내측으로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압력을 해제할 때, 캡(60)은 스프링(90)의 영향하에서 다시 이미지 센서 칩(10)에서 멀리 가압된다. 로터(80)의 돌출부(82)가 하우징(50) 내의 짧은 슬롯(53)의 상부측(56)에 접촉하자마자, 캡(60), 배럴(70), 로터(80) 및 렌즈(20) 전체의 자동 이동이 종료한다. 로터(80)의 강제 회전에 의해, 돌출부(82)는 긴 슬롯(54)의 상부측(55)에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삭제
짧은 슬롯(53)의 상부측(56)은 경사진다. 결과적으로, 로터(80)의 돌출부(82)의 가장 높은 팁(84)은 돌출부(82)가 짧은 슬롯(53)의 일부(57)에 인접할 때까지 상부측(56)을 따라 활주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로터(80)의 회전은 정지하며, 캡(60), 배럴(70) 및 렌즈의 연관된 외측으로의 이동은 정지한다. 그 때에 렌즈(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지 위치에 있으며, 렌즈(20) 및 이미지 센서 칩(10) 사이의 위치는 초점 거리보다 작으며, 촬상 모듈(10)은 비작동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60)의 상부측은 대략 하우징(50)의 상부측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촬상 모듈(10)의 모든 가능한 위치에서, 렌즈(20)는 상방으로 향하는 압력을 캡상에 인가하는 스프링(90)의 영향하에서 제 2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사용자가 촬상 모듈(1)의 상태를 다시 작동 상태로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다시 내부 방향으로 캡(60)을 가압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정 동안, 로터(80)의 돌출부(82)가 더 이상 짧은 슬롯(53)의 측면(57)과 접촉하지 않고 로터의 돌출부(82)가 대신에 풋(30) 상의 돌출부(32)와 접촉하자마자, 로터(80)는 2개의 돌출부(32) 사이의 중간 지점인, 로터(80)의 돌출부(82)의 최하부 팁(83)이 풋(30) 상의 일련의 돌출부(32)의 최하부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한다. 사용자가 압력 인가를 정지하면, 캡(60)은 다시 스프링(90)의 영향하에서 이미지 센서 칩(10)으로부터 멀리 가압된다. 로터(80)의 돌출부(82)가 하우징(50) 내의 오목부(52)의 긴 슬롯(54)의 상부측(55)에 접촉하자마자, 캡(60), 배럴(70), 로터(80) 및 렌즈(20) 전체의 자동 이동은 종료한다. 로터(80)의 강제 회전에 의해, 돌출부(82)는 더 이상 짧은 슬롯(53)의 상부(56)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지 않는다.
긴 슬롯(54)의 상부측(55)은 경사진다. 결과적으로, 로터(80)의 돌출부(82)의 최상부 팁(84)은 돌출부(82)가 긴 슬롯(54)의 측면(58)에 인접할 때까지 상부측(55)을 따라 활주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로터(80)의 회전은 정지되며, 캡(60), 배럴(70) 및 렌즈(20)의 관련된 외측으로의 이동은 정지한다. 따라서, 렌즈(20)는 제 1 유지 위치에 다시 유지된다.
상술된 바로부터, 사용자가 촬상 모듈(1)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행해야 하는 것은 캡(60)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고 그때 압력 인가를 증가할 때까지, 내부 방향으로 캡(60)을 가압해야 한다는 것은 명확해질 것이다. 풋(30) 상에서 로터(80)의 돌출부(82)와 돌출부(32)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로터(80)의 강제 회전에 의해, 로터(80)의 돌출부(82)는 하우징(50)에 변위되며, 하우징(50) 내의 오목부(52)의 이전과는 다른 슬롯(53, 54)에 의해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1)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터(80)의 회전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일어난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배럴(70) 및 로터(80)는 캡(60)의 일체부이거나, 로터(80)만이 캡(60)의 일체부이고 배럴(70)은 생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또한 캡(60)을 내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모듈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작동 상태에서 비작동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하는 공정에서, 캡(60)은 풋(30)에 대해 회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캡(60)의 각도 변위가 촬상 모듈(1)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하지 않으므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로터(8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모듈(1)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캡(60)이 내부 방향으로 가압되고 다시 해제될 때 작동으로부터 비작동으로 또는 그 반대로 촬상 모듈(1)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풋(30) 상의 로터(80) 및 돌출부(32)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는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라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듈(1)을 작동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촬상 모듈(1)이 바람직하다. 풋(30) 상에 로터(80) 및 돌출부(32)가 없는 변형된 촬상 모듈에서, 캡(60)의 하부측은 하우징(50)의 내부 표면(51)의 치형 오목부(52) 내부에 위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럴(70)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캡(60)을 내부 방향으로 가압하고 다시 해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캡(60)을 회전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캡의 수동 회전이 용이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캡(60)의 상부면에는 예를 들어, 리브(rib) 또는 작은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어, 그에 따라 사용자는 캡(60)상에 몇몇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
변형된 촬상 모듈에서, 하우징(50)의 내부 표면(51)에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캡의 외부면은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지만, 그것의 몇몇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하다는 것이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촬상 모듈(1)이 설명되었다. 촬상 모듈(1)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부(20, 60, 70, 80) 및 하부(10, 30, 40, 50)를 포함한다. 스프링(90)은 상부(20, 60, 70, 80) 및 하부(10, 30, 40, 50)를 서로에 대해 외부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부(10, 30, 40, 50)는 이미지 센서 칩(10) 및 치형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을 유지하기 위한 풋(30)을 포함한다. 오목부(52)는 교대로 있는 짧은 슬롯(53) 및 긴 슬롯(54)을 포함한다.
상부(20, 60, 70, 80)는 렌즈(20) 및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로터(80)를 유지하기 위한 캡(60)을 포함한다. 로터(80)의 링(81)은 캡(60)의 하부측과 배럴(70)의 플랜지(71) 사이에 위치되는 반면, 로터(80)의 돌출부(82)는 하우징(50) 내의 오목부에 위치된다.
캡(60)이 풋(30)을 향해 가압되면, 로터(80)는 풋(30) 상의 돌출부(32)에 의해 회전되어 로터(80)상의 돌출부(82)와 접촉한다. 캡(60)이 다시 해제되면, 로터(80)상의 돌출부(82)는 오목부(52)의 이전과 다른 슬롯(53, 54)에 의해 수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렌즈(20)와 이미지 센서 칩(10) 사이의 거리는 변할 수 있다.

Claims (14)

  1. 촬상 모듈(imaging module)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 칩(10)과;
    렌즈(20)로서, 상기 렌즈(20)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칩(10)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렌즈(20)와;
    상기 이미지 센서 칩(10)에 대해서 제 1 거리에 상기 렌즈(20)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 1 유지 수단(54, 82)과;
    상기 이미지 센서 칩(10)에 대해서, 상기 제 1 거리와는 다른 제 2 거리에 상기 렌즈(20)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 2 유지 수단(53, 82)과;
    로터(80) 및 풋(foot)(3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지 수단(54, 82)이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제 2 유지 수단(53, 82)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고, 반대로 상기 제 2 유지 수단(53, 82)이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제 1 유지 수단(54, 82)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32, 80)으로서, 상기 풋(30)은 적어도 상기 로터(80)가 슬라이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80)는 상기 렌즈(20)의 둘레를 도는, 상기 위치 설정 수단(32, 80)을 포함하는
    촬상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 수단(53, 54, 82)은 서로에 대해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렌즈(20)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칩(10)의 이동에 의해 비작동 상태로 되고, 서로에 대해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렌즈(20)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칩(10)의 이동에 의해 작동 상태로 되며,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인
    촬상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풋(30)은 상기 로터(80)가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촬상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칩(10)은 상기 촬상 모듈(1)의 하부(10, 30, 40, 50)에 위치되고,
    상기 렌즈(20)는 상기 촬상 모듈(1)의 상부(20, 60, 70, 80)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하부(10, 30, 40, 50) 및 상기 상부(20, 60, 70, 80)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10, 30, 40, 50)는 제 1 결합 수단(5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20, 60, 70, 80)는 상기 제 1 결합 수단(52)과 결합하는 제 2 결합 수단(82)을 구비하고 있는
    촬상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20, 60, 70, 80)는 상부 돌출부(8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10, 30, 40, 50)는 상기 상부 돌출부(82)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recess)(52)를 포함하는
    촬상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돌출부(82)는 삼각형 형상인
    촬상 모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10, 30, 40, 50)의 오목부(52)는 긴 슬롯(54) 및 짧은 슬롯(53)을 포함하는
    촬상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53, 54)의 상부측(55, 56)은 경사진
    촬상 모듈.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10, 30, 40, 50)는, 상기 촬상 모듈(1)의 상부(20, 60, 70, 80)의 상부 돌출부(82)와 접촉하도록 위치설정된 하부 돌출부(32)를 포함하는
    촬상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돌출부(32)는 삼각형 형상인
    촬상 모듈.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20, 60, 70, 80)는 상기 상부 돌출부(82)를 지지하는 회전 가능한 로터(80)를 포함하는
    촬상 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렌즈(20)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보다 짧은
    촬상 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20)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칩(10)을 서로에 대해 바깥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수단은 헬리컬 스프링(90)을 포함하는
    촬상 모듈.
  14. 제 1 항에 기재된 상기 촬상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폰.
KR1020057017867A 2003-03-24 2004-03-18 촬상 모듈 및 휴대폰 KR101044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0743 2003-03-24
EP03100743.8 2003-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386A KR20050116386A (ko) 2005-12-12
KR101044539B1 true KR101044539B1 (ko) 2011-06-27

Family

ID=3304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867A KR101044539B1 (ko) 2003-03-24 2004-03-18 촬상 모듈 및 휴대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68568B2 (ko)
EP (1) EP1609014B1 (ko)
JP (1) JP4421608B2 (ko)
KR (1) KR101044539B1 (ko)
CN (1) CN100386659C (ko)
AT (1) ATE417296T1 (ko)
DE (1) DE602004018289D1 (ko)
WO (1) WO2004086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8753B2 (en) * 2004-08-05 2008-12-23 Aptina Imaging Corporation Use of telephone-specific components to provide refocusing in a camera-ready device
KR100857296B1 (ko) * 2006-11-16 2008-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GB2463462B (en) * 2008-09-10 2010-08-04 Vtc Electronics Corp Monitoring camera
TWI464478B (zh) * 2010-01-21 2014-12-11 Hon Hai Prec Ind Co Ltd 分段式對焦鏡頭模組
CN103136066B (zh) * 2011-11-25 2015-09-23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电压错误的处理装置与方法
WO2024067962A1 (en) * 2022-09-28 2024-04-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Optical arrangement for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8365A1 (en) * 1996-10-02 2003-03-13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and electronic still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7969A1 (de) * 1978-02-24 1979-08-30 Schmidt Feinmech Schreibgeraet mit druckmechanik
EP0207162B1 (en) * 1984-12-04 1993-01-20 Konica Corporation Automatic focus regulating method and camera with automatic focus regulator
US5032919A (en) * 1989-08-21 1991-07-16 Vicon Industries, Inc. Video camera focusing system
JP3800707B2 (ja) 1997-03-05 2006-07-2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ードサイズのデジタルカメラ
JP3300887B2 (ja) 1998-04-08 2002-07-08 育實 太田 排水栓装置
US6476985B2 (en) * 2000-06-27 2002-11-05 Milestone Co., Ltd. Image pickup lens unit
TWI221207B (en) * 2000-07-17 2004-09-21 Toshiba Corp Optical lens unit hav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ocal point of the optical lens
JP2002296476A (ja) * 2001-03-29 2002-10-09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鏡枠
US20040095499A1 (en) * 2002-11-13 2004-05-20 Alex Ning Imager module with a retractable le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8365A1 (en) * 1996-10-02 2003-03-13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and electronic still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4859A (zh) 2006-04-26
JP2006521742A (ja) 2006-09-21
CN100386659C (zh) 2008-05-07
US7768568B2 (en) 2010-08-03
US20060203116A1 (en) 2006-09-14
DE602004018289D1 (de) 2009-01-22
WO2004086113A1 (en) 2004-10-07
KR20050116386A (ko) 2005-12-12
EP1609014B1 (en) 2008-12-10
ATE417296T1 (de) 2008-12-15
JP4421608B2 (ja) 2010-02-24
EP1609014A1 (en)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539B1 (ko) 촬상 모듈 및 휴대폰
RU2587558C2 (ru) Способ присоединения столбика губной помады к раздаточ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губной помад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машина
JP3771932B1 (ja) 沈胴式ズームレンズ鏡筒及びズームレンズ鏡筒の沈胴方法
KR20130105506A (ko) 외부 미러의 그룹
JP4645105B2 (ja) 沈胴式カメラ
CN101650513B (zh) 投影机
CN209842309U (zh) 一种按压式柔光箱
JP2004354992A (ja) カメラアセンブリ
EP1609013B1 (en) Camera comprising means for accurately fixing the distance between a lens and an image sensor chip
JP2005091808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US8314997B2 (en) Compact zoom lens barrel
US7791820B2 (en) Retractable zoom lens
JP3940057B2 (ja) レンズ鏡筒のaf−mf切替機構
JP2006039480A (ja) レンズ駆動装置
TWI387796B (zh) 變焦鏡頭
JP5881819B2 (ja) 焦点合わせ可能な懐中電灯
JP7065695B2 (ja) 吐出容器
JP200519590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
JP200519567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058785A (ja) レンズ駆動装置
SU17121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керамической детали с металлической
JP2006098486A5 (ko)
US20150177476A1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DE502004002271D1 (de) Spannungsarme Optikfassung
JPH10282547A (ja) ズーム機能付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