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191B1 -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191B1
KR101044191B1 KR1020090060967A KR20090060967A KR101044191B1 KR 101044191 B1 KR101044191 B1 KR 101044191B1 KR 1020090060967 A KR1020090060967 A KR 1020090060967A KR 20090060967 A KR20090060967 A KR 20090060967A KR 101044191 B1 KR101044191 B1 KR 10104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plate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623A (ko
Inventor
박균덕
Original Assignee
박균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덕 filed Critical 박균덕
Priority to KR102009006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1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worm g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건물에 배관 시공시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원하는 층까지 손쉽게 이송토록 하여 공사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부에 관통과공을 형성한 상태로 건축물의 저층부에 설치된 베이스판과, 중앙부에 관통과공을 형성한 상태로 베이스판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지지판과, 2개씩 쌍을 이루면서 이러한 쌍들이 베이스판 또는 지지판의 관통과공을 중심으로 등각도로 배치되어 지지판이 베이스판의 상부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과, 일측단부에 장공이 형성되어 이러한 장공을 통해 다수의 지지봉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고정되는 간격조절편과, 외면에 점착성 재질이 코팅된 상태로 상기 쌍을 이루는 지지봉에 각각 고정된 간격조절편의 타측단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되어 베이스판 또는 지지판의 관통과공을 중심으로 등각도를 유지하면서 대상이 되는 파이프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상승운반롤러와, 다수의 상승운반롤러 중 어느 하나의 축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2개의 반링형 단위 와셔가 해체 결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건축물의 상층 슬라브의 배관구멍 위에 얹혀지는 결속판 지지와셔와, 중앙부에 관통과공이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다수의 와이어 통과공이 등각도로 형성된 상태로 결속판 지지와셔 위에 키결합되는 와이어 결속판과, 와이어 결속판의 각 와이어 통과공을 통해 결속 고정된 상태로 건축물의 각층 슬라브에 형성된 배관구멍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늘어지는 다수의 와이어와, 지지판의 상부에 착탈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의 축상에는 피니언기어가 고정되며 손잡이를 갖는 웜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와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및 동일한 각도로 각각 배치되어 각 와이어를 팽팽하게 권취하는 다수의 권취롤과, 일측이 개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내면에는 와이어들을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홈이 형성되며 각 와이어 수용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들의 중간중간에서 이들의 간격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링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상승운반장치{Device to lift pipes}
본 발명은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의 시공시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원하는 층까지 손쉽게 이송토록 하여 시공상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건축물의 각층 각호에는 건축물을 축조할 때 하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하수관로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각층 각호에 하수관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이프를 작업장소로 운반해야 하는데, 파이프를 운반할 수 있는 별다른 장치나 도구가 없어 통상은 파이프를 건축물의 외부에 쌓아둔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필요한 파이프만큼 인력으로 들어 운반하고 있다.
그런데, 건축물의 층수가 높으면 파이프를 들어 운반하는 작업 역시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하수관로 설치용 파이프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보다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수관로 및 배관설비의 설치에 필요한 파이프를 상승 이동시켜 파이프를 일일이 들어 나르는 수고를 없애고,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파이프를 운반할 수 있는 파이프 상승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다수의 와이어를 건축물의 상층으로부터 각층의 슬라브에 형성된 배관구멍을 통해 팽팽하게 고정하고, 건축물의 하층부에는 파이프를 상방향으로 밀어주는 장치를 구성하여 파이프를 건축물의 어떠한 층이라도 상승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릴 수 있고, 와이어의 간격이 와이어 결속판, 와이어 지지링, 권취롤에 의해 유지되므로 파이프가 중간에서 와이어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계속 상승할 수 있는 것이며, 건축물의 최상층은 물론 건축물의 각층에서 와이어 지지링만 빼내면 건축물의 어떠한 층에서라도 파이프를 원하는 만큼 빼낼 수 있어 파이프를 일일이 인력으로 들어 나르지 않고 빠른 시간내에 편리하게 상승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의 지지봉과 상승운반롤러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의 권취롤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의 지지링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판과 결속판 지지와셔의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는, 중앙부에 관통과공(11)이 형성된 베이스판(10)이 건축물의 저층(적어도 아래에 한개층은 있어야 함) 슬라브에 형성된 배관구멍(2)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중앙부에 관통과공(21)이 형성된 지지판(20)이 베이스판(10)의 상부에 다수의 지지봉(30)을 통해 이격 설치되는데, 지지봉(30)은 2개씩 쌍을 이루면서 이러한 쌍들이 베이스판(10) 또는 지지판(20)의 관통과공(11)(21)을 중심으로 등각도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일측단부에 장공(41)이 형성된 롤러간격조절편(40)이 마련되어 이러한 장공(41)을 통해 볼트(42)가 체결되어 다수의 지지봉(30)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각각 고정되고, 쌍을 이루는 지지봉(30)에 각각 고정된 간격조절편(40)의 타측단부 사이에는 외면에 점착성 재질(51)이 코팅된 상승운반롤러(50)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데, 이러한 상승운반롤러(50)는 베이스판(10) 또는 지지판(20)의 관통과공(11)(21)을 중심으로 등각도를 유지하면서 대상이 되는 파이프(1)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다수의 상승운반롤러(50) 중 어느 하나의 축에는 구동모터(60)가 직결 또는 감속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승운반롤러(50)의 외면에 피복되는 점착성 재질(51)은 천연고무, 인조고무, 유연한 합성수지 등 점착성을 갖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또한, 2개의 반링형 단위 와셔(71)의 접촉부위에 상방향으로 각각 돌출부(72)가 형성되어 이러한 돌출부(72) 사이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결속판 지지와셔(70)가 구성되어 이러한 결속판 지지와셔(70)가 건축물의 상층(최상층이 될 수고 있고, 건축물의 원하는 층이 될 수도 있다) 슬라브의 배관구멍(2) 위에 얹혀지고, 중앙부에 관통과공(81)이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다수의 와이어 통과공(82)이 등각도로 형성된 와이어 결속판(80)이 결속판 지지와셔(70) 위에 얹혀지는데, 와이어 결속판(80)의 하면에는 다수의 체결돌기(83)가 형성되고, 결속판 지지와셔(70)의 상면에는 체결돌기(83)와 대응되는 체결홈(73)이 형성되어 이러한 체결돌기(83)가 체결홈(73)에 키 결합됨으로써 와이어 결속판(80)은 항상 결속판 지지와셔(70)와 동일 위치에 얹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 결속판(80)의 각 와이어 통과공(82)을 통해 와이어(90)가 결속 고정된 상태로 건축물의 각층 슬라브에 형성된 배관구멍(2)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늘어지게 되며, 지지판(20)의 상부에는 권취롤(1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와이어(9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및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는데, 와이어(90)의 감김은 가능하면서 일단 감기면 되풀리지 않도록 각 권취롤(100)의 일측 축상에는 피니언기어(101)가 고정되어 이러한 피니언기어(101)가 손잡이(102)를 갖는 웜기어(10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권취롤(100)의 축 수용부(104)는 분리 구성되어 일측은 힌지(10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반대측은 체결구(106)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와이어(9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 지지링(11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와이어 지지링(110)은, 일측이 개방되어 매미고리와 같은 체결구(11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내면에는 와이어(90)들을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홈(112)이 형성되며, 각 와이어 수용홈(1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체결구(113)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에서 상승운반롤러(50) 또는 와이어(90)는 3개 또는 3가닥 이상이면 모두 가능한데, 3개 또는 4개, 3가닥 또는 4가닥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를 구성할 때에는 먼저 건축물의 하층 콘크리트 바닥에 구동모터(60)와 상승운반롤러(50)와 지지판(2)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의 베이스판(10)이 고정되고, 상승운반롤러(50)들의 사이가 대상이 되는 파이프(1)와 접촉될 수 있도록 각각의 간격조절편(40)을 이용하여 그 간격을 맞추게 된다.
또한, 건축물의 상층까지 와이어 결속판(80)을 들고 운반하고 그 자리에서 와이어(90)를 결속하여 하방향으로 늘어뜨릴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 와이어 결속판(80)을 들고 고층까지 올라가야 됨은 물론 와이어(90)가 하늘하늘거리면서 쉽게 각층의 배관구멍(2)으로 빠져나가기 어려워 와이어(90)를 늘어뜨리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와이어 결속판(80)에 와이어(90)를 결속해놓은 상태에서 건축물의 상층에서 견인줄을 늘어뜨려 와이어 결속판(80)을 끌어올리게 되면 손쉽게 와이어 결속판(80)을 상층까지 끌어올릴 수 있음은 물론 별다른 수고없이 와이어(90)를 수직방향으로 늘어뜨릴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해 각 층에 형성되는 배관구멍(2)보다는 와이어 결속판(80)의 직경을 작게 구성해야 함은 자명하다.
건축물의 상층에서는 배관구멍(2)보다 와이어 결속판(80)의 직경이 작으므로 이를 받쳐줄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2개의 반링형 단위 와셔(71)로 된 결속판 지지와셔(70)가 필요하게 된다. 즉, 각각의 단위 와셔(71)를 와이어 결속판(80)의 아래에 위치시켜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단위 와셔(71)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면 이러한 결속판 지지와셔(70)의 직경은 배관구멍(2)보다는 큰 직경을 이루어지므로 와이어 결속판(80)이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는 것이고, 또 와이어 결속판(80) 하면의 체결돌기(83)가 결속판 지지와셔(70)의 체결홈(73)에 끼워지도록 하면 와이어(90)가 항상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수직방향으로 늘어진 와이어(90)는 최초 그 길이에 여유를 갖도록 길게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길게 연장된 와이어(90)를 웜기어(103)의 손잡이(102)로 일일이 감아주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권취롤(100)의 축을 지지하는 축 수용부(104)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체결구(106)를 풀어 권취롤(100)의 축 수용부(104)를 개방한 상태에서 권취롤(100)을 빼내어 작업자가 손으로 와이어(90)를 빠른 속도로 감아주고, 와이어(90)를 권취롤(100)에 거의 감아준 상태에서 다시 그 축 수용부(104)에 얹어 축 수용부(104)를 체결구(106)로 체 결한 후 웜기어(103)의 손잡이(102)를 돌려주면서 세밀하게 감아주면 되므로 작업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90)의 중간중간에서는 그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으므로 와이어 지지링(110)을 통해 와이어(90)의 중간중간을 지지해주게 되는데, 와이어 지지링(110)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체결구(111)를 풀어준 상태에서 이러한 개방된 부위를 통해 와이어 지지링(110)의 내부에 와이어(90)를 모두 수용한 상태에서 다시 체결구(111)를 잠가주고, 와이어 수용홈(112)에 각각의 와이어(90)를 수용한 상태에서 개별적인 체결구(113)를 다시 잠가주면 각각의 와이어(90)에 와이어 지지링(110)이 지지될 수 있고, 또 각각의 와이어(90) 역시 이러한 와이어 지지링(110)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구동모터(60)에 전원을 인가하고, 베이스판(10)의 하층 배관구멍(2)을 통해 파이프(1)를 밀어올려 베이스판(10)의 관통과공(11)을 통해 밀어 넣어주면 파이프(1)가 상승운반롤러(50)의 점착성 재질(51)로 된 면과 접촉되어 상승될 수 있으며, 다른 상승운반롤러(50)는 파이프(1)의 상승시 공회전하면서 파이프(1)를 정확한 위치에서 지지해주게 된다.
하나의 파이프(1)가 거의 상승할 즈음에 다음 파이프(1)를 베이스판(10) 하층 배관구멍(2)을 통해 밀어올리게 되면 이러한 파이프(1)가 상승하면서 위쪽의 파이프(1)를 밀어주게 되므로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파이프(1)들을 건축물의 어떠한 층이라도 상승운반할 수 있는 것이며, 건축물의 저층부에서 상층부까지 와이어(90)가 등각도로 팽팽하게 배치되어 있어 마치 관속으로 파이프(1)가 운반되는 것과 같이 파이프(1)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곧바로 수직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건축물의 각 층에서 파이프(1)가 필요할 경우에는 각 층에서 와이어(90)를 지지하고 있던 와이어 지지링(110)을 빼내면 와이어(90) 사이의 간격을 벌릴 수 있어 이러한 틈새로 파이프(1)들을 빼내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이 진행되면서 와이어(90)가 느슨해질 수 있으므로 수시로 점검하여 웜기어(103)의 손잡이(102)를 돌려 와이어(90)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승운반롤러(50)의 표면이 마모되어 파이프(1)와 접촉이 잘 되지 않을 경우에도 간격조절편(40)에 장공(4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정하는 볼트(42)를 풀어 지지봉(30)으로부터 간격조절편(40)을 전진시킨 후 다시 고정해주면 상승운반롤러(5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를 작업이 완료되어 철거할 경우에는 먼저 웜기어(103)의 손잡이(102)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와이어(90)를 느슨하게 해주고, 건축물의 상층에 있는 결속판 지지와셔(70)를 풀어준 후 와이어 결속판(80)을 견인줄을 통해 하방으로 내려주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는 건축물의 최상층에서부터 최하층까지 하나로만 구성할 수도 있으나, 건축물의 층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층의 중간중간에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다수개를 이어 설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봉과 상승운반롤러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롤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지지링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판과 결속판 지지와셔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상승운반장치의 다른 시공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파이프 2 : 배관구멍
10 : 베이스판 11,21,81 : 관통과공
20 : 지지판 30 : 지지봉
40 : 간격조절편 41 : 장공
42 : 볼트 50 : 상승운반롤러
51 : 점착성 재질 60 : 구동모터
70 : 결속판 지지와셔 71 : 단위 와셔
72 : 돌출부 73 : 체결홈
80 : 와이어 결속판 82 : 와이어 통과공
83 : 체결돌기 90 : 와이어
100 : 권취롤 101 : 피니언기어
102 : 손잡이 103 : 웜기어
104 : 축 수용부 105 : 힌지
106,111,113 : 체결구 110 : 와이어 지지링
112 : 와이어 수용홈

Claims (1)

  1. 중앙부에 관통과공을 형성한 상태로 건축물의 저층부 슬라브에 형성된 배관구멍을 중심으로 설치된 베이스판과, 중앙부에 관통과공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지지판과, 2개씩 쌍을 이루면서 이러한 쌍들이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지지판의 관통과공을 중심으로 등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과, 일측단부에 장공이 형성되어 이러한 장공을 통해 상기 다수의 지지봉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고정되는 간격조절편과, 외면에 점착성 재질이 코팅된 상태로 상기 쌍을 이루는 지지봉에 각각 고정된 상기 간격조절편의 타측단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판 또는 지지판의 관통과공을 중심으로 등각도를 유지하면서 대상이 되는 파이프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상승운반롤러와, 상기 다수의 상승운반롤러 중 어느 하나의 축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2개의 반링형 단위 와셔가 해체 결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건축물의 상층 슬라브의 배관구멍 위에 얹혀지는 결속판 지지와셔와, 중앙부에 관통과공이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다수의 와이어 통과공이 등각도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결속판 지지와셔 위에 키결합되는 와이어 결속판과, 상기 와이어 결속판의 각 와이어 통과공을 통해 결속 고정된 상태로 건축물의 각층 슬라브에 형성된 배관구멍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늘어지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착탈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의 축상에는 피니언기어가 고정되며 손잡이를 갖는 웜기어와 맞물린 상 태로 상기 와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및 동일한 각도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각 와이어를 팽팽하게 권취하는 다수의 권취롤과, 일측이 개방되어 체결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와이어들을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와이어 수용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들의 중간중간에서 이들의 간격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KR1020090060967A 2009-07-06 2009-07-06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KR10104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967A KR101044191B1 (ko) 2009-07-06 2009-07-06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967A KR101044191B1 (ko) 2009-07-06 2009-07-06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23A KR20110003623A (ko) 2011-01-13
KR101044191B1 true KR101044191B1 (ko) 2011-06-28

Family

ID=4361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967A KR101044191B1 (ko) 2009-07-06 2009-07-06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428B1 (ko) * 2013-10-07 2014-06-20 오경근 자재인양기
CN110924661A (zh) * 2019-12-03 2020-03-27 张媛淇 一种用于建筑砌墙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271A (ja) * 1996-06-11 1997-12-22 Taisei Corp 工事用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クライミング方法
KR100583790B1 (ko) 2004-04-23 2006-06-01 금강공업 주식회사 내부 인양기
KR20080009084A (ko) * 2005-04-26 2008-01-24 푸츠마이스터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중체적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상향 파이프라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271A (ja) * 1996-06-11 1997-12-22 Taisei Corp 工事用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クライミング方法
KR100583790B1 (ko) 2004-04-23 2006-06-01 금강공업 주식회사 내부 인양기
KR20080009084A (ko) * 2005-04-26 2008-01-24 푸츠마이스터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중체적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상향 파이프라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23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660B1 (ko) 평행 와이어의 수평 감기 및 수평 풀기 방법
KR100899098B1 (ko) 현수교의 피더블유에스 케이블 가설용 활차통과장치
US6619432B1 (en) Object transport apparatus, drive mechanism for object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object transport apparatus
CN110092086B (zh) 一种组装装配式建筑用混凝土预制构件码放装置
KR101044191B1 (ko)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CN211168593U (zh) 一种传动链输送生产设备
KR102011392B1 (ko)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JP2008031777A (ja) 屋根の雪降ろし装置
CN110107062B (zh) 用于烟道或风井的双侧抹灰装置及其抹灰方法
WO2017045012A1 (en) An improved conveyor belt system
KR200314588Y1 (ko)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
US2221133A (en) Scaffold
KR20150087593A (ko) 벨트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장치
CN207175396U (zh) 一种中央空调滤芯更换工具
CN207294086U (zh) 一种中央空调滤芯更换工具
CN212150482U (zh) 一种工地搬运装置
JP2021095760A (ja) 荷揚げ装置
CN219238987U (zh) 一种垂直运输装置
CN207175318U (zh) 一种中央空调滤芯更换工具
CN208086873U (zh) 一种用于涂布机的放卷装置
KR102389703B1 (ko) 보양기계에 탑재된 가설천막 권취기
JP2019027047A (ja) シュート式搬送装置
JP5114266B2 (ja) コンベア
JP5146753B2 (ja) 無端状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布状体の開閉システム
CN207294087U (zh) 一种中央空调滤芯更换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