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043B1 -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 Google Patents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043B1
KR101044043B1 KR1020090041385A KR20090041385A KR101044043B1 KR 101044043 B1 KR101044043 B1 KR 101044043B1 KR 1020090041385 A KR1020090041385 A KR 1020090041385A KR 20090041385 A KR20090041385 A KR 20090041385A KR 101044043 B1 KR101044043 B1 KR 10104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cam
ring
knitting machine
vel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377A (ko
Inventor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102009004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04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04B15/22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위치를 축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며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의 편침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원통형상의 링체인 실린더와, 실린더의 외주측에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편침의 버트가 끼워지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편침을 승하강시키는 편성캠박스와, 실린더의 최상부 외주 측에 배치되어 그 실린더와 함께 회전 구동되며 편침 방향으로 다수의 다이얼홈이 형성된 다이얼과, 다이얼홈에 설치되는 다수의 싱커와, 다이얼의 상부에 위치되는 싱커링과, 싱커링에 설치되어 싱커를 편침 측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다수의 싱커캠으로 구성된 벨루어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싱커캠은 싱커링의 내주연을 따라 다수가 연속설치되도록 하되, 싱커캠의 전단부는 돌출형 라운드를 형성하고, 후단부는 함몰형 라운드를 형성시켜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호 중첩되어 맞물리도록 하며, 싱커캠의 상,하부 트랙이 연속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Sink cam assembly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환편기의 구성을 간소화시켜 교체 및 보수작업을 쉽게 하고, 싱커의 진퇴 이동을 유도하는 싱커캠의 트랙 절단요소를 최소화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직물은 상호 작용하는 싱커와 편침을 각각 연동시키는 싱커캠과 편성캠을 포함하는 환편기를 통하여 직조된다. 이러한 환편기는, 싱커캠이나 편성캠의 편성을 변경함으로써 직조되는 직물에 줄무늬나 사각형 또는 다이아몬드 등의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직조되는 직물은 보온성이 뛰어나고 촉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스포츠 의류나 T-셔츠 등으로는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런데 싱커캠이나 편성캠의 편성을 변경하여 직물에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경우, 직조되는 원단의 뒷면으로 루우프가 빠져 나와 원단이 편평하게 되지 않았고, 더 나아가 원단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환편기는 벨루어전용사만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과 루우프를 일 일이 맞추어야 함으로 인건비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02060호의 "직물용 환편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상기한 종래기술의 직물용 환편기에 대한 자세한 구성을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물용환편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편성캠박스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싱커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싱커캠 및 보조싱커캠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직물용 환편기는, 중심위치를 축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며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의 편침(5)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원통형상의 링체인 실린더(10)와, 실린더(10)의 외주측에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편침(5)의 버트(5a)가 끼어지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편침(5)을 승하강시키는 편성캠박스(20)와, 실린더(10)의 최상부 외주 측에 배치되어 그 실린더(10)와 함께 회전 구동되며 편침 방향으로 다수의 다이얼홈이 형성된 다이얼(30)과, 다이얼홈에 설치되는 다수의 싱커(40)와, 다이얼(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싱커링(50)과, 싱커링(50)에 설치되어 싱커(40)를 편침(5) 측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다수의 싱커캠(60)을 포함한다.
상기 편성캠박스(20)는 실린더(10)의 외주 측에 링형상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편성캠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어있다.
이러한 편성캠으로는, 원하는 문양에 따라 니트캠(21), 스티치캠(22)등이 분리설치되며, 니트캠(21) 및 스티치캠(22)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침의 버트(5a)가 이동하는 편성캠통로(D)를 형성하는 대응니트캠(23) 및 대응스티치캠(24)이 분리설치된다. 이들 편성캠(21)(22)(23)(24)은 편성캠박스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슬롯(미도시)에 끼어져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실린더(10)와 함께 회전되는 편침(5)의 버트(5a)가 고정된 편성캠박스의 편성캠통로(D)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편침(5)은 실린더(10)의 상부로 승강된다.
이때, 스티치캠(22)과 대응스티치캠(24) 사이에 형성된 통로단부에는, 편침(5)의 버트(5a)가 니트캠(21)과 대응니트캠(23)사이의 통로로 진입할 때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약간 상승된 진입턱(D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입턱(D1)을 형성함으로써, 버트(5a)가 스티치캠(22) 및 대응스티치캠(24) 사이의 통로에서 니트캠(21) 및 대응니트캠(23) 사이의 통로로 진입할 때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조되는 원단에서 줄이 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싱커(40)는 싱커캠(60)의 일측면(60a)에 접촉됨으로써 연동되는 싱커버트(41)가 형성된 싱커몸체(40a)와, 싱커몸체(40a)와 일체로 되어 편침(5)의 래치로부터 벗어나는 노즈(42)가 형성된 싱커헤드(40b)로 구성된다.
싱커몸체(40a)와 접하는 싱커헤드(40b)의 모서리에는 다이얼(30)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되는 싱커(40)들 사이에 먼지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먼지방지턱(40c)이 형성된다. 이러한 먼지방지턱(40c)을 형성함으로써, 직조시 발생되는 많 은 먼지가 싱커들 사이로 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시간 동안 환편기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싱커(40)의 노즈(42)의 상단에는 편침(5)의 래치에 걸어진 원사가 용이하게 빠져나오게 하기 위한 노즈경사면(42a)이 형성된다.
상기 싱커캠(60)은 싱커링(50)에 원주를 이루도록 반복해서 설치된다. 이때 하나의 싱커캠(60)과 다른 싱커캠(60') 사이에는 싱커버트(41)를 싱커캠(60)의 일측면(60a)(60a')으로 귀환시키기 위한 보조 싱커캠(65)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 싱커캠(65)은 싱커버트(41)가 통과되는 통로(D')를 사이에 두고 상부보조 싱커캠(65a)과 하부보조 싱커캠(65b)으로 이루어진 한 벌의 구성을 가진다.
상기한 싱커(40)는 싱커버트(41)가 싱커캠(60) 및 보조 싱커캠(65)에 의하여 접촉되면서 회전함에 따라 편침(5) 방향으로 진퇴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 싱커캠(65)은 싱커링(50)에 형성된 장공(51)에 설치되어 소정간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직물용 환편기는 싱커캠(60)과 싱커캠(60) 사이에 보조 싱커캠(65)을 설치시켜 싱커(40)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보조 싱커캠(65) 사용으로 인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한 싱커캠(60)의 설치 및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싱커(40)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싱커캠(60)의 트랙이 보조 싱커캠(65)의 연결부에서 단절됨에 따라 트랙의 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이는 편환 을 안정적으로 형성하지 못하는 원을 제공함은 물론, 편포의 균일성을 떨어뜨려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환편기의 구성을 간소화시켜 교체 및 보수작업을 쉽게 하고, 싱커의 진퇴 이동을 유도하는 싱커캠의 트랙 절단요소를 최소화시켜 편환(loop) 형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보조 싱커캠의 구조를 생략하는 한편, 싱커캠 후단부의 굴곡부의 형상을 변경시켜 보조 싱커캠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는 중심위치를 축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며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의 편침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원통형상의 링체인 실린더와, 실린더의 외주측에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편침의 버트가 끼워지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편침을 승하강시키는 편성캠박스와, 실린더의 최상부 외주 측에 배치되어 그 실린더와 함께 회전 구동되며 편침 방향으로 다수의 다이얼홈이 형성된 다이얼과, 다이얼홈에 설치되는 다수의 싱커와, 다이얼의 상부에 위치되는 싱커링과, 싱커링에 설치되어 싱커를 편침 측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다수의 싱커캠으로 구성된 벨루어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싱커캠은 싱커링의 내주연을 따라 다수가 연속설치되도록 하되, 싱커캠의 전단부는 돌출형 라운드를 형성하고, 후단부는 함몰형 라운드를 형성시켜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호 중첩되어 맞물리도록 하며, 싱커캠의 상,하부 트랙이 연속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트랙은 싱커캠의 형상에 따른 굴곡을 형성하게 되며, 상,하부 트랙 간을 임의의 수직선으로 연결한 단면 폭(W)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단면폭(W)은 싱커의 상,하부 싱커버트 간의 이격거리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싱커캠은 앞쪽으로부터 돌출형 라운드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형 라운드 뒤쪽으로는 싱커링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V"자형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V"자형 절곡부에 이어 뒤쪽으로 싱커링의 내주연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1단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1단 절곡부의 뒤쪽으로는 싱커링의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2단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2단 절곡부의 뒤쪽으로는 싱커링의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수평 연장되는 3단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3단 절곡부의 뒤쪽으로는 싱커링의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4단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4단 절곡부의 뒤쪽으로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형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단 절곡부의 함몰 깊이를 0.2~0.5mm 사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형 라운드와, 2단 굴곡부, 4단 굴곡부의 높이는 싱커링의 동일한 동심원 상에 일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싱커캠 후단부의 굴곡부의 형상을 변경시켜 보조 싱커캠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환편기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이로인해 싱커캠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되며, 싱커의 진퇴 이동을 유도하는 싱커캠의 트랙 절단요소를 최소화함으로써, 편환(loop) 형성이 안정적이며, 균일한 편포의 생산이 가능하여 품질 향상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커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싱커캠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싱커캠과 결합되는 싱커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싱커캠(110)은 벨루어 환편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싱커캠(110)에 대한 설명에 앞서, 벨루어 환편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중심위치를 축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며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의 편침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원통형상의 링체인 실린더와, 실린더의 외주측에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편침의 버트가 끼워지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편침을 승하강시키는 편성캠박스와, 실린더의 최상부 외주 측에 배치되어 그 실린더와 함께 회전 구동되며 편침 방향으로 다수의 다이얼홈이 형성된 다이얼과, 다이얼홈에 설치되는 다수의 싱커와, 다이얼의 상부에 위치되는 싱커링과, 싱커링에 설치되어 싱커를 편침 측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다수의 싱커캠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벨루어 환편기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주지의 구성인바, 여기서는 환편기의 자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벨루어 환편기에 설치되는 싱커캠(110)은 도 5,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일부품으로 제작되고, 싱커링(140)의 내주연을 따라 다수가 연속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싱커캠(110)은 전단부에 돌출형 라운드(113)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함몰형 라운드(114)를 형성함으로써, 뒤쪽에 설치되는 싱커캠(110)의 전단부와 앞쪽에 설치되는 싱커캠(110)의 후단부가 일정 폭만큼 상호 중첩되어 맞물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호 맞물림 구조를 갖는 싱커캠(110)은 상,하부 트랙(111)(112)이 연속성을 갖고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싱커캠(110)의 상,하부 트랙(111)(112)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싱커(130)의 상,하부 싱커버트(131)(133)와 접촉하여 싱커(130)의 진퇴운동을 안내하는 이동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하부 트랙(111)(112)은 싱커캠(110)의 형상에 따른 굴곡을 형성하게 되며, 상,하부 트랙(111)(112) 간을 임의의 수직선으로 연결한 단면 폭(W)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된다.
즉, 상기 단면폭(W)은 상,하부 싱커버트(131)(133) 간의 이격거리와 일치되 도록 함으로써, 싱커캠(110)의 굴곡 위치에 따른 싱커(130)의 진퇴운동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싱커캠(110)은 앞쪽으로부터 돌출형 라운드(113), "V"자형 절곡부(115), 1단 절곡부(116), 2단 절곡부(117), 3단 절곡부(118), 4단 절곡부(119), 함몰형 라운드(114)를 차례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돌출형 라운드(113)는 싱커링(140)의 가장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형 라운드(113) 뒤쪽으로는 싱커링(14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V"자형 절곡부(115)를 형성한다.
상기 "V"자형 절곡부(115) 싱커(130)의 후진상태를 안내하게 되며, "V"자형 절곡부(115) 정점에는 싱커캠(110)을 싱커링(140)과 체결부재를 이용해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15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V"자형 절곡부(115)에 이어 뒤쪽으로 싱커링(140)의 내주연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1단 절곡부(11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1단 절곡부(116)는 싱커(130)가 편침 측으로 전진되어 대기하는 구간으로서, 원단의 두께와 부드러움을 결정하게 되는 시초 단계이며, 원단의 두께와 부드러움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싱커(130)의 진퇴운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싱커(130)의 정밀제어는 상,하부 트랙(111)(112) 간을 임의의 수직선으로 연결한 단면 폭(W)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단면폭(W)과 상, 하부 싱커버트(131)(133) 간의 이격거리가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싱커(130)의 이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1단 절곡부(116)의 뒤쪽으로는 싱커링(140)의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2단 절곡부(117)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2단 절곡부(117)는 1단 절곡부(116)에서 대기하고 있던 싱커(130)를 한번 더 편침 측으로 전진시키는 구간으로서, 상부로 상승되었던 편침이 공급된 편사를 고리에 걸어 하강하면서 편환, 즉 루우프(loop)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루우프는 노즈(135)의 안쪽면(135a)에 형성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2단 절곡부(117)의 뒤쪽으로는 싱커링(140)의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수평 연장되는 3단 절곡부(118)를 형성한다.
상기 3단 절곡부(118)는 싱커(130)를 미세하게 후퇴시키는 구간으로서, 싱커(130)의 노즈(135)가 편침의 래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이며, 파일이 노즈(135)에 형성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3단 절곡부(118)의 함몰 깊이 즉, 싱커(130)의 노즈(135)와 편침과의 거리는 0.2~0.5mm 사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몰 깊이를 얇게 형성할수록 편포의 기모(起毛)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모(起毛)라 함은 벨루어 직조한 천 표면의 파일직물을 절단하거나, 실 보풀을 긁어 일으켜 빗질함으로써, 섬세하고 조밀한 실 보풀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일컫는다.
벨루어는 실 보풀의 높이와 정돈상태에 따라 스웨이드, 벨벳, 하이파일, 펠트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기모를 짧게 하여 벨루어를 직조하게 되면, 벨루어 자체의 촉감이 부드럽고 따뜻한 감촉을 갖는 동시에 변형성을 최소화시켜 다양한 형태의 의류 또는 직물제작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3단 절곡부(118)의 뒤쪽으로는 싱커링(140)의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4단 절곡부(119)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4단 절곡부(119)는 3단 절곡부(118)에서 대기하고 있던 싱커(130)를 한번 더 편침 측으로 전진시키는 구간으로서, 파일을 완성하게 된다.
즉, 3단 절곡부(118)에서 싱커(130)의 노즈(135)에 걸린 루우프를 4단 절곡부(119)에서 일정하고 균일하게 정리된 파일로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4단 절곡부(119)의 뒤쪽으로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형 라운드(114)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함몰형 라운드(114)는 연속해서 설치되는 다음 싱커캠(110)의 전단부 즉 돌출형 라운드(113)와 정합되는 구간이다.
이후, 상기 싱커(130)는 상,하부 트랙(111)(112)을 따라 다음 싱커캠(110)으 로 연동되고,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벨루어 직조된 천을 얻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형 라운드(113)와, 2단 굴곡부(117), 4단 굴곡부(119)의 높이는 싱커링(140)의 동일한 동심원 상에 일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커캠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로서, 싱커캠(110)의 하부트랙(112) 외측을 따라 싱커(130)의 하부 싱커버트(13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통로(121) 및 가이드벽(12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벽(123)은 이동통로(121)의 수직방향의 폭이 하부 싱커버트(133)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가이드벽(123)을 싱커캠(1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싱커(130)의 정밀제어는 상,하부 트랙(111)(112) 간을 임의의 수직선으로 연결한 단면 폭(W)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단면폭(W)과 상,하부 싱커버트(131)(133) 간의 이격거리가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싱커(130)의 이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싱커캠(110) 후단부의 굴곡부의 형상을 변경시켜 종래기술에서의 보조 싱커캠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환편기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싱커캠(110)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싱커(130)의 진퇴 이동을 유도하는 싱커캠(110)의 트랙 절단요소를 최소화함으로써, 편환(loop) 형성이 안정적이며, 균일한 편포의 생산이 가능하여 품질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물용환편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편성캠박스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싱커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싱커캠 및 보조싱커캠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커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싱커캠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싱커캠과 결합되는 싱커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커캠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싱커캠 111: 상부트랙
112: 하부트랙 113: 돌출형 라운드
114: 함몰형 라운드 115: "V"자형 절곡부
115a: 결합공 116: 1단 절곡부
117: 2단 절곡부 118: 3단 절곡부
119: 4단 절곡부 121: 이동통로
123: 가이드벽 130: 싱커
131: 상부 싱커버트 133: 하부 싱커버트
135: 노즈 140: 싱커링

Claims (7)

  1. 중심위치를 축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며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의 편침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원통형상의 링체인 실린더와, 실린더의 외주측에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편침의 버트가 끼워지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편침을 승하강시키는 편성캠박스와, 실린더의 최상부 외주 측에 배치되어 그 실린더와 함께 회전 구동되며 편침 방향으로 다수의 다이얼홈이 형성된 다이얼과, 다이얼홈에 설치되는 다수의 싱커와, 다이얼의 상부에 위치되는 싱커링과, 싱커링에 설치되어 싱커를 편침 측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다수의 싱커캠으로 구성된 벨루어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싱커캠은 싱커링의 내주연을 따라 다수가 연속설치되도록 하되, 싱커캠의 전단부는 돌출형 라운드(113)를 형성하고, 후단부는 함몰형 라운드(114)를 형성시켜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호 중첩되어 맞물리도록 하며, 싱커캠의 상,하부 트랙(111)(112)이 연속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트랙(111)(112)은 싱커캠(110)의 형상에 따른 굴곡을 형성하게 되며, 상,하부 트랙(111)(112) 간을 임의의 수직선으로 연결한 단면 폭(W)을 일정 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단면폭(W)은 싱커(130)의 상,하부 싱커버트(131)(133) 간의 이격거리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캠(110)은 앞쪽으로부터 돌출형 라운드(11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형 라운드(113) 뒤쪽으로는 싱커링(14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V"자형 절곡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V"자형 절곡부(115)에 이어 뒤쪽으로 싱커링(140)의 내주연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1단 절곡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1단 절곡부(116)의 뒤쪽으로는 싱커링(140)의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2단 절곡부(117)가 형성되며, 상기 2단 절곡부(117)의 뒤쪽으로는 싱커링(140)의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수평 연장되는 3단 절곡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3단 절곡부(118)의 뒤쪽으로는 싱커링(140)의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4단 절곡부(119)가 형성되며, 상기 4단 절곡부(119)의 뒤쪽으로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형 라운드(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단 절곡부(118)의 함몰 깊이를 0.2~0.5mm 사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라운드(113)와, 2단 굴곡부(117), 4단 굴곡부(119)의 높이는 싱커링(140)의 동일한 동심원 상에 일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캠(110)의 하부트랙(112) 외측을 따라 싱커(130)의 하부 싱커버트(13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통로(121) 및 가이드벽(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123)은 싱커캠(1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KR1020090041385A 2009-05-12 2009-05-12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KR101044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85A KR101044043B1 (ko) 2009-05-12 2009-05-12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85A KR101044043B1 (ko) 2009-05-12 2009-05-12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77A KR20100122377A (ko) 2010-11-22
KR101044043B1 true KR101044043B1 (ko) 2011-06-23

Family

ID=4340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385A KR101044043B1 (ko) 2009-05-12 2009-05-12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80B1 (ko) 2015-08-17 2015-11-05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직물용 환편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060B1 (ko) 2006-02-13 2006-07-19 김성미 직물용환편기
KR20080110018A (ko) * 2007-06-14 2008-12-18 김성미 합성수지사용 환편기 및 그 장치에 의한 합성수지사 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060B1 (ko) 2006-02-13 2006-07-19 김성미 직물용환편기
KR20080110018A (ko) * 2007-06-14 2008-12-18 김성미 합성수지사용 환편기 및 그 장치에 의한 합성수지사 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80B1 (ko) 2015-08-17 2015-11-05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직물용 환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77A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216B1 (ko)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는 환편기
KR100470002B1 (ko) 하이(high)-로우(low)플러쉬편제품과이를제조하기위한장치및방법
KR20000070011A (ko) 개선된 파일 직물, 이 파일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파일
JP2000506234A (ja) パターン化されたパイルファブリック及びそれ用のパイルエレメント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及び円形編機
JP2011511170A (ja) 表/表リブ布と表/表リブ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JP2011511171A (ja) スペーサ編み布とスペーサ編み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US3293887A (en) Sinker arrangement and control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760053B1 (ko) 플리스 자카드 환편기
US1977590A (en) Process and machine for making plated fabrics
KR101206793B1 (ko) 환편기용 파일사 절단장치
KR101044043B1 (ko) 벨루어 환편기의 싱커캠구조
KR101182483B1 (ko)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KR20100080359A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US6705129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ulticolored plush
KR100602060B1 (ko) 직물용환편기
US2893226A (en) Knitting machines and methods
JPH06264341A (ja) ジャカードパイル編地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シンカー
US27967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pile fabric
US716767A (en) Rib-knitting machine.
JP2004308102A (ja) 硬質で、非弾力性の糸材料から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み機
US2084914A (en) Rib fabric, method of and mechanism for knitting the same
KR101928518B1 (ko) 환편기
KR101003079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장치
JP6105009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成方法
US32938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lush knitted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