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032B1 - 도장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도장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032B1
KR101044032B1 KR1020087028372A KR20087028372A KR101044032B1 KR 101044032 B1 KR101044032 B1 KR 101044032B1 KR 1020087028372 A KR1020087028372 A KR 1020087028372A KR 20087028372 A KR20087028372 A KR 20087028372A KR 101044032 B1 KR101044032 B1 KR 10104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ag
paint
cylin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616A (ko
Inventor
다케히로 하마무라
도시오 온다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6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separate containers for different materials to be sprayed being moved from a first location, e.g. a filling station, where they are fluidically disconnected from the spraying apparatus, to a second location, generally close to the spraying apparatus, where they are fluidically connected to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5/1608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 B05B5/16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and the arrangement comprising means for insulating a grounded material source from high voltage applied to the material
    • B05B5/1625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and the arrangement comprising means for insulating a grounded material source from high voltage applied to the material the insulating means comprising an intermediate container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grounded material source for filling, and then disconnected and electrically insulated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supply being effected by follower in container, e.g. membrane or floating piston, or by deformation of container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베이스(12)를 장착부(13)와 피드 튜브(16)에 의해 형성하고, 피드 튜브(16)에는 제1 도료 통로(17)를 설치한다. 백형(baglike) 탱크(19)는, 원기둥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20)와, 양단 측이 지지체(20)에 고착된 백부재(bag member)(21)에 의해 형성하고, 내부에 도료 수용실(22)을 구획한다. 지지체(20)의 전단부(20A)에는 제2 도료 통로(23)를 설치한다. 또한, 백부재(21)를 수용하는 탱크 수용통체(2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지체(20)의 양단을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와 탱크 수용통체(25) 사이에 협지한 상태로, 백형 탱크(19)를 탱크 수용통체(25) 내에 수용한다. 이 때, 도료 수용실(22)은, 제2 도료 통로(23)를 통하여 제1 도료 통로(17)와 연통된다.
탱크 베이스, 백형 탱크, 피드 튜브, 도료 수용실, 도료 통로

Description

도장용 카트리지{PAINT APPLICATION CARTRIDG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장기(塗裝機)에 대하여 교환되어 장착되고, 내부에 충전된 도료를 도장기를 향해 공급하는 도장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보디 등의 피도장물을 도장하는 도장 시스템은, 색교체 시에 폐기되는 도료의 양을 삭감할 수 있고, 또 많은 도색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도장 시스템으로서는, 각 색마다의 도료가 충전된 도장용 카트리지를, 피도장물을 도장할 때 교환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된 카트리지식의 도장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1999-262699호 공보 참조).
또한, 전술한 도장 시스템에 사용하는 도장용 카트리지는, 도장기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형을 한 중공(中空)의 탱크와 상기 탱크로부터 축방향의 앞쪽으로 연장된 피드 튜브로 이루어지는 보디와, 상기 보디의 탱크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외주측에 설치된 실링 부재에 의해 상기 탱크 내를 도료 수용실과 압출 액체 수용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도료 수용실로부터 피드 튜브 내를 통하여 형성된 도료 통로와, 상기 압출 액체 수용실에 압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행하는 압출 액체 통로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한편, 특허 문헌 1의 도장용 카트리지는, 탱크 내를 도료 수용실과 압출 액체 수용실로 구획하는 가동 격벽으로서 전술한 피스톤 이외에 벨로즈형의 벨로즈를 구비한 것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장용 카트리지에는, 전술한 피스톤, 벨로즈 외에, 탱크 내에 풍선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1996-229446호 공보 참조). 또한, 탱크 내에 신축 가능한 백형(baglike)의 막체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일본 실용신안 등록출원 공개 1997-41호 공보 참조).
이들 도장용 카트리지 중, 특허 문헌 1에 의한 것에서는, 압출 액체 수용실에 압출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 또는 벨로즈를 변위시켜, 도료 수용실 내의 도료를 도장기를 향해 토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의한 것에서는, 풍선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부풀림으로써, 탱크 내에 충전된 도료를 도장기를 향해 토출한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작동 유체에 의해 백형의 막체를 가압하고, 이 막체 내의 도료를 도장기를 향해 토출한다.
이 외에도, 도장용 카트리지를, 기대(基臺)에 압출용 액체 수용실을 구획하는 구획막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구획막 유닛과, 상기 구획막 유닛을 수용하는 통형의 탱크 본체로 구성하고, 탱크 본체와 구획막 유닛 사이에 도료 수용실을 형성한 것이 있다. 이 카트리지에서는, 구획막 내에 압출 액체를 공급하고, 도료 수용실 내의 도료를 도장기를 향해 토출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출원 공개번호 2006-187732호 공보 참조).
또한, 도장용 카트리지를, 주위가 가요성인 튜브로 되어 도료를 수용하는 유닛과, 상기 도료 유닛을 장착하는 케이스에 의해 구성하고, 이 도장용 카트리지의 케이스를 도장기의 카트리지 수납실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있다. 이 도장용 카트리지에서는, 카트리지 수납실과 케이스 사이를 액밀하게 유지함으로써, 도료 유닛의 주위에 압출 액체 수용실을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도장용 카트리지는, 압출 액체 수용실에 압출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도료 유닛 내의 도료를 튜브를 통하여 가압하고, 도장기 측에 토출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230718호 공보 참조).
그런데, 전술한 특허 문헌 1의 피스톤을 사용한 것은, 펌프 내에 피스톤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피스톤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탱크의 내면은 높은 치수 정밀도, 스무스한 마무리면으로 가공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액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가의 실링 부재를 정기적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니셜 코스트(initial cost), 유지비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탱크의 내면에서 피스톤(실링 부재)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는, 도료 수용실 내의 도료가 조금씩 압출 액체 수용실에 누출되어, 압출 액체의 전기 절연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압출 액체는 정기적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 점에서도 유지비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 문헌 1의 벨로즈를 사용한 것, 특허 문헌 2의 풍선을 사용한 것, 특허 문헌 3의 막체를 사용한 것, 특허 문헌 4의 구획막을 사용한 것은, 모두 팽 창, 수축할 때 부하가 작용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도료를 충전하여 크게 팽창시킨 경우나, 시간 경과에 의한 열화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비교적 자주 교환하지 않으면 되지 않는다. 이 경우, 벨로즈, 풍선, 막체 및 구획막은, 탱크, 기대 측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교환이 매우 곤란하여,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벨로즈, 풍선, 막체 및 구획막은, 탱크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육안관찰할 수 없으므로, 도장 불량이 발생할 때까지는 손상을 발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의 도장용 카트리지는, 도장을 행할 때마다 도료 유닛을 도료가 충전된 새로운 것과 교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장 준비작업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 의한 것에서는, 도장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카트리지 수납실을 형성하고, 이 카트리지 수납실의 내면을 이용하여 압출 액체 수용실을 구획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료 유닛의 튜브가 파손된 경우, 내부의 도료가 카트리지 수납실인 하우징 내면에 부착되어버려, 하우징을 세정하기까지 도장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백형 탱크의 구성을 간략화하는 동시에, 이 백형 탱크를 탱크 베이스에 대하여 간단한 작업으로 교환 가능하도록 한 도장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는, 분무 수단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피드 튜브에 의해 형성된 탱크 베이스와, 상기 피드 튜브 내를 통하여 상기 탱크 베이스에 형성된 제1 도료 통로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체와 가요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외주에 배치된 백부재(bag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백부재의 양단이 지지체에 액밀하게 고착되어 상기 백부재의 내부에 도료 수용실이 형성된 백형 탱크와, 상기 백형 탱크의 지지체에 형성되고, 뒤쪽이 상기 도료 수용실에 개구되고, 앞쪽이 상기 백형 탱크를 상기 탱크 베이스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1 도료 통로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도료 통로와, 앞쪽이 개구부로 되는 동시에, 뒤쪽에 커버부를 가지는 커버통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백형 탱크의 지지체의 양단을 상기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와 커버부 사이에서 협지한 상태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탱크 수용통체와, 상기 백형 탱크를 탱크 수용통체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탱크 수용통체를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백형 탱크와 탱크 수용통체 사이에 구획되는 압출 액체 수용실과, 상기 탱크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압출 액체 수용실에 압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행하는 압출 액체 통로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에 대하여 백형 탱크의 지지체의 전단부를 장착하고, 제2 도료 통로를 탱크 베이스의 제1 도료 통로와 연통시킨다. 또한, 백형 탱크를 수용하도록 탱크 수용통체의 개구부를 장착부에 장착한다. 이 때는, 백형 탱크의 지지체의 후단부를 탱크 수용통체의 커버부에 장착함으로써, 백형 탱크의 지지체를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와 탱크 수용통체의 커버부 사이에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백형 탱크의 백부재와 탱크 수용통체 사이에는, 압출 액체 수용실을 구획할 수 있고, 이 압출 액체 수용실은 압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행하는 압출 액체 통로와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장을 행하는 경우에는, 백형 탱크의 백부재 내의 도료 수용실에 소정량의 도료가 충전된 도장용 카트리지를 도료의 분무 수단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압출 액체 통로를 통하여 압출 액체 수용실에 압출 액체를 공급하고, 백부재를 주위로부터 가압함으로써, 도료 수용실 내의 도료는, 지지체의 제2 도료 통로, 탱크 베이스의 제1 도료 통로를 통하여 피드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도료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끝난 도장용 카트리지를 도료 충전 장치에 장착한다. 이로써, 백형 탱크를 장착한 상태로 피드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각 도료 통로를 경유하여 백부재 내의 도료 수용실에 도료를 충전할 수 있다.
다음에, 백형 탱크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탱크 수용통체를 분리함으로써, 백형 탱크를 분리해낼 수 있어 새로운 백형 탱크에 단시간에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 결과, 교환 대상이 되는 백형 탱크는, 지지체와 백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므로, 구성을 간략화하여 제조비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이니셜 코스트, 유지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백형 탱크는,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로부터 탱크 수용통체를 분리해내는 것만으로, 별도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고, 교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탱크 수용통체는, 백형 탱크를 수용하는 것이며, 피스톤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략 마무리 가공을 행하지 않고 사출 성형 가공인 채 사용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백형 탱크의 도료 수용실의 체적은, 상기 탱크 수용통체를 탱크 베이스에 장착했을 때, 이들에 따라서, 구획되는 상기 탱크 수용통체 내의 체적보다 큰 값으로 설정한 것에 있다.
이로써, 도료 수용실에 대량의 도료를 충전하도록 한 경우라도, 백부재에 부하가 작용하기 전에, 상기 백부재를 탱크 베이스와 탱크 수용통체의 내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백형 탱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백부재에는 큰 부하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백부재를 염가로 형성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탱크 수용통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것에 있다.
이로써, 백형 탱크의 점검 작업을, 투명 또는 반투명인 탱크 수용통체를 투과하여, 외부로부터 육안관찰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백형 탱크의 백부재가 손상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육안관찰에 의해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손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4).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백형 탱크의 백부재는 내측 백과 외측 백의 이중 구조로서 이들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백형 탱크의 지지체에는 상기 간극을 상기 탱크 수용통체의 커버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시키는 누출 액체 배출 통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로써, 내측 백이 파손된 경우에는, 내측 백으로부터 누출된 도료를 내측 백과 외측 백의 간극으로부터 지지체에 설치된 누출 액체 배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 배출된 도료에 의해 내측 백의 파손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백이 파손된 경우에는, 외측 백으로부터 누출된 압출 액체를, 상기 내측 백과 외측 백의 간극으로부터 누출 액체 배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 배출된 압출 액체에 의해 외측 백의 근소한 파손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탱크 수용통체의 커버부에는, 상기 누출 액체 배출 통로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 통로를 설치한 것에 있다.
이로써, 내측 백 또는 외측 백이 파손된 경우에는, 도료 또는 압출 액체는 누출 액체 배출 통로에 유출되고, 또한 커버부에 설치된 연통 통로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6).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압출 액체 통로는 상기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의 저면에 개구되고, 상기 저면에는 상기 압출 액체 통로와 연통되는 압출 액체 안내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압출 액체 통로가 백부재에 의해 덮힐 우려가 없고, 압출 액체 안내홈에 의해 압출 액체 통로와 압출 액체 수용실을 항상 연통시킬 수 있어, 충전 불량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7).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탱크 수용통체는, 앞쪽이 개구부로 되는 동시에 뒤쪽이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로 된 커버통과, 상기 커버통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백형 탱크의 백부재가 손상된 경우에는, 커버통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로부터 커버부를 분리함으로써, 이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를 통하여 백부재를 간단하게 꺼내거나, 삽입하거나 할 수 있다.
(8).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탱크 수용통체는, 앞쪽이 개구부로 되는 동시에 뒤쪽이 폐색된 1개의 커버통체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1개의 커버통체에 의해 형성된 탱크 수용통체를 사용하여, 탱크 베이스에 대한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9).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탱크 수용통체의 개구부의 외주측에는 리테이너 링을 설치하고, 상기 리테이너 링을 상기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에 나사장착함으로써, 상기 탱크 수용통체를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로써, 리테이너 링을 손으로 돌리는 것만으로, 별도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에 대하여 탱크 수용통체를 간단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10).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는, 분무 수단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된 통형의 탱크 수용통체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피드 튜브에 의해 형성된 탱크 베이스와, 상기 피드 튜브 내를 통하여 상기 탱크 베이스에 형성된 제1 도료 통로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체와 가요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외주에 배치된 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백부재의 양단이 지지체에 액밀하게 고착되어 상기 백부재의 내부에 도료 수용실이 형성된 백형 탱크와, 상기 백형 탱크의 지지체에 형성되고, 뒤쪽이 상기 도료 수용실에 개구되고, 앞쪽이 상기 백형 탱크를 상기 탱크 베이스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1 도료 통로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도료 통로와, 상기 탱크 베이스의 탱크 수용통체의 뒤쪽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백형 탱크의 지지체의 양단을 상기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 사이에서 협지하는 커버체와, 상기 백형 탱크를 탱크 수용통체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체를 탱크 수용통체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백형 탱크와 탱크 수용통체 사이에 구획되는 압출 액체 수용실과, 상기 탱크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압출 액체 수용실에 압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행하는 압출 액체 통로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탱크 수용통체 내에 수용하도록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에 대하여 백형 탱크의 지지체의 전단부를 장착하고, 제2 도료 통로를 탱크 베이스의 제1 도료 통로와 연통시킨다. 또한, 탱크 수용통체의 뒤쪽을 폐색하도록 커버체를 장착한다. 이 때는, 백형 탱크의 지지체의 후단부를 커버체에 장착함으로써, 백형 탱크의 지지체를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와 커버체 사이에 협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백형 탱크의 백부재와 탱크 수용통체 사이에는, 압출 액체 수용실을 구획할 수 있고, 이 압출 액체 수용실은 압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행하는 압출 액체 통로와 연통시킬 수 있다.
한편, 백형 탱크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탱크 베이스의 탱크 수용통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커버체를 분리함으로써, 백형 탱크를 분리해낼 수 있어 새로운 백형 탱크에 단시간에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를 구비한 도장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회전 무화두형 도장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를 유닛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도장용 카트리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탱크 베이스의 장착부의 저면을 도 3 중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본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백형 탱크를 유닛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백형 탱크의 앞쪽 부분과 제2 도료 통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백형 탱크의 뒤쪽 부분과 누출 액체 배출 통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백형 탱크를 유닛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백형 탱크를 유닛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탱크 수용통체를 구비한 도장용 카트리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를 도 7과 같은 위치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를 도 7과 같은 위치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를, 회전 무화두형 도장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1)은 도장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장용 로봇이다. 이 도장용 로봇(1)은, 장착 베이스(1A)와, 상기 장착 베이스(1A) 상에 회전 가능한 동시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 암(1B)과, 상기 수직 암(1B)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암(1C)과, 상기 수평 암(1C)의 선단에 설치된 손목(1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와)는 도장용 로봇(1)에 설치된 분무 수단을 이루는 회전 무화두형 도장 장 치(이하, 도장 장치(2)라고 함)이며, 상기 도장 장치(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하우징(3), 도장기(4), 카트리지(11)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3)은 도장용 로봇(1)의 손목(1D) 선단에 장착된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3)의 선단은 헤드부(3A)로 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3A)의 앞쪽에는 도장기 장착부(3B)가 요원통형(凹圓筒形)으로 형성되고, 뒤쪽에는 카트리지 장착부(3C)가 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3C)의 저부에는, 후술하는 도장용 카트리지(11)의 급속 조인트(34)가 접속되는 암형 접속부(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에는, 헤드부(3A)의 중심부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피드 튜브 삽통구멍(3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드 튜브 삽통구멍(3E)은, 후술하는 도장용 카트리지(11)의 피드 튜브(16)를 삽입통과시키는 것이며, 도장기 장착부(3B)를 후술하는 에어 모터(5)의 회전축(5B) 내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4)는 하우징(3)의 도장기 장착부(3B) 내에 장착된 도장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장기(4)는, 모터 케이스(5A), 회전축(5B), 에어 터빈(5C) 및 에어 베어링(5D)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모터(5)와, 상기 에어 모터(5)에 의해 회전되어, 공급된 도료를 원심 무화(霧化)하여 미립화하여 피도장물을 향해 분무하는 회전 무화두(6)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7)은 하우징(3)에 설치된 고전압 발생기이며, 상기 고전압 발생기(7)는, 예를 들면, 콕크로프트 회로에 의해 구성되며, 전원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30 ~ -150kV로 승압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전압 발생기(7)의 출력 측은 예를 들면, 에어 모터(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로써, 고전압 발생기(7)는, 에어 모터(5)의 회전축(5B)을 통하여 회전 무화두(6)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도료에 직접 대전시킨다.
(8)은 하우징(3)에 설치되고, 제어 에어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복수개의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에어 통로(8)는, 에어 모터(5)를 제어하기 위한 터빈 에어, 베어링 에어, 브레이크 에어, 도료의 분무 패턴을 성형하기 위한 쉐이핑 에어, 압출 액체 밸브(10), 도료 밸브(18)를 구동하는 파일럿 에어 등을 공급하는 것이다.
(9)는 하우징(3)에 설치된 하우징 측 압출 액체 통로이다. 이 압출 액체 통로(9)는, 일단이 압출 액체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타단이 하우징(3)의 카트리지 장착부(3C)에 형성된 암형 접속부(3D)의 저부에 개구되어 있다.
(10)은 하우징(3)의 헤드부(3A)에 설치된 압출 액체 밸브이다. 이 압출 액체 밸브(10)는, 상시(常時)는 압출 액체 통로(9)를 차단하고, 카트리지(11)의 압출 액체 수용실(31)에 대한 압출 액체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한편, 파일럿 에어가 공급되었을 때는, 밸브를 개방하여 압출 액체 수용실(31)에 대하여 압출 액체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11)은 하우징(3)의 카트리지 장착부(3C)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장용 카트리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장용 카트리지(1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 설치되고, 후술하는 도료 충전 장치(35)의 충전대(37)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카트리지(11)는, 복수 종류(복수 색)의 도료마다 각각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카트리지(1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탱크 베이스(12), 제1 도료 통로(17), 백형 탱크(19), 도료 수용실(22), 제2 도료 통로(23),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 탱크 수용통체(25), 압출 액체 수용실(31), 카트리지 측 압출 액체 통로(32)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장용 카트리지(11)의 베이스로 되는 탱크 베이스(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탱크 베이스(12)는, 뒤쪽에 위치하여 단척(短尺)의 원기둥형 내지 원판형으로 형성된 장착부(13)와, 상기 장착부(13)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장척(長尺)의 피드 튜브(16)와, 상기 장착부(13)와 피드 튜브(16)에 걸쳐 설치된 제1 도료 통로(17)와, 상기 제1 도료 통로(17)를 연통, 차단하는 도료 밸브(18)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13)은 탱크 베이스(12)의 후부를 구성하는 장착부이며, 상기 장착부(13)는, 하우징(3)의 카트리지 장착부(3C)에 장착되는 도장기(4)에의 장착부로 되는 것이다. 이 장착부(13)는, 원기둥형 내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후면 측에는 원통형의 나사통(13A)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통(13A)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나사통(13A)의 내측은 원기둥형의 공간으로 되고, 내측의 저면(13B)의 중심부에는,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의 전단부가 끼워맞추어지는 지지체 결합 구멍(13C)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 결합 구멍(13C)에는,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와의 사 이를 액밀하게 실링하는 환형의 실링 부재(14)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저면(13B)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커버통(26)의 개구부(26A)와 밀착되어 압출 액체 수용실(31)을 밀폐하기 위한 실링 부재(1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13)의 중앙부에는, 지지체 결합 구멍(13C)의 앞쪽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도료 밸브(18)를 수용하는 밸브체 수용 공간(1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13)의 앞면측에는, 후술하는 급속 조인트(34)를 장착하기 위한 조인트 장착 구멍(13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13)는, 도장용 카트리지(11)를 도장 장치(2)에 장착할 때, 하우징(3)의 카트리지 장착부(3C) 내에 결합 상태로 장착되고, 도장용 카트리지(11)를 도료 충전 장치(35)에 장착할 때, 충전대(37)의 카트리지 장착부(도시하지 않음) 내에 결합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다.
(16)는 장착부(13)의 앞면측으로부터 축방향의 앞쪽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된 피드 튜브이며, 상기 피드 튜브(16)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1 도료 통로(17)가 형성되고, 선단부 내측에는 밸브 시트(16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피드 튜브(16)는, 후술하는 도료 수용실(22)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제1 도료 통로(17)를 통하여 선단으로부터 회전 무화두(霧化頭)(6)를 향해 유출하는 것이다. 또한, 피드 튜브(16)는, 도료의 충전구로서 이용되고, 상기 피드 튜브(16)로부터 도료 수용실(22) 내에 도료를 충전할 수 있다.
(17)은 피드 튜브(16) 내를 통하여 탱크 베이스(12)에 형성된 제1 도료 통로이며, 이 도료 통로(17)는, 장착부(13)와 피드 튜브(16)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도료 통로(17)는, 후단이 장착부(13)의 지지체 결합 구멍(13C)의 저부에 개구되고, 후술하는 제2 도료 통로(23)를 통하여 도료 수용실(22)과 피드 튜브(16)의 선단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다. 이로써, 제1 도료 통로(17)는, 피드 튜브(16) 내를 통하여 도료를 유통시키는 것이다.
(18)은 장착부(13) 내에 설치된 도료 밸브이며, 상기 도료 밸브(18)는 상시 폐쇄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료 밸브(18)는, 장착부(13)의 밸브체 수용 공간(13D)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18A)과, 기단측이 상기 피스톤(18A)에 장착되고, 선단측이 피드 튜브(16)의 선단까지 축방향으로 뻗어 밸브 시트(16A)에 이착석(離着席)하는 장척의 밸브체(18B)와, 상기 피스톤(18A)을 상기 밸브체(18B)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밸브 스프링(18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료 밸브(18)는, 상시 밸브 스프링(18C)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체(18B)가 밸브 시트(16A)에 착석함으로써 피드 튜브(16) 내의 제1 도료 통로(17)를 차단하고 있다. 한편, 파일럿 에어가 공급되었을 때는, 밸브 스프링(18C)에 저항하여 피스톤(18A)을 변위시킴으로써, 밸브체(18B)를 개방시켜, 제1 도료 통로(17)를 연통시킬 수 있다.
다음에, 탱크 베이스(1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형 탱크(19)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백형 탱크(19)는, 도 4,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에 위치하는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의 외주에 배치된 백부재(21)와, 상기 백부재(21) 내에 구획된 도료 수용실(22)과, 상기 지지체(20)의 앞쪽에 설치된 제2 도료 통로(23) 와, 상기 지지체(20)의 뒤쪽에 설치된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백형 탱크(19)는, 지지체(20)의 외주에 백부재(21)를 장착한 것뿐인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교환할 때는 후술하는 커버통(26)의 좁은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로부터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20)은 백형 탱크(19)를 지지하는 지지체이다. 이 지지체(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가늘고 긴 원기둥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20)는, 전단부(20A)가 탱크 베이스(12)를 구성하는 장착부(13)의 지지체 결합 구멍(13C)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후단부(20B)가 후술하는 탱크 수용통체(25)를 구성하는 커버부(27)의 지지체 결합 구멍(27B)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체(20)의 앞쪽 외주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백부재(21)의 앞쪽 고정링(21C)이 결합 상태로 고착되는 결합홈(20C)이 형성되고, 뒤쪽 외주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부재(21)의 뒤쪽 고정링(21D)이 결합 상태로 고착되는 결합홈(20D)이 형성되어 있다.
(21)은 지지체(20)의 외주에 배치된 백부재이다. 이 백부재(21)는, 내측 백(21A)과, 상기 내측 백(21A)을 덮는 외측 백(21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측 백(21A), 외측 백(21B)은, 도료, 압출 액체에 견딜 수 있는 내약품성, 반복되는 굴곡에도 손상되지 않는 가요성을 가지는 필름형의 수지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나일론,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백부재(21)는 투명한 수지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백부재(21)에는, 앞쪽 위 치에 앞쪽 고정링(21C)이 접착, 용착 등의 고착 수단을 가지고 액밀하게 고착되고, 또 뒤쪽 위치에도 뒤쪽 고정링(21D)이 마찬가지로 액밀하게 고착되어 있다.
또한, 내측 백(21A)과 외측 백(21B)은,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각 고정링(21C, 21D)에 고착되어 있다. 이로써, 내측 백(21A)과 외측 백(21B) 사이에는, 간극(2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21E)은, 내측 백(21A) 또는 외측 백(21B)이 파손되었을 때, 누출된 도료 또는 압출 액체가 유통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뒤쪽 고정링(21D)에는, 상기 간극(21E)에 누출된 도료 또는 압출 액체를 후술하는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에 유통시키는 연통공(21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간극(21E)은, 상시 내측의 도료와 외측의 압출 액체에 끼워져 폐색되어 있다. 한편, 내측 백(21A) 또는 외측 백(21B)의 일부가 파손되었을 때는, 간극(21E)은 누출된 도료 또는 압출 액체를 유통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그리고, 백부재(21)는, 지지체(20)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하고, 앞쪽 고정링(21C)을 지지체(20)의 결합홈(20C)에 액밀하게 고착시키고, 뒤쪽 고정링(21D)을 지지체(20)의 결합 구멍(20D)에 액밀하게 고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내측 백(21A) 내에는 후술하는 도료 수용실(22)이 구획되고, 간극(21E)은 연통공(21F)을 통하여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에 연통되어 있다.
(22)는 백부재(21) 중 백(21A) 내에 구획된 도료 수용실이다. 이 도료 수용실(22)은, 회전 무화두(6)를 향해 공급하는 도료를 수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료 수용실(22)의 체적(내측 백(21A)의 내용적(內容積))은, 후술하는 탱크 수용통체(25)를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장착했을 때, 이 장착부(13) 사이에서 구획되는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내의 체적, 즉 후술하는 압출 액체 수용실(31)의 체적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로써, 잘못하여 도료 수용실(22)에 대량의 도료가 충전되도록 한 사태가 생겨도, 백부재(21)에 부하가 작용하기 전에, 상기 백부재(21)를 장착부(13)의 저면(13B), 탱크 수용통체(25)의 내면에 접촉시킬 수 있어 백부재(21)의 손상을 미리 막을 수가 있다.
(23)은 지지체(20)의 앞쪽에 형성된 제2 도료 통로이다. 이 제2 도료 통로(23)의 뒤쪽은, 도료 수용실(22)에 개구되고, 앞쪽은, 지지체(20)의 앞끝면에 개구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도료 통로(23)는, 지지체(20)의 전단부(20A)가 장착부(13)의 지지체 결합 구멍(13C)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료 수용실(22)과 탱크 베이스(12) 측의 제1 도료 통로(17)를 연통시킬 수 있다.
(24)는 지지체(20)의 뒤쪽에 설치된 누출 액체 배출 통로이다. 이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는, 일단이 연통공(21F)을 통하여 백부재(21)의 간극(21E)에 연통되고, 타단이 후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는, 지지체(20)의 후단부(20B)가 후술하는 커버부(27)의 지지체 결합 구멍(27B)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이 커버부(27)의 연통 통로(27C)를 통하여 간극(21E)을 외부(대기)에 연통시킬 수 있다.
이로써,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는, 백부재(21) 중 백(21A)이 파손되고, 도료 수용실(22)의 도료가 내측 백(21A)의 파손 부분으로부터 간극(21E)으로 누출되었을 때는, 이 도료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내측 백(21A)의 파손을 통지하는 것이 다. 또한, 마찬가지로 외측 백(21B)이 파손된 경우에는, 간극(21E)에 누출된 압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외측 백(21B)의 파손을 통지할 수 있다.
다음에,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탱크 수용통체(2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탱크 수용통체(25)는, 백형 탱크(19)를 수용하기 위해 뒤쪽이 폐색된 커버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탱크 수용통체(25)는, 후술하는 커버통(26), 커버부(27), 리테이너 링(29)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26)은 탱크 수용통체(25)의 본체부분을 구성하는 커버통이며, 상기 커버통(26)은, 백형 탱크(19)의 주위에 소정의 체적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커버통(26)은, 백형 탱크(19) 상태를 외부로부터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염화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에 의해, 사출 성형 가공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통(26)은, 앞쪽에 위치하여 직경이 확대된 두꺼운 개구부(26A)와, 뒤쪽을 폐색하도록 축경(縮徑)한 축경부(26B)와, 상기 축경부(26B)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고 외주측에 수나사가 설치된 나사통(26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통(26C)의 내주측은, 소경인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로 되고, 상기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에는, 후술하는 커버부(27)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27)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백형 탱크(19)를 장착 및 분리할 때의 개구를 이루고 있다.
(27)은 커버통(26)의 후부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부이며, 상 기 커버부(27)는, 커버통(26)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에 결합되는 계단식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27)의 뒤쪽 부분은, 도장용 카트리지(11)를 반송할 때 끼워맞추어지는 협지부(27A)로 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27)의 중심 위치에는,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에 위치하여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의 후단부(20B)가 끼워맞추어지는 지지체 결합 구멍(27B)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부(27)에는, 지지체(20)의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 통로(27C)가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 결합 구멍(27B)에는,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와의 사이를 액밀하게 실링하는 전술한 실링 부재(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27)의 외주측에는, 커버통(26)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 사이를 액밀하게 실링하는 실링 부재(28)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부(27)는, 커버통(26)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에 결합된 상태로, 리테이너 링(29)을 사용하여 나사통(26C)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체결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탱크 수용통체(25)는, 커버통(26)의 개구부(26A)를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의 나사통(13A) 내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리테이너 링(30)에 의해 장착한다. 이 때,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의 후단부(20B)를 커버부(27)의 지지체 결합 구멍(27B)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장착부(13) 사이에서 백형 탱크(19)를 협지할 수 있다.
(30)은 탱크 수용통체(25)를 탱크 베이스(1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리테이너 링이다. 이 리테이너 링(30)에는, 그 내주측에 암나사가 각설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 링(30)은, 커버통(26)의 개구부(26A)의 외주측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로, 장착부(13)의 나사통(13A)의 수나사에 나사장착되고, 탱크 수용통체(25)를 탱크 베이스(12)에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에, 커버통(26)과 탱크 베이스(12) 사이에 설치된 압출 액체 수용실(3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압출 액체 수용실(3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형 탱크(19)를 탱크 수용통체(25)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탱크 수용통체(25)를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백형 탱크(19)의 백부재(21)의 외측 백(21B)과 탱크 수용통체(25)의 커버통(26) 내면과 장착부(13)의 저면(13B) 사이에 구획된다. 그리고, 압출 액체 수용실(31)은, 백부재(21)를 통하여 도료 수용실(22)에 충전된 도료를 가압하기 위한 압출 액체가 공급되거나, 또는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탱크 베이스(12)에 설치된 카트리지 측 압출 액체 통로 측(32), 압출 액체 안내홈(33), 급속 조인트(34)에 대하여 설명한다.
(32)는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설치된 카트리지 측 압출 액체 통로이다. 이 압출 액체 통로(32)는, 압출 액체 수용실(31)을 하우징 측 압출 액체 통로(9) 또는 충전대 측 압출 액체 통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기 위하여, 일단이 장착부(13)의 저면(13B)에 개구되고, 타단이 조인트 장착 구멍(13E)에 개구되어 있다.
(33)은 장착부(13)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출 액체 안내홈을 나타내고 있다. 이 압출 액체 안내홈(33)은, 압출 액체 통로(32)와 연통되는 위치에 원환형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압출 액체 안내홈(33)은, 도료를 도료 수용실(22)에 충전하고, 이에 따라 압출 액체 수용실(31)로부터 압출 액체 통로(32)를 통하여 압출 액체가 배출될 때, 이 압출 액체 통로(32)가 백부재(21)에 의해 덮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료의 충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출 액체 안내홈(33)은, 압출 액체 통로(3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전술한 원환형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반원호형, 직선형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34)는 장착부(13)의 조인트 장착 구멍(13E)에 설치된 체크 밸브가 부착된 급속 조인트이다. 이 급속 조인트(34)는, 밸브 케이스(34A)와 상기 밸브 케이스(34A)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체(34B)와, 상기 밸브체(34B)가 이착석하는 밸브 시트(34C)와, 상기 밸브체(34B)를 밸브 시트(34C)를 향해 가압하는 밸브 스프링(34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급속 조인트(34)는,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장 장치(2)의 하우징(3) 또는 도료 충전 장치(35)의 충전대(37)에 장착했을 때, 밸브체(34B)가 압력 이동되어 밸브가 개방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 충전대(37)로부터 떼어냈을 때는, 밸브 스프링(34D)에 의해 밸브체(34B)를 폐쇄하여 카트리지 측 압출 액체 통로(32)로부터 압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35)는 도장용 카트리지(11)에 a색, b색, … n색의 도료를 각각 충전하는 도료 충전 장치이다. 이 도료 충전 장치(35)는, 도장용 로봇(1)의 작동 범위에 배치되고, 가대(架臺)(36)에 각 색마다의 충전대(37)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그리고, 각 충전대(37)에는, 각각에 대응하는 도장용 카트리지(11)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실시예에 의한 도장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음에, 도장용 카트리지(11)를 사용한 도장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장 장치(2)에 도료 수용실(22)에 도료가 충전된 도장용 카트리지(11)를 장착하고, 도장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카트리지(11)를 하우징(3)의 카트리지 장착부(3C)에 장착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압출 액체 밸브(10), 도료 밸브(18)를 개방한다. 그리고, 압출 액체 통로(9, 32)를 통하여 압출 액체 수용실(31)에 압출 액체를 공급하고, 백부재(21)를 가압하여 도료 수용실(22)을 축소시킨다. 이로써, 도료 수용실(22) 내의 도료는, 도료 통로(23, 17)을 통하여 피드 튜브(16)의 선단으로부터 회전 무화두(6)를 향해 토출된다.
이 때는, 고전압 발생기(7)에 의해 도료를 고전압에 대전시킨다. 이로써, 피드 튜브(16)로부터 토출된 도료는, 회전 무화두(6)에 의해 무화되면서, 피도장물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력선을 따라 비행하여, 상기 피도장물에 도장된다.
한편, 도장 작업을 행함으로써 비어 있었던 도장용 카트리지(11)에 도료를 충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사용이 끝난 도장용 카트리지(11)를, 하우징(3)의 카트리지 장착부(3C)로부터 떼어내어, 도료 충전 장치(35)의 충전대(37)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도료 밸브(18) 등이 개방되는 것에 의해, 도료 공급원으로부터의 도료를 피드 튜브(16)의 선단에 유입시키고, 각 도료 통로(17, 23)를 통하여 도료 수용실(22) 내에 도료를 충전한다.
다음에, 도장용 카트리지(11)의 백형 탱크(19)는, 그 백부재(21)가 도료의 충전, 토출의 반복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백부재(21)가 손상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백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여 도료 수용실(22)을 구획하고 있는 내측 백(21A)이 손상된 경우에는, 도료 수용실(22)의 도료가 내측 백(21A)의 손상 부분으로부터 간극(21E)으로 누출된다. 그리고, 이 누출된 도료는, 이 간극(21E)을 흘러 지지체(20)의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에 유출되고, 커버부(27)의 연통 통로(27C)로부터 외부로 누출된다. 따라서, 커버부(27)의 연통 통로(27C)로부터 도료가 유출되었을 때는, 백부재(21) 중 백(21A)이 파손된 것을 알 수 있어, 손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백부재(21)의 외측 백(21B)이 손상된 경우에는, 압출 액체 수용실(31)의 압출 액체가 외측 백(21B)의 손상 부분으로부터 간극(21E),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 연통 통로(27C)로부터 외부에 누출되므로, 이 압출 액체를 육안관찰함으로써, 백부재(21)의 외측 백(21B)이 파손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백부재(21)가 손상된 경우에는, 백형 탱크(19)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백형 탱크(19)의 교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리테이너 링(29)을 느슨하게 하여 벗겨내고, 커버통(26)의 나사통(26C)으로부터 커버부(27)를 빼어낸다. 이로써, 나사통(26C) 내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에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의 후단부(20B)가 노출되므로, 이 지지체(20)의 후단부(20B)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커버통(26)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로부터 손상된 백형 탱크(19)만을 간단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손상된 백형 탱크(19)를 떼어냈으면, 새로운 백형 탱크(19)를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로부터 커버통(26) 내에 삽입하고, 지지체(20)의 전단부(20A)를 탱크 베이스(12)를 구성하는 장착부(13)의 지지체 결합 구멍(13C)에 삽입한다. 다음에, 커버부(27)를 커버통(26)의 나사통(26C)에 장착하고, 지지체(20)의 후단부(20B)를 지지체 결합 구멍(27B)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리테이너 링(29)을 나사통(26C)에 나사장착함으로써, 새로운 백형 탱크(19)로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11)는, 백형 탱크(19)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가늘고 긴 원기둥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의 외주에 위치하고 양단 측이 상기 지지체(20)에 액밀하게 고착된 백부재(21)와, 상기 백부재(21) 내에 구획된 도료 수용실(22)과, 지지체(20)의 앞쪽에 위치하여 도료 수용실(22)을 제1 도료 통로(17)에 연통시키는 제2 도료 통로(23)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교환이 필요한 소모품인 백형 탱크(19)를, 봉형의 지지체(20)와 백부재(21)로 형성할 수 있어, 구성의 간략화와 부품수의 삭감에 의해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결과, 도장용 카트리지(11)의 제조에 관한 이니셜 코스트, 백형 탱크(19)를 정기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유지비 등을 삭감할 수 있고, 고객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장용 카트리지(11)는,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를,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와 탱크 수용통체(25)의 커버부(27) 사이에서 협지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탱크 수용통체(25)로부터 커버부(27)를 분리해내는 것만으로, 별도의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백형 탱크(19)를 단시간에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교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탱크 베이스(12)로부터 탱크 수용통체(25)를 떼어내도 백형 탱크(19)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도장용 카트리지(11)는, 백형 탱크(19)의 백부재(21) 내를 도료 수용실(22)로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1999-262699호 공보와 같이, 피스톤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예를 들면,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 탱크 수용통체(25)의 커버통(26) 등은, 대략 마무리 가공을 행하지 않고 사출 성형 가공인 채 사용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백형 탱크(19)의 백부재(21) 내의 도료 수용실(22)(내측 백(21A))은, 그 체적을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와 탱크 수용통체(25)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내의 체적, 즉 압출 액체 수용실(31)의 최대 체적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도료 수용실(22)에 대량의 도료를 충전하도록 한 경우라도, 백부재(21)는, 팽창하거나 하기 전에,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와 탱크 수용통체(25)의 내면에 맞닿으므로, 거의 부하를 받지 않아,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백부재(21)를 형성하는 내측 백(21A), 외측 백(21B)에는 거의 부하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백부재(21)를 염가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탱크 수용통체(25)의 커버통(26)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백형 탱크(19)의 점검 작업을 외부로부터 육안관찰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백형 탱크(19)의 백부재(21)가 손상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육안관찰에 의해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 손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백형 탱크(19)의 백부재(21)는, 내측 백(21A)과 외측 백(21B)의 이중 구조로 하고, 이들 내측 백(21A)과 외측 백(21B) 사이에 간극(21E)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지지체(20)에는, 간극(21E)을 커버부(27)의 연통 통로(27C)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시키는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백부재(21) 중 백(21A)이 파손된 경우에는, 상기 내측 백(21A)으로부터 누출된 도료를 내측 백(21A)과 외측 백(21B)의 간극(21E),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 연통 통로(27C)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 배출된 도료에 의해 내측 백(21A)의 파손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한편, 백부재(21)의 외측 백(21B)이 파손된 경우에는, 외측 백(21B)으로부터 누출된 압출 액체를 간극(21E),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 연통 통로(27C)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 배출된 압출 액체에 의해 외측 백(21B)의 근소한 파손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이로써, 백부재(21)의 손상에 의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의 저면(13B)에는, 카트리지 측 압출 액체 통로(32)와 연통되어 원환형으로 연장된 압출 액체 안내홈(33)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도료를 도료 수용실(22)에 충전하고, 이에 따라 압출 액 체 수용실(31)로부터 압출 액체 통로로 배출될 때, 압출 액체 통로(32)는, 백부재(21)에 의해 덮혀 폐색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압출 액체 안내홈(33)을 형성한 것에 의해, 백부재(21)에 방해받지 않고, 압출 액체 통로(32)와 압출 액체 수용실(31)을 항상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충전 불량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탱크 수용통체(25)의 개구부(26A)의 외주측에 리테이너 링(30)을 설치하고, 이 리테이너 링(30)을,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설치한 나사통(13A)에 나사장착함으로써, 탱크 수용통체(25)를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장용 카트리지(11)의 점검 작업, 수리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리테이너 링(30)을 손으로 돌리는 것만으로, 별도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탱크 수용통체(25)를 장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백형 탱크(19)는, 도장용 카트리지(11)에 장착한 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도료의 충전 작업만으로 도장 준비 작업을 끝낼 수가 있어, 도장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백형 탱크(19)는, 도장용 카트리지(11) 내에 수용하고 있으므로, 손상되어 내부의 도료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어도, 하우징(3) 등에 도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백형 탱크의 지지체를,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9에 있어서, (4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백형 탱크, (42)는 상기 백형 탱크(41)를 구성하는 지지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지지체(42)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지지체(42)는, 앞쪽 로드(43)와 상기 앞쪽 로드(43)와 간격을 가지고 동축으로 배치된 뒤쪽 로드(44)와, 상기 각 로드(43, 44) 사이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45)과, 상기 압축 스프링(45)을 덮도록 각 로드(43, 4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외측에서 끼운 커버 부재(4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쪽 로드(43)의 전단부(43A)에는, 백부재(21)의 앞쪽 고정링(21C)이 액밀하게 고착되는 동시에, 제2 도료 통로(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뒤쪽 로드(44)의 후단부(44A)에는, 백부재(21)의 뒤쪽 고정링(21D)이 액밀하게 고착되는 동시에, 누출 액체 배출 통로(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백부재(21)의 내부는, 지지체(42) 사이에서 도료 수용실(49)을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백형 탱크(41)는, 지지체(42)의 앞쪽 로드(43)를 탱크 베이스(12)를 구성하는 장착부(13)의 지지체 결합 구멍(13C)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고, 뒤쪽 로드(44)를 탱크 수용통체(25)를 구성하는 커버부(27)의 지지체 결합 구멍(27B)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삽입한다. 이로써, 백형 탱크(41)를, 탱크 베이스(12)와 탱크 수용통체(25) 사이에 협지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지지체(42)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각 로드(43, 44)를 압축 스프링(45)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앞쪽 로드(43)의 전단부(43A)를 장착부(13)의 지지체 결합 구멍(13C)에 가압하고, 뒤쪽 로드(44)의 후단부(44A)를 커버부(27) 의 지지체 결합 구멍(27B)에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지지체(42)는, 탱크 베이스(12), 탱크 수용통체(25) 등의 가공 오차를 흡수하고, 이들에 대하여 밀착시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백형 탱크(41)의 지지체(42)를,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앞쪽 로드(43), 뒤쪽 로드(44), 압축 스프링(45), 커버 부재(46) 등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와 탱크 수용통체(25)의 커버부(27)와의 간격 치수 등에 다소의 오차가 생긴 경우라도, 신축하는 지지체(42)를 가압함으로써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 결과, 백형 탱크(41)를 탱크 베이스(12)와 탱크 수용통체(25) 사이에 요동(搖動)을 억제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협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백형 탱크의 지지체를,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서 복수개의 가는 축으로 분기시킨 것에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에 있어서, (51)은 제3 실시예에 의한 백형 탱크, (52)는 상기 백형 탱크(51)를 구성하는 지지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지지체(52)는, 전단부(52A)와 후단부(52B)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만곡된 복수개의 가는 축(52C)(예를 들면, 4개로 분기된 것 중 3개만 도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52)의 전단부(52A)에는, 백부재(21)의 앞쪽 고정링(21C)이 액 밀하게 고착되는 동시에, 제2 도료 통로(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52)의 후단부(52B)에는, 백부재(21)의 뒤쪽 고정링(21D)이 액밀하게 고착되는 동시에, 누출 액체 배출 통로(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백부재(21)의 내부는, 지지체(52) 사이에서 도료 수용실(55)을 구획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체(52)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복수개의 가는 축(52C)으로 분기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탱크 수용통체를 1개의 부품으로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 있어서, (61)은 제4 실시예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 (62)는 상기 도장용 카트리지(61)의 탱크 수용통체이다. 이 탱크 수용통체(62)는, 앞쪽이 개구되고 뒤쪽이 폐색된 1개의 커버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탱크 수용통체(62)의 앞쪽은, 확경(擴徑)되어 두꺼운 개구부(62A)로 되고, 뒤쪽은 일체 성형된 커버부(62B)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62B)의 뒤쪽은 협지부(62C)로 되어 있다. 한편, 커버부(62B)의 중심 위치에는, 지지체 결합 구멍(62D)과 연통 통로(62E)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 수용통체(62)는, 개구부(62A)를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 의 나사통(13A) 내에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리테이너 링(30)을 나사통(13A)에 나사장착함으로써, 탱크 수용통체(62)를 탱크 베이스(12)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4 실시예에 의하면, 탱크 수용통체(62)를 1개의 부품으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탱크 베이스(12)에 대한 탱크 수용통체(62)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탱크 베이스를, 장착부, 탱크 수용통체 및 피드 튜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탱크 수용통체의 뒤쪽에 커버체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5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2에 있어서, (71)은 제5 실시예에 의한 도장용 카트리지, (72)는 상기 도장용 카트리지(71)의 탱크 베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탱크 베이스(72)는, 원기둥형 내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도장 장치(2)의 하우징(3)에 장착되는 장착부(73)와, 상기 장착부(73)의 후면으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장된 통형의 탱크 수용통체(74)와, 상기 장착부(7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피드 튜브(75)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73)의 저면(73A)의 중심부에는,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의 전단부(20A)가 끼워맞추는 지지체 결합 구멍(73B)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수용통체(74)의 뒤쪽은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74A)로 되고, 그 외주에 수나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탱크 베이스(72)는, 그 전체 또는 탱크 수용통체(74)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백형 탱크(19)의 점검 작업을 외부로부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76)은 탱크 베이스(72)의 탱크 수용통체(74)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74A)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체이다. 이 커버체(76)는, 탱크 수용통체(74)의 뒤쪽 개구를 폐색하도록 나사 장착된 커버판부(76A)와, 상기 커버판부(76A)의 중앙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협지부(76B)와, 커버판부(76A)의 중심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체 결합 구멍(76C)과, 상기 지지체 결합 구멍(76C)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 통로(76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체(76)는, 탱크 수용통체(74)의 뒤쪽에 나사장착함으로써,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의 양단을 탱크 베이스(72)의 장착부(73) 사이에서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76)는, 탱크 수용통체(74)의 뒤쪽을 폐색함으로써, 백형 탱크(19)와 탱크 수용통체(74) 사이에 압출 액체 수용실(77)을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탱크 베이스(72)의 장착부(73), 탱크 수용통체(74) 및 커버체(76)에 의해 구획된 압출 액체 수용실(77)의 체적은, 백형 탱크(19)의 백부재(21)의 체적 쪽이 커지도록, 상기 백부재(21)의 체적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백부재(21)의 부하를 경감시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76)에는, 연통 통로(76D)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백부재(21)의 간극(21E)으로부터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에 유출된 도료 또는 압출 액체를, 상기 연통 통로(76D)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백부재(21)의 파손을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5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5 실시예에 의하면, 탱크 수용통체(74)를 탱크 베이스(72)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지지체(20)의 앞쪽과 뒤쪽에 결합홈(20C, 20D)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결합홈(20C, 20D)에 백부재(21)의 고정링(21C, 21D)이 끼워맞추어져 액밀하게 고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제1 변형예와 같이, 지지체(81)의 앞쪽의 단차가 없는 외주면으로서 형성하고, 이 지지체(81)의 앞쪽 외주면에 백부재(21)의 고정링(21C)을 액밀하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은, 지지체(81)의 뒤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제2 변형예와 같이, 지지체(91)의 앞쪽에 백부재(92)의 내측 백(92A), 외측 백(92B)의 앞쪽 부분을 직접적으로 끼워넣도록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은, 지지체(91)와 백부재(92)의 뒤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백형 탱크(19)의 백부재(21)를, 내측 백(21A)과 외측 백(21B)으로부터 이중 구조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백부재를 1개의 수지 필름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이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대하여, 탱크 수용통체(25)의 커버통(26)을 리테이너 링(30)을 사용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장착부의 나사통에 커버통의 개구부를 직접적으로 나사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에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를 설치하고, 상기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는 탱크 수용통체(25)의 커버부(27)에 형성한 연통 통로(27C)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커버부를 축방향으로 짧게 하거나, 지지체를 뒤쪽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누출 액체 배출 통로를 외부에 직접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분무 수단(2)에 장착되는 장착부(13)와, 상기 장착부(1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피드 튜브(16)에 의해 형성된 탱크 베이스(12)와,
    상기 피드 튜브(16) 내를 통하여 상기 탱크 베이스(12)에 형성된 제1 도료 통로(17)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체(20, 42, 52)와 가요성(可撓性)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20, 42, 52)의 외주에 배치된 백부재(bag member)(21)를 구비하고, 상기 백부재(21)의 양단이 지지체(20, 42, 52)에 액밀(液密)하게 고착되어 상기 백부재(21)의 내부에 도료 수용실(22)이 형성된 백형(baglike) 탱크(19, 41, 51)와,
    상기 백형 탱크(19, 41, 51)의 지지체(20, 42, 52)에 형성되고, 뒤쪽이 상기 도료 수용실(22)에 개구되고, 앞쪽이 상기 백형 탱크(19, 41, 51)를 상기 탱크 베이스(12)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1 도료 통로(17)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도료 통로(23, 47, 53)와,
    앞쪽이 개구부(26A, 62A)로 되는 동시에, 뒤쪽에 커버부(27, 62B)를 가지는 커버통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백형 탱크(19, 41, 51)의 지지체(20, 42, 52)의 양단을 상기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와 커버부(27, 62B) 사이에서 협지한 상태로, 상기 개구부(26A, 62A)가 상기 장착부(13)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탱크 수용통체(25, 62)와,
    상기 백형 탱크(19, 41, 51)를 탱크 수용통체(25, 62)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62)를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백형 탱크(19, 41, 51)와 탱크 수용통체(25, 62) 사이에 구획되는 압출 액체 수용실(31)과,
    상기 탱크 베이스(12)에 설치되고, 상기 압출 액체 수용실(3l)에 압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행하는 압출 액체 통로(32)
    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형 탱크(19, 41, 51)의 도료 수용실(22)의 내용적(內容積)은,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62)와 탱크 베이스(12)에 의해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62) 내에 구획되는 상기 압출 액체 수용실(31)의 최대 체적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6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형 탱크(19, 41, 51)의 백부재(21)는 내측 백(21A)과 외측 백(21B)의 이중 구조로서 이들 사이에 간극(21E)을 형성하고, 상기 백형 탱크(19, 41, 51)의 지지체(20, 42, 52)에는 상기 간극(21E)을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62)의 커버부(27, 62B)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시키는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 48)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62)의 커버부(27, 62B)에는, 상기 누출 액체 배출 통로(24, 48)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 통로(27C, 62E)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액체 통로(32)는 상기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의 저면(13B)에 개구되고, 상기 저면(13B)에는 상기 압출 액체 통로(32)와 연통되는 압출 액체 안내홈(33)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수용통체(25)는, 앞쪽이 개구부(26A)로 되는 동시에 뒤쪽이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로 된 커버통(26)과, 상기 커버통(26)의 커버부 장착 및 분리용 개구부(26D)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부(27)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수용통체(62)는 앞쪽이 개구부(62A)로 되는 동시에 뒤쪽이 폐색된 1개의 커버통체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62)의 개구부(26A, 62A)의 외주측에는 리테이너 링(30)을 설치하고, 상기 리테이너 링(30)을 상기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나사장착함으로써, 상기 탱크 수용통체(25, 62)를 탱크 베이스(12)의 장착부(13)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10. 분무 수단(2)에 장착되는 장착부(73)와 상기 장착부(73)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된 통형의 탱크 수용통체(74)와 상기 장착부(7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피드 튜브(75)에 의해 형성된 탱크 베이스(72)와,
    상기 피드 튜브(75) 내를 통하여 상기 탱크 베이스(72)에 형성된 제1 도료 통로(17)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체(20)와 가요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20)의 외주에 배치된 백부재(21)를 구비하고, 상기 백부재(21)의 양단이 지지체(20)에 액밀하게 고착되어 상기 백부재(21)의 내부에 도료 수용실(22)이 형성된 백형 탱크(19)와,
    상기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에 형성되고, 뒤쪽이 상기 도료 수용실(22)에 개구되고, 앞쪽이 상기 백형 탱크(19)를 상기 탱크 베이스(72)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1 도료 통로(17)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도료 통로(23)와,
    상기 탱크 베이스(72)의 탱크 수용통체(74)의 뒤쪽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백형 탱크(19)의 지지체(20)의 양단을 상기 탱크 베이스(72)의 장착부(73) 사이에서 협지하는 커버체(76)와,
    상기 백형 탱크(19)를 탱크 수용통체(74)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체(76)를 탱크 수용통체(74)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백형 탱크(19)와 탱크 수용통체(74) 사이에 구획되는 압출 액체 수용실(77)과,
    상기 탱크 베이스(72)에 설치되고, 상기 압출 액체 수용실(77)에 압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행하는 압출 액체 통로(32)
    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도장용 카트리지.
KR1020087028372A 2006-12-04 2007-10-05 도장용 카트리지 KR101044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7060 2006-12-04
JPJP-P-2006-327060 2006-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616A KR20090027616A (ko) 2009-03-17
KR101044032B1 true KR101044032B1 (ko) 2011-06-23

Family

ID=3949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372A KR101044032B1 (ko) 2006-12-04 2007-10-05 도장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31171B2 (ko)
EP (1) EP2098301B1 (ko)
JP (1) JP5074420B2 (ko)
KR (1) KR101044032B1 (ko)
CN (1) CN101547742B (ko)
CA (1) CA2650315A1 (ko)
WO (1) WO2008068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8451B2 (ja) * 2008-04-10 2012-04-04 Abb株式会社 塗装用カートリッジ
JP5420642B2 (ja) * 2008-05-06 2014-02-19 グラコ ミネソタ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洗浄液カートリッジ
JP4798185B2 (ja) * 2008-08-05 2011-10-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積層造形装置
JP4850944B2 (ja) * 2009-10-21 2012-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供給方法
JP4812871B2 (ja) 2009-10-21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充填装置
WO2011070874A1 (ja) * 2009-12-08 2011-06-16 Abb株式会社 塗装用カートリッジ
US9086186B2 (en) 2011-10-14 2015-07-21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System having removable lubricant reservoir and lubricant refilling station
EP3057882B1 (en) 2013-10-16 2019-10-09 X-Pert Paint Mixing Systems, Inc. Canister
US20180016756A1 (en) * 2016-07-14 2018-01-18 James E. Beckma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potholes with liquid pothole filler
JP7187275B2 (ja) * 2018-11-13 2022-12-12 タクボ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装用スプレーガン装置
US20200189313A1 (en) * 2018-12-12 2020-06-18 Wilfred Cormier All in the bag art
US10857558B2 (en) * 2019-04-12 2020-12-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ating material storage bag orientation clip and coating material cartridge incorporating the same
CN114853351B (zh) * 2022-05-11 2023-10-13 临沂大学 一种平板玻璃隔热涂膜的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699A (ja) 1998-01-13 1999-09-28 Abb Kk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2005230718A (ja) 2004-02-20 2005-09-02 Toyota Motor Corp カートリッジ式塗装装置およびその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0920A (en) * 1964-12-03 1966-09-06 Charles G Nessler Apparatus for pressure dispensing liquids
US4889189A (en) * 1983-10-28 1989-12-26 Rozniecki Edward J Fire suppressant mechanism and method for sizing same
US4809884A (en) * 1987-10-13 1989-03-07 Stackhouse Wells F Wine steward
US5529214A (en) * 1994-08-12 1996-06-25 Secure Medical Products, Inc. Infusion pump
JP3013734B2 (ja) * 1995-03-01 2000-0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および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の塗装ガン本体へ塗料タンクユニットを装着する方法、並びに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の塗料タンクユニット
JP3632785B2 (ja) 1995-06-20 2005-03-2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結球野菜収穫機
DE69827476T2 (de) * 1998-01-13 2005-10-27 Abb K.K. Beschichtungsvorrichtung mit einem drehenden sprühkopf
JP3648134B2 (ja) * 1999-07-13 2005-05-18 Abb株式会社 自動塗装装置
JP4316968B2 (ja) * 2003-09-12 2009-08-19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布機及びカートリッジ交換装置
JP4462880B2 (ja) * 2003-09-12 2010-05-12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布機
JP4462987B2 (ja) * 2004-04-08 2010-05-12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布機
CN100408200C (zh) * 2003-09-12 2008-08-06 托利尼迪工业株式会社 涂敷机
JP4578981B2 (ja) 2005-01-06 2010-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タンクおよび塗装機
JP2008536666A (ja) * 2005-04-13 2008-09-11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静電アプリケータ用キャニスター
JP2006341199A (ja) * 2005-06-09 2006-12-21 Trinity Ind Corp 塗布機
JP4799918B2 (ja) * 2005-06-17 2011-10-26 ハジメ産業株式会社 塗料タンク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08023456A (ja) * 2006-07-21 2008-02-07 Trinity Ind Corp 塗装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塗装用作動液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699A (ja) 1998-01-13 1999-09-28 Abb Kk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2005230718A (ja) 2004-02-20 2005-09-02 Toyota Motor Corp カートリッジ式塗装装置およびその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7742B (zh) 2011-10-12
JP5074420B2 (ja) 2012-11-14
EP2098301A1 (en) 2009-09-09
JPWO2008068957A1 (ja) 2010-03-18
CN101547742A (zh) 2009-09-30
EP2098301A4 (en) 2012-05-30
EP2098301B1 (en) 2013-04-17
WO2008068957A1 (ja) 2008-06-12
US7931171B2 (en) 2011-04-26
KR20090027616A (ko) 2009-03-17
CA2650315A1 (en) 2008-06-12
US20090206177A1 (en)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032B1 (ko) 도장용 카트리지
US7588196B2 (en) Cartridge-type coating machine and cartridge thereof
KR100391085B1 (ko) 카트리지용 도료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100436834B1 (ko) 카트리지식 도장시스템
KR101021894B1 (ko) 에어 무화형 도장 장치
KR101074298B1 (ko) 카트리지용 도료 충전 장치
KR20130039755A (ko) 카트리지용 도료 충전 장치 및 그 도료 충전 방법
EP1868917B1 (en) Canister with a resilient flexible chamber for electrostatic applicators
JP3453078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CN111318398B (zh) 盒用涂料填充装置
KR20010041006A (ko) 카트리지용 도료 충전장치
JP4578981B2 (ja) カートリッジタンクおよび塗装機
KR101320983B1 (ko) 도장용 카트리지
WO2003099455A1 (fr) Cartouche d'application de peinture
JP2004344889A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の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