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838B1 -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2838B1 KR101042838B1 KR1020090024009A KR20090024009A KR101042838B1 KR 101042838 B1 KR101042838 B1 KR 101042838B1 KR 1020090024009 A KR1020090024009 A KR 1020090024009A KR 20090024009 A KR20090024009 A KR 20090024009A KR 101042838 B1 KR101042838 B1 KR 101042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tch
- evacuation device
- concrete
- type evacuation
- ty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해치형 피난장치의 폭보다 큰 폭의 해치를 수평, 수직 거푸집, 철근들의 배근과 함께 형성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해치 측의 수직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를 해치에 내삽되게 안착시키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배근된 철근 단부를 결합시키는 위치 고정 단계; 및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양생된 콘크리트 사이에 모르타르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 hatch of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with the horizontal, vertical formwork,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s; When the concrete is cured, dismantling the vertical formwork on the hatch side and the evacuation device seating step of seating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to be inserted into the hatch; Position fixing step for coupl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atch evacuation device and the reinforcing bar end; There is provided a 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concrete pouring of the hatch-type evacu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orming a balcony after curing mortar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nd the cured concrete.
이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후 해치형 피난장치가 해치 내부에 높이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배치된 상태로 모르타르 타설됨으로써 발코니 바닥에 대한 정밀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crete construction on the balcony floor is possible by placing the mortar in a state where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is fixedly placed in the hatch so that height and position can be adjusted after the concrete is placed.
해치형 피난장치, 발코니, 거푸집, 철근, 배근, 용접, 콘크리트, 모르타르, 타설, 양생, 시공법, 받침대, 앙카 Hatch-type evacuation device, balcony, formwork, rebar, reinforcement, welding, concrete, mortar, pouring, curing, construction method, pedestal, anchor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후에 해치형 피난장치를 발코니 바닥에 매립 시공되도록 한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concrete construction method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t-concrete construction method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that allows the construction of the hatch evacuation device embedded in the balcony floor after the concrete installation.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길과 유독가스는 주로 위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가능한 화재발생지역보다 아래쪽으로 도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발코니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의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사다리가 내부에 접철 구비된 해치형 피난장치(도 1 참조)가 안출된 바 있다. In general, when a fire breaks out, since flames and toxic gases are mainly directed upwards, it is preferable to evacuate below the fire area where possible. For this purpose, a ladder is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balcony to provide an evacuation route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see FIG. 1) provided with a folding inside has been conceived.
이러한 종래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경우, 화원으로부터 신속 및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으며, 평상시 발코니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evacuate quickly and effectively from the fire garden, and its utiliz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at it is possible to freely use the balcony space normally.
이와 같은 종래의 해치형 피난장치를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후에 발코니 바닥에 시공하고자 할 경우, 매립될 소정 위치에 해치형 피난장치를 정확히 고정배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When the conventional hatch-type evacuation device is to be installed on the balcony floor after the concrete is placed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fix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be buried.
그러나, 종래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의하면, 상, 하층 발코니 바닥의 특정 지점에 본 피난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에서 높이 및 위치 조절이 어려워 해치형 피난장치의 정밀시공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ost-concrete construction method of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and position in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evacuation device at a specific point of the upper and lower balcony floors, making it difficult to precisely install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양생후 해치형 피난장치를 발코니 바닥에 높이 및 위치 조절하여 고정배치시킴으로써 정밀하게 매립 시공할 수 있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fter the concrete curing hatch-type evacuation device can be precisely buried construction by adjusting the height and position on the balcony floor to install the post-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install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은, 해치형 피난장치의 폭보다 큰 폭의 해치를 수평, 수직 거푸집, 철근들의 배근과 함께 형성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해치 측의 수직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를 해치에 내삽되게 안착시키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배근된 철근 단부를 결합시키는 위치 고정 단계; 및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양생된 콘크리트 사이에 모르타르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crete post-installation method of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that forms a hatch of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together with horizontal, vertical formwork and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s. Pouring step; When the concrete is cured, dismantling the vertical formwork on the hatch side and the evacuation device seating step of seating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to be inserted into the hatch; Position fixing step for coupl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atch evacuation device and the reinforcing bar end; And a balcony forming step of curing the mortar after the mortar is pour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and the cured concrete.
여기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위에 모르타르를 바른후 발코니 바닥을 마감시키는 미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astering step of finishing the balcony floor after applying the mortar on the concre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장 단계에서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주변으로 오목홈이 둘러싸듯 형성되며, 이 오목홈에 실리콘을 코킹 형성시키는 방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around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in the plastering step, and further comprises a waterproof step of caulking silicon in the concave groov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높이가 발코니 바닥 높이보다 낮을 경우,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안착될 해치 저부에 높이 조절용 받침대를 배치시키는 높이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step of placing the height adjustment pedestal on the hatch bottom to which the hatch evacuation device is to be seated, when the height of the hatch evacuation device is lower than the balcony floor he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에 철근 이음용 앙카를 외측으로 다수개 연장 설치시키는 앙카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chor installation step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ancho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상기 철근의 각 일단을 수직 거푸집의 내측 방면으로 관통되게 배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ncrete placing st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end of the reinforcing bar to penetrate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formwork.
또한, 상기 위치 고정 단계에서는, 상기 앙카의 각 연장 부분과 철근의 각 단부를 용접 이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osition fix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anchor and each end of the reinforcing bars are weld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후 해치형 피난장치가 해치 내부에 높이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배치된 상태로 모르타르 타설됨으로써 발코니 바닥에 대한 정밀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st-concrete post-construction method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is placed in the hatch in a state where the height and the position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re fixed and placed in a fixed state so as to precisely control the balcony flo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struction i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ooks at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concrete pouring of the hatch-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상부도어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동작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door open state of a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치형 피난장치는, 사각진 관형상의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도어(112)와,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상부도어(112)사이에 개재된 회동링크부(120)와, 상기 프레임(111)의 내부에 접철 수용된 피난사다리(113)와, 상기 피난사다리(113)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111)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도어(11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2,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tangular
여기서, 상기 프레임(111)은 상부개구가 상층공간으로 노출되고, 하부개구가 하층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발코니의 바닥(B)에 매립 설치되며, 상, 하부 도어(112)(114)가 회동되어 개방시 일측 지지시키도록 상하단에 단차진 걸림면(111a)이 각각 구비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상부도어(112)는 프레임(111)의 상부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프레임(111)의 상부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111)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그 저면 중앙영역에 손잡이(112a)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회동링크부(120)는 하단이 프레임(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레임레버(121)와, 상단이 상부도어(1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레버(122)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상기한 프레임레버(121)의 상단에는 요홈부(121a)가 형성되며, 그 하단을 통해 프레임(111)에 회동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레버(122)는 직선상의 단일체로 형성되되 하단에 회동제한절곡부(122a)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도어(112)가 개방될 때 회동제한절곡부(122a)가 프레임레버(121)의 요홈부(121a)에 접촉하게 된다.A
또한, 상기 피난사다리(113)는 각 수평발판(113a)을 잇는 한 쌍의 수평바(113b) 형태가 다수 접철된 것으로서, 최상부 수평바(113b)의 양측이 프레임(111) 내측면의 두 지점에 회동 지지되며, 하부측 수평바(113b)의 양측이 프레임(111)에 지지된 가압레버(117)에 결합되는바, 상기 가압레버(117)는 프레임(111) 상에 설치 고정된 롤러(115)의 견인선(116)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가압레버(117)가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하부도어(114)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롤러(115)가 회전 및 견인선(116)이 풀리면서 상기 피난사다리(113)는 하층 바닥을 향해 전개될 수 있게 되며, 전개된 피난사다리(113)는 별도의 감김수단(도시 생략)을 통해 상기 롤러(115)를 역회전시켜 견인선(116)을 감아올림으로써 프레임(111)의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하부도어(114)는 프레임(111)의 하부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프레임(111)의 하부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111)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다. 개방상태의 하부도어(114)는 대략 개방상태의 상 부도어(112)와 동일한 평면(도 2 참조)을 이루도록 프레임(11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도어(114)는 프레임(111)에 억지끼움 형태로 폐쇄상태를 유지하다가, 가압레버(117)가 가압되어 피난사다리(113)가 펼쳐질 때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 해치형 피난장치의 작동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화재 발생에 따라 피난자가 상부도어(112)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프레임레버(121)와 도어레버(122)는 프레임레버(121)의 상측영역과 도어레버(122)가 직선을 이루도록 각각 프레임(111)과 상부도어(112)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When the evacuator pulls the
이때 프레임레버(121)와 도어레버(122)의 회동동작은 요홈부(121a)와 회동제한절곡부(122a)가 접촉할 때까지 계속되는바, 프레임레버(121)의 요홈부(121a)와 도어레버(122)의 회동제한절곡부(122a)가 접촉할 때 상부도어(112)는 개방위치에 도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다음으로 피난자가 가압레버(117)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부도어(114)가 하측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피난사다리(113)가 하층 바닥을 향해 펼쳐지게 된다.Next, when the evacuator presses the
따라서, 피난자는 손잡이(112a)를 잡은 상태로 상,하층에 연통 형성된 개구부를 따라 피난사다리(113)의 수평발판(113a)을 통해 하층으로 피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evacuator will be able to evacuate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의 해치형 피난장치를 발코니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후 에 설치하기 위한 시공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5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fter the concrete floor of the balcony is as follows.
도 3은 도 1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를 나타내 보인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시공법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시공완료된 상태의 부분파단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concrete pouring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the construction completed state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Figure 3, and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to b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은 상술한 해치형 피난장치의 프레임(111)을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 단계(S100)와, 마감 처리 단계(S200), 및 피난사다리 설치 단계(S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3 the 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concrete pouring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is the frame installation step (S100), the finishing step (S200), and evacuation ladder installation to install the
상기한 프레임 설치 단계(S100)는 발코니 바닥에 매립될 해치형 피난장치 폭보다 큰 폭의 해치를 형성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110)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높이가 발코니 바닥(B) 높이(H)보다 낮을 경우,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안착될 해치 저부(도 5의 수평 거푸집(D) 상면)에 높이 조절용 받침대(T)를 다수 개소에 배치시키는 높이 조절 단계(S115)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를 해치에 내삽되게 안착시키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S125)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을 해치에 결합시키는 위치 고정 단계(S130), 및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해치 사이를 모르타르(M)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S140)를 차례로 거친다. The frame installation step (S100) is a concrete placing step (S110) to form a hatc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to be buried in the balcony floor, the height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balcony height (B) (H) When lower than the), the height adjustment step (S115) for placing the height adjustment pedestal (T) in a number of places on the hatch bott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ormwork (D) of Figure 5) on which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is to be seated, and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seating step (S125) for seating the evacuation device to be inserted into the hatch, position fixing step (S130) for coupl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to the hatch, an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hatch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fter the mortar (M) is poured through the balcony forming step (S140) to cure in turn.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S110)는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매립될 발코니 바닥(B)을 형성시키기 위해 거푸집(D)을 배치시키는 거푸집 형성 단계와, 상기 거푸집(D)의 상측에 철근(I)을 다수 배열시키는 배근 단계가 선행된 후 실시된다. Wherein the concrete pouring step (S110) is a formwork forming step for placing the formwork (D) to form a balcony floor (B) to be embedded in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reinforcing bar (I) on the upper side of the formwork (D) This is performed after the reinforcement step of arranging a large number of them.
상기 배근 단계에서는 해치형 피난장치 인근에 대해 그외 주변 지역보다 안정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일정 구경 이상으로 확대된 철근(I)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reinforcement step, it is preferable to use the reinforcing bars (I) enlarge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or more so that stable reinforcement is achieved in the vicinity of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특히, 이 배근 단계에서는 프레임(111)이 안착될 폭을 감안하여 지름 100mm 이상의 해치가 형성되게 철근(I) 배근이 이루어지며, 철근(I)의 일단이 타설되는 콘크리트 외측 즉, 해치 내측으로 일정길이 드러나도록 수직 거푸집(D') 내측 방면으로 관통되게 배근되어진다. In particular, in this reinforcement step, the reinforcement (I) reinforcement is made to form a hatch 100 mm in diameter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to which the
다만, 배근 단계시 위 콘크리트 타설 단계(S110)에서 철근(I)의 일단이 콘크리트 외측(해치 내측)으로 드러나지 않게 시공되었을 경우에는 별도 준비된 철근(I)을 해치 측에서 양생된 콘크리트 내측으로 해머링하여 일정깊이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철근(I)의 일단이 해치 내측으로 일정길이 드러나게 할 수도 있다. However, when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s (I) is construct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hatch inside) in the concrete placing step (S110) during the reinforcement step by hammering separately prepared reinforcing bars (I) into the cured concrete inside the hatch side By inserting a fixed depth,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s I may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hatch.
아울러,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부도어(112)의 개방시 벽면(W)으로부터 개폐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치 측이 60mm 내지 100 mm 정도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hatch side is spaced apart about 60mm to 100mm so that opening and closing defects do not occur from the wall (W) when the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단계(S115)에서 프레임(111)의 걸림면(111a)이 후술할 미장 단계(S260)의 모르타르(M) 마감 높이로부터 5mm 내지 10mm 정도 높게 배치시킴이 발코니의 물구배 측면에서 효과적이므로 받침대(T)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해치 저부에 배치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step (S115) in the
또한, 피난장치 안착 단계(S125)에 앞서 상기 프레임(111) 외측면의 각 면에 적어도 한 쌍의 "L"형 앙카(anchor; A)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용접 구비되어 위치 고정 단계(S130)에서 해치측 철근(I) 단부와의 이음거리를 조절시키는 앙카 설치 단계(S120)가 선행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t least one pair of "L" anchors (A) are welded to each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이어서, 실시되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S125)에서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프레임(111)이 해치 저부의 받침대(T)에 안착되어 내삽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in the evacuation device seating step (S125) to be carried out, the
곧이어, 위치 고정 단계(S130)에서 앙카(A)의 연장 부분과 콘크리트 외측으로 드러난 철근(I) 단부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 꺽여진 높이조절부재(K)를 통해 용접 이음됨으로써 해치형 피난장치의 프레임(111) 외측면과 상기 철근(I) 단부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Subsequently, in the position fixing step (S130),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anchor (A) and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I)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re weld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K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S. 4 and 5. As a result of the joint, the
상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에 대한 발코니 상의 위치 및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11)의 주변으로 모르타르(M)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S140)가 실시됨으로써 해치형 피난장치에 대한 정밀한 매립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tch-type evacuation by performing the balcony forming step (S140) of pouring and curing the mortar (M) around the
이와 같은 프레임 설치 단계(100)는 상기 프레임(111)이 단독으로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바, 상기 프레임(111)에 상, 하부 도어(112)(114)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uch a frame installation step 100 is not limited to the
그리고, 상기 마감 처리 단계(S200)는 콘크리트 위에 모르타르(M)를 바른후, 발코니를 마감시키는 미장 단계(S260)와, 상기 미장 단계(S260)에서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주변으로 둘러싸듯 형성되는 오목홈(O)에 실리콘(S)을 코킹 형성시키는 방수 단계(S270)를 거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nishing step (S200) is applied to the mortar (M) on the concrete, after finishing the plastering step (S260), and the plastering step (S260) formed in the concave surrounding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Through the waterproofing step (S270) for caulking the silicon (S) in the groove (O).
아울러, 본 마감 처리 단계(S200)에서는 거푸집(D)과 받침대(T)를 함께 해체 시키는 해체 단계(S280)와, 하부 세대의 천정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면처리 실시되는 견출 작업 단계(S29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In addition, in the finishing treatment step (S200), the dismantling step (S280) of dismantling the formwork (D) and the pedestal (T) together, and if the ceiling surface of the lower generation is uneven, the step of performing the surface treatment is carried out (S290). It is obvious that it may include more.
또한, 본 마감 처리 단계(S200)에서는 미장 단계(S260)에 앞서 프레임(111)의 파손을 방지하며, 경첩 부분에 모르타르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11) 상면에 비닐커버 또는 종이 재질의 보호덮개(P)를 덮어 보양조치 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finishing process step (S200) to prevent damage to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처리된 상태에서 바닥 및 벽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대한 크랙(crack) 방지를 위해 미장 단계(S260) 이전에 방수층(V)을 형성시키는 방수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proof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waterproof layer (V) before the plastering step (S260) in order to prevent cracking for the concrete forming the floor and the wall in the finished state as shown in FIG. It may be carried out including.
끝으로, 상기 피난사다리 설치 단계(S300)는 마감 처리 단계(S200) 이후 프레임(111)의 벽면 방향 내측면에 피난 사다리(113)를 최상부 수평바(113b)의 양측이 회동 지지되게 접철 수용된 상태로 내삽시킴으로써 해치형 피난장치의 시공이 완료된다.Finally, the evacuation ladder installation step (S300) is a state that is folded and received so that both sides of the uppermost horizontal bar (113b)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상부도어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door open state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동작 상태도, 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1;
도 3은 도 1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를 나타내 보인 순서도,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concrete pouring of the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of Figure 1,
도 4는 도 3의 시공법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시공완료된 상태의 부분파단 사시도, 및 4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the hatch-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FIG.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11: 프레임 111a: 걸림면111:
112: 상부도어 113: 피난사다리112: upper door 113: evacuation ladder
114: 하부도어 115: 롤러114: lower door 115: roller
116: 견인선 117: 가압레버116: traction ship 117: pressure lever
120 : 회동링크부 121: 프레임레버120: rotating link unit 121: frame lever
122: 도어레버 S100: 프레임 설치 단계122: door lever S100: frame installation step
S110: 콘크리트 타설 단계 S115: 높이 조절 단계S110: concrete pouring step S115: height adjustment step
S120: 앙카 설치 단계 S125: 피난장치 안착 단계S120: Anchor installation step S125: Evacuation unit seating step
S130: 위치 고정 단계 S140: 발코니 형성 단계S130: Position fixing step S140: Balcony formation step
S200: 마감 처리 단계 S260: 미장 단계S200: Finishing Step S260: Plastering Step
S270: 방수 단계 S280: 해체 단계S270: waterproof stage S280: dismantling stage
S290: 견출 작업 단계 S300: 피난사다리 설치 단계S290: Evacuation work step S300: Evacuation ladder installation step
A: 앙카 B: 발코니 바닥A: anchor B: balcony floor
D: 거푸집 I: 철근D: Formwork I: Rebar
K: 높이조절부재 M: 모르타르K: height adjusting member M: mortar
T: 받침목 V: 방수층T: Support V: Waterproof layer
W: 벽면W: wall panel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4009A KR101042838B1 (en) | 2009-03-20 | 2009-03-20 |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4009A KR101042838B1 (en) | 2009-03-20 | 2009-03-20 |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5140A KR20100105140A (en) | 2010-09-29 |
KR101042838B1 true KR101042838B1 (en) | 2011-06-20 |
Family
ID=4300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4009A KR101042838B1 (en) | 2009-03-20 | 2009-03-20 |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28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1997B1 (en) * | 2011-07-08 | 2013-07-04 | (주)반초기업 | Assembly type refuge tool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
KR101118629B1 (en) * | 2011-11-15 | 2012-03-06 |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 Floor installing style fire escape apparatus installing method |
CN111764648A (en) * | 2020-06-18 | 2020-10-13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Core mold for cast-in-place reinforced concrete hollow floor |
KR102484229B1 (en) * | 2022-05-12 | 2023-01-04 | 주식회사 피난테라스 | Modular structure for emergency evacu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12563A (en) * | 1982-12-15 | 1983-07-05 |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 Case for accommodating refuge device |
JPS5977868A (en) * | 1982-12-15 | 1984-05-04 |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 Refuse apparatus for building |
JPH02296987A (en) * | 1989-05-10 | 1990-12-07 | Naka Tech Lab | Mounting structure for refuge device |
-
2009
- 2009-03-20 KR KR1020090024009A patent/KR10104283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12563A (en) * | 1982-12-15 | 1983-07-05 |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 Case for accommodating refuge device |
JPS5977868A (en) * | 1982-12-15 | 1984-05-04 |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 Refuse apparatus for building |
JPH02296987A (en) * | 1989-05-10 | 1990-12-07 | Naka Tech Lab | Mounting structure for refug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5140A (en) | 2010-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838B1 (en) |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 |
KR101086075B1 (en) |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having sub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ubframe | |
CN106284427A (en) | A kind of basement post-pouring zone temporary leaking water gear soil construction method | |
KR101029629B1 (en) | Steel skelet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 |
KR20100105139A (en) |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 |
KR10110735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an drop type emergency ladder | |
KR20110124476A (en) | Assembly trench and trench structure using the same | |
CN207582659U (en) | A kind of assembled caisson of toilet, caisson soil stack pore structure and caisson placing structure | |
KR101281997B1 (en) | Assembly type refuge tool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 |
KR20070027668A (en) | Draining plate | |
KR100952991B1 (en) | Sleeve pipe holder | |
KR100840376B1 (en) |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steel pile head and concrete footing and method for connecting steel pile head and concrete footing | |
JP4815262B2 (en) | Tunnel lining method and formwork apparatus | |
CN217734777U (en) | Construction structure of building outer wall | |
KR101199920B1 (en) | A combined concrete leveling ruler and pouring stepping member | |
KR100573515B1 (en) | Reinforce structure for window frame of building | |
JP2001059256A (en) | Drainage structure for sanitary equipment | |
KR101208474B1 (en) | Method for construction of evacuation Ladder | |
KR101804280B1 (en) |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evacuation | |
CN217782979U (en) | Opening pay-off device convenient for construction site | |
JP2006192841A (en) | Vibration compaction apparatus for concrete in closed space and vibration compaction method | |
KR102388525B1 (en) | repair device around the iron lid of manhole | |
CN113668787B (en) | Roof smoke exhaust air pipe and wall-through installa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2777033A (en) | Method for mounting prefabricated kitchen | |
CN219387128U (en) | Scaffold eye construction device applied to external wall self-heat-preservation building blo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