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478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478B1
KR101042478B1 KR1020100058643A KR20100058643A KR101042478B1 KR 101042478 B1 KR101042478 B1 KR 101042478B1 KR 1020100058643 A KR1020100058643 A KR 1020100058643A KR 20100058643 A KR20100058643 A KR 20100058643A KR 101042478 B1 KR101042478 B1 KR 101042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martphone
server
receive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계
Original Assignee
이태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계 filed Critical 이태계
Priority to KR102010005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주문할 오일의 양과 종류를 결정한 후 주문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내장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좌표값, WiFi(Wireless Lan) 접속시 AP(Access Point)로부터 획득되는 AP에 관한 정보,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시 BTS(Base Transceiver Station) 정보를 수집하고, WiFi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푸쉬통지서버로부터 기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Device Token), 사용자가 선택한 오일의 양 및 종류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101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내장 GPS를 이용한 좌표값, AP(Access Point) 또는 BTS 정보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해석하고, 다수의 오일 배달 차량 가운데 상기 선택된 종류의 오일의 잔량이 상기 선택된 오일의 양 이상 남아 있는 차량을 판단한 다음 그 가운데 최단 거리의 차량을 선택하는 102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103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 및 종류, 상기 해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되, 각각 일정 길이를 차지하도록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따라 저장하며, 상위 바이트에는 기 저장된 식별코드를 삽입하고, 주문번호를 부여하여 포함시키는 104 단계; 상기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를 내용으로 하되, 상기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상기 서버의 식별번호를 발신자 번호로 하는 SMS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으로 발송하는 105 단계; SMS를 수신한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발신자 번호가 기 저장된 상기 서버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 및 수신한 SMS의 상위 비트가 기 저장된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06 단계; 일치하는 경우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수신한 SMS의 상위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텍스트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따라 각각 나눔으로써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 및 종류, 상기 해석된 위치정보, 주문번호를 분리하는 107 단계;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기존의 배달루트에 상기 수신한 위치정보를 추가하는 108 단계; 및 배달차량의 운전자가 배달완료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상기 수신한 오일의 종류에 해당하는 배달차량의 오일잔량으로부터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만큼 차감한 다음 판매금액, 판매된 오일의 양 및 종류, 내장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좌표값 또는 BTS 정보 또는 주문번호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의하여 인코딩한 다음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제 109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OIL DELIVERY METHOD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통해 오일을 주문받아 가정으로 배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오일의 경우 구매자가 직접 주유소 또는 판매점으로 이동하여 구매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아주 소량인 경우를 제외하면 배달판매 방식에 의하여 판매가 이루어지곤 한다.
일부 지역에서 이루어져 왔던 이러한 종래의 오일 배달판매업의 실태를 살펴보면, 소량판매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인하여 결국 판매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주유소에서 직접 구매하는 경우와는 달리 구매자가 구매한 오일의 양이 정량인지 여부에 대하여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일 주문창구를 통해 전국단위의 주문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많은 주문을 최적화된 방식에 의하여 처리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최소화하는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였으며,
나아가 판매시스템의 구조상 정량판매가 강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구매자에게 정량판매가 이루어졌음을 확인시킬 수 있는 보완책의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주문 지역에 상관없는 단일 주문창구를 구비하며, 최단시간 배달 및 정량판매를 가능케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은 사용자가 주문할 오일의 양과 종류를 결정한 후 주문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내장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좌표값, WiFi(Wireless Lan) 접속시 AP(Access Point)로부터 획득되는 AP에 관한 정보,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시 BTS(Base Transceiver Station) 정보를 수집하고, WiFi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푸쉬통지서버로부터 기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Device Token), 사용자가 선택한 오일의 양 및 종류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101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내장 GPS를 이용한 좌표값, AP(Access Point) 또는 BTS 정보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해석하고, 다수의 오일 배달 차량 가운데 상기 선택된 종류의 오일의 잔량이 상기 선택된 오일의 양 이상 남아 있는 차량을 판단한 다음 그 가운데 최단 거리의 차량을 선택하는 102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103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 및 종류, 상기 해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되, 각각 일정 길이를 차지하도록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따라 저장하며, 상위 바이트에는 기 저장된 식별코드를 삽입하고, 주문번호를 부여하여 포함시키는 104 단계;
상기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를 내용으로 하되, 상기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상기 서버의 식별번호를 발신자 번호로 하는 SMS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으로 발송하는 105 단계;
SMS를 수신한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발신자 번호가 기 저장된 상기 서버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 및 수신한 SMS의 상위 비트가 기 저장된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06 단계;
일치하는 경우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수신한 SMS의 상위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텍스트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따라 각각 나눔으로써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 및 종류, 상기 해석된 위치정보, 주문번호를 분리하는 107 단계;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기존의 배달루트에 상기 수신한 위치정보를 추가하는 108 단계; 및
배달차량의 운전자가 배달완료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상기 수신한 오일의 종류에 해당하는 배달차량의 오일잔량으로부터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만큼 차감한 다음 판매금액, 판매된 오일의 양 및 종류, 내장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좌표값 또는 BTS 정보 또는 주문번호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의하여 인코딩한 다음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제 109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는 전국 어디에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오일을 주문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주문이 접수되면, 최단거리에 있는 배달차량으로 하여금 배달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배달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달중인 배달차량의 배달경로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것에 의해 추가로 주문이 발생하여도 배달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달차량이 정량판매를 하도록 통제함과 동시에 구매자에게 배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정량판매에 대한 신뢰와 만족감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에 있어 스마트폰과 서버, 푸쉬통지서버가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며,
도 2는 스마트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오일을 주문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3은 배달완료후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푸쉬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설명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있어, 배달이 완료된 이후 배달완료 사실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에 있어 스마트폰과 서버, 푸쉬통지서버가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오일을 주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주문을 하게 되며, 서버(200)는 주문내역을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배달차량은 주문내역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오일을 배달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이라는 용어는 광의로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종래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수행되던 각종 데이터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휴대용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100)과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이 반드시 동일한 제품 또는 동일한 플랫폼의 스마트폰일 필요는 없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스마트폰(100)과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몇몇 제한을 가지고 있어 종래기술에 의하여 스마트폰이라 지칭되는 제품군에 속하지 아니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푸쉬통지서버(4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200)에서 생성된 통지패키지(Notification Package)를 전송함으로써 배달중 또는 배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서버(200)로 오일 배달 주문을 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스마트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오일을 주문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에서 "Oil Delivery"라는 전용 어플리케이션(110)을 실행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110)을 최초로 설치하면 전용 어플리케이션(110)은 푸쉬 통지 서버(400)로 접속하여 푸쉬 통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110)은 자신의 고유 장치 식별자(Unique Device Identifier)를 제공하는데, 푸쉬 통지 서버(400)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획득한 고유 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토큰(Device Token)을 생성한 다음 암호화하여 스마트폰(100)으로 리턴한다.
이때, 디바이스 토큰은 스마트폰(100)의 고유 장치 식별자(Unique Device Identifier)를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생성된 고유값이다.
도 2의 예에서 어플리케이션(110)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문할 오일의 종류와 수량을 선택하여 주문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은 서버(200)로 접속하여 디바이스 토큰과 주문한 오일의 종류 및 수량을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는 "등유", "20"리터를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은 Wifi(Wireless Lan)을 이용하여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서버(200)로 접속할 수도 있고,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버(200)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오일을 주문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110)을 실행하여 오일의 양과 종류를 결정한 후 주문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110)이 Wifi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200)로 접속하여 디바이스 토큰, 사용자가 선택한 오일의 양 및 종류를 전송한다(S101).
이때, 스마트폰(100)은 서버(200)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알 수 있도록 내장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획득한 GPS 좌표값이나 AP(Access Point) 또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야외에서 내장 GPS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라면 가장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좌표값을 전송함이 바람직하나, 내장 GPS 모듈이 없거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라면 무선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로 대체하여 전송한다.
Wifi 접속시 AP의 ip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BTS와의 거리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여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이와 같이 오일 주문을 접수한 서버(200)는 수신한 GPS 좌표값, AP 또는 BTS 정보에 의하여 스마트폰(100)의 위치정보를 해석한다.
GPS 좌표값인 경우라면 정확한 값이므로 더 이상의 해석이 불필요하겠으나, AP의 ip어드레스라고 한다면 해당 ip어드레스가 어느 행정구역에 속하는가를 판단함으로써 스마트폰(100)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BTS 정보의 경우에도 GPS 좌표값에 비하여 수십미터 이상 오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서버(200)는 다수의 오일 배달 차량 가운데 주문받은 종류의 오일의 잔량이 주문량 이상 남아 있는 차량을 추려낸 다음, 그 가운데 최단 거리에 있는 차량을 선택한다(S102).
그리고,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S103).
이를 위하여 서버(200)는 다수의 스마트폰(100)에 대해 디바이스 토큰과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레코드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화번호의 인출시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주소를 함께 인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의 주소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전화번호, 주소를 인출한 서버(200)는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300)으로 주문내역을 전달하는데 이를 위하여 서버(200)는 우선 식별코드,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전화번호, 사용자가 주문한 오일의 양 및 종류,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S104).
이때 텍스트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A B B B B B B B B B B B C D D D E E E .... E F F F F F F F F
(단, A : 식별코드, B :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전화번호, C : 주문한 오일의 종류, D : 주문한 오일의 양, E :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위치정보, F : 주문번호임.)
식별코드란 서버(200)가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최상위 바이트에 삽입하는 코드로서 해당코드를 삽입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이 주문내역임을 인지한다. 즉, 식별코드는 미리 정해진 값이며 서버(200)와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이 미리 알고 있는 값에 해당한다. 1 바이트로도 충분히 표현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전화번호는 11 바이트로 저장될 수 있으며, 오일의 종류는 1 바이트, 오일의 양은 3 바이트로 충분하다. 한편, 위치정보는 GPS좌표값, AP나 BTS 정보로부터 추정된 좌표값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한 사용자 스마트폰(100) 주소지 정보일 수 있는데 GPS 좌표값의 경우 경도와 위도를 각각 6바이트에 의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GPS 모듈에서 시리얼 통신에 의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면 여러가지의 센텐스가 나오는데 그 가운데 최소 추천 데이터(Recommended Minimum Data)인 GPRMC를 살펴보면 예를 들어 "$GPRMC,114455.532,A,3735.0079,N,12701.6446,E,0.000000,121.61,110706,,*0A"과 같다.
그 가운데 시간값 "114455", 속도값 "000000"을 제외하고 경도와 위도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추려서 위치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AP나 BTS 정보로부터 추정된 좌표값 또한 마찬가지로 각각 6바이트씩 12바이트로 표현이 가능하다.
다만, 주소지 정보인 경우 우편번호를 이용하는 경우 동단위까지 6비트에 의하여 표현이 가능하나 세부주소의 경우 텍스트 형태로 표현할 수 밖에 없다. 한글의 경우 자당 2바이트이므로 넉넉하게 40바이트 정도면 위치정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주문번호는 서버(100)가 주문을 받을 때마다 생성하는 값으로 하루 천단위의 주문을 처리한다고 할 때에 최소 4바이트면 매일 0부터 시작하는 주문번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10바이트면 수십년 이상 누적하여 주문번호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에 의하여 텍스트 데이터가 생성되면 서버(200)는 상기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300) 전화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상기 서버(200)의 식별번호를 발신자 번호로 하는 SMS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300)으로 발송한다(S105).
이를 위하여 서버(200)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300) 전화번호를 인출해야함은 물론이다. 한편, 발신자 번호로 들어가는 서버(200)의 식별번호는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이 서버(200)로부터의 SMS(Short Message Service)임을 인지할 수 있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숫자열이다.
한편, SMS는 80 바이트의 크기 제한을 각각 가지고 있는데 상기 생성한 텍스트 데이터는 32 내지 72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므로 SMS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은 이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SMS를 수신하면 우선 발신자 번호가 서버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후속 처리를 진행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반 SMS를 수신한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한편, 서버(200)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SMS의 상위 바이트가 기 저장된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S106)하는데 일치하는 경우 서버(200)로부터의 주문내역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은 수신한 SMS로부터 상위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텍스트를 데이터 구조에 의거하여 소정의 바이트 길이에 따라 각각 나눔으로써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전화번호, 주문받은 오일의 양과 종류, 위치정보, 주문번호를 각각 파싱하여 획득할 수 있게 된다(S107). 이를 위하여 상기 표 1의 데이터 구조를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이 미리 알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주문내역을 획득한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은 기존의 배달루트에 상기 획득한 위치정보를 추가한다(S108). 즉,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은 다수의 주문내역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알려진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최적루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서 배달루트를 표시하며 배달차량의 운전자는 이에 따라 오일을 배달하는 것이다.
그러던 도중 서버(200)로부터 주문내역을 새로이 수신함에 따라 획득한 위치정보를 기존의 배달루트에 추가하는 것이다. 배달루트에 추가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에 알려진 최적루트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배달차량의 운전자는 배달 완료시 배달완료 메뉴를 선택하는데, 이 경우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은 배달차량의 오일잔량으로부터 배달한 오일의 양만큼 차감하여 저장하며, 판매금액, 판매된 오일의 양 및 종류, GPS 좌표값 또는 BTS 정보, 주문번호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의하여 인코딩한 다음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한다(S190).
위치정보로 주소나 AP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GPS 좌표값 또는 BTS 정보만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주문시와 상이하다.
이때,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은 SMS를 이용하는 대신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서버(200)로 소정의 데이터 구조에 의해 인코딩된 값을 직접 전송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신용카드로 지불하는 경우 신용카드단말기 기능을 내장한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이 결제를 위해 데이터통신 세션을 연결하므로 이때 서버(200)로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이 서버(200)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는 아래 표2와 같다.
G G G G H I I I J J J J J J J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단, G : 주문번호, H : 오일의 종류, I : 오일의 양, J : 판매금액, K : 위치정보임.)
주문번호, 판매된 오일의 종류와 오일의 양, 위치정보는 표 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지 아니하나, 판매금액은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에 의하여 새롭게 생성된 값이며 배달차량의 운전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신용카드 결제시 자동으로 입력되는 값이다. 가정용 오일 주문시 백만원 단위가 넘어가기 어렵다고 가정하고 7바이트로 판매금액을 표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오일이 배달된 이후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으로 배달완료 사실을 통지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S109 단계, 서버(200)가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판매금액, 판매된 오일의 양 및 종류를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S110).
한편,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주문번호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에 해당하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디바이스 토큰을 인출한다.
그리고,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와 인출된 디바이스 토큰을 조합함으로써 통지패키지를 생성한다(S111).
통지패키지가 생성되면 서버(200)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푸쉬통지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1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1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인증받는다(S112). 이후, 서버(200)가 푸쉬통지서버(300)로 통지패키지를 전송(S113)하는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의 인증은 서버(200)가 전송하는 통지패키지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임을 서버(200)와 푸쉬통지서버(300)간 미리 인증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이 푸쉬통지서버(300)로 접속하여 디바이스 토큰을 제공하면, 푸쉬통지서버(300)는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에 해당하는 통지패키지를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한다.
도 3은 사용자 스마트폰(100)이 푸쉬통지서버(300)로 접속하여 통지패키지를 수신한 다음 화면에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은 대기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의 명칭과 간단한 텍스트가 포함된 팝업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서버(200)는 배달차량의 스마트폰(300)으로부터 배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배달차량의 오일잔량에서 배달된 오일의 양을 차감함으로써 오일잔량을 갱신하고, 수신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배달차량의 현재위치를 갱신한다. 한편, 해당 배달차량의 누적 판매금액에 수신한 판매금액을 합산함으로써 누적 판매금액을 갱신한다(S114).
이상 몇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살펴보았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임은 물론, 이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스마트폰
101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200 : 서버
300 : 배달차량 스마트폰
400 : 푸쉬통지서버

Claims (5)

  1. 사용자가 주문할 오일의 양과 종류를 결정한 후 주문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내장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좌표값, WiFi(Wireless Lan) 접속시 AP(Access Point)로부터 획득되는 AP에 관한 정보,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시 BTS(Base Transceiver Station) 정보를 수집하고, WiFi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푸쉬통지서버로부터 기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Device Token), 사용자가 선택한 오일의 양 및 종류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101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내장 GPS를 이용한 좌표값, AP(Access Point) 또는 BTS 정보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해석하고, 다수의 오일 배달 차량 가운데 상기 선택된 종류의 오일의 잔량이 상기 선택된 오일의 양 이상 남아 있는 차량을 판단한 다음 그 가운데 최단 거리의 차량을 선택하는 102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103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 및 종류, 상기 해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되, 각각 일정 길이를 차지하도록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따라 저장하며, 상위 바이트에는 기 저장된 식별코드를 삽입하고, 주문번호를 부여하여 포함시키는 104 단계;
    상기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를 내용으로 하되, 상기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상기 서버의 식별번호를 발신자 번호로 하는 SMS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 차량의 스마트폰으로 발송하는 105 단계;
    SMS를 수신한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발신자 번호가 기 저장된 상기 서버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 및 수신한 SMS의 상위 비트가 기 저장된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06 단계;
    일치하는 경우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수신한 SMS의 상위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텍스트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따라 각각 나눔으로써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 및 종류, 상기 해석된 위치정보, 주문번호를 분리하는 107 단계;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기존의 배달루트에 상기 수신한 위치정보를 추가하는 108 단계; 및
    배달차량의 운전자가 배달완료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배달차량의 스마트폰이 상기 수신한 오일의 종류에 해당하는 배달차량의 오일잔량으로부터 상기 수신한 오일의 양만큼 차감한 다음 판매금액, 판매된 오일의 양 및 종류, 내장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좌표값 또는 BTS 정보 또는 주문번호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에 의하여 인코딩한 다음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제 109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109 단계 이후, 서버가 상기 배달차량의 오일잔량 및 현재 위치를 갱신하고, 직전 누적 판매금액에 상기 수신한 판매금액을 합산함으로써 갱신하는 114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104 단계에서 식별코드 상위 1 바이트,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11 바이트, 오일의 종류 1 바이트, 오일의 양 3 바이트, 위치정보 12 내지 46 바이트 및 주문번호 4 내지 10 바이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에 의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109 단계에서 주문번호 4 내지 10 바이트, 오일의 종류 1 바이트, 오일의 양 3 바이트, 판매금액 7 바이트, 위치정보 12 내지 46 바이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에 의하여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09 단계 이후, 서버가 수신한 판매금액, 판매된 오일의 양 및 종류를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10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주문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디바이스 토큰을 인출하여 상기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통지패키지를 생성하는 제 111 단계;
    인터넷 망을 통하여 푸쉬통지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인증받는 제 112 단계; 및
    푸쉬통지서버로 상기 생성된 통지패키지를 전달하는 제 11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58643A 2010-06-21 2010-06-21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KR10104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643A KR101042478B1 (ko) 2010-06-21 2010-06-21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643A KR101042478B1 (ko) 2010-06-21 2010-06-21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478B1 true KR101042478B1 (ko) 2011-06-16

Family

ID=4440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643A KR101042478B1 (ko) 2010-06-21 2010-06-21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887A (ko) * 2016-10-28 2018-05-09 큐.가스 씨오., 엘티디. 배럴 액화 석유 가스 배급 시스템 및 배럴 액화 석유 가스 배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56A (ko) * 2001-02-12 2001-06-05 박상철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지불방법
KR20090031672A (ko) * 2006-05-18 2009-03-27 프롱드 애니웨어 리미티드 무선 트랜잭션을 위한 인증 방법
KR20090116526A (ko) * 2008-05-07 2009-11-11 (주) 후인텔레콤 물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56A (ko) * 2001-02-12 2001-06-05 박상철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지불방법
KR20090031672A (ko) * 2006-05-18 2009-03-27 프롱드 애니웨어 리미티드 무선 트랜잭션을 위한 인증 방법
KR20090116526A (ko) * 2008-05-07 2009-11-11 (주) 후인텔레콤 물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887A (ko) * 2016-10-28 2018-05-09 큐.가스 씨오., 엘티디. 배럴 액화 석유 가스 배급 시스템 및 배럴 액화 석유 가스 배급 방법
KR101982696B1 (ko) * 2016-10-28 2019-05-27 큐.가스 씨오., 엘티디. 배럴 액화 석유 가스 배급 시스템 및 배럴 액화 석유 가스 배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9839B2 (en) Consumer registration via mobile device
RU2015127656A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нных платежей
KR20100125509A (ko) 메시지 기반의 모바일 실시간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65872B2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erminal device,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erminal program
US9898757B2 (en) Purchase support server, purchase support method, purchase suppor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said program
TW200834453A (e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1201853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sumption patterns
US20140066110A1 (en) Valet Parking System and Method
JP5675662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決済システム
US20150120424A1 (en) Mobile point saving system and method
US20190347690A1 (en)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KR20160004211A (ko)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9461020A (zh) 一种积分商城兑换系统及使用方法
KR10104247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오일 배달 방법
KR20130033914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스탬프/마일리지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38830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101581358B1 (ko) 여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31577A (ko) 홈쇼핑 상품 주문 방법 및 서버
JP2014115797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20050019454A (ko)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선물 배송 방법 및 이 방법을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JP2005141600A (ja) 車両番号による情報配信システムとその方法並びにサーバ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JP2015036821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4126232B2 (ja) 通信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登録装置
KR20130033616A (ko) 무선단말과 그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TWI690869B (zh) 簡訊付款認證方法及認證伺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