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455B1 - 마그네틱 키로 작동되는 로크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키로 작동되는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455B1
KR101042455B1 KR1020057019560A KR20057019560A KR101042455B1 KR 101042455 B1 KR101042455 B1 KR 101042455B1 KR 1020057019560 A KR1020057019560 A KR 1020057019560A KR 20057019560 A KR20057019560 A KR 20057019560A KR 101042455 B1 KR101042455 B1 KR 10104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ard
slot
cov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511A (ko
Inventor
브루스 사무엘 시들리
Original Assignee
브루스 사무엘 시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스 사무엘 시들리 filed Critical 브루스 사무엘 시들리
Publication of KR2006001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3Mechanical locks operated by cards hav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93Weight arrangements in locks; gravity activated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51Using a powered device [e.g., motor]
    • Y10T70/7057Permanent mag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57Push or pull key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8Operating elements
    • Y10T70/7791Keys
    • Y10T70/7904Magn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는 로크를 열고 잠그기 위하여 코드가 입력된 마그네틱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외주 슬롯을 가진 노출된 회전가능한 커버를 가진다. 커버와 주요 로크 부품은 널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중심축에 관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위치결정 가능한 웨이트는 커버판과 함께 회전되도록 장착되고 중력의 작용 하에 여러 널 위치를 향하여 커버를 편위시키도록 축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이격된다. 카드 로크인 기구는 로크가 열려 있는 동안에 카드를 슬롯 내에 지지하는 카드 로크인 핀과 카드가 슬롯 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 카드를 지지하는 구멍과 함몰부를 가진 로크를 위한 카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키로 작동되는 로크{MAGNETIC KEY-OPERATED LOCKS}
본 발명은 로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그네틱 카드 또는 마그네틱 키에 의해 작동되는 로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로크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EP 0241323, 0024242, 0498465 및 미국 특허 제3,995,460호에 개시되어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로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95,460호에 있어서, 카드 내의 구멍이 선회핀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회핀은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 카드를 관통하며,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될 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이 회전할 때에는 관통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의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코드가 입력된 마그네틱 카드나 키로 로크를 열기 위하여 로크 내에 삽입하면, 문, 대문 또는 장벽 등이 열리게 된다. 통상적으로, 카드는 로크를 여는 동안에는 로크 내에 남아 있어야만 하며 로크가 열렸을 때 제거할 수 있다. 몸체의 외주부에 노출되어 회전가능 또는 고정된 위치에, 카드를 위한 외부로 노출된 슬롯이 구비되어 있다. 몸체는 마그네틱 카드가 미끄러져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도어 캐치 해제 놉(Knob) 또는 핸들의 일부이거나 이들의 일부분일 수 있다. 로크는 약 360도 자유롭게 회전한다. 카드 슬롯은 다 음번의 카드 삽입이 편리하지 않은 회전 위치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널(null) 위치는 쉽게 조절할 수 없다. 가장 편리한 카드 삽입과 슬롯의 양호한 시인성을 위하여 슬롯은 최상방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로크가 빌딩이나 개방된 현관의 외부에서 사용될 때, 최상방 슬릇은 로크의 내부로 비, 외부 표면수, 부스러기나 오물에 노출되며, 이 때문에 측면 또는 하부 슬롯 위치가 바람직하다.
몇몇 특정 적용에 있어서, 마그네틱 카드는 로크를 열거나 잠그는 동안에 로크 내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래서 로크 몸체를 회전시키는 동안에 카드를 제위치에 유지시킬 필요가 없으며; 카드는 로크로부터 잡아 당겨져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종 로크가 언로크 모드로 남아 있지 않아야 할 때, 로크가 열려 있으면, 카드는 제거되지 말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형식의 로크에는 이러한 편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서,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는 로크를 열거나 잠그기 위하여 마그네틱 코드가 동작하는 카드가 삽입되는 외주 슬롯을 가진 회전 가능하게 노출된 커버를 구비하고, 여기에 커버와 주요 부품들이 널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중심축에 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중력의 작용하에 커버를 널 위치 쪽을 향하여 편위시키도록 축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이격되고 커버와 함께 회전되도록 장착된 웨이트를 포함한다.
슬롯은 슬롯에 관하여 웨이트를 적절히 위치시킴에 의해 상방, 하방, 좌측, 우측 또는 다른 모든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하는 로크는 커버와 함께 회전되도록 장착된 고정판을 포함하며, 고정판에 웨이트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는 고정판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은 널 위치를 각각 변경시킬 수 있도록 커버에 관하여 다른 선택된 방사 방향 위치에 고정판이 부착되도록 다수의 부착 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하는 로크는 로크가 열려 있을 때, 슬롯 내에 카드를 지지하기 위한 카드 로크인(lock-in) 기구를 포함하며, 로크인 기구는 로크가 열려 있는 동안에 카드가 슬롯 내에 결합 및 지지되도록 슬롯 내에 삽입된 카드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크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카드 로크인 기구는 고정핀이 커버가 회전함에 따라 몸체 내에서 액추에이터가 회전될 때, 삽입된 카드 쪽으로 액추에이터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하도록 카드 로크인 핀과 함께 활주가능한 로크 액추에이터 둘레의 외주 나선형 요홈내로 연장되어 있는 종방향 통로를 가진 고정 위치 몸체를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카드 로크인 기구는 외주 나선형 요홈을 가진 종방향 통로를 가진 고정 위치 몸체를 포함하며, 카드 로크인 핀은 카드 로크인 핀이 커버가 회전함에 따라 몸체 내에서 액추에이터가 회전될 때, 삽입된 카드 쪽으로 카드 로크인 핀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하도록 외주 나선형 요홈 내로 연장되어 있는 방사상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로크인 핀은 고정 위치 몸체를 통하여 상기 통로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통과하며, 액추에이터는 고정 위치 몸체 내에 종방향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회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테일피스(tailpiece) 드라이버는 고정 위치 몸체의 종방향 통로 내에 위치하며 테일피스 액추에이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일피스 액추에이터와 테일피스 드라이버 사이에서 레이지 캠(lazy cam) 작용이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위치 몸체의 종방향 통로 내에 슬리브가 고정되고, 슬리브는 슬리브의 벽을 통하여 슬롯 절개부 형태로 나선형 요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하는 로크는 도어 래치 작동 기구에 고정되도록 배열된 아답터와, 아답터에 고정되고 로크를 내장하는 도어 래치 작동 핸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하는 로크는 코드가 입력된 마그네틱 작동 카드가 로크를 열고 잠그기 위하여 삽입될 수 있는 외주 슬롯을 가진 회전 가능한 노출된 커버를 구비하고, 커버와 주요 로킹 부품들이 널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중심축에 관하여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로크는 로크가 열려 있는 동안에 슬롯 내에 카드를 유지하기 위한 카드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며, 카드 로크 기구는 로크가 열려 있는 동안에 슬롯 내에 카드가 결합되고 지지하도록 슬롯 내에 삽입된 카드를 향하여 로크가 열릴 때,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크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개시된 로크에 사용하기 위한 자기적으로 코드가 입력된 카드는 슬롯에 삽입함에 따라 슬롯과 결합되며 슬롯으로부터 제거될 때, 저항을 제공하고 카드로부터 움푹 들어간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이 회전되기 시작할 때, 슬롯 내에 완전히 카드가 지지되지 않는 한, 핀이 구멍 이외의 다른 위치에서 카드와 접촉하게 되며, 카드 로크인 핀이 카드 내의 구멍에 들어갈 때까지 완전히 삽입된 카드는 그 위치에 남아 있거나, 핀이 구멍 이외의 위치에서 카드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많은 압력은 카드 또는 기구를 손상시킨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왼손잡이 도어용 카드 슬롯 측방으로(Sideway) 위치시키기 위한 웨이트(weight)의 구성을 도시한 로킹 기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오른손잡이 도어용 카드 슬롯을 측방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웨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로킹 기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C는 왼손잡이 도어용에서 카드 슬롯을 상방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웨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로킹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D는 오른손잡이 도어용에서 카드 슬롯을 하방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웨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로킹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사한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고 웨이트를 가진 카드 슬롯 로크가 결합되는 도어 핸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로크의 테일피스(tailpiece) 결합 부품의 단부면도이다.
도면을 보면, 도 1에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로크의 여러 가지 부품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여기에서 특별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로크는 마그네틱 카드(51)를 수용하기 위한 외주 슬롯(11)을 가진 커버(10)를 가진다. 로크판(12)과 로크 코어(13)를 지지하는 마그네틱 핀 텀블러(tumbler)를 포함하는 로크의 주요 부품과 커버(10)는, 베어링 부싱(29)과 로크의 고정된 공통의 중심축에 관하여 고정판(15)과 함께 회전하도록 무(無)마찰 베어링(14)상에 장착된다.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정확하게 자기적으로 코드가 입력된 카드(51)가 슬롯(11)에 삽입되며 커버(10, 그리고 내부 기구)는 이미 공지된 방법으로 원호를 그리며 회전, 통상적으로 90도 또는 그 이상 회전된다. 동시에, 카드 테일피스 액추에이터(20)가 맞물려 회전한다. 이들 기능에 대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자유롭게 회전하는 커버(10)의 널 회전 위치는 고정판(15)의 구멍(18')에 나사(18)에 의해 고정되는 두개의 반원형 웨이트(17)에 의해 결정된다. 도 1 및 도 2C에 있어서, 커버(10)의 널 위치는 슬롯(11)이 가장 위가 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고정판(15)은 4개 중의 어느 하나의 회전 위치에 고정되도록 4개의 나사 구멍(19', 도 2참조)이 구비된다. 그러므로, 슬롯(11)은 로크 하우징(36, 도 2)에 관하 여 웨이트의 위치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또는 좌측(도 2A 참조), 우측(도 2B참조), 또는 하방을 향하여(도 2D참조) 웨이트 상에 작용하는 중력에 따라 놓이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1)에 대한 4개의 널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로크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한다. 즉, 로크를 "열기"위하여 슬롯(11)에 정확하게 자기적으로 코드가 입력된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커버(10)를 널 위치로부터 회전시킨다. 카드가 제거될 때, 웨이트는 슬롯이 널 위치로 되돌아 오게 한다. 다른 널 위치가 필요하다면 언제라도 웨이트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행해진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한 로크는 카드 로크 기구(도 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로크는 고정 몸체(16), 로크 액추에이터(20)와, 테일피스 드라이버(21)를 포함한다. 테일피스 드라이버(21)는 연결된 로크 세트(도시 안함)를 작동하여 도어를 열거나 잠글 수 있도록 래치 및/또는 빗장을 연신 및 수축되도록 한다. 액추에이터(20)와 테일피스 드라이버(21)는 테일피스 드라이버(21)의 정면으로부터 연장된 편평한 핑거(23)를 수용하는 액추에이터의 후방면내의 슬롯(22)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슬롯(22)과 핑거(23) 사이의 기계적 결합은 액추에이터가 테일피스 드라이버로부터 또는 테일 드리이버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한정된 거리를 이동할 때일지라도 유효하게 유지된다. 액추에이터(20)와 테일피스 드라이버(21)의 두 부품은 몸체(16) 내의 관통 구멍(33)내에 수용된다.
액추에이터(20)는 몸체(16) 내의 고정 핀(25)의 단부가 위치하는 외주 나선형 요홈(24)을 가진다. 핀은 요홈(24)과 결합되도록 구멍(33) 내로 연장되어 있다. 그 결과, 정확하게 코드가 입력된 카드가 삽입된 커버(10)를 회전시키고 코어(13, core)를 지지하는 텀블러가 가압되면, 코어(13)의 후방 표면 내의 드라이버 핀(31)은 디스크(30) 내의 노치(37)와 결합되고 차례로 디스크(30)의 축방향 슬롯 내에 삽입된 액추에이터(20)의 편평부(38)를 회전시킨다. 이는 나선형 요홈(24)내의 고정핀(25)에 의해 카드 슬롯(11) 쪽으로 몸체(16)를 통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액추에이터(20)를 회전시킨다. 액추에이터(20)의 전방에 뾰족한(pointed) 핑거(26)는 삽입된 카드(51) 내에 구비된 구멍(50)을 통하여 들어가며 연장되고, 그 후에, 카드는 로크가 열렸을 때, 슬롯(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카드는 상기 작용이 반대로 될 때, 로크가 다시 잠기기 전까지는 제거할 수 없다. 즉, 카드와 슬롯은 삽입된 카드(51)의 중심 구멍(50)으로부터 핑거(26)를 수축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런 다음에, 액추에이터(20)는 요홈(24)과 고정핀(25)의 상대 회전에 의해 테일피스 드라이버(21)를 향하여 이동된다.
테일피스 액추에이터(20)의 슬롯(22)은 테일피스 드라이버(21)의 편평한 핑거(23)위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테일피스(32)의 형성된 단부는 드라이버(21)의 후방 표면 내의 슬롯(49)내에 수용된다. 테일피스(32)는 테일피스가 여러 두께의 도어에 맞도록 로크 설치기에 의해 필요한 길이로 스냅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횡단선이 새겨진 박약부(weakness, 도시 안함)를 구비한다. 테일피스(32)는 드라이버(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며, 이에 의해 로크(도시안함) 내에서 테일피스가 연신된다.
몸체(16) 내에 결합된 스프링(34)과 플런저(35)는 테일피스 드라이버(21)의 외주 둘레의 요홈(39)의 편평한 영역을 가압하는 플런저(35)의 단부에 의해 테일피스(32)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 운동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조기에 테일피스(32)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는 연결된 로크 기구의 의도하지 않은 로킹과 언로킹을 방지한다.
로크가 잠기지 않은 모드로 유지시켜 주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과, 코드가 입력된 언로킹 카드(5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언로킹 카드는 연장된 핑거(26)를 지지하도록 카드의 하부 단부로부터 연장된 개방 슬롯(53)과 함께 형성되며, 카드 내의 중심 구멍(50)의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언로킹 카드는 로크가 언로킹되도록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개방 슬롯(53)이 핑거(26)가 연장된 슬롯(11)으로부터 카드를 뺄 수 있도록 허용하여 로크를 언로크 모드로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언로킹 카드는 언로킹 상태로 남아 있다면, 핑거(26)가 연신됨에 따라 슬롯(11) 내에 정상적으로 카드를 완전하게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로크를 열기 위하여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버(10)는 카드가 제거될 때, 카드 슬롯의 위치로 우선 회전되어야만 하고, 그런 다음에, 언로킹 카드(52)가 삽일 될 수 있고 기구가 작동되고, 로크 하우징(36)은 핑거(26)가 카드 내의 슬롯(53)에서 빠지는 경우에 잠김 모드로 되돌아 회전된다. 그런 다음에, 언로킹 카드가 제거된다.
상기 설명한 언로킹 카드와 함께 언로킹 카드의 제 2 실시예가 본 출원인의 유럽특허 출원 EP 0024242호에 도시되어 있다. 투피스(two-piece) 카드(54)는 핑거(26)가 카드 슬롯(11)을 가로질러 연신 될 때 잠기지 않은 로크에 순차로 삽입되 고, 그런 다음에 투피스는 슬롯(11) 내에서 함께 결합된다. 양측면이 핑거(26) 둘레에 결합 될 때, 로크는 작동할 수 있으며, 하우징(36)은 핑거(26)가 슬롯(11)으로부터 뽑아지고 카드가 원피스(one-piece)로 제거될 때, 잠김 모드로 되돌아 회전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실린더 코드 모듈(36, 부품 10, 11 등을 구비하는)이 어떻게 웨이트가 달린 고정판(15)의 부착 위치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방향으로 편위시킬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각 도면에서 화살표(A)는 자기적으로 코드가 입력된 카드가 실린더 코드 모듈 내로 삽입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즉, 카드 삽입 슬롯(11)은 상방, 하방, 좌측, 우측 또는 그 사이의 어느 각도로든 향하게 할 수 있다. 실린더 코드 모듈 커버(10) 내의 두 개의 탭이 미리 형성된 구멍(40)은 나사(19)를 수용하며, 이에 의해 고정 판(15)이 커버에 장착된다. 고정판(15)에 부착된 웨이트(17)는 카드 삽입 슬롯(11)을 중력에 의해 원하는 널 방향으로 편위되게 한다. 이러한 4 개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로크와 유사한 로크가 전과 같이 회전가능한 커버(10)와 슬롯(11)을 가진 원통형 로크 도어 작동 핸들(27) 내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웨이트에 의해 선택된 위치를 향한다.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주요 특징은 중심 로크 스핀들 아답터(28)가 다른 로크 스핀들의 치수에 맞도록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같은 핸들(27)에 다른 로크 기구를 사용할 수 있거나 마그네틱 카드 작동 로크/핸들이 이미 설치된 로크를 대체할 수 있다. 슬롯(11)은 웨이트(17)의 선택적인 위치결정에 의해 모든 원하 는 회전 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로크는 도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상 또는 도어의 내측 또는 우측에 장착할 수 있는 키를 가진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슬롯(11)의 모든 위치에서, 웨이트(17)를 가진 고정판(15)의 선택적인 위치결정이 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필요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슬롯(11)이 상방 또는 하방의 어느 위치에 위치된다면, 핸들이 왼쪽 또는 오른쪽을 가르킬 때 슬롯은 중력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남아 있는 바와 같이, 왼쪽 또는 오른쪽 편으로 변경할 필요는 없다. 양측 어느 쪽에 슬롯을 장착하기 위하여, 부착된 웨이트와 함께 고정판의 위치변경이 필요하다. 핸들 로크와 같은 로크는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유사한 카드 로크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 4 및 도 5에는 개선된 카드 로크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로크인 핀(45)의 끝단부(56)는 로크 기구가 부착된 로크를 열기 시작하기 전에 삽입된 카드(51) 내의 구멍(50)으로 들어간다. 이는 하우징 조립체(36)의 회전 개시시에 카드 내의 구멍을 통하여 카드 로크인 핀만을 이동시켜 달성된다. 다른 부품들은 로크의 몸체 내에 정렬되어 있다.
카드 로크인(card lock-in) 핀(45)은 짧은 후방 단부나 방사상으로 90도 연장되어 있는 L형상이다. 카드 로크인 핀(45)의 긴 부분은 슬리브(48) 내에서 회전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액추에이터(47)를 통하여 연장된다. 테일피스 액추에이터(47)와 슬리브(48)는 몸체(16)를 통하여 종방향 구멍(33) 내에서 결합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테일피스 액추에이터의 표면에 나선형 요홈을 밀링작업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나선형 요홈은 슬리브(48)의 벽에 절개된다. 테일피스 액추에이터(47)는 슬리브(48)를 통하여 연장된다. 슬리브(48) 내의 나선형 슬롯의 원호는 원주방향으로 절반 정도만 연장되어 있으며, 이는 더욱 양적인 카드 로크인 운동을 제공한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테일피스 드라이버(43)의 요홈(39) 내에 걸쳐 있는 스프링(34)과 플런저(35)는 제 위치에 지지하도록 작용하며 회전의 개시점인 "잠김" 위치로 테일피스 액추에이터를 편위시키도록 턱이 있는 편평한 표면을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슬리브(48)를 구멍(42')의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몸체(16)를 통하여 방사상으로 통과하는 지지 나사(42)가 있다.
테일피스 액추에이터(47)는 스프링(46)을 수용하기 위하여 한측면(도시안함)에서 다른 하나의 슬롯의 한단부에 끼워져 있고 카드 로크인 핀(45)의 짧은 단부에 걸쳐 90도 굴곡되어 있다. 테일피스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축방향 구멍이 있으며, 카드 로크인 핀(45)의 종방향 부분(longitudinal)은 핀의 팁(56)이 마그네틱 카드(51) 내의 구멍(50)을 통하여 통과하도록 연장된다. 카드 로크인 핀(45)이 핀의 팁이 테일피스 액추에이터(38)의 선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전방으로 이동할 때, 카드 로크인 핀(45)의 90도 절곡부는 스프링(46)을 가압한다. 즉, 스프링은 로크가 잠김 모드로 되돌아 올 때, 개시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카드 로크인 핀(45)을 가압한다.
테일피스 드라이버(43)는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된 편심 핑거(44)를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피스 액추에이터(47)의 후방 단부는 핑거(44)가 그안으로 연장된 모래시계 모양의 슬롯을 가진다. 카드 로크인 핀(45)의 90도 절곡단부는 이 슬롯에 또한 수용된다. 도 5의 구성의 결과로서 테일피스 액추에이터(47) 는 로크를 여는 테일피스 드라이버(43)의 회전을 시작하기 위하여, 핑거(44)가 수축되기 전에 회전할 수 있다. 이를 "레이지 캠(Lazy cam)" 작동이라 한다. 이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카드 로크인 핀(45)의 끝단부가 카드 슬롯(11)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카드(51) 내의 구멍(50)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마그넷 보유 코어의 드라이버핀은 드라이버 디스크(30)의 하부 중앙 영역 내에 정상적으로 위치된다. 올바른 카드가 코드 모듈 내에 삽입될 때, 모듈의 마그넷 보유 코어(13)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마그넷 보유 코어의 후방에 있는 드라이버핀(31)은 드라이버 디스크(30)의 개방 슬롯(37) 내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코드 모듈(36)과 코어의 연속적인 회전은 드라이버 디스크(30)를 차례로 회전시키는 드라이버 핀(31)을 회전시킨다. 디스크 내의 사각 구멍은 테일피스 액추에이터의 사각부분(38)을 수용하며 이도 또한 회전한다. 테일피스 액추에이터(47)가 만곡된 카드 로크인 핀(45)을 지지할 때, 회전은 카드(51)가 구멍(50)을 통하여 관통하는 곳에서 핀이 카드 슬롯 내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슬리브(48) 내의 나선형 슬롯 위에 핀의 팁(55)이 놓이도록 하며, 제거가 방지된다. 써클립(58, Circlip)은 디스크(30)가 마그넷 보유 코어(13)의 후방 표면과 접촉되며, 이는 기구의 잼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코드 모듈의 역방향 회전은 카드 내의 구멍(50)으로부터 카드 로크인 핀(45)이 수축되게 하며, 로크인 장치의 "잠김" 모드에서 완전히 수축되었을 때, 카드는 카드 모듈 슬롯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카드(51)가 회전된 채로 하우징(36) 내에 보유되어 있을지라도, 하우징이 먼저 회전될 때, 삽입된 카드에 압력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카드(50)는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초기 압력이 커버(10)의 슬롯(11) 내로 완전히 함몰부를 가압하게 될 것이며, 카드는 하우징이 회전될 때, 완전히 삽입된 위치내에 유지되도록 카드 표면에 스탬핑된 함몰부(57)를 가진다. 함몰부는 카드 슬롯에서 커버 두께를 지나쳐 가압되고 함몰부는 카드를 제거하는 데, 저항을 제공하도록 커버의 내측 에지를 파지한다.
본 기술분야에 숙달된 자들에게 자명한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서 고려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22)

  1. 로크를 열고 잠그기 위하여 코드가 입력된 마그네틱 작동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외주 슬롯을 가진 노출된 회전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커버와 로킹 부품이 널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중심축에 관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커버와 함께 회전되도록 장착되며 커버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널 위치로 향하도록 커버를 편위시키도록 축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이격된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방, 하방, 좌측, 우측, 또는 슬롯에 관하여 웨이트의 위치결정에 의하여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가 열려 있을 때, 슬롯 내에서 카드를 지지하기 위한 카드 로크인 기구를 포함하며, 카드 로크인 기구는 로크가 열려 있을 때, 로크가 열려 있는 동안에 슬롯 내에 카드를 지지하고 결합하기 위하여 삽입된 카드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크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
  7. 제 6 항에 있어서,
    로크인 기구는, 액추에이터가 커버의 회전에 따라 몸체 내에서 회전할 때, 액추에이터의 축 방향 이동을 야기시키도록 활주 가능한 로크 액추에이터 둘레에 외주 나선형 요홈 내로 핀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통로를 가진 고정 위치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
  8.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 개방 기구에 결합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아답터와, 아답터에 부착되고 로크를 내장하는 핸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는, 다른 로크 기구의 스핀들 치수(dimension)에 맞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핸들이 이미 로크에 설치된 핸들을 대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중앙 로크 스핀들 아답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핸들은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고 있다면, 웨이트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웨이트가 달린 슬롯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로 작동되는 로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 2, 6 내지 9 및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로크에 사용하기 위한 자기적으로 코드가 입력된 마그네틱 카드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카드는 슬롯으로부터 카드를 제거할 때 저항을 제공하며 슬롯에 카드가 삽입됨에 따라 슬롯과 결합하는 카드로부터 움푹 들어간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
KR1020057019560A 2003-05-23 2004-03-18 마그네틱 키로 작동되는 로크 KR101042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43,818 US6840071B2 (en) 2003-05-23 2003-05-23 Magnetic key-operated locks
US10/443,818 2003-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511A KR20060015511A (ko) 2006-02-17
KR101042455B1 true KR101042455B1 (ko) 2011-06-16

Family

ID=3345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560A KR101042455B1 (ko) 2003-05-23 2004-03-18 마그네틱 키로 작동되는 로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40071B2 (ko)
EP (1) EP1627120A4 (ko)
JP (1) JP4716995B2 (ko)
KR (1) KR101042455B1 (ko)
CN (1) CN2881009Y (ko)
AU (1) AU2004240966B2 (ko)
MY (1) MY136904A (ko)
TW (1) TWI328068B (ko)
WO (1) WO2004104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8154B (en) * 2003-04-10 2004-03-17 Barrie Jones Door lock
US7080533B2 (en) * 2003-05-23 2006-07-25 Bruce Samuel Sedley Lock and magnetically coded card
US8661289B2 (en) * 2005-02-18 2014-0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CPU repair
US7100833B1 (en) * 2005-07-16 2006-09-05 Sedley Bruce S Mechanical device to encode magnetic cards
US20080202178A1 (en) * 2006-12-06 2008-08-28 Lanz Christopher P Key Trapping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063303B1 (ko) 2009-11-02 2011-09-07 박경숙 기계식 카드키 모듈
WO2011109081A1 (en) * 2010-03-01 2011-09-09 Flow Security Systems, Inc. Magnet activated security system
GB201111190D0 (en) * 2011-06-30 2011-08-17 Agco Int Gmbh Tractor cabs
CN102304992B (zh) * 2011-07-01 2013-06-12 徐军伙 一种电子锁的防盗装置
ITTV20130018A1 (it) * 2013-02-15 2014-08-16 Pier Luigi Oliana Struttura di serratura per una porta o anta.
JP6325976B2 (ja) * 2014-12-26 2018-05-16 シャーロック株式会社 カード式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8412A1 (de) * 1995-08-26 1997-03-06 Schulte-Schlagbaum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durch einschieben einer bereichsweise magnetisierten schlüsselkarte freizugebender schliessfunktion
US5653134A (en) * 1994-11-17 1997-08-05 Lee; Jae-Hak Magnetic card key-operated locking device
WO2003025317A1 (de) * 2001-09-14 2003-03-27 Keiden Sango Co., Ltd. Karten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5460A (en) * 1975-05-30 1976-12-07 Sedley Bruce S Magnetic card key operated door lock structure
US4133194A (en) * 1976-12-02 1979-01-09 Bruce S. Sedley Magnetic key operated door lock
US4312198A (en) * 1979-08-09 1982-01-26 Sedley Bruce S Magnetic key operated hotel door lock
EP0301324B1 (de) * 1987-07-25 1992-09-16 Schulte-Schlagbaum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durch Einschub einer kodierten Karte freizugebender Schliessfunktion
DE4002092A1 (de) * 1990-01-25 1991-08-01 Schulte Schlagbaum Ag Schloss mit durch einschieben einer bereichsweise magnetisierten schluesselkarte freizugebender schliessfunktion
GB9213652D0 (en) * 1992-06-26 1992-08-12 Sedley Bruce S Magnetic locks
DE4341791A1 (de) * 1993-06-04 1994-12-08 Vendoret Holding Sa Karte für ein Pfandschloß
JP3492589B2 (ja) * 2000-04-10 2004-02-03 株式会社計電産業 施錠設定変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3134A (en) * 1994-11-17 1997-08-05 Lee; Jae-Hak Magnetic card key-operated locking device
WO1997008412A1 (de) * 1995-08-26 1997-03-06 Schulte-Schlagbaum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durch einschieben einer bereichsweise magnetisierten schlüsselkarte freizugebender schliessfunktion
WO2003025317A1 (de) * 2001-09-14 2003-03-27 Keiden Sango Co., Ltd. Kartensch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7120A4 (en) 2012-05-02
WO2004104334A1 (en) 2004-12-02
JP2006528291A (ja) 2006-12-14
MY136904A (en) 2008-11-28
CN2881009Y (zh) 2007-03-21
JP4716995B2 (ja) 2011-07-06
AU2004240966B2 (en) 2010-01-07
KR20060015511A (ko) 2006-02-17
AU2004240966A1 (en) 2004-12-02
TW200427910A (en) 2004-12-16
EP1627120A1 (en) 2006-02-22
US6840071B2 (en) 2005-01-11
TWI328068B (en) 2010-08-01
US20040231377A1 (en)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881135T3 (en) Locking mechanism for door locks with handle or knobs
US3750433A (en) Mortise lock retract mechanism
JPH0662150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042455B1 (ko) 마그네틱 키로 작동되는 로크
CA2215950C (en) Low profile handle
US3765199A (en) Lock anti-pick device
GB2174453A (en) Door lock assembly
RU2324042C2 (ru) Блок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двери
US6722169B2 (en) Door locking handle assembly
IE20110344A1 (en) Lock cylinder
KR100297034B1 (ko) 잠금장치
WO2005124068A1 (en) Magnetically coded card for card-operated locks
JP3522715B2 (ja) 符号合わせ錠組込み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5056835A (en) Latching mechanism for a closure with a disconnectable handle and a sliding catch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FI91096B (fi) Sylinterilukko
US7339472B2 (en) Self-adjusting cam assembly
US5551263A (en) Lock with dead bolt camming action on 90 degree lock cylinder rotation
EP0162158A1 (en) Cylinder lock and key
JP4445211B2 (ja) サムターン
JP4289596B2 (ja) 錠前用サムターン装置
JP2001193326A (ja) サムターン錠装置
CA2503683C (en) Self-adjusting cam assembly
JP4174284B2 (ja) 錠前用サムターン装置
JP3897314B2 (ja) 自動施錠型錠前における作動モード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