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993B1 - 오일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오일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993B1
KR101041993B1 KR1020110022815A KR20110022815A KR101041993B1 KR 101041993 B1 KR101041993 B1 KR 101041993B1 KR 1020110022815 A KR1020110022815 A KR 1020110022815A KR 20110022815 A KR20110022815 A KR 20110022815A KR 101041993 B1 KR101041993 B1 KR 10104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il
magnetic rod
filter ba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섭
Original Assignee
이호섭
(주)진우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섭, (주)진우에프티 filed Critical 이호섭
Priority to KR102011002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993B1/ko
Priority to JP2011243338A priority patent/JP2012192400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오일여과 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챔버(33)가 형성되고, 이 챔버(33)의 일측과 타측에 오일이 유출입되도록 유입구(34)와 배출구(35)가 형성된 본체(32)와; 상기 유입구(34)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3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다수의 유입파이프(36)와; 상기 각 유입파이프(36) 상에 거치되되, 상기 유입파이프(36)를 내장하도록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불순오일을 필터링하여 상기 챔버(33) 상으로 배출하도록 된 다수의 필터백(37)과; 상기 챔버(33)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백(37)으로부터 배출된 오일 내의 철성분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봉(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여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일여과장치{Oil fil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오일여과 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조기나 압연기 등에서는 단조나 압연시에 냉각 및 윤활을 목적으로 오일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일에는 대개 단조기나 압연기와 같은 메인장치에서 단조나 압연공정 중에 발생된 미세철분과 슬러지 등이 포함되며, 이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여과장치를 통하여 별도의 필터링과정을 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조기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스틸와이어와 같은 가공재료를 단조공정을 통해 볼트나 너트 등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때에 사용되는 스틸와이어는 그 표면에 부식액(인산염)을 화학적 또는 전기적 반응에 의해 부식생성물층을 형성한 통상적인 인산염 피막처리(또는 본데라이트)가 된 것으로, 이러한 피막처리는 인발이나 냉간단조 등과 같은 소성가공에서 가공재료가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윤활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단조공정 중에 사용되는 오일 내에는 전술된 스틸와이어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분말이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어 있으며, 이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단조기에 부속되도록 오일여과장치를 구비하여 단조공정 중에 배출되는 불순오일을 필터링한 후에, 필터링된 정제오일을 다시 단조기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오일여과장치 중의 하나는 원심분리 방식에 의해 불순오일 내에 포함된 철성분과 같은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된 원심분리기로, 이 원심분리기는 고속 회전되는 세퍼레이터에 의해 이물질을 회전체의 내벽에 침전 또는 적체되도록 하고, 원심분리 과정에서 필터링된 정제오일을 전술된 바와 같은 메인장치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원심분리기는 분리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원심분리기를 분해 및 조립하는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과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장치에 의해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며, 슬러리 및 철성분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여 오일여과 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킴과 동시에 필터링시간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오일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챔버(33)가 형성되고, 이 챔버(33)의 일측과 타측에 오일이 유출입되도록 유입구(34)와 배출구(35)가 형성된 본체(32)와;
상기 유입구(34)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3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다수의 유입파이프(36)와;
상기 각 유입파이프(36) 상에 거치되되, 상기 유입파이프(36)를 내장하도록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불순오일을 필터링하여 상기 챔버(33) 상으로 배출하도록 된 다수의 필터백(37)과;
상기 챔버(33)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백(37)으로부터 배출된 오일 내의 철성분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봉(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32)에는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봉(38)을 상기 챔버(33)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공(39)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9)에는 상기 마그네틱봉(38)의 외주면 상에 부착된 철성분을 스크래핑하도록 된 단관체 형상의 스크래퍼(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32)는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바닥면(41)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바닥면(41)에는 상기 배출구(35)와 이 배출구(3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봉(38)의 하부에 오일의 레벨이 형성되도록 상기 챔버(33) 내의 오일량을 조절하는 레벨조절구(42) 및 이 레벨조절구(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슬러리와 철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백(37)은 내부공간이 다수로 구획되도록 재봉선(49)이 형성되며;
상기 각 재봉선(49)은 상기 필터백(37)의 상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백(37)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본체(32) 내에 다수의 필터백(37)이 내장되어 1차적으로 불순오일을 필터링하고, 이 필터백(37)을 통과한 1차 정제오일에 포함된 철성분을 마그네틱봉(38)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본체(32)에 다수의 필터백(37)과 마그네틱봉(38)이 다단계에 걸쳐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되어 컴팩트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도 여과효율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봉(38)은 본체(3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마그네틱봉(38)을 본체(32)로부터 분리할 때에 외주면에 부착된 철성분을 스크래퍼(40)에 의해 긁어내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봉(38)을 본체(32)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에 의해 철성분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32)는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바닥면(41)이 형성되고, 그 경사바닥면(41)에 높이를 달리하는 배출구(35)와 레벨조절구(42) 및 이물질배출구(43)가 형성됨으로써, 슬러리와 철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본체(32)의 저면 일측으로 수집되어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백(37)은 순차적으로 길어지도록 된 재봉선(49)에 의해 내부공간이 다수로 구획됨으로써, 불순오일 내에 포함된 슬러리와 철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필터백(37)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쌓이도록 하여 필터백(37) 전체를 사용하여 필터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필터백(37)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와 측면도 및 구성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31) 상에 본체(32)가 구비되는데, 이 본체(32)는 내부에 챔버(33)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단조기와 같은 메인장치로부터 배출된 슬러리와 철성분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불순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34)가 형성되며, 이 유입구(34)에는 상기 챔버(33)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유입파이프(36)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각 유입파이프(36)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은 필터백(37)이 거치되는데, 이 필터백(37)은 상기 유입파이프(36)를 내장하도록 구비되어 그 내부로 유입되는 불순오일을 필터링하여 상기 챔버(33) 상으로 배출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챔버(33)의 상부에 위치된 유입파이프(36)로 유입된 불순오일이 자유낙하 방식에 의해 상기 필터백(37)을 통과하여 챔버(33)의 하부측으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소정의 메쉬를 갖는 여과포로 이루어진 필터백(37)에 의해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필터백(37)은 상기 유입파이프(36) 상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챔버(33)의 하부측으로 연장된 백형태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33) 내에는 상기 필터백(37)으로부터 배출된 1차 정제오일 내에 잔류된 철성분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도록 다수의 마그네틱봉(38)이 구비되는데, 이 마그네틱봉(38)은 상기 챔버(33)의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3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본체(31)에는 상기 마그네틱봉(38)에 대응된 위치에 결합공(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공(39)에는 상기 마그네틱봉(38)의 착탈과정에서 그 외주면에 부착된 철성분을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틱봉(38)의 외경에 대응된 직경이 형성된 단관체 형상의 스크래퍼(4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는 그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바닥면(4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바닥면(41)은 상기 스크래퍼(40)가 위치된 일측이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바닥면(41)에는 상기 필터백(37)과 마그네틱봉(38)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정제오일이 배출되도록 배출구(35)와 상기 마그네틱봉(38)에 분리된 철성분 및 저면에 침전된 슬러리를 배출하도록 된 이물질배출구(43)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35)는 상기 경사바닥면(4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관(44)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44)은 상기 마그네틱봉(38)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필터백(37)으로부터 배출되어 챔버(33) 내에 충전되 오일의 레벨이 일정 수준으로 높아지는 경우에 챔버(33) 내의 오일이 오버플로우되어 배출구(35)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출구(35)는 경사바닥면(41)에서 상기 이물질배출구(4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배출구(43)는 경사바닥면(41)의 저점부근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봉(38)을 본체(31)로부터 분리할 때에 상기 스크래퍼(40)에 의해 제거되는 철성분 및 비중에 의해 침전된 슬러리가 수집되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바닥면(41)에는 상기 배출구(35)와 이물질배출구(4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출구(35)에 비해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오일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된 레벨조절구(42)가 더 형성되는데, 이 레벨조절구(42)는 상기 마그네틱봉(38)의 하부에 오일의 레벨이 형성되도록 챔버(33) 내의 오일량을 조절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봉(38)을 본체(31)로부터 분리할 때에 상기 스크래퍼(40)의 홀을 통하여 챔버(33) 내의 오일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챔버(33)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34)를 통해 불순오일이 유입되어 필터백(37)과 마그네틱봉(38)을 순차적으로 거쳐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에, 챔버(33)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35)를 통하여 자동배출되는 자유낙하 흐름구조에 의해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본체(32) 내에 불순오일을 강제적으로 순환하거나 진로를 변경하도록 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내부 구성에 의해 장치의 고장이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 3과 도 4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봉(38)은 원형단면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에 접힘 가능한 손잡이(45)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링형상의 자성체(46)와 비자성체(47)가 교대로 배치되되, 양단부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비자성체(47)로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철성분을 용이하게 부착시키면서도 상기 스크래퍼(40)에 의해 철성분을 분리할 때에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백(37)은 사면이 밀봉된 백형태로 구비되어 그 상단의 일측 코너에 상기 유입파이프(36)가 삽입되도록 개구부(48)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을 다수로 구획하도록 재봉선(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재봉선(49)은 상기 필터백(37)의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필터백(37)의 내측 상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백(37)의 일부를 상하방향으로 재봉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백(37)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유입파이프(36)의 단부측에 불순오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충분히 큰 직경의 배출공(50)을 형성하고, 이 배출공(50)의 직하방에 위치된 구획공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물질이 쌓이도록 하여 필터백(37) 전체에 걸쳐 이물질이 골고루 쌓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필터백(37)의 전체를 사용하여 필터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필터백(37)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본체(32)의 외부 측면에 구비된 거치대(51)를 나타낸 것으로, 이 거치대(51)는 상기 챔버(33)로부터 분리한 마그네틱봉(38)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챔버(33)가 형성되고, 이 챔버(33)의 일측과 타측에 오일이 유출입되도록 유입구(34)와 배출구(35)가 형성된 본체(32)와;
    상기 유입구(34)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3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다수의 유입파이프(36)와;
    상기 각 유입파이프(36) 상에 거치되되, 상기 유입파이프(36)를 내장하도록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불순오일을 필터링하여 상기 챔버(33) 상으로 배출하도록 된 다수의 필터백(37)과;
    상기 챔버(33)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백(37)으로부터 배출된 오일 내의 철성분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봉(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에는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봉(38)을 상기 챔버(33)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공(39)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9)에는 상기 마그네틱봉(38)의 외주면 상에 부착된 철성분을 스크래핑하도록 된 단관체 형상의 스크래퍼(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는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바닥면(41)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바닥면(41)에는 상기 배출구(35)와 이 배출구(3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봉(38)의 하부에 오일의 레벨이 형성되도록 상기 챔버(33) 내의 오일량을 조절하는 레벨조절구(42) 및 이 레벨조절구(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슬러리와 철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37)은 내부공간이 다수로 구획되도록 재봉선(49)이 형성되며;
    상기 각 재봉선(49)은 상기 필터백(37)의 상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백(37)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
KR1020110022815A 2011-03-15 2011-03-15 오일여과장치 KR10104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815A KR101041993B1 (ko) 2011-03-15 2011-03-15 오일여과장치
JP2011243338A JP2012192400A (ja) 2011-03-15 2011-11-07 オイル濾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815A KR101041993B1 (ko) 2011-03-15 2011-03-15 오일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993B1 true KR101041993B1 (ko) 2011-06-16

Family

ID=4440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815A KR101041993B1 (ko) 2011-03-15 2011-03-15 오일여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192400A (ko)
KR (1) KR1010419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407B1 (ko) 2012-06-27 2014-08-26 전옥수 식용유 여과장치
CN104117427A (zh) * 2014-08-03 2014-10-29 广西北流市智诚陶瓷自动化科技有限公司 磁力可控自动除铁装置
KR102401204B1 (ko) * 2022-01-19 2022-05-24 (주)피에프원테크 오일 정제기
KR102479787B1 (ko) 2022-05-20 2022-12-21 주식회사 에이메카텍 여과지를 이용한 오일 필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2311A (zh) * 2016-08-22 2017-01-04 桂林百坚汽车附件有限公司 一种防止积油挥发的汽车零件车
CN106272310A (zh) * 2016-08-22 2017-01-04 桂林百坚汽车附件有限公司 一种防堵塞汽车零件车
CN106112945A (zh) * 2016-08-22 2016-11-16 桂林百坚汽车附件有限公司 一种加快油水分离的汽车零件车
CN106275008A (zh) * 2016-08-22 2017-01-04 桂林百坚汽车附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车
CN107321498A (zh) * 2017-07-25 2017-11-07 安徽瑞泰汽车零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零件过滤除渣系统
CN107469459A (zh) * 2017-09-30 2017-12-15 贵州贵果王实业有限公司 一种火龙果酒制备用火龙果汁过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298U (ko) * 1997-12-31 1999-07-26 추호석 자석붙이 오일필터
JP2006341212A (ja) 2005-06-10 2006-12-21 Magnetec Japan Ltd 磁性異物類除去清掃装置
KR100822344B1 (ko) 2006-12-28 2008-04-17 (주)청류에프앤에스 산업용 유체 여과장치
KR100889228B1 (ko) 2008-04-10 2009-03-17 이동원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846Y2 (ko) * 1978-04-03 1980-10-07
JPS57199010U (ko) * 1981-06-12 1982-12-17
JPS641707U (ko) * 1987-06-23 1989-01-06
JP3035322U (ja) * 1996-09-02 1997-03-18 株式会社シイエヌケイ 不銹磁性体式微細鉄粉捕集装置
JPH11344199A (ja) * 1998-05-29 1999-12-14 Nippon Seiko Kk 潤滑油供給装置
JP2002253909A (ja) * 2001-03-05 2002-09-10 Goei Seisakusho:Kk 濁水濾過装置および濾過装置に用いるフィルター
JP2008228786A (ja) * 2007-03-16 2008-10-02 Brother Ind Ltd ミシンのオイルタンク
JP2010253619A (ja) * 2009-04-24 2010-11-11 Aw Service:Kk 可搬型切削液再利用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切削液再利用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298U (ko) * 1997-12-31 1999-07-26 추호석 자석붙이 오일필터
JP2006341212A (ja) 2005-06-10 2006-12-21 Magnetec Japan Ltd 磁性異物類除去清掃装置
KR100822344B1 (ko) 2006-12-28 2008-04-17 (주)청류에프앤에스 산업용 유체 여과장치
KR100889228B1 (ko) 2008-04-10 2009-03-17 이동원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407B1 (ko) 2012-06-27 2014-08-26 전옥수 식용유 여과장치
CN104117427A (zh) * 2014-08-03 2014-10-29 广西北流市智诚陶瓷自动化科技有限公司 磁力可控自动除铁装置
KR102401204B1 (ko) * 2022-01-19 2022-05-24 (주)피에프원테크 오일 정제기
KR102479787B1 (ko) 2022-05-20 2022-12-21 주식회사 에이메카텍 여과지를 이용한 오일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92400A (ja)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993B1 (ko) 오일여과장치
CN101972559B (zh) 油水分离装置及油水分离方法
KR20130027439A (ko) 연속 순환식 모래여과기 및 방법
CN210905278U (zh) 一种脱模剂废水再回收前处理装置
RU2469771C1 (ru) Сепаратор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CN103816711B (zh) 多用固液分离器
KR101142966B1 (ko)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CN102407492A (zh) 印刷电路板研磨生产线用铜粉回收设备
JP6998367B2 (ja) 流体用フィルタ装置
CN106513173A (zh) 一种液相循环固相收集的含铁磁性微粒加工液分离装置
JP4198353B2 (ja) 工業用油の濾過装置
CN105642014A (zh) 一种可拆洗式离心涡流过滤装置及其循环过滤系统
CN207468560U (zh) 一种天然气过滤管道
CN208943648U (zh) 一种快速三相分离的过滤机
CN207659239U (zh) 含固体颗粒的工业液体处理系统
CN104587721B (zh) 密封式滤芯截面可清洗的板式过滤机
JP2009090268A (ja) サイクロン式濾過装置
CN211097926U (zh) 一种旋流式过滤器
CN107899278A (zh) 一体化细盐颗粒回收装置
CN210304142U (zh) 一种连续化液固分离装置
CN208003533U (zh) 一种一体化细盐颗粒回收装置
RU2254297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фильтр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CN208322351U (zh) 一种套丝机接屑过滤盘
CN206604633U (zh) 一种液相循环固相收集的含铁磁性微粒加工液分离装置
CN109179765A (zh) 一种水处理用高效组合式除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