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748B1 -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748B1
KR101041748B1 KR1020100046637A KR20100046637A KR101041748B1 KR 101041748 B1 KR101041748 B1 KR 101041748B1 KR 1020100046637 A KR1020100046637 A KR 1020100046637A KR 20100046637 A KR20100046637 A KR 20100046637A KR 101041748 B1 KR101041748 B1 KR 101041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oad
lane
delete delete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홀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홀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홀인원
Priority to KR102010004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도로상의 차선을 무선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 차선 구조 및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차선 제어 시스템은, 도로상의 차선을 발광 제어하기 위한 차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다층의 압착 구조를 갖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 레벨의 휘도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면, 상기 발광면의 배면으로 형성되어 도로상으로 부착되기 위한 접착면, 상기 발광면과 접착면 사이로, 공기 중으로 방사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공중파 신호에 의해 소량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임의의 시간대에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켜 발광을 유도하기 위한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발광 차선; 및 소정 위치로 설치되어 설정된 송신 주파수를 송출하는 주파수 송신국;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의 편의성과 제조 단가를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어, 도로상으로 발광 차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외부의 직접적인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설정된 주파수 송출 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EMITTING TRAFFIC LANE AND CONTROLL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으로 부착 가능한 시트 구조를 갖고, 자체 발전 및 축전 기능을 토대로 야간 시 차선 표면을 발광시켜, 건물 내, 화재 대피로, 해안도로, 호반도로, 울릉도 및 터널 등의 차선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도로는 자동차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차선에 의해 여러 개의 차로로 구획되어 있고, 이러한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은 차선으로 구획된 차로를 따라 질서정연하게 주행함으로써 안전운행을 담보하게 된다. 따라서 차선은 도로교통의 안전과 소통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바, 항시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주행 중 자유로운 차로변경 등을 위해 노면으로부터 과도하게 돌출되지도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차선은 운전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 등을 함유한 유색도료를 사용하여 도로표면에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정형태로 얇게 도장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야간이나 눈비 등으로 인한 기상 악천후 시에는 차선의 구별이 대단히 어려워지고, 이 때문에 차량이 차선을 넘어 인접 차로로 침범함으로써 인접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과 추돌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곡선구간의 경우 사고발생률이 크게 증가 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상습적인 안개출몰지역의 경우 차선구별이 더욱 어려워 잦은 사고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안전상 차로변경이 제한되고 있는 터널 내에서도 차선구별의 어려움으로 인접차로 침범으로 인한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특히, 도로의 중앙에 형성되어 도로를 진행방향별로 구획해주는 중앙선을 침범할 경우 서로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들이 정면충돌할 위험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와 함께 더욱 확실한 시인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대체로 중앙선에는 단순히 반사지에 의해 차량 전조등의 불빛을 반사시키거나, 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02339호 및 특허공개번호 제2005-0095754호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LED 등을 내장하여 전조등 반사와 조명을 병행함으로써 시인성을 높여주는 별도의 도로표지병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한편,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64008호에는 태양열집열판과 복수의 라이트를 내장하고,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축전지를 통해 도로의 중앙선이나 갓길 위에 형성한 설치구멍에 장착하여, 이상기후나 일몰 시 자동으로 라이트가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쏠라 차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쏠라 차선은 몸체 전체가 노상에 돌출되기 때문에 차량의 자유로운 주행과 차로변경 등을 허용해야 하는 차선으로는 적용할 수 없으며, 갓길이나 중앙선 또는 갈림길의 안전지대 라인 위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예컨대 통상의 “도로표지병”과 같이 악천후시 조명으로써 차량의 안전운행을 보조적으로 도와주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또한, 본 발명과 유사한 것으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65874호에는 상면에 투광창을 가지고 다수의 LED를 내장하여 도로에 에폭시나 우레탄 타설에 의해 매설됨으로써 LED의 불빛에 의해 횡단보도를 구성하는 도로 횡단보도용 발광표시장치가 제시되어 있고, 등록번호 20-0268042호에는 조명수단을 내장한 금속프레임을 지면 등의 바닥면에 매설하여 앵커로 고정하고, 상면을 투시캡으로 복개시켜 도로나 지하철 탑승 대기장 또는 주차장 등 각종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경계로 사용하기 위한 경계 라인장치가 제시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도로 전체에 설치되어 고중량의 차량에 의한 유동하중에 견디어야 하는 차선으로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를 안고 있다. 즉, 도로 위에는 적어도 수 톤에서 수십 톤에 이르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상술한 선행기술들이 차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불규칙한 유동하중에도 변형이나 손상 없이 충분히 지탱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설비가 극히 용이해야 한다. 차선은 수백 ~ 수천 Km의 도로상으로 설비,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선행기술들에서 보여지는 제품과 같이 제조 단가가 높을 경우, 실질적으로 도로상에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상으로 부착 가능한 시트화된 구조의 차선을 제공하여, 도로상의 차선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선 시트 내부로 소정 주파수와 동조하도록 코일 안테나를 탑재하고, 코일 안테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축전한 후, 적정 시간에 전기 에너지를 소비시켜 발광토록 설계함으로써, 설계의 단순성과 제조의 용이성을 인해 발광 차선의 대량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 차선의 발광 제어를 RF태그를 이용하여 지역별 또는 가변 차선에 대한 선별 발광을 수행할 수 있는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발광 차선은, 도로상의 차선을 발광 제어하기 위한 차선 구조에 있어서, 다층의 압착 구조를 갖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 레벨의 휘도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면, 상기 발광면의 배면으로 형성되어 도로상으로 부착되기 위한 접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면과 접착면 사이로, 공기 중으로 방사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공중파 신호에 의해 소량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임의의 시간대에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켜 발광을 유도하기 위한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발광 차선 제어 시스템은, 도로상의 차선을 발광 제어하기 위한 차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다층의 압착 구조를 갖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 레벨의 휘도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면, 상기 발광면의 배면으로 형성되어 도로상으로 부착되기 위한 접착면, 상기 발광면과 접착면 사이로, 공기 중으로 방사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공중파 신호에 의해 소량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임의의 시간대에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켜 발광을 유도하기 위한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발광 차선; 및 소정 위치로 설치되어 설정된 송신 주파수를 송출하는 주파수 송신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차선은, 제조의 편의성과 제조 단가를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어, 도로상으로 발광 차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외부의 직접적인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설정된 주파수 송출 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차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차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101)은 다층의 압착 구조를 갖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 레벨의 휘도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면(103)과 발광면(103)의 배면으로 형성되어 도로상으로 부착되기 위한 접착면(10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광면(103)은 차선 이탈 상태를 운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면 돌기부(107)가 간헐적으로 형성되며, 각 표면 돌기부(107) 사이로 인입 공간부(109)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 공간부(109)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공간이다.
한편, 상기 접착면(105)은 도로상으로 부착되는 면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며, 접착제의 성분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의 2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그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라비아 코팅 또는 콤마코팅 등의 방법으로 건조 후 두께로서 2 내지 25 ㎛가 되도록 코팅하고, 100℃에서 1분 내지 2분간 건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면(103)은 발광의 효율성과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플라스틱 비드를 부분적으로 매립하여 제조하여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10℃ 이하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것에 경화제를 균일하게 혼합한 액상 조성물로 축광안료 또는 형광안료가 첨가된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여러 종류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아크릴계 수지를 경화제로 가교결합시킨 아크릴계 수지가 가장 적합하다.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hydoxyprop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단량체(monomer)로 이루어지는 단독중합체(homopolymer) 또는 2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수지는 통상의 중합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경화제로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diisocyanate)와 같은 다관능성의 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열경화에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면(105)과 발광면(103)은 플렉시블 회로기판과 상호 부착 및 합판함으로써, 시트 구조의 발광 차선이 완성되며 도 2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측면으로 발광면(103)과 접착면(105) 사이로 플렉시블 회로기판(201)이 접합되는데,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201)은 공기 중으로 방사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공중파(전자기파) 신호에 의해 즉, 전자기파의 무선으로 소량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임의의 시간대에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켜 발광을 유도한다. 발광은 전술된 야광물질과 더불어 간헐적인 발광을 수행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2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301)를 포함하여, 소정의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시트 구조의 축전지(307)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20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설정된 공중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동조하기 위한 동조 안테나(301)와, 상기 동조 안테나(301)의 주파수 동조를 위한 LC 동조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파 신호로 변조된 발광지시 또는 충전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 소자(301)를 점소등 제어하거나 상기 축전지(307)로 충전을 지시하는 태그(305)로 이루어진다.
상기 태그(305)는 지역별, 도로별로 고유 ID 정보를 보유할 수 있으며, 상기 고유 ID 정보에 기반하여 임의의 시간 또는 임의의 위치로 설치된 발광 시트를 점소등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광소자(301)는 SMD 타입의 LED 소자가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 유기발광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301) 및 태그(305)는 차량 하중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인입 공간부(109)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됨이 적절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위치로 설치되는 주파수 송신국(401)에서 설정된 송신 주파수를 발신한다. 송신 주파수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채널로서, 수십 내지 수백 MHz의 주파수 신호가 적절할 것이다. 이러한 송신 주파수 즉, 공중파 신호는 발광 지시 또는 충전 지시에 따른 코드화된 정보가 변조되며, 필요에 따라 지역별, 도로별 선별 발광을 위한 ID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D 정보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국토 전체 도로상으로 설치되는 발광 차선에 대한 일괄적인 발광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태그(305)는 발광지시, 충전지시 및 ID 정보에 대한 식별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 송신국(401)에서 발신되는 공중파 신호는 상기 플랙시블 회로기판(201)의 내주 면을 따라 형성된 동조 안테나(303) 및 상기 태그(305)로 설계된 동조회로에 의해 공주파 신호에 대한 특정 주파수 대역이 동조 된다. 이에, 상기 주파수 송신국(401)은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공중파 신호, 공중파 신호에 변조되는 발광지시 코드 또는 충전지시 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발광지시 코드 및 충전지시 코드는 간헐적으로 전송 예컨대, 6시간 주기 또는 12시간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태그(305)는 이러한 발광지시 코드 및 충전지시 코드를 수신할 경우, 해당 코드를 래치(LATCH)하여 주파수 송신국(401)의 지시 명령을 저장한다. 따라서, 주파수 송신국(401)은 발광소자(301)의 점소등 제어시에만 해당 코드를 전송한다.
먼저 주간 시, 상기 주파수 송신국(401)은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공중파 신호를 전송하며, 발광 차선의 충전 기능을 지시하기 위한 충전지시 코드를 변조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플랙시블 회로기판(201)의 동조 안테나(303) 및 태그(305)의 동조 회로는 충전지시 코드를 인지한 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축전지(307)로 전기 에너지 충전을 위한 스위칭을 수행한다.
상기 축전지(307)는 공중파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성 전기 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는 소자 예컨대, 브릿지 다이오드와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동조 안테나(303)에서 발진되는 전기 에너지는 축전지(307)로 충전된다. 여기서, 충전 에너지는 동조 안테나(303)의 코일 권취 수에 비례하고, 또한 공중파 신호의 동조 주파수에 비례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이, 지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진 후, 관리자에 의해 주변의 밝기가 기준치 이하임으로 판단될 때, 관리자는 상기 주파수 송신국(401)을 제어하여 상기 발광차선에 대한 발광 지시를 명령한다.
상기 주파수 송신국(401)은 현재 발신되는 공중파 신호에 발광 지시 코드를 변조하여 송출한다. 이때, 상기 태그(305)는 축전지(307)로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현재 수신되는 공중파 신호에 의해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발광 지시 코드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상기 태그(305)는 발광 지시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축전지(307)로 충전된 에너지를 상기 발광소자(301)로 공급하도록 스위칭을 제어한다.
상기 발광소자(301)는 LED, 고휘도 LED, EL, 유기EL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광소자(301)는 축전지(307)로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소정 휘도의 광원으로 방사하는 것으로, 방사된 광원은 발광면(103)을 통해 공기중으로 방사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면(103)은 유리비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유리비드를 통해 광원의 시인성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301)는 최소한의 갯 수를 장착하여,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리비드가 사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발광차선이 발광되지 않을 경우 즉, 시스템의 오류가 발생될 경우, 상기 유리비드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광원에 의해 전반사가 이루어져 소정의 목적 달성은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그(305)는 고유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ID 정보는 지역별 또는 도로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ID 정보를 기반으로 임의의 지역 또는 도로상의 발광차선을 점소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주파수 송신국(401)은 설정된 지역 또는 도로에 대응하는 ID 정보를 공중파 신호에 변조시켜 송출하며, 상기 태그(305)는 공중파 신호에 대한 복조를 거쳐 태그(305)로 등록된 ID 정보와 비교한다. 태그(305)는 등록된 ID 정보와 현재 복조된 공중파 신호에 대한 ID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축전지(307)로 충전된 전력을 스위칭하여 발광소자(301)를 점등 제어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차선은 공중파 신호에 근거하여 발광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중파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중계기와의 연동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건물 내, 화재 대피로, 해안도로, 호반도로, 울릉도 및 터널과 같이 공중파 신호가 전송되기 어려운 곳으로, 하나 이상의 중계기를 설치하여 발광차선의 구동이 가능한 것이다.
즉, 터널, 건물 내, 화재 대피로 등과 같이 공중파 신호 수신이 어려운 곳이나, 해안도로, 호반도로를 포함하여 독도, 울릉도 등과 같이 공중파 신호 수신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지역으로 다수의 중계를 설치하여 공중파 신호의 수신 전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101 : 발광 차선 103 : 발광면
105 : 접착면 107 : 표면 돌기부
109 : 인입 공간부 201 : 플렉시블 회로기판
203 : 회로 301 : 발광소자
303 : 동조 안테나 305 : 태그
307 : 축전지

Claims (14)

  1. 도로상의 차선을 발광 제어하기 위한 차선 구조에 있어서,
    다층의 압착 구조를 갖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 레벨의 휘도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면, 상기 발광면의 배면으로 형성되어 도로상으로 부착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의 2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접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면과 접착면 사이로, 공기 중으로 방사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공중파 신호에 의해 소량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임의의 시간대에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켜 발광을 유도하기 위하여 인입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MD 타입의 LED 또는 유기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소정의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시트 구조의 축전지와,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설정된 공중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동조하기 위한 동조 안테나와, 상기 동조 안테나의 주파수 동조를 위한 LC 동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중파 신호로 변조된 발광지시 또는 충전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 소자를 점소등 제어하거나 상기 축전지로 충전을 지시하는 태그는 지역별, 도로별로 고유 ID 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고유 ID 정보에 기반하여 임의의 시간 또는 임의의 위치로 설치된 발광 시트를 점소등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차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도로상의 차선을 발광 제어하기 위한 차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다층의 압착 구조를 갖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 레벨의 휘도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면, 상기 발광면의 배면으로 형성되어 도로상으로 부착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의 2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접착면과, 상기 발광면과 접착면 사이로, 공기 중으로 방사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공중파 신호에 의해 소량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임의의 시간대에서 상기 전기에너지를 방전시켜 발광을 유도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SMD 타입의 LED 또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소정의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시트 구조의 축전지와,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중계기에 의해 공급되도록 설정된 공중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동조하기 위한 동조 안테나와, 상기 동조 안테나의 주파수 동조를 위한 LC 동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중파 신호로 변조된 발광지시 또는 충전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 소자를 점소등 제어하거나 상기 축전지로 충전을 지시하는 태그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발광 차선 및
    소정 위치로 설치되어 상기 공중파 신호에 대응하는 수십 내지 수백 MHz의 주파수 신호인 송신 주파수를 송출하기 위해 지역별, 도로별 선별 발광을 위한 ID 정보를 변조 출력하며, 상기 태그는 지역별, 도로별로 고유 ID 정보를 보유함으로써, 지역별, 도로별로 발광차선을 점소등 제어하는 주파수 송신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차선 제어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046637A 2010-05-18 2010-05-18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 KR101041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637A KR101041748B1 (ko) 2010-05-18 2010-05-18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637A KR101041748B1 (ko) 2010-05-18 2010-05-18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748B1 true KR101041748B1 (ko) 2011-06-17

Family

ID=4440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637A KR101041748B1 (ko) 2010-05-18 2010-05-18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2205A (ja) * 1998-09-29 2000-06-23 Daikyo Giken Kogyo Kk フィルム状又は板状発光装置
JP2002358596A (ja) * 2001-05-31 2002-12-13 Kyocera Corp 発光標示装置
KR20040007384A (ko) * 2003-12-30 2004-01-24 이강일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내 장치
KR200407384Y1 (ko) * 2005-11-04 2006-01-31 월드탑텍(주) 솔라셀을 이용한 무선 유도 표시 시스템
KR20070113453A (ko) * 2006-05-24 2007-11-29 (주)애드맨 피난 유도등 겸용 점자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2205A (ja) * 1998-09-29 2000-06-23 Daikyo Giken Kogyo Kk フィルム状又は板状発光装置
JP2002358596A (ja) * 2001-05-31 2002-12-13 Kyocera Corp 発光標示装置
KR20040007384A (ko) * 2003-12-30 2004-01-24 이강일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내 장치
KR200407384Y1 (ko) * 2005-11-04 2006-01-31 월드탑텍(주) 솔라셀을 이용한 무선 유도 표시 시스템
KR20070113453A (ko) * 2006-05-24 2007-11-29 (주)애드맨 피난 유도등 겸용 점자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9919B2 (en) Multi-purpos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018131B2 (en) Long life intelligent illuminated road marker
US9702098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US10774486B2 (en) Light signalling slab and system capable of using such a slab
RU2495186C2 (ru) Светоотражающий столб
KR200418184Y1 (ko) 표시램프
US20100097206A1 (en) Post Cap for Guardrail with Luminous Lamp
US20070223996A1 (en) Emissive road marker system
US11227492B2 (en) Solar induction lamp and induction system using same
JP6340537B2 (ja) 通行体の通行・移動区域に適した照明システム、照明灯及び照明方法
WO2018184416A1 (zh) 一种带有长余辉发光材料的太阳能道钉灯
KR100864457B1 (ko)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KR20140063175A (ko)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
US20210198854A1 (en) Solar Powered Illuminated Safety marker and Improved Housing Therefor
KR102110816B1 (ko) 도로 경계석
JP2000319834A (ja) 道路用防護柵
KR101041748B1 (ko) 발광 차선 및 이의 제어 시스템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110001B1 (ko) 측방발광형 엘이디루프램프체가 구비된 도로차선표시장치
KR102313374B1 (ko) 자가발전 기반 도로 표지병 및 그 제어방법
KR101352465B1 (ko) 커버 개폐가 가능한 led 보조신호등
CN208762902U (zh) 一种可遥控的智能道钉
CN214939555U (zh) 一种智能太阳能路锥
KR102094959B1 (ko) 무선 표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12647839U (zh) 一种三角led警示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