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663B1 - 양면형 절삭 인서트 - Google Patents

양면형 절삭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663B1
KR101041663B1 KR1020090064503A KR20090064503A KR101041663B1 KR 101041663 B1 KR101041663 B1 KR 101041663B1 KR 1020090064503 A KR1020090064503 A KR 1020090064503A KR 20090064503 A KR20090064503 A KR 20090064503A KR 101041663 B1 KR101041663 B1 KR 10104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sert
linear
curved
doubl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886A (ko
Inventor
최병선
이택원
지동룡
장병한
김기헌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6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23B27/1603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with specially shaped plate-like exchangeable cutting inserts, e.g. chip-breaking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2Cutting tools with straight main part and cutting edge at an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23B27/1603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with specially shaped plate-like exchangeable cutting inserts, e.g. chip-breaking groove
    • B23B27/1611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with specially shaped plate-like exchangeable cutting inserts, e.g. chip-breaking groove characterised by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4Overal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12Side or flank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형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면(11)과 하면(12)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체결 홀(50), 상면(11)과 하면(12)의 전후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제2 곡면(13)(14), 제1 곡면(13)에 연장되는 제1 연장면(15), 제2 곡면(14)에 연장되는 제2 연장면(16), 상면(11)과 제1 곡면(13)과 제1 연장면(15)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면(11)과 예각(a)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측면(21), 하면(12)과 제2 곡면(14)과 제2 연장면(16)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하면(12)과 예각(b)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측면(22), 제1 측면(21)과 제2 연장면(16)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제1 여유면(31) 및 제2 측면(22)과 제1 연장면(15)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제2 여유면(32)을 포함한다.
양면형, 절삭인서트

Description

양면형 절삭 인서트 {double side type cutting insert}
본 발명은 양면형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양측에 각각 선형 인선과 곡률 인선이 이어지도록 절인이 형성되어,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닝 툴에는 절삭인서트가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고, 이때 절삭인서트는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하 좌우측에 절인이 형성된다.
종래의 절삭인서트는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양면형 절삭 인서트(500)는 대략 판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502)의 거의 평행하게 하면이 형성되고, 상면(502)과 하면의 전후방 측면에 곡면(504)이 형성되며, 좌우방향 측면에 제1 측면(510)이 형성된다.
또한, 상면(502)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체결 홀(550)이 형성된다.
특히, 상술한 제1 측면(510)은 a°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칩의 배출을 유 도할 수 있게 한다.
즉, 상술한 상면(502)과 상술한 제1 측면(510)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1 선형 인선(512)이 형성되고, 제1 선형 인선(512)은 상술한 곡면(504)에 형성되는 제1 곡률 인선(504)과 이어지는 형상이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절삭 인서트(500)의 좌우방향 측면에는 상술한 제1 측면(510)과 대칭되게 제2 측면(520)이 형성되고, 제2 측면(520)과 하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2 선형 인선(522)이 형성되며, 제2 선형 인선(522)은 곡면에 형성되는 제2 곡률 인선(524)과 이어지는 형상이 된다.
이때 상술한 제1 측면(510)과 제2 측면(520)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 것이고, 제1 측면(510)과 제2 측면(520)이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상술한 제1 선형 인선(512)과 제2 선형 인선(522)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측면(510)과 제2 측면(520)이 만나는 경계(542)는 임의의 경사각을 갖고, 또한 곡면(504)의 끝부분에는 여유면(506)과 경계선(544)이 생기게 된다.
즉, 상술한 종래의 절삭인서트(500)는 제1 선형 인선(512)과 제1 곡률 인선(514)을 이용하여 절삭가공을 실시한 후에 절삭인서트(500)를 뒤집어서 제2 선형인선(522)과 제2 곡률인선(524)을 이용하여 절삭가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절삭인서트(5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절삭인서트(500)가 제조된 후에는 규격에 맞게 생산되었는지 치수를 검사하여 검증하게 되는데, 제1 선형 인선(512)과 제2 선형 인선(522)은 서로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각도를 측정하기에 위해서는 일반적인 계측장비로 측정이 불가능하고 매우 정교하고 특수한 계측장비를 동원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측면(510)과 제2 측면(520)은 서로 평행하거나 하지 않고 3차원 공간에서 임의 각을 갖도록 비틀어져 있으므로 가공 제작할 때에 제작이 쉽지 않고 가공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절삭인서트(500)는 어느 하나의 제1 측면(510)을 형성시킬 때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2 측면(52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유면(506)을 가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여유면(506)은 피삭재를 절삭가공하는 데에 이용되지 못하여 절삭인서트(500)의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절삭인서트(500)는 경계(542)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써 경계(542)의 어느 한쪽은 상대적으로 제1, 제2 선형인선(512)(522)과 무척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로써, 절삭가공을 실시하는 동안에 절삭 칩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칩은 사용하지 않는 반대쪽의 제1 선형인선(512) 또는 제2 선형인선(522)에 부딪힐 수 있고, 이렇게 지속적으로 칩이 부딪힘으로 인하여 제1, 제2 측면(510)(520) 또는 제1, 제2 선형인선(512)(522)이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제1, 제2 측면(510)(520)이 손상될 경우에는 밀링공구에 장착할 때에 정교하게 장착되지 못할 수 있고, 제1, 제2 선형인선(512)(522)이 손상된 경우에는 피삭재의 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하좌우의 모서리에 선형인선과 곡률인선을 형성하여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삭인서트에 있어서, 모든 선형인선이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가공제작이 편리하도록 하고 치수의 계측 및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삭인서트의 측면에 상측측면과 하측측면으로 구분되어 각각 경사각을 갖도록 하도록 상측측면과 하측측면 중에 어느 한 쪽을 가공하더라도 다른 한쪽의 절인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여 더욱 정교한 절삭인서트를 가공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삭인서트의 여유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형성되는 절인도 절삭가공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절삭인서트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면과 하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체결 홀;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의 전후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제2 곡면; 상기 제1 곡면에 연장되는 제1 연장면; 상기 제2 곡면에 연장되는 제2 연장면;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1 연장면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과 예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하면과 상기 제2 곡면과 상기 제2 연장면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면과 예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연장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제1 여유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1 연장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제2 여유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 선형 인선;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2 선형 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형인선과 상기 제2 선형인선은 평행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1 연장면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과 예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제2 곡면과 상기 제2 연장면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면과 예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4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과 상기 제3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3 선형 인선;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제4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4 선형 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선형인선과 상기 제4 선형인선은 평행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형인선과 상기 제3 선형인선은 평행한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하좌우에 형성된 모든 선형인선이 평행을 이룸으로써 치수 계측 및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하좌우에 형성된 모든 선형인선이 평행을 이루고 측면의 한쪽에 여유면이 형성됨으로써 상측측면과 하측측면의 가공제작이 쉬워지고 이로써 더욱 정교한 절삭인서트의 가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하면과 전후방에 형성된 곡면 및 여유면에 형성된 모든 선형인선과 곡률인선을 절삭가공에 이용할 수 있고 이로써 절삭인서트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정면, 저면, 우측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예시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의 (a)는 상면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하면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인서트(1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11), 상면(11)과 거의 평형한 하면(12), 상면(11)과 하면(12)의 전후방 측면에 형성된 제1, 제2 곡면(13)(14) 및 상면(11)과 하면(12)의 좌우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측면(21)(22)과 제3, 제4 측면(23)(2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면(11)과 하면(12)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한 중앙에 체결 홀(50)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곡면(13)의 외측에는 제1 연장면(15)이 형성되고, 제2 곡면(14)의 외측에는 제2 연장면(16)이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 및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각각 a°각도 또는 b°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1 측면(21) 또는 제3 측면(23)은 상술한 제1 곡면(13) 및 제1 연장 면(15)까지 형성되어 제1 측면(21) 또는 제3 측면(23)은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측면(22) 또는 제4 측면(24)은 상술한 제2 곡면(14) 및 제2 연장면(16)까지 형성되어 제2 측면(22) 또는 제4 측면(24)은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측면(21) 또는 상술한 제3 측면(23)과 상술한 제2 연장면(16)의 사이에는 제1 여유면(31)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2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2 측면(22) 또는 상술한 제4 측면(24)과 상술한 제1 연장면(15)의 사이에는 제2 여유면(32)이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이 이루는 경계(33)는 상면(11) 또는 하면(12)과 평행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면(11)과 제1 측면(21)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1 선형 인선(411)이 형성되고, 제1 측면(21)과 제1 곡면(13)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1 곡률인선(412)이 형성되며, 제1 측면(21)과 제1 연장면(15)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1 연장 인선(413)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하면(12)과 제2 측면(22)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2 선형 인선(421)이 형성되고, 제2 측면(22)과 제2 곡면(14)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2 곡률인선(422)이 형성되며, 제2 측면(22)과 제2 연장면(16)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2 연 장 인선(423)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제2 측면(21)(22)에 의해 인선이 형성되는 것처럼, 제1 측면(21) 및 제2 측면(22)과 반대쪽에 형성되는 제3 측면(23) 및 제4 측면(24)에도 제3, 제4 선형인선(441)(442), 제3, 제4 곡률인선(432)(442) 및 제3, 제4 연장인선(433)(443)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21)은 상술한 상면(11)과 상술한 제1 곡면(13)과 상술한 제1 연장면(15)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특히 제1 측면(21)은 상술한 상면(11)과 예각(a)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2 측면(22)은 상술한 하면(12)과 상술한 제2 곡면(14)과 상술한 제2 연장면(16)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특히 상술한 제2 측면(22)은 상술한 하면(12)과 예각(b)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3 측면(23)은 상술한 체결 홀(50)을 기준으로 제1 측면(21)과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상면(11)과 상술한 제1 곡면(13)과 상술한 제1 연장면(15)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며, 특히 상술한 제3 측면(23)은 상술한 상면(11)과 예각(c)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4 측면(24)은 체결 홀(50)을 기준으로 상술한 제2 측면(22)과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하면(12)과 상술한 제2 곡면(14)과 상술한 제2 연장면(16)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특히 상술한 제4 측면(24)은 상술한 하면(12)과 예각(d)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는 다 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절삭인서트(10)에 형성되는 모든 제1, 제2, 제3, 제4 선형인선(411)(421)(431)(441)이 평행을 이루고, 이로써 절삭인서트(10)의 치수를 계측할 때에 정반에서 절삭인서트(10)가 임의로 뒤뚱거리지 않아 절삭인서트(10)를 놓을 때에 제약이 없어지며, 이로써 좀 더 쉽게 절삭인서트(10)의 치수를 계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면(11) 또는 하면(12)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제1, 제2 측면(21)(22)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제3, 제4 측면(23)(24)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의 면이 서로 평행을 이룸으로써 가공제작이 편리해질 수 있고, 특히, 제1 측면(21)을 가공제작한 후에 제2 측면(22)을 가공하더라도 제1 여유면(31) 또는 제2 여유면(32)이 존재함으로 먼저 가공된 측면에 의해 형성된 인선에 손상이나 변형 등의 영향을 끼치지 않아 절삭인서트(10)를 더욱 정교하고 편리하게 가공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은 제1, 제2 연장면(15)(16)의 모서리와 만나서 각각 제1, 제2 연장인선(413)(423)을 형성시켜 제1 선형인선(411), 제1 곡률인선(412) 및 제1 연장인선(413)이 하나의 연속된 절인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절삭인서트(10)의 모든 모서리가 절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제3, 제4 선형인선(421)(431)(441)과 제2, 제3, 제4 곡률 인선(422)(432)(442)과 제2, 제3, 제4 연장인선(423)(433)(443)이 각각 하나의 연속된 절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는 대부분의 모서리를 절인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이로써 절삭인서트(10)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는 경계(33)가 제1, 제2, 제3, 제4 선형인선(411)(421)(431)(441)에 평행을 이룸으로써 어느 한쪽으로 특정하게 가깝거나 멀지 않을 수 있고, 이로써 절삭가공에서 발생하는 칩은 타측의 제1, 제2, 제3, 제4 측면(21)(22)(23)(24)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원활하게 칩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절삭인서트(10)가 비정상적으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피삭재의 조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하좌우에 절인이 형성된 것으로써 어느 한쪽의 절인의 수명이 다하면 그 절삭인서트를 뒤집어서 다른 절인으로 절삭가공을 실시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정면, 저면, 우측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절삭인서트
11: 상면 12: 하면
13, 14: 제1, 제2 곡면 15, 16: 제1, 제2 연장면
21, 22, 23, 24: 제1, 제2, 제3, 제4 측면
31, 32: 제1, 제2 여유면
33: 경계 50: 체결 홀
411, 421, 431, 441: 제1, 제2, 제3, 제4 선형 인선
412, 422, 432, 442: 제1, 제2, 제3, 제4 곡률 인선
413, 423, 433, 443: 제1, 제2, 제3, 제4 연장 인선

Claims (5)

  1. 상면(11)과 하면(12)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체결 홀(50);
    상기 상면(11)과 상기 하면(12)의 전후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제2 곡면(13)(14);
    상기 제1 곡면(13)에 연장되는 제1 연장면(15);
    상기 제2 곡면(14)에 연장되는 제2 연장면(16);
    상기 상면(11)과 상기 제1 곡면(13)과 상기 제1 연장면(15)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11)과 예각(a)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측면(21);
    상기 하면(12)과 상기 제2 곡면(14)과 상기 제2 연장면(16)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면(12)과 예각(b)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측면(22);
    상기 제1 측면(21)과 상기 제2 연장면(16)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21)과 상기 제2 측면(22)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제1 여유면(31); 및
    상기 제2 측면(22)과 상기 제1 연장면(15)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21)과 상기 제2 측면(22)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제2 여유면(32);
    을 포함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11)과 상기 제1 측면(21)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 선형 인선(411); 및
    상기 하면(12)과 상기 제2 측면(22)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2 선형 인선(4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형인선(411)과 상기 제2 선형인선(421)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11)과 상기 제1 곡면(13)과 상기 제1 연장면(15)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11)과 예각(c)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 측면(23); 및
    상기 하면(12)과 상기 제2 곡면(14)과 상기 제2 연장면(16)을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면(12)과 예각(d)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4 측면(24);
    을 더 포함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11)과 상기 제3 측면(23)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3 선형 인선(431); 및
    상기 하면(12)과 상기 제4 측면(24)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4 선형 인선(441);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선형인선(431)과 상기 제4 선형인선(441)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인선(411)과 상기 제3 선형인선(431)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
KR1020090064503A 2009-07-15 2009-07-15 양면형 절삭 인서트 KR10104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03A KR101041663B1 (ko) 2009-07-15 2009-07-15 양면형 절삭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03A KR101041663B1 (ko) 2009-07-15 2009-07-15 양면형 절삭 인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86A KR20110006886A (ko) 2011-01-21
KR101041663B1 true KR101041663B1 (ko) 2011-06-14

Family

ID=4361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503A KR101041663B1 (ko) 2009-07-15 2009-07-15 양면형 절삭 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585B1 (ko) 2011-03-11 2015-12-21 한국과학기술원 글루코오스로부터〔락테이트­co­글리콜레이트〕공중합체 생산능을 가지는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락테이트­co­글리콜레이트〕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152A (ko) * 1994-09-28 1996-04-20 조래승 용접용 로보트의 케이블 클램프 구조
JPH10138009A (ja) 1996-11-01 1998-05-26 Dijet Ind Co Ltd 隅削り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転削工具
KR20060127932A (ko) * 2004-02-04 2006-12-13 이스카 엘티디. 양면 절삭 삽입체
KR20080087109A (ko) * 2006-03-07 2008-09-30 보홀레리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밀링공구용 인덱서블 인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152A (ko) * 1994-09-28 1996-04-20 조래승 용접용 로보트의 케이블 클램프 구조
JPH10138009A (ja) 1996-11-01 1998-05-26 Dijet Ind Co Ltd 隅削り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転削工具
KR20060127932A (ko) * 2004-02-04 2006-12-13 이스카 엘티디. 양면 절삭 삽입체
KR20080087109A (ko) * 2006-03-07 2008-09-30 보홀레리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밀링공구용 인덱서블 인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86A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216B1 (ko) 양면사용 타입의 절삭인서트
KR101059031B1 (ko) 절삭 인서트를 적용한 밀링 절삭공구
US9044813B2 (en) Tangential cutting insert
US10654117B2 (en) Cutting tool assembly for milling a rail top
KR101081698B1 (ko)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적용한 밀링 절삭공구
JP5297422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被削材の切削方法
KR101221510B1 (ko) 핀 밀러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밀링 커터
RU2584360C1 (ru)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EP3006141A1 (en) Double-sided, indexable turning insert and turning tool
KR100937459B1 (ko) 접선 방향 절삭 인서트
KR101631675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체결하는 공구 홀더
KR101519747B1 (ko) 인덱서블 드릴용 절삭인서트
JP2016163911A (ja) 切削インサート、工具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KR101041663B1 (ko) 양면형 절삭 인서트
KR101469135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2253026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KR101788264B1 (ko) 편면형 3코너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177654B1 (ko) 절삭인서트 및 그 절삭인서트가 설치되는 절삭공구
KR101780640B1 (ko)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0635517B1 (ko) 절삭용 밀링커터
KR101104545B1 (ko) 절삭 인서트 및 그 절삭 인서트가 장착된 커터
JP4741194B2 (ja) 正面フライス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101239468B1 (ko) 절삭인서트
JP5317789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KR20100093228A (ko) 절삭 인서트를 적용한 밀링 절삭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