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621B1 - slim-type variable chair apparatus - Google Patents
slim-type variable chai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1621B1 KR101041621B1 KR1020090003611A KR20090003611A KR101041621B1 KR 101041621 B1 KR101041621 B1 KR 101041621B1 KR 1020090003611 A KR1020090003611 A KR 1020090003611A KR 20090003611 A KR20090003611 A KR 20090003611A KR 101041621 B1 KR101041621 B1 KR 101041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r
- lifting
- unit
- wir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를 얇게 한 슬림형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령자의 낙상사고 방지를 위해 실내 현관에서 기립을 보조해주는 의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르래 방식의 의자 승강 구조와 가이드부를 활용하여 의자가 승강하도록 하여, 기립보조의자가 가장 단순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좁은 실내현관에서 기립보조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슬림형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standing support devic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device that assists standing in an indoor entrance to prevent a fall accident of an elderly per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standing assist device for realizing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standing auxiliary chair in a narrow indoor hall so that the standing auxiliary chair can have the most simplified form.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께를 얇게 한 슬림형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령자의 낙상사고 방지를 위해 실내 현관에서 기립을 보조해주는 의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르래 방식의 의자 승강 구조와 가이드부를 활용하여 의자가 승강하도록 하여, 기립보조의자가 가장 단순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좁은 실내현관에서 기립보조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슬림형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standing support devic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device that assists standing in an indoor entrance to prevent falling accidents of elderly people, and uses a pulley-type chair lifting structure and a guide to raise and lower the ch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standing assist device for realizing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standing auxiliary chair in a narrow indoor hall so that the standing auxiliary chair can have the most simplified form.
우리나라는 현재 급격한 고령화를 겪고 있다. 2000년에는 7.2%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2005년에는 9.1%로 증가하였으며, 전문가들은 2020년에는 15.7%로 고령사회로 2026년 즈음에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전체인구의 20%를 넘어 초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고령자의 지속적 증가로 인하여 고령자를 위한 제품 개발 및 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Korea is currently experiencing a rapid aging. In 2000, it entered the aging society at 7.2%, and increased to 9.1% in 2005. Experts said that 15.7% in 2020 is an aging society. By 2026,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exceed 20% of the total population. It is expected to enter society. As a result of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elderly, the need for product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he elderly is important.
'고령친화'라는 용어는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가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이래로 보편화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고령친화라는 용어는 '노인이 편리하면 모든 사람도 편리하다.' 라는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관점에서의 편리성과 안전성에 입각한 노인의 선호를 우선적으로 고려함을 의미한다. The term 'aging-friendly' has become commonplace since the aging and future society committee used it in its research on 'activities of aging-friendly industries'. The term age-friendly here means that if the elderly are convenient, everyone is convenient. This means that the preference of the elderly based on convenience and safety in the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is considered first.
한국 소비자보호원의 조사에 따르면(도 1 참조) 고령자 안전사고는 바깥에서보다 현관, 욕실 등 집안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안전사고유형의 50% 이상이 낙상사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현관에서 고령자들의 불편을 덜어줄 수 있는 가변형의자의 개발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 Consumer Protection Agency (see Fig. 1), elderly safety accidents are more likely to occur in homes such as entrances and bathrooms than outside. In addition, more than 50% of the safety accident types were fall accidents.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a variable chair that can prevent such a fall accident and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elderly at the entranc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령자들이 신발을 신고 벗은 때, 일반적으로 바닥에 주저앉아서 신고 벗은 후 일어서기 동작이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elderly wear off their shoes, they usually sit down on the floor to wear off and stand up.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안 내에서의 낙상 사고는 욕실에서 가장 많이 일어나며 신발을 신고 벗은 후에 일어날 때로 중심의 좌우 이동이 커 낙상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As shown in Figure 3, the fall accident in the house is the most occur in the bathroom and occurs after taking off shoes wearing a larg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enter often occurs fall accidents.
또한, 아동들의 경우도 신발을 신고 벗을 때 고령자들과 비슷한 행동패턴(주저 앉아서 신고 벗음)을 보이기 때문에 고령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addition, children are expected to be used not only in the elderly but also in various age groups because they show similar behavior patterns (sitting and sitting off) when they take off their shoes.
현재 기립 보조 의자 장치의 승강구조는 랙과 피니언, 볼 스크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Currently, the lifting structure of the standing auxiliary chair device is in the form of a rack, pinion and ball screw.
랙과 피니언의 승강구조는 랙의 피치와 피니언의 지름 만큼 그 두께가 두꺼 워져서(즉 슬림화가 어려워)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 어렵다. The lifting structure of the rack and pinion is so thick that the rack's pitch and pinion's diameter (that is, it is difficult to slim down), making it difficult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또한, 볼 스크류의 승강 구조는 이송너트의 지름이 크고 볼스크류를 지지하는 베어링의 두께도 또한 두꺼워져서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 어렵다. In addition, the lifting structure of the ball screw has a large diameter of the transfer nut and the thickness of the bearing supporting the ball screw is also thick,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본 발명은 고령자뿐만 아니라 영유아들의 낙상사고를 방지하면서 좁은 실내 현관의 공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m standing support chair device that can solve the space problem of a narrow indoor entrance while preventing fall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는,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slim standing up chai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승강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승강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와이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지지하는 권취도르래;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도르래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는 의자부를 포함하되, A base fixed to the wall; Elevating unit;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lif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wire; A fixing part fixed to the base part to support one end of the wire; A pulley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lifting unit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winding pulley; Including a chair unit installed in the lifting unit,
상기 권취도르래의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부의 평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ake-up pulley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ase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의자의 승강에 따른 고령자들의 낙상사고를 방지하면서 도르래를 이용하여 두께를 최대한 슬림화하여 좁은 실내 현관의 공간상의 문제를 해결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roblem of narrow indoor porch is solved by making the thickness as slim as possible by using pulley while preventing the fall of the elderly due to the elevating of the chair.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는, The slim type standing upright chair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승강부의 승강높이를 제어하는 리밋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밋스위치는 상기 승강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하한 리밋스위치와,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상한 리밋스위치를 포함한다. It further includes a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unit, wherein the limit switch includes a lower limit switch installed in the lifting unit and the base portion, and an upper limit limit switch installed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base portion. do.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의자의 높이를 전동으로 제어하여 자기가 원하는 의자높이에서 편하게 일어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mfortably control the height of the chair by the chair height desired by the chair.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는, The slim type standing upright chair device according to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고정도르래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도르래을 받치는 받침브래킷과, 상기 받침브래킷에 걸려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xed pulley for supporting the wire, a support bracket fixed to the base part to support the fixed pulley, and a support part supported on the support bracket to support one end of the wire.
이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는 고정도르래를 통해 양쪽에서 아래로 당겨지는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일직선 상의 와이어보다 일단 고정이 보다 확실하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wire is pulled down from both sides through the pulley, the wire is more securely fixed than the straight wire.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는, The slim type standing auxiliary chair device accor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받침브래킷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걸리는 고리가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브래킷에 걸리는 너트를 포함한다.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support part includes a male screw par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hook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is formed, and a nut fastened to the male screw part to be caught by the support bracket.
이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의 일단을 지지하면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tension of the wire can be adjusted while supporting one end of the wire.
본 발명의 청구항5에 기재된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는, The slim type standing auxiliary chair device according to
상기 의자부는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는 접이식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설치되는 의자를 포함한다. The chair unit includes a folding frame installed on the lifting unit, and a chai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이 구성에 의하면, 의자를 접을 수 있어 두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 chair can be folded and it can contribute to slimmer thickness.
본 발명의 청구항6에 기재된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는, The slim type standing upright chair device according to claim 6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승강부의 전면에는 상기 접이식 프레임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케이스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case part having a drawing hole formed therein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lifting part to draw out the folding frame.
이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부가 기립 보조 의자 장치의 전면을 커버하기 때문에 인테리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a case part covers the front surface of a standing auxiliary chair apparatus, it is preferable from an interior side.
본 발명의 청구항7에 기재된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는, The slim type standing auxiliary chair device according to claim 7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인출공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하는 상부케이스부와 하부케이스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케이스부에는 상기 접이식 프레임의 밑면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part is made of an upper case part and a lower case part integrally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let h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ase part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olding frame.
이 구성에 의하면, 일체의 케이스부를 바로 승강부에 장착한 후 조립하면 되고, 접이식 프레임이 수용홈에 수용되어 외부에서 볼 때 노출되지 않아 인테리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only necessary to attach the case part directly to the lifting unit and then assemble it, and the folding fram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is not exposed from the outside, which is preferable in terms of interior.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는, The slim type standing upright chair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부케이스부와 상기 의자에는 자석이 장착되면, 의자를 접은 상태로 유지시켜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When the magnet is mounted on the upper case part and the chair, the chair may be kept folded to contribute to slimming.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slim standing support chai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권취도르래의 회전축이 베이스부의 평면에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도르래의 두께 정도만큼 두꺼워지기 때문에 최대한 슬림화하여 좁은 실내 현관에 배치가 용이하다. 즉, 두께가 얇아지면 등받이가 최대한 벽쪽 가까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의 현관에 설치가 용이하다. Since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ake-up pulley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ase part, the pulley becomes thick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pulley, making it as slim as possible and easy to arrange in a narrow interior porch. In other words, if the thickness is thin, the backrest is positioned as close to the wall as possible,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in a porch of a narrow space.
또한, 리밋스위치로 승강부의 승강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의자높이에서 편하게 일어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unit with a limit switch, the user can comfortably rise at the desired chair height.
또한, 와이어가 고정도르래를 통해 양쪽에서 아래로 당겨지는 인장력을 받도록 고정됨으로써, 일직선 상의 와이어보다 일단 고정이 보다 확실하다. In addition, the wire is fixed so that it is subjected to a pulling force pulled down from both sides through the fixed pulley, so that the fixing is more secured once than the straight wire.
또한, 수나사부와 너트에 의해 와이어를 받침브래킷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일단을 지지하면서 와이어의 장력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nsion of the wire can be adjusted while supporting one end of the wire by hooking the wire to the support bracket by the male screw part and the nut.
또한, 의자를 접을 수 있어 두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air can be folded to contribute to the slimming of the thickness.
또한, 케이스부가 기립 보조 의자 장치의 전면을 커버하기 때문에 인테리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Moreover, since the case part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standing auxiliary chair apparatus, it is preferable from an interior side.
또한, 일체의 케이스부를 바로 승강부에 장착한 후 조립하면 되고, 접이식 프레임이 수용홈에 수용되어 외부에서 볼 때 노출되지 않아 인테리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only necessary to assemble after mounting the integral case portion directly to the lifting unit, the folding fram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is not exposed from the outside is preferable in terms of interior.
또한, 상부케이스부와 의자에 자석이 장착됨으로써, 의자를 접은 상태로 유지시켜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 is attached to the upper case portion and the chair, thereby maintaining the chair in a folded state can contribute to slimm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의자부의 펼친 상태와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의자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케이스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접이식 프레임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동력전달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승강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의자의 최소높이와 최대높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5는 권취도르래의 동력전달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m standing auxiliary chai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4, and FIGS. 6 and 7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of a chair par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hair is removed from FIG. 5,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in which a case part is removed from FIG. 8,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folding frame part is removed in FIG. 9, and FIG. 11 is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remove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unit is removed in FIG. 11, FIGS. 13 and 14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the minimum height and the maximum height of the chair, and FIG. 15 is power transmission of the winding pulley. A simplified plan view of the process.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승강부(200), 베이스부(100)에 대해 승강부(2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0), 상기 승강부(20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400)와 권취도르래(500), 권취도르래(5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0) 및 승강부(200)에 설치되는 의자부(700)로 구성하여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베이스부(100)는 현관의 한쪽 벽과 체결되어 고정되는 판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베이스부(100)의 두께는 슬림화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급적 얇고 벽에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The
승강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양쪽에 배치되는 빔 형태이다. The
승강부(200)의 상단에는 크로스빔(210)이 체결 고정되어, 2개의 승강부(20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The
가이드부(300)는 베이스부(100)에 체결 고정되는 가이드홈블록(310)과, 이 가이드홈블록(310)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레일(330)로 구성하여 있다.
가이드돌기레일(330)은 'ㄷ'자 단면의 승강부(200)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돌기레일(330)이 가이드홈블록(3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refore, the
와이어(400)의 일단은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며, 와이어(400)의 타단은 권취도르래(500)에 지지된다. One end of the
특히 와이어(400)의 일단은 베이스부(100)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41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one end of the
고정부(41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400)를 지지하는 고정도르래(411)와, 이 고정도르래(411)를 받치는 받침브래킷(413)과, 와이어(40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415)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fixing
고정도르래(411)는 회전축이 고정된 도르래(411)로서, 베이스부(100)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The fixed
고정도르래(411)는 와이어(400)의 일단 방향을 바꾸어서 지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와이어(400)가 일직선 상으로 고정되는 것보다 더 큰 인장력에 견디는 구조를 취한다. Since the
또한, 고정도르래(411)의 고정축(가상의 축)은 베이스부(100)의 평면에 수직하게 배치 고정됨으로써 고정도르래(411)의 두께만큼만 두꺼워져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shaft (virtual shaft) of the fixed
받침블록(413)은 'ㄴ'자 형태의 블록으로서, 고정도르래(411)의 밑면을 받치 면서, 와이어(400)의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받침블록(413)은 고정도르래(411)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400)의 인장력에 대해 고정도르래(411)의 파손(이탈) 저항력이 우수하다. That is, since the
고정도르래(411)가 반달모양으로 하면, 받치는 자세가 안정적이다. When the
지지부(415)는 와이어(400)의 일단이 걸리는 고리(416)가 형성되는 수나사부(417)와, 수나사부(417)에 체결되어 받침블록(413)에 걸리는 너트(418)로 구성하여 있다. The
수나사부(417)는 받침블록(413)에 형성된 관통공(414)에 삽입 통과되며, 통과된 수나사부(417)에는 너트(418)가 체결되면, 받침블록(413)에 걸려 지지한다. The
또한 지지부(415)는 너트(418)를 조거나 풀면 와이어(400)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권취도르래(500)는 와이어(400)를 감아서 올라가거나(상승), 와이어(400)를 풀면서 내려가(하강) 승강부(200)를 승하강시키는 부품이다. The winding
즉 권취도르래(500)가 승강하면, 승강부(200)도 함께 승강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That is, when the take-up
권취도르래(500)의 회전축(510)은 동력부브라켓(6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The
권취도르래(500)는 고정도르래(411)와 마찬가지로, 권취도르래(500)의 회전축(510)은 베이스부(100)의 평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서, 의자부(700)를 승강시키면서 두께를 얇게 하여 슬림화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좁은 공간의 현관 등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The winding
따라서, 권취도르래(500)의 회전축(510)과 고정도르래(411)의 고정축(가상의 축)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refore, the
동력전달부(600)는 모터부(610), 감속기어부(630), 모터부(61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하여 있다. The
감속기어부(63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부(610)의 회전력을 기어(631)에 전달하는 감속기어트레인으로 구성하여 있다. 이 감속기어부에서 나온 동력을 받는 제1기어(631)는 동력부브라켓(650)의 전면에 배치되고, 이 제1기어(631)는 동력부브라켓(650)의 배면에 배치된 제2기어(633)에 동력을 전달한다. The
즉, 제1기어(631)는 제2기어(633)와 동력부브라켓(6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에 고정되어 있다. That is, the
제2기어(623)는 제3기어(635)와 맞물려 있고, 제3기어(635)의 동력은 권취도르래(500)에 전달한다. The second gear 623 is engaged with the
제3기어(635)와 권취도르래(500)는 동력부브라켓(6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The
동력전달부(600)는 동력부브라켓(650)에 장착되고, 이 동력부브라켓(650)은 승강부(200)에 크로스 형태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The
따라서, 동력부브라켓(650), 동력전달부(600), 권취도르래(500)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도르래(500)가 승강하면, 동력전달부(600)와 동력부브라켓(650)을 통해 승강부(200)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의자부(700)는 승강부(200)에 크로스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자부(700)는 접이식 프레임(710)과 의자(750)로 구성하여 있다. The
접이식 프레임(710)은 의자(750)의 밑면에 설치되는 프레임(711)과, 이 프레임(711)의 양쪽에 형성되는 힌지축(713)과, 이 힌지축(713)을 힌지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브라켓(715)으로 구성하여 있다. The
힌지축브라켓(715)은 승강부(200)에 크로스 체결 고정되어, 승강부(200)의 승강과 함께 의자(750)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The
이처럼, 의자부(700)가 접어다 폈다 할 수 있어서, 두께의 슬림화에 기여한다. In this way, the
승강부(200)의 전면에는 케이스부(8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승강부(200)의 승강과 함께 케이스부(800)도 승강하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케이스부(800)는 등받이 기능을 하는 상부케이스부(810)와, 프레임(710)을 받치는 하부케이스(83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부케이스부(810)와 하부케이스(830)의 사이에는 프레임(711)이 인출되는 인출공(8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따라서, 일체형 케이스부(800)는 프레임(711)을 인출공(850)에서 인출시킨 후 승강부(200)에 끼워 고정하면, 외부를 마감하는 디자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특히 하부케이스부(830)는 의자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In particular, the
하부케이스(830)의 상면에는 프레임(711)의 밑면이 어느 정도 수용되는 수용홈(8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이 수용홈(831)은 의자(750)가 펼쳐졌을 때 프레임(7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깔끔한 효과를 줄 수 있다. The receiving
도면부호 851는 인출공을 마감하는 인출공마감재이다.
또한, 상부케이스부(810)의 전면에는 실크스크린 글라스(87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실크스크린 글라스(870)는 등받이 들어간 패턴으로서, 실내에서 사용하게 되고 또한 현관에 설치함으로써 집에 들어갈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제품이다. 따라서 상부케이스부(등받이)에 패턴을 넣음으로써 단순 기립보조의 역할뿐만 아니라 집안의 인테리어 요소의 하나로 자리 잡을 수 있다. The
도 7과 같이 의자(750)를 접었을 때 임의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의자(750)와 실크스크린 글라스(870) 또는 의자(750)와 상부케이스부(810)에 자석(미도시)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 magnets (not shown) may be placed on the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200)의 승강높이, 정확하게는 의자(750)의 높이를 제어하는 리밋스위치(910)(9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3 and 14, it is preferable that
리밋스위치(910)는 하한(최소높이) 리밋스위치(910)와 상한(최대높이) 리밋스위치(93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하한 리밋스위치(910)는 승강부(200)에 설치되는 제1하한 리밋스위치(911)와,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제2하한 리밋스위치(913)로 구성된다. The
상한 리밋스위치(930)는 동력전달부(600)에 설치되는 제1상한 리밋스위 치(931)와,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제2상한 리밋스위치(933)로 구성된다. The
도 13과 같이, 제1하한 리밋스위치(911)가 제2하한 리밋스위치(913)에 접근하면, 승강부(200)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정지한다. As shown in FIG. 13, when the first lower
한편,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기립할 때 승강한 것으로, 제1하한 리밋스위치(911)가 제2하한 리밋스위치(913)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제1상한 리밋스위치(931)가 제2상한 리밋스위치(933)에 접근하면, 승강부(200)는 더 이상 올라가지 않고 정지한다. On the other hand, FIG. 14 is elevated when standing in the state of FIG. 13, wherein the first lower
본 실시예의 리밋스위치는 자성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한 것이지만, 터치식 리밋스위치도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Although the limit switch of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sensor that senses magnetism, it is obvious that a touch type limit switch can also be used.
이하 고령자 인체치수를 고려한 의자의 설계치수 및 높이변화폭의 결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design dimension and the height change width of the chair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human body dimensions will be described.
[표] 설계요소에 따른 적용 인체치수[Table] Applied human body dimensions according to design elements
- 의자 높이: 의자 높이의 설계에 있어서는 키가 작은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발바닥에서부터 무릎 뒤 오금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앉은 오금 높이의 최소치를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최소값이 323.5mm 이고, 여기에 신발의 높이나 옷의 두께 등을 고려한 여유 율을 감안하여 350mm로 설계에 반영하였다.Chair height: The height of the chair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minimum height of the sitting restraint, which represents the length from the sole of the foot to the back of the knee, based on the shorter person. The minimum value is 323.5mm, and it is reflected in the design as 350mm in consideration of the allowance factor considering the height of shoes and the thickness of clothes.
- 의자 너비: 의자 너비는 넓은 경우에는 엉덩이가 작은 사람도 앉을 수 있지만 좁은 경우에는 엉덩이가 넓은 사람이 앉기에는 불편하다. 따라서 최대값을 기준으로 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고령친화용 가변형의자는 기립을 보조해주는 의자로 편하게 앉을 필요가 없고, 편하게 앉은 상태로 최대높이까지 상승할 경우 안전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있고, 좁은 실내현관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 너비 350mm로 설계에 반영하였다. -Chair width: If your chair is wide, you can sit on a person with a small butt, but on a narrow chair, it is inconvenient for a person with a wide butt. Therefore, the design should be based on the maximum value. However, the elderly-friendly variable chair developed in this study does not need to sit comfortably as a chair to assist in standing up, and there is a risk of causing a safety accident when climbing up to the maximum height while sitting comfortably,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narrow indoor entrance. 350 mm in width was reflected in the design.
- 의자 깊이: 의자 깊이 또한 위의 의자 너비와 마찬가지로 편안한 자세로 앉는 것보다 쉽게 일어나는 것이 목적인 가변형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정 깊이 300mm로 설계에 반영하였다.-Chair Depth: The chair depth is also reflected in the design with an appropriate depth of 300mm,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chair, which is intended to occur more easily than sitting in a comfortable position as with the chair width above.
- 의자 등받이 높이 폭: 본 제품은 벽면과 붙어 가이드블록을 타고 올라가는 구동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머리가 벽면과 닿을 경우 안전사고를 초래할 위험 있다. 따라서 동작 시에도 머리와 벽면이 닿지 않도록 하고 등을 받칠 수 있는 적정한 등받이 높이로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앉은키가 큰사람까지 사용에 무리가 없도록 가장 앉은키가 큰사람의 치수인 최대값 929.5mm에 여유 율을 반영하여 설계하였다.-Chair back height and width: This product is composed of a driving method that climbs up the guide block by attaching it to the wall, which may cause a safety accident when the head touches the wall. Therefore, the head and the wall should not be touched during operation and should be designed with the proper back height to support the back. Therefore, it is designed to reflect the margin to the maximum value 929.5mm, which is the dimension of the tallest person, so that even the taller person can be used without difficulty.
고령친화용 가변형의자 높이 변화폭Height-variable range of adjustable chairs for the elderly
고령친화용 가변형의자의 설계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설계치수가 바로 가변형 의자의 높이 변화폭이라고 할 수 있다. 높이 변화폭의 최소높이는 여성의 최소치를 기준으로 350mm로 설계하였다. 하지만 최대높이의 경우에는 큰사람을 기준으로 설계하여 작은 사람이나 큰사람이나 자기가 원하는 높이에서 일어나면 된다고 생각되지만, 실제로 작은 사람은 의자에 앉은 채로 바닥에서 발이 띄어지는 위험이 따를 수도 있으므로 작은 사람의 오금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앉은 엉덩이 오금 수평 길이의 최소치 399mm를 적용하여 400mm로 설계하였다. 또한 의자의 좌면 높이가 500mm이하에서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주관적 만족도가 높아지고, 중심 이동 진동 폭 또한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500mm이상에서는 높이에 따른 주관적 만족도나 중심 이동 진동 폭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으므로 가변형 의자의 높이 변화폭은 의자높이 500mm를 포함하는 최소 350mm~최대 750mm로 설계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변형 의자의 높이를 전동으로 제어하여 자기가 원하는 의자높이에서 편하게 일어날 수 있다. The most important design dimension in the design of the elderly-friendly variable chair is the change in height of the variable chair. The minimum height of the width of the height change was designed to be 350mm based on the female minimum. However, in the case of the maximum height, it is thought that the small person, the large person, or the person can get up at the desired height by designing the big person as a reference. It was designed to be 400mm by applying the minimum 399mm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ated hip to indicate the length from the stria to the hip. Also, if the seat height of the chair is less than 500mm, the subjective satisfaction increases as the height increases, and the width of the center moving vibration tends to decrease, but above 500mm, the subjectiv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height and the change of the center moving vibration width are not significant. As shown, the variable width of the variable chair was designed to be at least 350mm ~ 750mm, including the chair height of 500mm. Therefore, the user can comfortably occur at the height of the chair desired by the electric control of the height of the variable chai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부(810)는 실크스크린 글라스(870)와 별도로 설명하고 있지만 하나의 포괄적 개념으로 이해하여도 좋다. 즉 청구항에서 상부케이스부에 자석을 설치했다는 것은 실크스크린 글라스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Although the
본 발명은 유사 제품, 높낮이 조절형 휠체어나 리프트에 관련기술이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similar products, height adjustable wheelchairs or lifts.
도 1은 고령자 안전사고 분석결과를 나타낸 막대그래프. 1 is a bar graph show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lderly safety accidents.
도 2는 5㎝에서 40㎝까지의 좌면 높이에서 일어설 때 무릎 부담의 주관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knee burden when standing up from a seat height from 5 cm to 40 cm.
도 3은 5㎝에서 40㎝까지의 좌면 높이에서 일어설 때의 중심으로부터 좌우로의 이동 진폭을 나타낸 그래프. 3 is a graph showing the amplitude of movement from the center to the left and right when standing at the height of the seat surface from 5 cm to 40 cm.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m standing auxiliary chai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6 및 도 7은 의자부의 펼친 상태와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6 and 7 are side views showing the expanded and folded state of the chair portion.
도 8은 도 5에서 의자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hair is removed from FIG.
도 9는 도 8에서 케이스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portion removed in FIG.
도 10은 도 9에서 접이식 프레임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frame part is removed from FIG. 9; FIG.
도 11은 도 10에서 동력전달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ower transmission unit is removed from FIG. 10; FIG.
도 12는 도 11에서 승강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ift unit is removed from FIG. 11;
도 13 및 도 14는 의자의 최소높이와 최대높이를 나타내는 정면도. 13 and 14 are front views showing the minimum height and the maximum height of the chair.
도 15는 권취도르래의 동력전달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평면도. Figure 15 is a plan view briefly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of the pulle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베이스부 200 : 승강부100: base portion 200: lifting portion
210 : 크로스빔 300 : 가이드부210: cross beam 300: guide part
310 : 가이드홈블록 330 : 가이드돌기레일310: guide groove block 330: guide protrusion rail
400 : 와이어 410 : 고정부400: wire 410: fixing part
411 : 고정도르래 413 : 받침블록411: fixed pulley 413: support block
414 : 관통공 415 : 지지부414: through hole 415: support
416 : 고리 417 : 수나사부416: hook 417: male thread
418 : 너트 500 : 권취도르래418 nut 500: pulley pulley
510 : 회전축 600 : 동력전달부510: rotating shaft 600: power transmission unit
610 : 모터부 630 : 감속기어부610: motor unit 630: reduction gear unit
650 : 동력부브라켓 700 : 의자부650: power unit bracket 700: chair
710 : 접이식 프레임 711 : 프레임710: folding frame 711: frame
713 : 힌지축 715 : 힌지축브라켓713: hinge shaft 715: hinge shaft bracket
750 : 의자 800 : 케이스부750: chair 800: case
810 : 상부케이스 830 : 하부케이스810: upper case 830: lower case
831 : 수용홈 850 : 인출공831: accommodation home 850: drawing out
851 : 인출공마감재 870 : 실크스크린 글라스851: Drawer Finishing Material 870: Silk Screen Glass
910 : 하한 리밋스위치 930 : 상한 리밋스위치910: lower limit switch 930: upper limit switch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3611A KR101041621B1 (en) | 2009-01-16 | 2009-01-16 | slim-type variable chair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3611A KR101041621B1 (en) | 2009-01-16 | 2009-01-16 | slim-type variable chair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4242A KR20100084242A (en) | 2010-07-26 |
KR101041621B1 true KR101041621B1 (en) | 2011-06-15 |
Family
ID=4264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3611A KR101041621B1 (en) | 2009-01-16 | 2009-01-16 | slim-type variable chai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16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793B1 (en) * | 2018-03-27 | 2020-03-16 | 주식회사 수재 | Boat lift |
KR102536799B1 (en) * | 2021-02-25 | 2023-05-30 | (주)신라시스템 | Pedestrian aids equipped with active standing aid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7739A (en) * | 1993-09-03 | 1995-03-14 | Komura Seisakusho:Kk | Chair |
JP2005006899A (en) * | 2003-06-19 | 2005-01-13 | Komura Seisakusho:Kk | Electric elevating seat |
-
2009
- 2009-01-16 KR KR1020090003611A patent/KR10104162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7739A (en) * | 1993-09-03 | 1995-03-14 | Komura Seisakusho:Kk | Chair |
JP2005006899A (en) * | 2003-06-19 | 2005-01-13 | Komura Seisakusho:Kk | Electric elevating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4242A (en) | 2010-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33906B2 (en) | Bathing care device | |
US20110131720A1 (en) | Wall Mounted Lift Chair | |
KR101013566B1 (en) | Subsidiary implement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 |
JPH0696033B2 (en) | Bath lift | |
CN113040551B (en) | Multifunctional chair | |
KR20110038856A (en) | The multi-functional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 |
CN212036832U (en) | Adjustable intelligence chair | |
KR101041621B1 (en) | slim-type variable chair apparatus | |
CN214803517U (en) | Prevent electronic table chair of intelligence of sitting for a long time | |
JP3684303B2 (en) | Toilet equipment | |
KR102058890B1 (en) |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 |
CN112515527A (en) | Electric handrail for toilet | |
KR20110008376A (en) | Bathtub for an infant | |
JP4855804B2 (en) | Stair lift seating device | |
KR20090002049U (en) | Electric motion Lift Chair | |
KR200415432Y1 (en) | A bathtub supporter | |
CN216602657U (en) | Convenient bathing chair for nursing old age who adjusts | |
JP2008073325A (en) | Elevating type dressing stand with washbowl | |
CN218960610U (en) | Toilet seat | |
JP3358731B2 (en) | Nursing equipment | |
KR102590653B1 (en) | electric standing chair for disabled persons | |
CN218814102U (en) | Degerming wash-basin that cooperation children's height goes up and down | |
CN209966243U (en) | Power-assisted rising toilet chair | |
KR20120102889A (en) | Electric wheelchair | |
JP3733965B2 (en) | Bathing assistanc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