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890B1 -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 Google Patents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890B1
KR102058890B1 KR1020180012034A KR20180012034A KR102058890B1 KR 102058890 B1 KR102058890 B1 KR 102058890B1 KR 1020180012034 A KR1020180012034 A KR 1020180012034A KR 20180012034 A KR20180012034 A KR 20180012034A KR 102058890 B1 KR102058890 B1 KR 10205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fting
toilet seat
eleva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2826A (en
Inventor
조근열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890B1/en
Publication of KR2019009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좌변기 상방에 마련된 손잡이를 잡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상태에 따라 하강하거나 승강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무릎 관절과 척추 및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고도 손쉽게 좌변기에 착석하거나 좌변기에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holding the handle provided above the toilet seat of the toilet to lower or lif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 patients with uncomfortable movement to the knee joint, spine and mus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that helps to easily sit on the toilet or stand up from the toilet without going.

Description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본 발명은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좌변기 상방에 마련된 손잡이를 잡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상태에 따라 하강하거나 승강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무릎 관절과 척추 및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고도 손쉽게 좌변기에 착석하거나 좌변기에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holding the handle provided above the toilet seat of the toilet to lower or lif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 patients with uncomfortable movement to the knee joint, spine and mus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that helps to easily sit on the toilet or stand up from the toilet without going.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되어 있는 수세식 변기를 총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좌변기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앉기에 적합한 높이의 본체가 화장실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여기서 본체는 오물을 받는 보울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후방에 좌대와 덮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좌대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여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이며, 덮개는 필요 시 본체에 형성되는 보울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용도이다.In general, the toilet seat is a generic name for the flush toilet that is sitting on the toilet to look at the toilet, when the outlin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the height of the seat suitable for sitting fixed to the bottom of the toilet, where the body is It is formed into a shape having a receiving bowl. As the seat and the co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the seat is used to support the buttocks of the user to sit comfortably, the cover is used to block the inside of the bowl formed on the main body from the outside if necessary It is us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좌변기는 하체의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하체를 다쳐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이하 사용자라 약칭함)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left toilet is inconvenient to use by the elderly or weak injured lower body strength or injured lower body force or disabled peop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user) to use.

하체의 근력이 약하거나 부상을 당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사용자의 예로 하여 부연 설명하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좌변기의 좌대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하체에 힘이 없어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의 좌대에 앉는 과정에서도 동일한 어려움을 느끼게 되며, 특히, 고령의 노인들이 이러한 어려움을 주로 겪고 있다.If the user's lower muscle strength or injury is inconvenient to describe the patient as an example, the user may feel difficulty because the lower body has no strength in the action from sitting on the toilet seat to standing up after viewing the toilet. On the contrary, the user may feel the same difficulty while sitting on the toilet seat of the toilet to see the toilet, and in particular, the elderly are experiencing such difficulties.

참고로, 고령자의 수가 증가하여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화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고령화라고 하는데, 65세 이상의 인구가 7%를 넘는 사회를 고령화 사회라고 지칭하고 있다. For referenc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nd the aging ratio of the population is called aging. A society in which a population over 65% is over 7% is called an aging society.

우리나라는 노령 인구의 비율이 1986년 6.8%에 이르렀고, 2000년 7월에 7%에 이르러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2009년에는 10.7%로 증가했으며, 최근 평균 수명도 급격히 연장되면서 100세 시대를 바라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이 평균(15%)보다 3배나 높은 45%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In Korea,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reached 6.8% in 1986, reached 7% in July 2000, and entered the aging society, and increased to 10.7% in 2009. Looking at you. In particular, Korea ranks first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t 45%, three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15%).

이처럼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실버산업 내지 실버산업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여기서 실버(silver)란 은을 지칭하는 말로서 이 단어는 노인의 흰머리를 미화시켜 표현한 단어로 대중에게 인식되어 중년층과 노년층을 지칭한다. 그러나 실버산업이란 실무계에서 두루 쓰이고 있는 말일 뿐, 학문적으로 정의된 개념은 아니다. 현재 일본에서는 실버산업이란 용어 대신 ‘시니어 비즈니스(Senior Business)’란 용어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As the society becomes aging, interest in the silver industry or silver industry technology is increasing. Here, silver refers to silver, which is a word that expresses the gray hair of the elderly and is recognized by the public to refer to the middle class and the elderly. . The silver industry, however, is used throughout the business world and is not an academically defined concept. In Japan, the term “Senior Business” is used instead of the term “silver industry”.

시니어 비즈니스란, 50세 이상의 장ㆍ노년층 사람들이나 다소 젊더라도 특별한 정신ㆍ신체적 이유로 노인들이 생활과 유사한 생물학ㆍ사회학적 특성을 보이는 사람들(예: 장애인)을 주 고객 대상으로 하는 영리 목적의 사업을 일반적으로 총칭한다. Senior business is a general purpose commercial business aimed at people aged 50 or older, or people who are a bit younger, but whose elderly clients have bi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life (e.g.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special mental and physical reasons. Collectively.

상기한 바와 같이, 늘어만 가고 있는 노령층을 겨냥한 각종 상품이나 편의시설에 대한 기술개발이 시급하고, 이러한 노령층 내지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기술개발 분야 중 일상생활, 병원, 요양원 등의 화장실에 마련된 좌변기의 이용의 편의와 관련된 기술개발도 시급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urgent to develop technologies for various goods and amenities aimed at an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people, and among the technology development fields for the elderly or people who are inconvenient to move, the toilets of toilets in daily life, hospitals and nursing homes are provided. There is also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related to ease of use.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노약자나 하체가 약한 환자들의 경우, 좌변기를 이용하기 위해 앉거나 좌변기를 이용 후 일어설 때, 매우 불편하고 힘이 들기 때문에, 좌변기 이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As mentioned above, in the elderly or weak in the lower body, when sitting to use the toilet seat or stand up after using the toilet seat is very inconvenient and difficult,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that can help to use the toilet seat. .

이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최근에 소개된 특허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3351호(장애자용 좌변기 ; 문헌1)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3781호(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 문헌2)를 예로 들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se requirements, recently introduced patent technologies include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93351 (left toilet for the disabled; Document 1)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3781 (elderly person and For example, the toilet seat in the toilet for the disabled;

상기 문헌1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착석된 상태에서 용변이 가능하도록 중앙부분이 개방된 용변자 안착플레이트가 설치된 좌대부와; 상기 좌대부에 착석된 용변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대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변자의 겨드랑이를 압박하는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겨드랑이 지지부와; 상기 좌대부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소정 높이로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좌대부에 의탁한 용변자로부터 낙하되는 분뇨를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된 분뇨 수거장치;및 상기 각 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자용 좌변기이다.Document 1 includes a frame; A seat unit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rame, and having a toilet seat mounting plate having a central portion open to allow toilet in a seated state; An armpit support portion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armpit of the toilet seated on the seat portion and to adjust the width of pressing the armpit of the toilet seat; A manure collecting device installed on the frame to collect the manure falling from the toilet seat entrusted to the seat in the state in which the seat rests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frame; and a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respective parts. It is a toilet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와 같은 문헌1은 상기 좌대부가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착석된 상태에서 용변이 가능하도록 중앙부분이 개방된 용변자 안착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겨드랑이 지지부가 상기 좌대부에 착석된 용변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대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변자의 겨드랑이를 압박하는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 중에서 구동부는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상기 프레임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나사선이 형성된 스쿠류와; 상기 스쿠류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된 타워 하우징에 구속되어 수직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은 상기 좌대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쿠류를 통해 승하강 되게 설치된 제1너트부재가 마련된 제1승하강유니트와; 상기 타워 하우징에 구속되어 수직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은 상기 겨드랑이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큐류에 의해 승하강 되게 상기 제1승하강유니트 상부에서 상기 스쿠류에 결합된 제2너트부재가 마련된 제2승하강유니트; 및 상기 제1너트부재를 상기 제1승하강유니트의 하우징에 대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척킹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As described in Document 1, the toilet seat seating plate is installed so that the seat seat can be lift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frame and the seat is open so that the seat is seated in the seated state, and the armpit support part is seated on the seat sea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left base so as to support the armpit of the child and to adjust the width of pressing the armpit of the toilet, wherein the driving unit is upwardly on the frame to be rotated by the first motor A screw and a screw thread formed so as to extend; A first lifting unit which is restrained by a tower housing install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crew and is slidably installed vertically,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at base and provided with a first nut member provided to be lifted up and down through the screw; ; It is restrained by the tower housing and installed to be slidable vertically,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armpit support, and a second nut member coupled to the screw on the first lifting unit to be lifted by the skew. Second lifting unit; And a chucking part configured to engage and separate the first nut memb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f the first elevating unit.

이와 같은 문헌1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구동부가 물에 의한 세척이 수시로 이루어지는 바닥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에 의한 장치의 손상 발생이 많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This document 1 is very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since the driving part is installed at the bottom portion where water is often washed,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a lot of damage to the device due to water or a malfunction.

또한, 문헌1은 키조작부(130)를 장애자가 직접 조작하는 것이 매우 난해하여 보호자가 조작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장애자 혼자서 용변을 보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한계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operate the key operation unit 130, so that the guardian must operate the key operation unit 130, thereby showing a limitation in performing the task of viewing the toilet by the disabled alone.

한편, 상기 문헌2는 앉기에 적합한 높이로 형성되며 오물을 받는 보울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대와 덮개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상기 좌대 이상의 높이로 상향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지지대의 연장된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방 손잡이봉; 상기 한 쌍의 측방 손잡이봉 중 어느 한쪽의 손잡이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다른 한쪽의 측방 손잡이봉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는 전방 손잡이봉; 상기 본체의 후방 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대 이상의 높이로 타단이 상향 연장되는 등받이부; 상기 본체의 보울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좌대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둔부 방향으로 온수를 분사하되, 전후 방향의 분사각 차이를 가지며 각각 분사하는 제1 및 제2 분사노즐; 상기 본체의 주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분사노즐의 온수 분사 및 분사 중단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분사노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이다.On the other hand, the document 2 is formed in a height suitable for sitting and sitting in the toilet seat including a main body with a bowl receiving the dirt, and a seat and a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A pair of side handle bars including a support extending upward to the above height and connected to the extended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front handle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one of the pair of side handle bars, the other end being selectively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other side handle bar; A back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extending upward to a height above the seat; First and second injection nozzles installed inside the bowl of the main body and spraying hot water in the direction of the buttocks of the user seated on the seat, each having a spray angle differe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control panel installed at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panel controlling a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jection nozzles, including a switch for manipulating hot water injection and discontinuation of the hot water injection nozzles of the first and second injection nozzles; It is the toilet of the toilet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이와 같은 문헌2는 하체의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하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이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의 좌대에 착석한 상태에서, 단순히 측방 손잡이봉과 전방 손잡이봉을 통해 몸의 균형을 쉽게 유지하면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하체의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하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이 좌변기의 좌대에 착석하는 순간부터 측방 손잡이봉과 전방 손잡이봉을 파지해 몸의 균형을 잃지 않는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노약자 또는 환자가 좌변기에 착석하거나 기립할 때 하체에 힘을 덜 들이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This document 2 shows that the elderly or the elderly who are weak in lower limbs or the patient who are uncomfortable in the lower limbs or are handicapped are seated on the toilet seat in order to see the toilet. The stool can be seen and the stool is held in the state that the elderly or the elderly with weak lower limbs, or the patient or handicapped person who are uncomfortable with the lower limbs are holding the lateral handle and the front handle when they are seated on the toilet seat. To make it visible, there is no structure that allows the elderly or the patient to use the lower body with less effort when sitting or standing on the toilet.

상기와 같은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선행기술)의 참고 문헌은 다음과 같다.Reference literature of the prior art (prior art) related to the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문헌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3351호(명칭 : 장애자용 좌변기 ; 출원일 : 2003.05.12.자)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4-0093351 (Name: Left toilet seat for the disabled; Filed Date: May 12, 2003)

문헌2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3781호(명칭 :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 출원일 : 2008.09.30.자)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3781 (Name: toilet seat for toilet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filed date: September 30, 2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화장실의 좌변기 상방에 마련된 손잡이를 잡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상태에 따라 하강하거나 승강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무릎 관절과 척추 및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고도 손쉽게 좌변기에 착석하거나 좌변기에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holding the handle provided above the toilet of the toilet to lower or lif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 patients with uncomfortable knee joint and spine and muscle The ai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that can help a person easily sit on the toilet seat or stand up on the toilet seat without difficulty.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좌변기(1) 상부에 마련되는 승강부(11); 상기 승강부(11) 선단에 마련되는 손잡이부(12); 상기 승강부(11)의 타측 단에 마련되어 승강부(11)의 승하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3); 상기 승강부(11)와 손잡이부(12) 및 승강구동부(13)의 위치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14); 상기 손잡이부(12)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13)의 승강 및 회전부(14)의 회전 각도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5); 상기 조작부(15)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3) 및 회전부(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lifting unit 11 is provided on the toilet seat (1); A handle portion 12 provided at the tip of the elevating portion 11; An elevating driving part 13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part 11 to provide an elevating power of the elevating part 11; Rotating portion 14 for adjusting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11 and the handle portion 12 and the elevating driving portion (13); An operation unit 15 provided on the handle part 12 and outputting a lifting angle operating signal of the lifting driving unit 13 and a rotating angle operating signal of the rotating unit 14; And a control unit 1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13 and the rotating unit 14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15.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부(11)는 좌변기(1) 상방에 마련되는 베이스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본체(11a); 상기 본체(11a)의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브래킷에 축설된 롤러(11b)에 권취된 승강와이어(11c); 상기 승강와이어(11c)를 좌변기(1) 상방의 전방으로 유도하는 샤프트(1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11a) consisting of a base and a housing provided above the toilet seat (1); Elevating wires 11c wound on rollers 11b arranged on a bracket provided on a plate of the main body 11a; And a shaft (11d) for guiding the lifting wire (11c) to the front of the toilet seat (1) abov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부(11)의 본체(11a)는 바닥면과 천정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11e) 상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11e)는 승강부(11) 상방 또는 하방 부분이 단절된 상태에서, 단절된 일측 단에 회전부(14)가 고정되고, 단절된 타측 단(승강부(11) 방향에 위치한 지주(11e) 단부)은 상기 단절된 지주(11e)의 일측 단 내경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14)에 의해 회전되는 것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a of the elevating portion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bove the support 11e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and the support 11e is above or below the elevation portion 11. In the state in which the part is disconnected, the rotary part 14 is fixed to one end of the disconnected end, and the other end (the strut 11e end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ing part 11) that is disconnected is rotatable in one end inner diameter of the disconnected strut 11e. Fitted to fit, it may be to be rotated by the rotating part (14).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구동부(12)는 승강부(11)를 구성하는 롤러(11b)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이며, 상기 모터는 본체(11a) 상부면에 수직 마련되는 일측 브래킷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drive uni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tor for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ller (11b)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11, the motor is provided on one side bracket which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a)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부(13)는 승강부(11)를 구성하는 승강와이어(11c) 일측 단에 연결되는 1개 또는 2개의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two handle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evating wire (11c) constituting the elevating portion (11).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부(14)는 승강부(11)를 지지하는 지주(11e)를 수평 방향으로 좌우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pillars 11e for supporting the elevating part 11 rotate left and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부(14)는 승강부(11) 상방 또는 하방의 단절된 지주(11e) 일측 단에 고정되는 회전베이스(14a); 상기 회전베이스(14a) 상에 마련되어, 단절된 지주(11e)의 타측 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ry par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base (14a) fixed to one end of the elevating portion (11e) above or below the elevating portion (11); It is provided on the rotating base (14a), the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other end of the disconnected strut (11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6)는 손잡이부(12)에 마련된 센서부(17)의 사용자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손잡이부(12)를 사용자가 사용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승강구동부(13) 및 회전부(14)를 제어하는 한편, 조작부(15)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3)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2)를 승강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논리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user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7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12 to move the handle portion 12 to the user-friendly position to move the lift ( 13) and a microprocessor and a logic circuit equipped with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andle part 12 by operating the lifting driving part 13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part 15 while controlling the rotating part 14. It is done.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제어부(16)가 감지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2) 및 회전부(14)를 구동시켜 손잡이부(13)를 사용자가 사용이 용이한 위치(높이 및 각도)로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좌변기(1)에 착석을 위해 손잡이부(13)를 잡은 상태에서 조작부(15)의 하강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6)가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2)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3)를 서서히 하강시킴으로써, 손잡이부(13)를 잡은 사용자가 하체에 힘을 들이지 않고 천천히 좌변기(1)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roblem sol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nsor detects the user, the control unit 16 drives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 and the rotating unit 14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to facilitate the user to use the handle unit 13. When moving to one position (height and angle), and the user operates the lower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5 while holding the handle 13 to sit on the toilet seat 1, the control unit 16 to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ly, by operating the elevating drive unit 12 to gradually lower the handle unit 13, the user holding the handle 13 can be seated in the toilet seat 1 slowly without applying pressure to the lower body.

또한, 반대로 사용자가 좌변기(1)에서 일어서기 위해 손잡이부(13)를 잡은 상태에서 조작부(15)의 상승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6)가 승강구동부(12)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3)를 서서히 상승시킴으로써, 손잡이부(13)를 잡은 사용자가 하체에 힘을 들이지 않고 천천히 좌변기(1)에서 일어설 수 있도록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operates the lift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5 while the user holds the handle 13 to stand up from the toilet 1, the controller 16 operates the lift driver 12 to handle the handle ( 13) by slowly raising, so that the user holding the handle 13 can stand up slowly in the toilet seat 1 without applying pressure to the lower body.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무릎 관절과 척추 및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고도 손쉽게 좌변기에 착석하거나 좌변기에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해 주는 효과를 얻는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effect of assisting patients who are uncomfortable to be easily seated on the toilet or to stand up on the toilet without straining the knee joint, spine and muscle.

또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보호자 없이도 화장실을 독자적이면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patient with an uncomfortable behavior to use the toilet independently and easily without a guardia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부(13)에 조작부(15)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13)를 잡은 상태에서 손쉽게 손잡이부(13)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 및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operation portion 15 to the handle portion 13, the operability and usability improvement effect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operate the lifting of the handle portion 13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13 Get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13)를 좌우 한 쌍으로 마련함으로써, 손에 힘이 없는 사용자가 두 손을 이용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에 따른 안정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handle 13 in a pair of left and right, to obtain a stability improving effect according to the use to enable a user without a hand strength using both hands stably.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승강부(11)를 구성하는 샤프트(11d) 및 손잡이부(13)가 사용자의 움직임 동선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센서부(17)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6)가 회전부(14)와 승강구동부(12)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3)가 사용자가 서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변기(1)에 다가 설 때 손잡이부(13)에 간섭을 받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손쉽게 손잡이부(13)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use state when the shaft 11d and the handle portion 13 constituting the elevating portion 11 is located away from the movement line of the user, the sensor unit 17 detects the user's movement The control unit 16 operates the rotating unit 14 and the elevating drive unit 12 so that the handle unit 13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 stands, so that the handle unit 13 is move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oilet seat 1. In addition to preventing interference, the usability improvement effect which makes it easy to hold the handle part 13 is acquired.

도 1은 종래 노약자 또는 환자용 좌변기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노약자 또는 환자용 좌변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승강핸들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중 승강핸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oilet for the elderly or a pati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toilet for the elderly or patient.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ift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ift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sid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sented as above.

본 발명인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 상부에 마련되는 승강부(11); 상기 승강부(11)의 타측 단에 마련되어 승강부(11)의 승하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2); 상기 승강부(11) 선단에 마련되는 손잡이부(13); 상기 승강부(11)와 승강구동부(12) 및 손잡이부(13)의 위치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14); 상기 손잡이부(13)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12)의 승강 및 회전부(14)의 회전 각도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15); 상기 조작부(15)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2) 및 회전부(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s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10 is, 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lifting unit 11 is provided on the toilet seat (1); A lift driving part 12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part 11 to provide lifting power of the lifting part 11; A handle portion 13 provided at the tip of the elevating portion 11; A rotating part 14 for adjusting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s of the lifting part 11, the lifting driving part 12, and the handle part 13; An operation unit (15) provided at the handle unit (13) for inputting a lifting angle operation signal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 and the rotating unit (14); Control unit 1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rive unit 12 and the rotating unit 14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15; may be included.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승강부(11)는 좌변기(1) 상방에 마련되는 본체(11a); 상기 본체(11a)에 마련되는 롤러(11b)에 권취된 승강와이어(11c); 상기 승강와이어(11c)를 좌변기(1) 상방의 전방으로 유도하는 샤프트(11d);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part 11 includes a main body 11a provided above the toilet seat 1; Elevating wires 11c wound on rollers 11b provided on the main body 11a; And a shaft 11d for guiding the lifting wire 11c to the front of the toilet 1 above.

이때, 상기 승강부(11)의 본체(11a)는 바닥면과 천정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11e) 상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감싸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1a of the elevating part 11 is fixed above the support 11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and may include a plate and a housing surrounding the plate to form an inner space. have.

이때, 상기 지주(11e)는 승강부(11) 상방 또는 하방 부분이 단절된 상태에서, 단절된 일측 단에 회전부(14)가 고정되고, 단절된 타측 단(승강부(11) 방향에 위치한 지주(11e) 단부)은 상기 단절된 지주(11e)의 일측 단 내경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14)에 의해 회전되는 것 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11e)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ortion (11) above or below the portion is disconnected, the rotating portion 14 is fixed to one end of the disconnected, the other end (elevating portion 11e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lift 11) The end portion is rotatably fitted to one end inner diameter of the cut pillar 11e and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part 14.

또한, 상기 승강부(11)의 롤러(11b)는 본체(11a)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상부면에 마련되는 브래킷에 축설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11b of the elevating part 11 may be arranged in a bracke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main body 11a.

또한, 상기 승강부(11)의 승강와이어(11c)는 내부에 전선이 인입된 것으로, 일측 단은 롤러(11b)에 고정되고, 타측 단은 상기 샤프트(11d) 선단으로 유도되어 손잡이부(13)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wire (11c) of the elevating portion 11 is that the wire is drawn inside, one end is fixed to the roller (11b), the other end is guided to the end of the shaft (11d) handle 13 ) May be connected.

또한, 상기 샤프트(11d)는 베이스(11a)의 일측 단에 고정 지지되는 관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11d may be a tubular body fixed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base 11a.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승강구동부(12)는 승강부(11)를 구성하는 롤러(11b)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모터는 본체(11a) 상부면에 수직 마련되는 일측 브래킷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tor for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ller (11b) constituting the elevating portion 11, the motor is one side that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a) It may be to be installed on the bracket.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손잡이부(13)는 첨부 도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11)를 구성하는 승강와이어(11c) 일측 단에 연결되는 1개 또는 2개의 손잡이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portion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two handle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evating wire (11c) constituting the elevating portion 11, as shown in Figs. Can be.

이때, 상기 2개의 손잡이는 승강와이어(11c) 일측 단에서 양측으로 분할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승강와이어(11c) 일측 단 중앙에 연결 고정된 수평바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wo handles may be divided into two sides at one end of the elevating wire 11c, or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horizontal bar fixed to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elevating wire 11c.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회전부(14)는 승강부(11)를 지지하도록 바닥면에서부터 천정면에 이르도록 수직 설치되는 지주(11e)를 수평 방향으로 좌우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art 14 may rotate left and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pport (11e) vertically installed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ceiling surface to support the lifting unit (11).

이때, 상기 회전부(14)는 승강부(11) 하방 부분의 지주(11e)가 단절된 상태에서 단절된 지주(11e)의 일측 단에 고정되는 회전베이스(14a); 상기 회전베이스(14a) 상에 마련되어, 단절된 지주(11e)의 일측 단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타측 단을 회전시켜, 지주(11e)의 타측 단에 위치하는 승강부(11)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4b);을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portion 14 is a base 11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11, the rotating base (14a) is fixed to one side end of the broken strut (11e) in a state of being disconnected; Rotating means provided on the rotation base 14a to rotate the other end rotatably fitted to one end of the disconnected support 11e, thereby rotating the elevating part 11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11e. (14b);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회전베이스(14a)는 하우징에 의해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base 14a may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by the housing.

또한, 상기 회전수단(14b)은 모터와 기어를 포함한 감속기로 이루어진 회전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지주(11e) 중 승강부(11)와 연결된 지주(11e)의 타측 단 외경을 따라 마련되는 기어를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치합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ans 14b may be a rotating device including a motor and a gear including a gear, and includes a gear provided along the outer end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11e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rtion 11 of the support 11e. The reducer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motor may be engaged to rotate forward or reverse.

또한, 상기에서 단절이라 함은 2부분으로 나뉘어 분리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지주(11e)가 절단되고 절단된 단부가 서로 끼워져 베어링 지지를 받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disconnection in the above does not mean divided into two parts, but means a state in which one support (11e) is cut and the cut ends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ceive bearing support.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6)는 손잡이부(12)에 마련된 센서부(17)의 사용자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손잡이부(12)를 사용자가 사용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승강구동부(13) 및 회전부(14)를 제어하는 한편, 조작부(15)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3)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2)를 승강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논리회로인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user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7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12 to move the handle portion 12 to the user easy to use the lift drive unit (13) and the rotating unit 14, while operating the lift drive unit 1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15 is a microprocessor and logic circuit equipped with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andle portion 12 Can be.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센서부(17)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또는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한 조도센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7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lluminance sensor including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r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illuminance.

그리고, 미설명된 전원부(도 3)는 상용전원을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회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described power supply unit (FIG. 3) may be a power supply circuit for converting and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operating pow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은 좌변기(1) 상부에 마련되는 승강부(11); 상기 승강부(11)의 타측 단에 마련되어 승강부(11)의 승하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2); 상기 승강부(11) 선단에 마련되는 손잡이부(13); 상기 승강부(11)와 승강구동부(12) 및 손잡이부(13)의 위치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14); 상기 손잡이부(13)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12)의 승강 및 회전부(14)의 회전 각도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15); 상기 조작부(15)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2) 및 회전부(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ifting unit 11 is provided on the toilet seat (1); A lift driving part 12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part 11 to provide lifting power of the lifting part 11; A handle portion 13 provided at the tip of the elevating portion 11; A rotating part 14 for adjusting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s of the lifting part 11, the lifting driving part 12, and the handle part 13; An operation unit (15) provided at the handle unit (13) for inputting a lifting angle operation signal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 and the rotating unit (14); And a control unit 1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 and the rotating unit 14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15.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부(11)는 좌변기(1) 상방에 마련되는 본체(11a)에 롤러(11b)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11b)에 승강와이어(11c)의 일측 단이 권취된 상태에서 타측 단은 본체(11a) 전방으로 길게 돌출된 샤프트(11d)를 따라 유도되어 단부에 손잡이부(13)가 연결된 것이다.The lifting uni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oller 11b on the main body 11a provided above the toilet seat 1, and one end of the lifting wire 11c is wound on the roller 11b. In the other end is guided along the shaft (11d) protruding long in front of the main body (11a) is the handle portion 13 is connected to the end.

이때, 상기 승강부(11)의 본체(11a)는 바닥면과 천정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11e) 상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11e)는 승강부(11) 상방 또는 하방 부분이 단절된 상태에서, 단절된 일측 단에 회전부(14)가 고정되고, 단절된 타측 단(승강부(11) 방향에 위치한 지주(11e) 단부)은 상기 단절된 지주(11e)의 일측 단 내경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14)에 의해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1a of the elevating portion 11 is fixed above the support 11e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and the support 11e is disconnected above or below the elevation portion 11. In the state, the rotary part 14 is fixed to one end of the disconnected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onnected end (posts 11e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ing part 11) is rotatably fitted to one end inner diameter of the disconnected post 11e. And rotated by the rotating unit 14.

또한, 상기 승강부(11)의 승강와이어(11c)는 내부에 전선이 인입된 것이며, 이대, 상기 전선은 조작부(15)와 센서부(17)에 대한 전원공급 및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이다.In addition, the elevating wire (11c) of the elevating portion (11) is a wire that is drawn inside, this is the wire i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power supply and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15 and the sensor unit (17).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12)는 승강부(11)를 구성하는 롤러(11b)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로서, 본체(11a) 상부면에 수직 마련되는 일측 브래킷에 설치되어, 조작부(15)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제어부(16)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승강와이어(11c)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서 늘어트린다.In addition,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 is a motor for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ller 11b constituting the elevating unit 11,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bracket vertical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a, and the operation unit 15.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16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lifting wire (11c) while raising or lowering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and hangs.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3)는 승강부(11)를 구성하는 승강와이어(11c) 일측 단에 연결되는 1개 또는 2개의 손잡이이다.In addition, the handle 13 is one or two handle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evating wire (11c) constituting the elevating portion (11).

그리고, 상기 회전부(14)는 승강부(11)를 지지하는 지주(11e)를 수평 방향으로 좌우 회전시키는 것으로, 승강부(11) 상방 또는 하방의 단절된 지주(11e) 일측 단에 고정되는 회전베이스(14a) 상에 회전수단(14b)이 마련되어, 단절된 지주(11e)의 타측 단을 회전시킴으로써, 승강부(11)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14 rotates the support post 11e supporting the lifting unit 11 horizontal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base is fixed to one end of the disconnected support post 11e above or below the elevation unit 11. The rotating means 14b is provided on the 14a, and by rotating the other end of the disconnected support 11e, the angle of the lifting part 11 is adjus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6)는 손잡이부(12)에 마련된 센서부(17)의 사용자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손잡이부(12)를 사용자가 사용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승강구동부(13) 및 회전부(14)를 제어하는 한편, 조작부(15)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3)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2)를 승강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 receives the user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7 provided in the handle unit 12, the lifting drive unit 13 and the user to move the handle unit 12 to a position that is easy for use by the user; While controlling the rotating unit 14, the elevating driving unit 13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ng unit 15 to control the elevating portion 12.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제어부(16)가 감지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2) 및 회전부(14)를 구동시켜 손잡이부(13)를 사용자가 사용이 용이한 위치(높이 및 각도)로 이동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변기(1)에 착석을 위해 손잡이부(13)를 잡은 상태에서 조작부(15)의 하강 스위치를 조작하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가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2)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3)를 서서히 하강시킴으로써, 손잡이부(13)를 잡은 사용자가 하체에 힘을 들이지 않고 천천히 좌변기(1)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nsor detects the user, the control unit 16 drives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 and the rotating unit 14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o facilitate the user to use the handle unit 13 (height and angle). ), An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lower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5 while holding the handle 13 to sit on the toilet seat 1, as shown in FIG. By operating the elevating drive unit 1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and gradually lowering the handle unit 13, the user holding the handle unit 13 can slowly sit on the toilet seat 1 without applying force to the lower body. Make sure

또한, 반대로 사용자가 좌변기(1)에서 일어서기 위해 손잡이부(13)를 잡은 상태에서 조작부(15)의 상승 스위치를 조작하면,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가 승강구동부(12)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3)를 서서히 상승시킴으로써, 손잡이부(13)를 잡은 사용자가 하체에 힘을 들이지 않고 천천히 좌변기(1)에서 일어설 수 있도록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operates the lift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5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handle 13 to stand up from the toilet seat 1, the control unit 16 as shown in FIG. By gradually raising the handle portion 13 by operating the eastern portion 12, the user holding the handle portion 13 allows the user to stand up slowly in the toilet seat 1 without applying force to the lower bod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무릎 관절과 척추 및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고도 손쉽게 좌변기에 착석하거나 좌변기에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ist patients with uncomfortable movement so that they can easily sit on the toilet seat or stand up on the toilet seat without straining the knee joint, spine and muscle.

또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보호자 없이도 화장실을 독자적이면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patient with an uncomfortable behavior to use the toilet independently and easily without a guardia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부(13)에 조작부(15)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13)를 잡은 상태에서 손쉽게 손잡이부(13)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 및 사용성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operability and usability by providing the operation part 15 to the handle part 1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lifting of the handle part 13 while holding the handle part 13. .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13)를 좌우 한 쌍으로 마련함으로써, 손에 힘이 없는 사용자가 두 손을 이용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handle portion 13 in a pair of left and right, improves the stability according to the use to enable a user without a force in the hand using both hands stably.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승강부(11)를 구성하는 샤프트(11d) 및 손잡이부(13)가 사용자의 움직임 동선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센서부(17)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6)가 회전부(14)와 승강구동부(12)를 동작시켜, 손잡이부(13)가 사용자가 서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변기(1)에 다가 설 때 손잡이부(13)에 간섭을 받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손쉽게 손잡이부(13)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use state when the shaft 11d and the handle portion 13 constituting the elevating portion 11 is located away from the movement line of the user, the sensor unit 17 detects the user's movement The control unit 16 operates the rotating unit 14 and the elevating drive unit 12 so that the handle unit 13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 stands, so that the handle unit 13 is move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oilet seat 1.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interference, it improves the usability to easily hold the handle portion (13).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uch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11 : 승강부
11a : 본체 11b : 롤러
11c : 승강와이어 11d : 샤프트
12 : 승강구동부 13 : 손잡이부
14 : 회전부 14a : 회전베이스
14b : 회전수단 15 : 조작부
16 : 제어부 17 : 센서부
1 : 좌변기
10: help device using the toilet seat 11: lift
11a: main body 11b: roller
11c: lifting wire 11d: shaft
12: lifting drive portion 13: handle
14: rotating part 14a: rotating base
14b: rotation means 15: operation unit
16 control unit 17 sensor unit
1: toilet seat

Claims (9)

좌변기 상부에 마련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타측 단에 마련되어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 선단에 마련되는 1개 또는 2개의 손잡이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승강부의 위치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의 승강 및 회전부의 회전 각도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부 및 손잡이부가 사용자의 움직임 동선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상기 센서부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승강부와 회전부를 동작시켜, 상기 손잡이부를 사용자 위치로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승강부를 동작시켜 손잡이부를 승강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Lifting portion provided on the toilet seat;
An elevating driv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unit to provide elevating power;
A handle portion consisting of one or two handles provided at the tip of the lift portion;
A rotating part for adjusting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lifting part;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handle unit to input a lift angle operation signal of a lifting unit and a rotating unit;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In an unused state, the lifting unit and the handle unit are located away from the movement line of the user, and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the user's movement, the elevator unit and the rotating unit are operated to move the handle unit to the user position, while the operation unit A control unit for elevating the handle unit by operating the elevat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Toilet seat using aid comprising a.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좌변기 상방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롤러에 권취된 승강와이어;
상기 승강와이어를 좌변기 상방의 전방으로 유도하는 샤프트;
를 포함하는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unit main body provided above the toilet;
A lifting wire wound on a roll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 shaft for guiding the lifting wire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seat;
Toilet seat using aid comprising a.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승강와이어는 내부에 전선이 인입된 것으로, 일측 단은 롤러에 고정되고, 타측 단은 샤프트 선단으로 유도되어 손잡이부에 연결된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wire of the elevating unit is an electric wire drawn inside, one end is fixed to the roller, the other end is guided to the shaft e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using the toilet seat.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승강부를 구성하는 롤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인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drive unit is a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which is a motor for rotating the roller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forward or reverse rotation.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와이어 일측 단에 연결되는 1개 또는 2개의 손잡이인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is one or two handles using the toilet sea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fting wire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바닥면에서부터 천정면에 이르도록 수직 설치되는 지주를 수평 방향으로 좌우 회전시키는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unit is a toilet seat assist device for rotating the left and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vertically installed props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ceiling surface to support the lifting unit.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승강부 하방 부분의 지주가 단절된 상태에서 단절된 지주의 일측 단에 고정되는 회전베이스;
상기 회전베이스 상에 마련되어, 단절된 지주의 일측 단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타측 단을 회전시켜 지주의 타측 단에 위치하는 승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는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otating unit is a rotating base fixed to one end of the disconnected strut in the state in which the strut of the lifting lower portion;
A rotation means provided on the rotation base to rotate the other end rotatably fitted to one end of the disconnected support so as to rotate the lifting unit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Toilet seat using aid comprising a.
삭제delete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또는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한 조도센서인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is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r an illumination sensor including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illumination of the toilet seat assist device.
KR1020180012034A 2018-01-31 2018-01-31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KR102058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34A KR102058890B1 (en) 2018-01-31 2018-01-31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34A KR102058890B1 (en) 2018-01-31 2018-01-31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26A KR20190092826A (en) 2019-08-08
KR102058890B1 true KR102058890B1 (en) 2020-02-11

Family

ID=6761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34A KR102058890B1 (en) 2018-01-31 2018-01-31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89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175Y1 (en) * 2001-09-12 2002-03-18 주식회사 이세이브 Apparatus for body detecting in a chamber pot
KR101345273B1 (en) 2012-04-30 2013-12-26 노태진 Movable patient lifting apparatus
JP2014155550A (en) 2013-02-14 2014-08-28 Echigo Kogyo Kk Independence support device for wheelchair and wheelchair equipped with the same
JP2017176300A (en) * 2016-03-29 2017-10-05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Walking assis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377A (en) * 2014-06-10 2015-12-18 이혜진 Behavior Assist Device for wheelchair users in toil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175Y1 (en) * 2001-09-12 2002-03-18 주식회사 이세이브 Apparatus for body detecting in a chamber pot
KR101345273B1 (en) 2012-04-30 2013-12-26 노태진 Movable patient lifting apparatus
JP2014155550A (en) 2013-02-14 2014-08-28 Echigo Kogyo Kk Independence support device for wheelchair and wheelchair equipped with the same
JP2017176300A (en) * 2016-03-29 2017-10-05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Walking assi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26A (en)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566B1 (en) Subsidiary implement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WO2017101169A1 (en) Multifunctional care bed for patient self-defecation
JP2011500106A (en) Patient bed with wheelchair and wheelchair
JPH07178134A (en) Moterized wheelchair
KR20200021388A (en) Chair for elderly and disabled
KR101462378B1 (en) Wheelchair with lift
TWI551283B (en) Multifunctional care bed
KR102058890B1 (en) Toilet seat using help apparatus
KR101588698B1 (en) Electrical shower trolley
KR20120042333A (en) The wheel chair where the use is convenient
JP2001000499A (en) Elevating/descending device to nurse bathing
KR101045843B1 (en) Restroom Aid for Wheelchair People with Disabilities
CN211095445U (en) Medical bed
CN211095494U (en) Medical bed turnover device
KR100632745B1 (en) A desk for disable person which adjustable the height of desk
KR200450271Y1 (en) Standing Lift
KR20110029699A (en) Chair with a standing-up aid
JPH05305038A (en) Stool device with lifting toilet seat
CN110464609A (en) Multi-functional device of helping the elderly
KR20120102889A (en) Electric wheelchair
JPH03126417A (en) Stool unit
JPH09580A (en) Medical care lift device
CN220175007U (en) Auxiliary device for toilet
KR20150141377A (en) Behavior Assist Device for wheelchair users in toilet
CN211095391U (en) Combined wheelchair medical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