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965B1 -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965B1
KR101039965B1 KR1020080086108A KR20080086108A KR101039965B1 KR 101039965 B1 KR101039965 B1 KR 101039965B1 KR 1020080086108 A KR1020080086108 A KR 1020080086108A KR 20080086108 A KR20080086108 A KR 20080086108A KR 101039965 B1 KR101039965 B1 KR 10103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lock gear
gear
outer circumferential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266A (ko
Inventor
정태주
조정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08008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9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록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들 중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치형들의 나사산 높이가 나머지 치형들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록기어와 섹터기어 간 로킹 또는 언로킹 과정에서 상기 후방 단부의 치형들이 전방의 나머지 치형들과 거의 동시에 섹터기어의 치형부 내치와 로킹 및 언로킹되므로 록기어와 섹터기어 간 불완전 로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recliner), 록기어(lock gear), 치형(tooth), 스키핑(skipping)

Description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HIGH STRENGTH ROUND RECLINER}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시트백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에 적용되는 리클라이너는 일반적으로 시트백(seatback)의 회동 및 회동된 상태로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속장치로서, 승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체형 조건에 맞게 시트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리클라이너는 이와 같이 시트백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측면에서는 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일단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상기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여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안전성이 충분히 고려된 설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안전성 측면에서 바라본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개선하여야 할 여지가 많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중 전방(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로 인해 리클라이너의 로킹(locking) 상태가 해제되어 시트백이 전방(후방)으로 자유 회동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승객이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리클라이너를 조작하는 과정에서도 상기 리클라이너가 불완전하게 로킹되어 이로 인해 조절된 시트백이 승객에 의해 뒤로 젖혀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킹 및 언로킹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완전한 로킹을 방지할 수 있는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로킹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안정성을 향상시킨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치가 형성된 링 형상의 치형부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섹터기어와; 일단부에 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 내측에서 왕복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치면이 상기 치형부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록기어와;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와 면접하여 상기 섹터기어와의 사이에 상기 록기어를 수용하며, 상기 록기어의 왕복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록기어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 홀더; 및 상기 홀더와 상기 섹터기어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왕복 회동 시 상기 록기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록기어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치형부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는 상기 치형부의 외측에 회전 중심을 갖는 가이드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록기어가 상기 가이드 곡면을 따라 상기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회동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록기어는 상기 가이드 곡면에 면접하여 상기 회전 중심의 둘레로 왕복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면과, 상기 치면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외주면은 그 전방 단부의 치형 으로부터 후방 단부의 치형에 이르기까지 모두 동일한 피치와 나사각을 가짐에 반해, 나사산의 높이 측면에서는 상기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이 상기 외주면의 다른 치형들에 비해 나사산의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 간에는 상기 후방 최단부에 위치하는 치형에서부터 나사산의 높이가 순차로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록기어 외주면의 모든 치형은 각 나사산 단부가 라운딩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록기어의 외주면은 그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치형들은 각각 전방 여유간격을 가지며, 후방에 위치한 치형들은 각각 후방 여유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록기어 외주면의 치형들은, 상기 전방 여유간격과 상기 후방 여유간격이 상기 록기어의 외주면 중심부로부터 전후방 각 단부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홀더의 록기어 가이드부가 돌출되는 두께는 상기 록기어 두께보다 작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의 두께는 상기 록기어 두께의 60%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치가 형성된 링 형상의 치 형부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섹터기어와; 일단부에 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 내측에서 왕복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치면이 상기 치형부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록기어와;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와 면접하여 상기 섹터기어와의 사이에 상기 록기어를 수용하며, 상기 록기어의 왕복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록기어 가이드부가 형성된 홀더; 및 상기 홀더와 상기 섹터기어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왕복 회동 시 상기 록기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록기어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치형부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는 상기 치형부의 외측에 회전 중심을 갖는 가이드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록기어가 상기 가이드 곡면을 따라 상기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회동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록기어는 상기 가이드 곡면에 면접하여 상기 회전 중심의 둘레로 왕복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면과, 상기 치면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외주면은 그 전방 단부의 치형으로부터 후방 단부의 치형에 이르기까지 모두 동일한 피치와 나사각을 가짐에 반해, 상기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이 상기 외주면의 다른 치형들에 비해 나사산의 라운딩(R) 값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 간에는 상기 후방 최단부에 위치하는 치형에서부터 라운딩 값이 순차로 적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와 종래의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비교해 보면, 종래에는 록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들이 모두 획일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짐으로 인해 상기 록기어와 섹터기어 간 로킹 또는 언로킹 과정에서 상기 록기어 외주면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몇몇 치형들이 항상 나머지 치형들보다 먼저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 내치에 걸림으로 인해 불완전 로킹 상태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의하면, 록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들 중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치형들의 나사산 높이가 나머지 치형들에 비해 낮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록기어와 섹터기어 간 로킹 또는 언로킹 과정에서 상기 후방 단부의 치형들이 전방의 나머지 치형들과 거의 동시에 섹터기어의 치형부 내치와 로킹 및 언로킹되므로 록기어와 섹터기어 간 불완전 로킹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록기어가 섹터기어로부터 언로킹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록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치형들 간에 최단부로부터 나사산의 높이가 순차로 높아지도록 형성하거나, 이에 더하여 각 치형의 나사산 단부가 라운딩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의하면, 록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들 중 전방의 치형들은 전방 여유간격을, 후방의 치형들은 후방 여유간격을 각각 가지도록 함으로써 홀더를 통한 전방에서의 충격 시에는 상기 후방 여유간격을 갖는 치형들이 1차적으로 지지력을 발휘하고 상기 전방 여유간격을 갖는 치형들 이 상기 후방 여유간격을 갖는 치형들의 변형 과정 등을 통해 2차적으로 홀더의 치형부 내치에 접촉된 후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대의 경우, 즉 홀더를 통한 후방에서의 충격 시에도 상기 전방 여유간격을 갖는 치형들이 1차적으로 지지력을 발휘하고 상기 후방 여유간격을 갖는 치형들이 상기 전방 여유간격을 갖는 치형들의 변형 과정 등을 통해 2차적으로 홀더의 치형부 내치에 접촉된 후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홀더를 통한 전,후방의 충격에 대한 지지강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는 록기어를 가이드하는 홀더 측의 록기어 가이드부의 돌출 두께가 상기 록기어의 두께보다 작도록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록기어와 록기어 가이드부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였던 종래기술에 의할 경우 상기 록기어와 섹터기어 간 로킹 상태에서 상기 섹터기어를 통한 전,후방으로의 충격이 발생하면, 록기어는 이 충격으로 인해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를 따라 로킹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로킹 해제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시트백의 자유 회동 사태가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비해, 상기와 같이 록기어 가이드부의 돌출 두께가 상기 록기어의 두께보다 작도록 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록기어와 섹터기어 간 로킹 상태에서 상기 섹터기어를 통한 전,후방으로의 충격 발생 시, 이 충격으로 상기 록기어가 록기어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되기에 앞서 상기 섹터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록기어의 가압으로 인해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가 원주방향으로 변형하게 되어 상기 록 기어와 상기 섹터기어 간 로킹 상태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시트백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결합되는 홀더(110)와 섹터기어(120), 상기 홀더(110)와 섹터기어(1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호 작용하는 록기어(130)와 캠(140)을 포함한다.
홀더(110)는 내측에 록기어 가이드부(111)가 돌출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록기어(13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한다.
섹터기어(120)는 그 하측의 외주면으로 링 형상의 치형부(121)가 돌출 형성되며, 치형부(121)는 홀더(110)의 록기어 가이드부(111) 바깥측으로 삽입되어 홀더(110)에 면접한다. 섹터기어(120)는 치형부(121)를 통해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면접한다.
캠(140)은 홀더(110)에 형성된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111)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홀더(110) 내의 캠(140) 수용 공간 아래 측에 형성된 수용홈(112)에는 상기 캠(140)에 회전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150)이 삽입된다.
스프링(150)에 의해 캠(140)은 항상 외측 방향, 즉 섹터기어(120)의 치형부(12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상기 홀더(110)에는 박판(160)이 삽입되어 록기어(130)가 홀더(110) 내에서 슬라이드되는 경우 마찰력이 최소화하도록 한다.
그리고, 섹터기어(120)의 하측으로는 소정 두께의 링 플레이트(170)가 삽입 결합되어 록기어(130)와 캠(14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록기어(130)와 캠(140)이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홀더(110)와 섹터기어(120)의 내측에 상기한 록기어(130), 캠(140), 스프링(150), 박판(160) 및 링 플레이트(17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섹터기어(120)의 상측으로부터 커버 하우징(180)이 삽입되며, 이 커버 하우징(180)의 하단부 둘레 부분이 홀더(1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성형됨으로써 라운드 리클라이너(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조립된 상태의 리클라이너(100) 내부에서 록기어(130)와 캠(140)이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내측으로는 다수의 록기어 가이드부(1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록기어 가이드부(111)의 외측 둘레로 섹터기어(120) 측의 치형부(121)가 삽입 결합된다.
치형부(121)는 내주면에 내치(121a)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록기어(130)의 외측 일단부에도 치면(132a)이 형성된다.
록기어(130)는 록기어 가이드부(111)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치형부(121)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로킹되거나, 반대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언로킹된다.
록기어(130)의 로킹 및 언로킹을 위한 슬라이드 작용은 캠(140)의 회전 가압에 의해 달성된다.
홀더(110)의 록기어 가이드부(111)는 록기어(130)의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가이드 곡면(111a, 111b, 111c)이 형성된다. 록기어(130)는 이들 가이드 곡면(111a, 111b, 111c)을 따라 슬라이드된다.
여기서, 각 가이드 곡면(111a, 111b, 111c)은 그 회전 중심이 치형부(121) 외측의 일 지점(O)에 위치한다.
따라서, 모든 가이드 곡면(111a, 111b, 111c)은 상기 회전 중심(O)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상이한 반경의 원호를 이룬다.
그리고, 록기어 가이드부(111)에 의해 가이드되는 록기어(130)는 이들 가이드 곡면(111a, 111b, 111c)에 접촉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면(131a, 131b, 131c)이 모두 해당 가이드 곡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록기어 가이드부(111)에 의해 슬라이드 안내되는 록기어(130) 또한 상기 회전 중심(O)을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회동하게 된다.
록기어(130)의 외주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치형부(121)의 내치(121a)에 치형 결합하기 위한 치면(132)으로 이루어진다.
록기어(130)의 내주면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캠(140)에 의해 가압되는 제1 요홈부(133a)와 제2 요홈부(133b)가 형성된다.
도 2a는 치형부(121)에 치형 결합된 록기어(130)가 캠(140)에 의해 결합해제되기 시작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즉, 캠(140)에 형성된 제2 돌기(142)가 록기어(130)의 제2 요홈부(133b)를 가압하기 시작하면 록기어(130)의 외주면(132)은 치형부(121)의 내치(121a)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한다.
이때, 도 2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기어(130)의 외주면(132)에 형 성된 치형들은 모두 동일한 피치(pitch)와 나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나사산의 높이 측면에서는 좌측 단부, 즉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A, B, C)이 다른 치형들에 비해 나사산의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된다.
도 3은 록기어(130)의 외주면(132)에 형성된 치형들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록기어(130)의 외주면(132)에 형성된 치형들은 모두 동일한 피치(p)와 나사각(α)을 가지나, 좌측의 후방(R) 단부에 위치한 3개의 치형(A, B, C)은 나머지 치형들보다 더 낮은 높이의 나사산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후방 단부의 치형들(A, B, C) 중 후방 최단부에 위치하는 치형(A)으로부터 나사산의 높이가 순차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나사산의 높이는 A < B < C가 되는 셈이다.
한편, 록기어(130) 외주면(132)의 모든 치형들은 나사산의 단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바, 이 경우 상기 후방 단부의 치형들(A, B, C)은 상기와 같이 나사산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기 위해서는 해당 라운딩 값(R)이 나머지 치형들에 비해 큰 값을 갖게 된다.
도 3에서는, 외주면(132)의 후방 단부 치형들의 나사산에 대한 라운딩 값은 A: R=0.4[mm], B: R=0.35[mm], C: R=0.3[mm]가 되도록 설정하고, 나머지 치형들에 대하여는 모두 R=0.23[mm]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록기어(130) 외주면(132)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치형들에 대하여 나사산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도록 할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 이, 치형부(121)와의 치형 결합이 해제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완전 로킹 상태로 인한 스키핑(skipp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의 상태에서 캠(140)이 추가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미세 회동하면, 록기어(130)는 치형부(121)로부터 후퇴하여 도 2b의 상태로 된다.
도 2b는 록기어(130) 외주면(132)의 치형과 치형부(121)의 내치(121a) 간의 치형 결합이 아직 불완전하게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외주면(132)의 치형들이 아직 치형부(121)의 내치(121a) 간 골 사이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섹터기어(120)가 회전력을 받는다 하더라도 치형부(121)가 록기어(130)에 걸려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2c는 록기어(130) 외주면(132)의 치형과 치형부(121)의 내치(121a) 간의 치형 결합이 분리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 간 결합의 분리는 최전방의 치형(D)에서부터 일어나게 된다.
록기어(130) 외주면(132)의 치형과 치형부(121)의 내치(121a) 간 치형 결합의 분리로서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모든 치형이 동시에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시 치형 분리는 록기어가 치형부(121)의 원호 중심방향, 즉 캠(140)의 중심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에나 가능할 뿐이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치형부(121)의 외측에 회전 중심(O)을 갖는 록기어 가이드부(111)를 따라 록기어(130)의 언로킹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의 치형(D)부터 결합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캠(140)에 의해 록기어(13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외주 면(132)의 치형과 치형부(121)의 치형 간 결합 분리는 최전방(도 2c에서는 우측단)의 치형(D)에서부터 순차로 좌측의 치형으로 진행된다.
도 2d는 이러한 순차적인 결합 해제가 이루어지는 마지막 단계를 나타낸다. 즉, 외주면(132)의 최후방(도 2d에서는 좌측단)의 치형이 치형부(121)로부터 결합 분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에서와 같이, 록기어(130)와 섹터기어(120)의 치형부(121)와의 로킹 해제는 도 2a 내지 도 2d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때, 최전방의 치형(D)이 결합 분리되는 때(도 2c의 상태)로부터 최후방의 치형(A)이 결합 분리되는 때(도 2d의 상태)까지의 경과 시간이 길면 길수록 록기어(130)와 섹터기어(120) 간 불완전 로킹상태가 오래 지속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100)에 의하면 최후방의 복수 개의 치형들(A, B, C)의 나사산 높이가 비교적 낮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 2c와 도 2d 사이의 간격(시간 내지 회전각도 측면에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록기어(130)와 섹터기어(120) 간의 불완전 로킹이 주로 이들 최후방의 치형(A, B, C)로 인해 발생한다는 점에서 볼 때 이들 치형의 나사산 높이를 낮춤으로 인한 불완전 로킹 상태를 방지하는 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종래의 록기어(130) 외주면(132)의 치형들이 모두 획일적으로 형성되었을 때에는, 상기와 같이 불완전 로킹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심하고 시트백에 기대는 경우 록기어(130) 외주면(132) 상의 적은 개수의 치형들(ex. A, B, C)만으로는 섹터기 어(120)의 회전력을 지지하기란 어렵다. 이에 따라, 치형 간 스키핑(skipping)이 발생하여 록기어(130)와 섹터기어(120) 간 로킹이 해제되어 결과적으로 시트백이 뒤로 완전히 젖혀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리클라이너 조작 시 록기어(130)와 섹터기어(120)가 도 2c와 도 2d의 사이에 놓인 상태, 즉 불완전 로킹 상태에 해당될 확률이 크게 줄어듬에 따라 치형 간 스키핑(skipping)이 발생할 여지를 크게 줄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기어(130)의 외주면(132)에 형성된 치형들은 섹터기어(120) 측 치형부(121)의 내치(121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주면(132)의 중간 지점(M)을 기준으로 할 때 전방(도면에서는 우측)에 위치한 치형들은 각각 전방 여유간격(d)을 가지며, 후방에 위치한 치형들은 각각 후방 여유간격(e)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여유 간격들은 각각 상기 중간 지점(M)으로부터 각 해당 단부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그리고 서로 전후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주면(132)의 치형들이 전,후방 여유 간격(d, e)을 갖는 경우에는, 섹터기어(120)를 통한 전방 충격(도면에서 F 방향)이 록기어(130)로 전달될 때 상기 후방 여유 간격을 갖는 후방 치형들(T1)이 기본적으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고 충격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형량이 커지면서 점차 전방의 치형들(T2)이 해당 전방 여유간격(d) 순으로 순차적으로 섹터기어(120)의 내치(121a)에 접촉하여 추가적인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록기어(130)에 섹터기어(120)를 통한 후방 충격(도면에서 R 방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즉, 전방 치형들(T2)이 기본적으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고 충격의 크기에 비례하여 점차 후방의 치형들(T1)이 해당 여유간격(e) 순으로 순차적으로 섹터기어(120)의 내치(121a)에 접촉하여 추가적인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섹터기어(120)를 통한 전,후방 충격 시 이를 지지하게 되는 록기어(130)의 외주면(132) 치형의 강도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기어(130)의 두께(t1)에 비해 이를 가이드하는 홀더(110) 측의 록기어 지지부(111)의 두께(t2)를 더 작게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록기어 지지부(111)의 두께(t2)가 록기어(130) 두께(t1)의 60[%]에 해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록기어(130)와 록기어 지지부(111)의 두께에 차이를 두게 되면, 상기 록기어(130)가 섹터기어(120)와 치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섹터기어(120)를 통한 매우 큰 충격이 회전력으로서 록기어(130)에 가해지는 경우, 두께가 얇은 록기어 지지부(111)가 록기어(130)에 밀려 변형하게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즉, 록기어(130)는 섹터기어(120)에 치형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각도만 약간 변하였을 뿐 상기 결합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시트백이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록기어(130)와 록기어 지지부(111)의 두께가 같 을 경우에는, 록기어(130)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록기어 지지부(111)가 변형하지 않아 상기 록기어(130)는 록기어 지지부(111)를 따라 슬라이드된다. 즉, 섹터기어(120)와의 로킹이 해제됨으로써 시트백이 젖혀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록기어(130)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지는 록기어 지지부(111)에 의할 경우 차량의 전,후방 충돌 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섹터기어(120)를 통한 전방(F)으로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 록기어 가이드부(111)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6은 섹터기어(120)에 의해 후방(R) 충격이 가해진 경우 록기어 가이드부(111)의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서 록기어(130)는 두께가 4.5[mm]이고, 록기어 지지부(111)의 두께는 2.7[mm](즉, 상기 록기어(130) 두께의 60%)인 것으로 하였다.
각 도면에서 "○"로 표시된 곳이 변형된 부분에 해당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라운드 리클라이너(1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리클라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도 1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의 일 부품인 록기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그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의 부분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의 일 부품인 홀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라운드 리클라이너 110: 홀더
111: 록기어 가이드부 111a, 111b, 111c, 111d: 가이드 곡면
112: 수용홈 120: 섹터기어
121: 치형부 121a: 내치
130: 록기어 131a, 131b, 131c: 슬라이드면
132: 외주면 133a, 133b: 요홈부
140: 캠 141, 142: 돌기
150: 스프링 160: 박판
170: 링 플레이트 180: 커버 하우징

Claims (9)

  1. 내치가 형성된 링 형상의 치형부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섹터기어와; 일단부에 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 내측에서 왕복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치면이 상기 치형부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록기어와;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와 면접하여 상기 섹터기어와의 사이에 상기 록기어를 수용하며, 상기 록기어의 왕복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록기어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 홀더; 및 상기 홀더와 상기 섹터기어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왕복 회동 시 상기 록기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록기어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치형부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는 상기 치형부의 외측에 회전 중심을 갖는 가이드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록기어가 상기 가이드 곡면을 따라 상기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회동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록기어는 상기 가이드 곡면에 면접하여 상기 회전 중심의 둘레로 왕복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면과, 상기 치면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외주면은 그 전방 단부의 치형으로부터 후방 단부의 치형에 이르기까지 모두 동일한 피치와 나사각을 가짐에 반해, 나사산의 높이 측면에서는 상기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이 상기 외주면의 다른 치형들에 비해 나사산의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록기어의 외주면은 그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치형들은 각각 전방 여유간격을 가지며, 후방에 위치한 치형들은 각각 후방 여유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록기어 가이드부가 돌출되는 두께는 상기 록기어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 간에는 상기 후방 최단부에 위치하는 치형에서부터 나사산의 높이가 순차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기어 외주면의 모든 치형은 각 나사산 단부가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기어 외주면의 치형들은, 상기 전방 여유간격과 상기 후방 여유간격이 상기 록기어의 외주면 중심부로부터 전후방 각 단부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의 두께는 상기 록기어 두께의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
  8. 내치가 형성된 링 형상의 치형부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섹터기어와; 일단부에 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 내측에서 왕복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치면이 상기 치형부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록기어와; 상기 섹터기어의 치형부와 면접하여 상기 섹터기어와의 사이에 상기 록기어를 수용하며, 상기 록기어의 왕복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록기어 가이드부가 형성된 홀더; 및 상기 홀더와 상기 섹터기어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왕복 회동 시 상기 록기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록기어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치형부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록기어 가이드부는 상기 치형부의 외측에 회전 중심을 갖는 가이드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록기어가 상기 가이드 곡면을 따라 상기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회동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록기어는 상기 가이드 곡면에 면접하여 상기 회전 중심의 둘레로 왕복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면과, 상기 치면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외주면은 그 전방 단부의 치형으로부터 후방 단부의 치형에 이르기까지 모두 동일한 피치와 나사각을 가짐에 반해, 상기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이 상기 외주면의 다른 치형들에 비해 나사산의 라운딩(R) 값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록기어의 외주면은 그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치형들은 각각 전방 여유간격을 가지며, 후방에 위치한 치형들은 각각 후방 여유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록기어 가이드부가 돌출되는 두께는 상기 록기어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단부의 2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치형들 간에는 상기 후방 최단부에 위치하는 치형에서부터 라운딩 값이 순차로 적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20080086108A 2008-09-02 2008-09-02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1039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08A KR101039965B1 (ko) 2008-09-02 2008-09-02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08A KR101039965B1 (ko) 2008-09-02 2008-09-02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66A KR20100027266A (ko) 2010-03-11
KR101039965B1 true KR101039965B1 (ko) 2011-06-09

Family

ID=4217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108A KR101039965B1 (ko) 2008-09-02 2008-09-02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897B1 (ko) * 2010-06-04 2012-03-27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라운드 리클라이너
CN115107597B (zh) * 2022-05-20 2024-03-22 恺博(常熟)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小型连续型调角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084A (ja) * 2000-12-18 2002-06-25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20077094A (ko) * 2001-03-30 2002-10-11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기울임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2345587A (ja) 2001-05-24 2002-12-03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60050805A (ko) * 2004-11-01 2006-05-1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084A (ja) * 2000-12-18 2002-06-25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20077094A (ko) * 2001-03-30 2002-10-11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기울임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2345587A (ja) 2001-05-24 2002-12-03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60050805A (ko) * 2004-11-01 2006-05-1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66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8678B (zh) 斜靠装置
US7604296B2 (en)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JP4940637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6634713B2 (en) Reclining apparatus
JP4095547B2 (ja) 車両用のラウンド型リクライナー
US7195318B2 (en) Reclining device of vehicle seat
KR101959006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1690041B1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US9139113B2 (en) Round recliner for vehicle seat
CN102046415A (zh) 具有一体式行程止动部的盘式斜倚器
KR101039965B1 (ko)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1677055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KR101746455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US11872915B2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KR101888827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166245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095299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072790B1 (ko) 차량 시트용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1678416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0896412B1 (ko)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9696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1459280B1 (ko) 치합 효율을 개선한 고강도 리클라이너
KR20100125840A (ko) 차량 시트용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1813126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2020179840A (ja) 乗物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