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599B1 -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 Google Patents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599B1
KR101039599B1 KR1020100091871A KR20100091871A KR101039599B1 KR 101039599 B1 KR101039599 B1 KR 101039599B1 KR 1020100091871 A KR1020100091871 A KR 1020100091871A KR 20100091871 A KR20100091871 A KR 20100091871A KR 101039599 B1 KR101039599 B1 KR 10103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ight
height adjustment
coupl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박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규 filed Critical 박종규
Priority to KR102010009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 각종 건물의 슬라브 위에 설치되어 층간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와 패널사이의 간격에 구애 받지 않는 구조로 댐핑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레벨링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형상의 패널과; 건물 슬라브의 상면 바닥에 안착되는 밑판과, 상기 밑판의 중심에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외곽에 돌출되어 높이 조절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댐핑부재와; 상기 댐핑부재와 패널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가이드관(88)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높이 조절관(P1)과, 상기 제1높이 조절관(P1)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2높이 조절관(P2)과, 상기 제2높이 조절관(P2)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3높이 조절관(P3)과, 상기 제3높이 조절관(P3)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4높이 조절관(P4)과, 상기 제4높이 조절관(P4)의 상단에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캡(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VIBRATION & NOISE PREVENTION MEMBER BETWEEN SLAB LAYERS}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 각종 건물의 슬라브 위에 설치되어 층간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에 대한 조절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로 높이 조절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슬라브와 패널사이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은 공동 주택에서의 층간 진동 및 소음 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주택은 단순한 주거용이 아니라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은 그 구조상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가 원천적으로 어렵게 되어 있다.
공동주택에서 층간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슬라브와 바닥난방층 사이에 각종 방진 패드를 삽입하거나, 폐타이어 방진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방진 패드나 방진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슬라브와 일체형의 구조가 되기 때문에 층간 진동 및 소음을 완벽히 차단할 수 가 없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실용 제20-0404873호 및 한국 등록특허 제10-0603040호의 "층간 진동 및 소음방지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는, 슬라브(11)와 패널(20) 사이에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공간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층간 진동 및 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는 패널(20)의 레벨링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패널(20)의 하부에서 높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레벨을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10- 21487호의"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패널(20)과, 상기 패널(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부재(30)를 수용하는 몸체부(31)와, 건물 슬라브(11)의 상부에 안착되는 댐핑부재(40)와, 상기 댐핑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부(31)와 결합되는 숫나사부(83)와 상기 숫나사부(83)의 하부에 형성된 구 형상의 힌지부(82)로 구성된다.
상기한 패널(20)은, 서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돌출부(27) 및 홈부(28)를 구비하고, 네 모서리 부근에는 패널(20)이 조립된 상태에서 높이 조절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공구가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구멍(2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재(40)는, 숫나사부(83)의 하부에 형성된 구 형상의 힌지부(82)와 구면 접촉되어, 슬라브(11)의 표면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위 기술은 다수의 패널(20)을 조립한 후 패널(20)의 상부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구 형상의 힌지부(82)를 숫나사부(83)의 하부에 형성한 높이 조절부재의 구조상의 제약에 의해 슬라브(11)와 패널(20)사이의 간격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슬라브(11)와 패널(20)사이의 간격이 변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브와 패널 사이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댐핑부재 상에 높이 조절부재를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레벨링 범위를 대폭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댐핑부재 상의 높이 조절부재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패널의 레벨링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패널의 레벨링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는, 사각 형상의 패널과; 건물 슬라브의 상면 바닥에 안착되는 밑판과, 상기 밑판의 중심에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외곽에 돌출되어 높이 조절부재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댐핑부재와; 상기 댐핑부재와 패널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층간에 가해지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가이드관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높이 조절관과, 상기 제1높이 조절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2높이 조절관과, 상기 제2높이 조절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3높이 조절관과, 상기 제3높이 조절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4높이 조절관과, 상기 제4높이 조절관의 상단에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높이 조절부재는, 가이드관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높이 조절관과, 상기 제1높이 조절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2높이 조절관과, 상기 제2높이 조절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3높이 조절관과, 상기 제3높이 조절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4높이 조절관과, 상기 제4높이 조절관의 상단에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높이 조절관은, 가이드관에 삽입되는 제1관부와, 상기 제1관부의 내주면 상하에 형성되는 상하부 걸림단과, 상기 관부의 외주면에 제2높이 조절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숫나사부와, 상기 관부의 상단을 밀폐하고 탄성부재 상에 위치하는 돌기홈과 제2높이 조절관이 걸리도록 제1숫나사 플랜지가 형성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2높이 조절관은, 제1높이 조절관에 결합되는 제2관부와, 상기 제2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암나사부와, 상기 제2관부의 외주면에 제3높이 조절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숫나사부와, 상기 제2관부의 상단에 제3높이 조절관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숫나사 플랜지와, 상기 제2관부의 하단에 제1숫나사 플랜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암나사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3높이 조절관은, 제2높이 조절관에 결합되는 제3관부와, 상기 제3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3암나사부와, 상기 제3관부의 외주면에 제4높이 조절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3숫나사부와, 상기 제3관부의 상단에 제4높이 조절관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3숫나사 플랜지와, 상기 제3관부의 하단에 제2숫나사 플랜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3암나사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4높이 조절관은, 제3높이 조절관에 결합되는 제4관부와, 상기 제4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4암나사부와, 상기 제4관부의 상단에 캡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캡 결합용 플랜지와, 상기 제4관부의 하단에 제3숫나사 플랜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4암나사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캡은, 제4높이 조절관의 캡 결합용 플랜지에 결합되는 플랜지 결합홈과, 상기 플랜지 결합홈의 저면 둘레에 형성하고 제4높이 조절관을 덮는 상면에 형성되는 패널 기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댐핑부재와 결합되는 왼나사형 숫나사부와, 상기 왼나사형 숫나사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형 힌지부로 이루어진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와 상기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의 구형 힌지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를 슬라브와 패널 사이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의 레벨링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패널의 레벨링 오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브와 패널 사이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레벨링 범위를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의 신장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과 같은 건물 슬라브(11)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댐핑부재(80)를 구비한다.
상기한 댐핑부재(80)는, 슬라브(11) 상면에 설치되어 슬라브(11)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상기한 댐핑부재(80)는 슬라브와 밀착되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댐핑부재(80)는, 슬라브(11)의 상면 바닥에 밀착 설치되는 밑판(86)을 구비한다. 상기 밑판(86)의 중심에는 탄성부재(3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8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돌기(87)의 외곽에는, 높이 조절부재(110)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관(8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댐핑부재(80)는, 상기 댐핑부재(80)의 중심에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한 탄성부재(30)는, 높이 조절부재(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0)는, 코일 스프링 또는 에어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관(88)에는, 제1높이 조절관(P1)이 억지 결합되고 상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의 상하단에 단차를 두고 상하부 걸림턱(88a)(8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댐핑부재(80)에는, 상기 탄성부재(30)로 탄지되도록 높이 조절부재(110)가 조립된다. 상기한 높이 조절부재(110)는,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중 재활용이 용이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높이 조절부재(110)는, 가이드관(88)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높이 조절관(P1)과, 상기 제1높이 조절관(P1)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2높이 조절관(P2)과, 상기 제2높이 조절관(P2)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3높이 조절관(P3)과, 상기 제3높이 조절관(P3)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4높이 조절관(P4)과, 상기 제4높이 조절관(P4)의 상단에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캡(190)을 포함한다.
상기한 높이 조절부재(110)는, 설계 변경 및 시공현장에 따라 높이 조절관 수를 가감한 후 설치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관의 개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재(110)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1높이 조절관(P1)은, 가이드관(88)에 삽입되는 제1관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관부(122)의 내주면 상하에는, 상하부 걸림단(122a)(1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상하부 걸림단(122a)(122b)은, 상하부 걸림턱(88a)(88b) 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관부(122)의 외주면에는, 제2높이 조절관(P2)이 결합되도록 제1숫나사부(ms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숫나사부(ms1)는, 제1관부(122)내에서 제2높이 조절관(P2)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관부(122)에는, 제1관부(122)의 상단을 밀폐하고 탄성부재(30) 상에 위치하는 돌기홈(121)과 제2높이 조절관(P2)이 걸리도록 제1숫나사 플랜지(F1)가 형성되는 상판(12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돌기홈(121)은, 제1높이 조절관(P1)에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될 때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받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댐핑부재(8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높이 조절관(P2)에는, 제1높이 조절관(P1)에 결합되는 제2관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관부(141)의 내주면에는 제2암나사부(FS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2암나사부(FS2)는, 제2높이 조절관(P2)이 제1높이 조절관(P1)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제2관부(141)의 외주면에는 제3높이 조절관(P3)이 결합되도록 하는 제2숫나사부(ms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2숫나사부(ms3)는, 제3높이 조절관(P3)이 제2관부(141)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관부(141)의 상단에는 제3높이 조절관(P3)이 걸리도록 제2숫나사 플랜지(F2)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2숫나사 플랜지(F2)는, 제3높이 조절관(P3)을 상승을 제한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관부(141)의 하단에는 제1숫나사 플랜지(F1)에 걸리도록 제2암나사 플랜지(R2)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2암나사 플랜지(R2)는, 제2높이 조절관(P2)의 상승을 제한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3높이 조절관(P3)은, 제2높이 조절관(P2)에 결합되는 제3관부(161)가 형성된다. 상기 제3관부(161)의 내주면에는 제3암나사부(FS3)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3암나사부(FS3)는, 제3높이 조절관(P3)이 제2높이 조절관(P2)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관부(161)의 외주면에는 제4높이 조절관(P4)이 결합되도록 제3숫나사부(ms3)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3숫나사부(ms3)는, 제3높이 조절관(P3)이 제4높이 조절관(P4)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3관부(161)의 상단에는 제4높이 조절관(P4)이 걸리도록 제3숫나사 플랜지(F3)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3숫나사 플랜지(F3)는, 제3높이 조절관(P3)의 하강을 제한하여 제4높이 조절관(P4)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3관부(161)의 하단에는 제2숫나사 플랜지(F2)에 걸리도록 제3암나사 플랜지(R3)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3암나사 플랜지(R3)는, 제2높이 조절관(P2)이 제3높이 조절관(P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강을 제한한다.
상기한 제4높이 조절관(P4)은, 제3높이 조절관(P3)에 결합되는 제4관부(181)를 형성한다. 상기 제4관부(181)의 내주면에는 제4암나사부(FS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4암나사부(FS4)는, 제4높이 조절관(P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제4관부(181)의 상단에는, 캡(190)이 결합되도록 하는 캡 결합용 플랜지(F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 결합용 플랜지(F4)에는, 높이 조절부재(110)를 회전시키는 캡(190)이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상기한 캡 결합용 플랜지(F4)는, 캡(190)이 헛돌지 않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관부(181)의 하단에는, 제3숫나사 플랜지(F3)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4암나사 플랜지(R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4암나사 플랜지(R4)는, 제4높이 조절관(P4)의 상승을 제한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캡(190)은, 제4높이 조절관(P4)의 캡 결합용 플랜지(F4)에 결합되도록 플랜지 결합홈(191)이 형성된다. 상기한 캡(190)은 제4높이 조절관(P4)을 덮고 중심에 패널 기준 홈(19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패널 기준 홈(192)에는, 패널(20)을 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십자형 가이드부재(196)가 조립된다. 상기한 십자형 가이드부재(196)는, 패널 기준 홈(19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몸체(19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몸체(196a)의 상단에는, 패널(20)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 날개(196b)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의 조립순서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댐핑부재(80)의 고정돌기(87)에 탄성부재(30)를 조립한다. 그리고 제4높이 조절관(P4)에 제3높이 조절관(P3)을 삽입 후 결합시킨다.
상기한 제3높이 조절관(P3)은, 제3숫나사 플랜지(F3)에 의하여 제4높이 조절관(P4)의 제4암나사부(FS4)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3높이 조절관(P3)이 제4높이 조절관(P4)에 결합되면, 제2높이 조절관(P2)을 제2숫나사 플랜지(F2)를 이용하여 제3높이 조절관(P3)에 결합시킨다.
상기한 제2높이 조절관(P2)이 제3높이 조절관(P3)에 결합되면, 제1높이 조절관(P1)을 제1숫나사 플랜지(F1)를 이용하여 제2높이 조절관(P2)에 결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3,4높이 조절관(P1)(P2)(P3)(P4)들이 결합되면, 제1높이 조절관(P1)을 댐핑부재(8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높이 조절관(P1)은, 댐핑부재(80)의 가이드관(88)에 상하부 걸림단(122a)(122b)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상기한 상하부 걸림단(122a)(122b)은, 가이드관(88)의 상하부 걸림턱(88a)(88b)에 억지 결합된다.
상기한 가이드관(88)에 제1높이 조절관(P1)이 결합되면, 제1높이 조절관(P1)의 돌기홈(121)은 탄성부재(30)의 지지를 받게된다. 즉, 제1높이 조절관(P1)은, 탄성부재(30)의 지지받아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여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는, 층간의 슬라브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가 배치되면, 캡(190)을 회전시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들의 높이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캡(190)의 패널 기준 홈(192)에 십자형 가이드부재(196)들을 삽입시켜 둔다. 상기한 십자형 가이드부재(196)까지 조립이 완료되면,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에 걸쳐지도록 패널(20)들을 올려 놓는다.
이에 따라 패널(20)들은, 패널 기준 홈(192)에 미리 삽입시켜 둔 십자형 가이드부재(196)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히 조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브(11)와 패널(20)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는, 높이 조절부재(110)를 다수의 높이 조절관으로 구성함으로써, 레벨링 범위를 확대하면서 그 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패널(20)의 레벨링 작업시 레벨링 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패널(20)의 레벨링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는, 진동 및 소음을 받으면 가이드관(88)을 따라 높이 조절부재(110)가 상하 이동하면서 탄성부재(30)로 지지되어 완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는, 층간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댐핑부재(80)의 하부에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110b)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110b)는,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80b)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형의 힌지부(82)와, 상기 구형의 힌지부(82)에서 연장되어 댐핑부재(80)의 암나사부(32)에 결합되는 왼나사형 숫나사부(83L)로 구성된다.
상기한 숫나사부(83L)를 왼나사로 형성함으로써, 상부의 높이 조절부재(110)를 풀어 높이를 조절할 때 댐핑부재(8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110b)의 숫나사부(83L)에는, 댐핑부재(80)와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80b)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단에 공구 홈(8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댐핑부재(80)의 하부에 조립되는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110b)는, 높이 조절부재(110)를 조립하기 전에 공구 등에 의해 그 노출정도가 조절된다.
상기한 힌지부(82)는, 그 하부에 조립되는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80b)와 구면 접촉될 수 있도록 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볼트형 높이조절부재(110b)에는, 슬라브(11)가 경사지거나 굴곡이 되어 있더라도 슬라브(11)의 표면 상태에 맞게 접촉되도록 하는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80b)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80b)에는,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110b)의 힌지부(82)가 일정 경사각도 내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중앙에 힌지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80b)는, 슬라브(11)가 경사지거나 굴곡이 되어 있더라도 슬라브(11)의 표면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회동하여 슬라브(11)의 표면 상태에 맞게 설치된다.
또한,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80b)는, 댐핑부재(8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부의 높이 조절부재(110)를 지지함으로써,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는, 패널(20)의 레벨링 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건물의 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 각종 건물의 슬라브 위에 설치되어 층간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는 패널의 레벨링 범위를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높이 조절관을 적용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건축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20: 패널(Panel) 30: 탄성부재
40,80: 댐핑(Damping)부재 80b: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
83L: 왼나사형 숫나사부 86: 밑판
88: 가이드(Guide)관 110: 높이 조절부재
110b: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 121: 돌기홈
122a,122b: 상하부 걸림단 190: 캡(Cap)
191: 플랜지 결합홈 192: 패널 기준 홈
F1: 제1숫나사 플랜지(Flange) F2: 제2숫나사 플랜지
F3: 제3숫나사 플랜지 F4: 캡 결합용 플랜지
P1: 제1높이 조절관 P2: 제2높이 조절관
P3: 제3높이 조절관 P4: 제4높이 조절관
R2: 제2암나사 플랜지 R3: 제3암나사 플랜지
R4: 제4암나사 플랜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각 형상의 패널(20)과; 건물 슬라브(11)의 상면 바닥에 안착되는 밑판(86)과, 상기 밑판(86)의 중심에 탄성부재(3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87)와, 상기 고정돌기(87)의 외곽에 돌출되어 높이 조절부재(110)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관(88)을 포함하는 댐핑부재(80)와; 상기 댐핑부재(80)와 패널(2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층간에 가해지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110)는,
    가이드관(88)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높이 조절관(P1)과, 상기 제1높이 조절관(P1)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2높이 조절관(P2)과, 상기 제2높이 조절관(P2)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3높이 조절관(P3)과, 상기 제3높이 조절관(P3)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4높이 조절관(P4)과, 상기 제4높이 조절관(P4)의 상단에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캡(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높이 조절관(P1)은,
    가이드관(88)에 삽입되는 제1관부(122)와, 상기 제1관부(122)의 내주면 상하에 형성되는 상하부 걸림단(122a)(122b)과, 상기 제1관부(122)의 외주면에 제2높이 조절관(P2)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숫나사부(ms1)와, 상기 제1관부(122)의 상단을 밀폐하고 탄성부재(30) 상에 위치하는 돌기홈(121)과 제2높이 조절관(P2)이 걸리도록 제1숫나사 플랜지(F1)가 형성되는 상판(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높이 조절관(P2)은,
    제1높이 조절관(P1)에 결합되는 제2관부(141)와, 상기 제2관부(14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암나사부(FS2)와, 상기 제2관부(141)의 외주면에 제3높이 조절관(P3)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숫나사부(ms3)와, 상기 제2관부(141)의 상단에 제3높이 조절관(P3)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숫나사 플랜지(F2)와, 상기 제2관부(141)의 하단에 제1숫나사 플랜지(F1)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암나사 플랜지(R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높이 조절관(P4)은,
    제3높이 조절관(P3)에 결합되는 제4관부(181)와, 상기 제4관부(18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4암나사부(FS4)와, 상기 제4관부(181)의 상단에 캡(19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캡 결합용 플랜지(F4)와, 상기 제4관부(181)의 하단에 제3숫나사 플랜지(F3)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4암나사 플랜지(R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190)은,
    제4높이 조절관(P4)의 캡 결합용 플랜지(F4)에 결합되는 플랜지 결합홈(191)과, 상기 플랜지 결합홈(191)의 저면 둘레에 형성하고 제4높이 조절관(P4)을 덮는 상면에 형성되는 패널 기준 홈(1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9. 삭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80)의 하부에는,
    상기 댐핑부재(80)와 결합되는 왼나사형 숫나사부(83L)와, 상기 왼나사형 숫나사부(83L)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형 힌지부(82)로 이루어진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110b)와; 상기 볼트형 높이 조절부재(110b)의 구형 힌지부(82)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유 회전형 댐핑부재(80b);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KR1020100091871A 2010-09-17 2010-09-17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KR10103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871A KR101039599B1 (ko) 2010-09-17 2010-09-17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871A KR101039599B1 (ko) 2010-09-17 2010-09-17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599B1 true KR101039599B1 (ko) 2011-06-09

Family

ID=4440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871A KR101039599B1 (ko) 2010-09-17 2010-09-17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59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724B1 (ko) 2013-08-19 2014-02-05 신상철 건축물용 바닥 시공재
CN105465571A (zh) * 2015-12-28 2016-04-06 扬州市康宇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维持水平的支撑柱脚装置
KR101613539B1 (ko) 2016-02-29 2016-04-19 (주)에이치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CN105509352A (zh) * 2015-12-29 2016-04-20 上海齐耀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碟式太阳能聚光碟用支撑调节杆
CN105974556B (zh) * 2016-07-22 2018-05-08 湖南科技大学 一种碟式太阳能聚光器镜面单元的支撑调节结构
KR20180062670A (ko) * 2016-12-01 2018-06-11 박종수 충격 및 소음 감쇄장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공동주택 뜬바닥 구조
KR101879377B1 (ko) * 2018-01-15 2018-08-17 (주)하이탑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KR20190012688A (ko) * 2017-07-28 2019-02-1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아이들 소음이 저감되는 차량의 도어패널
EP3616564A1 (de) * 2018-08-29 2020-03-04 Sarah Hezel Bodenelement
CN111164856A (zh) * 2017-10-10 2020-05-15 株式会社Ihi 板以及板系统
KR102482073B1 (ko) * 2022-05-18 2022-12-27 차재훈 지하주차장 바닥 소음 방지장치 및 방지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196A (ja) 2000-09-11 2002-03-22 Taisei Denki Kogyo:Kk ユニット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二重床の施工方法
KR20040019673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19673Y1 (ko) * 2006-03-30 2006-06-23 주식회사 케이씨씨 층간소음 저감용 이중바닥 지지대
KR100603640B1 (ko) * 2004-08-27 2006-07-24 박종규 층간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20090076305A (ko) * 2008-01-08 2009-07-13 김석규 건축물 바닥판의 차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196A (ja) 2000-09-11 2002-03-22 Taisei Denki Kogyo:Kk ユニット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二重床の施工方法
KR20040019673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3640B1 (ko) * 2004-08-27 2006-07-24 박종규 층간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200419673Y1 (ko) * 2006-03-30 2006-06-23 주식회사 케이씨씨 층간소음 저감용 이중바닥 지지대
KR20090076305A (ko) * 2008-01-08 2009-07-13 김석규 건축물 바닥판의 차음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724B1 (ko) 2013-08-19 2014-02-05 신상철 건축물용 바닥 시공재
CN105465571A (zh) * 2015-12-28 2016-04-06 扬州市康宇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维持水平的支撑柱脚装置
CN105509352A (zh) * 2015-12-29 2016-04-20 上海齐耀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碟式太阳能聚光碟用支撑调节杆
KR101613539B1 (ko) 2016-02-29 2016-04-19 (주)에이치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CN105974556B (zh) * 2016-07-22 2018-05-08 湖南科技大学 一种碟式太阳能聚光器镜面单元的支撑调节结构
KR101983692B1 (ko) * 2016-12-01 2019-06-04 박종수 충격 및 소음 감쇄장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공동주택 뜬바닥 구조
KR20180062670A (ko) * 2016-12-01 2018-06-11 박종수 충격 및 소음 감쇄장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공동주택 뜬바닥 구조
KR20190012688A (ko) * 2017-07-28 2019-02-1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아이들 소음이 저감되는 차량의 도어패널
KR102457591B1 (ko) 2017-07-28 2022-10-20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아이들 소음이 저감되는 차량의 도어패널
CN111164856A (zh) * 2017-10-10 2020-05-15 株式会社Ihi 板以及板系统
EP3696945A4 (en) * 2017-10-10 2021-02-17 IHI Corporation PLATE AND PLATE SYSTEM
US11325483B2 (en) 2017-10-10 2022-05-10 Ihi Corporation Plate and plate system
KR101879377B1 (ko) * 2018-01-15 2018-08-17 (주)하이탑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EP3616564A1 (de) * 2018-08-29 2020-03-04 Sarah Hezel Bodenelement
DE102018121116B4 (de) * 2018-08-29 2021-05-20 Sarah Hezel Bodenelement
KR102482073B1 (ko) * 2022-05-18 2022-12-27 차재훈 지하주차장 바닥 소음 방지장치 및 방지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599B1 (ko)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부재
KR10100683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171298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130119656A (ko)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KR101527209B1 (ko)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10135655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장치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31828A (ko)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102239265B1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JP4974110B2 (ja) 免震装置
KR10098363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루틀 고정장치
KR101965105B1 (ko) 시설용 바닥의 안전구조물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JP2004124693A (ja) 二重床用の支柱構造及びこの支柱構造による二重床の施工方法
JP5968688B2 (ja) 減震構造体
KR101628224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WO2015030254A1 (ja) フロア用支持脚及びその設定方法
KR102322653B1 (ko) 내진 및 진동감쇠장치
KR101956825B1 (ko)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650428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분리형 온돌 슬래브
KR100467655B1 (ko) 바닥충격음 바닥구조 시공방법 및 바닥충격음 차단판
KR20220017802A (ko)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20210093001A (ko) 조립식 층간소음 차단장치
KR101739931B1 (ko) 3차원 진동저감장치
KR102194828B1 (ko) 방진구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