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224B1 -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224B1
KR101628224B1 KR1020160030399A KR20160030399A KR101628224B1 KR 101628224 B1 KR101628224 B1 KR 101628224B1 KR 1020160030399 A KR1020160030399 A KR 1020160030399A KR 20160030399 A KR20160030399 A KR 20160030399A KR 101628224 B1 KR101628224 B1 KR 10162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noise
floor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명희
Original Assignee
(주)나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로이엔씨 filed Critical (주)나로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3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실내 공간의 벽체 하단 걸레받이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바닥재와 함께 시공되게 하여 실내 마감 품질을 높이면서 층간 소음 차단 효과도 높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자체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층간 소음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단열 차열 차음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냉난방비용도 줄이되, 무엇보다도 걸레받이를 별도로 시공할 필요가 없고 시공 후에도 시공품질이 우수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FLOOR PANNEL FOR SHUTTING NOISE BETWEEN STAIRS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건축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실내 공간의 벽체 하단 걸레받이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바닥재와 함께 시공되게 하여 실내 마감 품질을 높이면서 층간 소음 차단 효과도 높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와 같은 복층 다세대 공동주택에서 윗층의 소음이나 충격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층간 소음으로 인해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층간 소음은 주로 윗층 거주자의 생활공간에서 이동시 발생되는 발자욱소리 또는 문의 개폐시와 각종 기물의 가동이나 바닥에 부딪치는 충격, 아이들이 뛰거나 구르는 등의 행위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층간 소음은 콘크리트 구조체와 같은 견고한 고체의 경우 전달성이 매우 양호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이를 소홀히 할 경우 이웃간 말다툼은 물론 인명사고로까지 이어지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대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복층 공동주택의 각 층 바닥시공시에는 소음이나 충격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층간 소음 방지수단의 시공은 거의 필수적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41757호(2007.07.16.)에서는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로 개시된 등록특허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다수의 메쉬구멍(110)을 갖는 판넬(100)을 너트부(130)를 이용하여 완충부재(400)와 결속하여 완충구조를 만들고, 이를 복층건물의 기초바닥층과 상부의 마감모르타르층 사이에 설치하여 층간 소음 차단 및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도 1에 개시된 층간 구조체는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시공비가 많이 들며, 단순히 다리를 구성하는 방진고무로 된 완충부재(400)를 통해서만 충격에 대한 완충기능, 그에 부속된 소음 기능을 달성하고 있을 뿐이어서 구조상 층간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고, 특히 고무가 경화될 경우 오히려 그 부분을 통해 층간 소음이 집중되면서 또다른 2차 소음을 야기시키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바닥재 시공 후 내벽면 하단 마감을 위해 별도의 걸레받이를 부착하고 있는데 단순히 양면접착제를 발라 부착하는 형태이므로 오래 사용시 내벽면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면서 들떠 일어나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 흉하고 재시공하려면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등의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41757호(2007.07.16.),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의 실내 공간의 벽체 하단 걸레받이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바닥재와 함께 시공되게 하여 실내 마감 품질을 높이면서 층간 소음 차단 효과도 높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콘크리트인 바닥슬래브 표면에 깔리는도록 2-3mm의 두께를 갖고, 격자상으로 된 다수의 공극(110)을 구비한 실리콘 재질의 격자형 완충시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격자형 완충시트(110)의 상면에는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이 배치되는데, 상기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은 상부가 개방된 하부박스(210)와, 상기 하부박스(210)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고정된 코일스프링(220)과, 상기 하부박스(210)의 장변측 내벽면 양측에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입형성된 고정홈(230)과, 상기 고정홈(230)에 양측 장변단부가 각각 끼워지면서 코일스프링(220)을 탄압하도록 조립되는 상부판(240)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재가 시공될 실내 공간의 내벽 하단부에는 걸레받이(400)가 부착되는데, 상기 걸레받이(400)는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수직하게 돌출되고 돌출된 선단 하부는 라운드형 걸림돌기(410)를 갖는 걸이턱(420)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진동감쇄유닛(200)의 상면에는 바닥판(300)이 안착시공되는데, 상기 바닥판(300)은 제1바닥판(310) 및 이와 반대 형상의 제3바닥판(330)과, 상기 제1바닥판(310) 또는 제3바닥판(330)에 결속되는 제2바닥판(320)과, 상기 제2바닥판(320)을 최종 연결하는 연결판인 제4바닥판(T)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3바닥판(310,330)의 장변 일측면에는 상기 걸레받이(400)의 걸이턱(420)과 대향되어 상호 맞물려 걸릴 수 있는 바닥판걸이턱(340)이 돌출되고, 반대쪽인 타측면에는 조립홈(35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350)은 상기 제2바닥판(320)의 장변중 일측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350)은 입구 선단 상측에 상부턱(UDT)이 형성되고, 내부는 호형상을 그리면서 곡률가공되며, 입구 선단 하측에는 하부턱(LDT)이 형성되며, 하부턱(LDT)과 간격을 두고 하측 일측단면에는 결속홈(FTH)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바닥판(320)의 조립홈(350) 반대면 및 상기 제4바닥판(T)의 장변 양측면에는 상기 조립홈(350)에 삽입되는 작동돌기(DRD)가 돌출되는데, 상기 작동돌기(DRD)는 하방향으로 만곡진 뭉퉁한 돌기이며, 상면에는 상기 상부턱(UDT)에 걸림되는 결속돌기(TR)가 돌출되고, 상기 작동돌기(DRD)와 간격을 두고 조립시 상기 결속홈(FTH)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SR)가 돌출되어 상호 형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자체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층간 소음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단열 차열 차음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냉난방비용도 줄이되, 무엇보다도 걸레받이를 별도로 시공할 필요가 없고 시공 후에도 시공품질이 우수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예시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시공 구조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바닥접지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는 공동주택의 각 실내 바닥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인 바닥슬래브의 상면에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상면에는 온수패널 등 난방 기능을 갖는 블럭형 바닥마감재가 시공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는 두께가 한없이 두꺼울 수 없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3-5cm의 범위 내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상대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는 격자형 완충시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격자형 완충시트(100)는 콘크리트인 바닥슬래브 표면에 깔리는 것으로, 2-3mm의 두께를 가지며, 격자상으로 된 다수의 공극(110)을 구비한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격자형 완충시트(100)는 공극(110)이 많기 때문에 가볍고, 특히 실리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과의 마찰력이 높아 유동되지 않고(밀리지 않고) 정위치 고정되는 특성이 우수하다.
이 경우, 상기 공극(110)은 격자 형상은 물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허니컴 형상을 가지면 좋다.
그리고, 상기 격자형 완충시트(110)의 상면에는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이 배치된다.
상기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은 얇은 합성수지판과 함체가 조립되어 있는 구조로서 두께, 즉 높이는 6mm를 갖는다.
이러한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은 상부가 개방된 하부박스(210)와, 상기 하부박스(210)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고정된 코일스프링(220)과, 상기 하부박스(210)의 장변측 내벽면 양측에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입형성된 고정홈(230)과, 상기 고정홈(230)에 양측 장변단부가 각각 끼워지면서 코일스프링(220)을 탄압하도록 조립되는 상부판(2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판(240)은 얇은 판이며, 또한 합성수지가 시트상으로 성형된 것이므로 휨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고정홈(230)에 끼움 고정하는데 어려움은 없다.
그리고, 상기 진동감쇄유닛(200)의 상면에는 바닥판(300)이 안착시공되는데, 상기 바닥판(300)은 도 3의 (a)와 같은 형태의 제1바닥판(310)과, (b)와 같은 형태의 제2바닥판(320)과, (c)와 같은 형태의 제3바닥판(330)과, (d)와 같은 형태의 제4바닥판(T)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제1바닥판(310)은 도면의 도시상 좌측벽에 마련되는 걸레받이(400)에 끼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좌측 시공용 바닥판이고, 제3바닥판(330)은 우측벽에 마련되는 걸레받이(400)에 끼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우측 시공용 바닥판이며, 제2바닥판(320)은 상기 제1,3바닥판(310,330)들 사이에서 서로 연결 시공되는 중앙 시공용 바닥판이고, 상기 제4바닥판(T)은 제2바닥판(320)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연결판이다.
아울러, 공동주택의 경우 바닥판이 시공될 공간이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바닥판들은 규격에 맞춰 분할 구성됨으로써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2,3,4바닥판(310,320,330,T)으로 구분하지 않고 뒤집어 사용하면 될 수 있게 바닥판들을 공용화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완충, 흡음에 의한 진동과 소음 감쇄를 위한 별도의 구조를 바닥판의 저면에 갖추어야 하므로 방향성을 가질 수 밖에 없어 4개의 바닥판으로 구분될 수 밖에 없다.
여기에서, 상기 걸레받이(400)는 시공될 실내 공간의 내벽 하단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배면은 공지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내벽상에 접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레받이(40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격자형 완충시트(100)와 진동소음감쇄유닛(200)과, 상기 바닥판(300)의 두께 일부를 합한 높이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수직하게 돌출되고 돌출된 선단 하부는 라운드형 걸림돌기(410)를 갖는 걸이턱(4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레받이(400)는 좌측, 우측 구분없이 공용화된 하나의 모델만 제공되며, 부착위치에 따라 좌측 걸레받이 또는 우측 걸레받이가 되는 것이다.
때문에, 상기 제1,3바닥판(310,330)은 상기 걸이턱(420)에 걸릴 수 있는 동일 한 구조를 장변 일측에 갖는데, 방향만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3바닥판(310,330)의 장변 일측면에는 상기 걸레받이(400)의 걸이턱(420)과 대향되어 상호 맞물려 걸릴 수 있는 바닥판걸이턱(340)이 돌출되고, 반대쪽인 타측면에는 조립홈(350)이 요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홈(350)은 상기 제2바닥판(320)의 장변중 일측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조립홈(350)은 도 4의 예시와 같이, 입구 선단 상측에 상부턱(UDT)이 형성되고, 내부는 호형상을 그리면서 곡률가공되며, 입구 선단 하측에는 하부턱(LDT)이 형성되며, 하부턱(LDT)과 간격을 두고 하측 일측단면에는 결속홈(FTH)이 요입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바닥판(320)의 조립홈(350) 반대면 및 상기 제4바닥판(T)의 장변 양측면에는 상기 조립홈(350)에 삽입되는 작동돌기(DRD)가 돌출되는데, 상기 작동돌기(DRD)는 하방향으로 만곡진 뭉퉁한 돌기이며, 상면에는 상기 상부턱(UDT)에 걸림되는 결속돌기(TR)가 돌출되고, 상기 작동돌기(DRD)와 간격을 두고 조립시 상기 결속홈(FTH)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SR)가 돌출된다.
따라서, 조립홈(350)에 작동돌기(DRD)를 조립하는 방법은 도시와 같이, 작동돌기(DRD)가 돌출되어 있는 바닥판을 약간 비껴 세운 상태에서 작동돌기(DRD)를 조립홈(350)에 끼우고, 그 상태에서 눌러 내리면 상기 하부턱(LDT)이 일종의 힌지점(지렛대의 작용점)이 되어 이 지점을 중심으로 작동돌기(DRD)의 선단이 조립홈(350)의 내경 곡률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결속돌기(TR)가 상부턱(UDT)에 걸리도록 하여 준다.
그러면, 결속돌기(TR)가 상부턱(UDT)에 걸림과 동시에 위치고정돌기(SR)는 결속홈(FTH)에 끼워지면서 조립되어 상호 체결되면서 두 개의 바닥판은 서로 동일평면을 유지한 채 연결 접속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걸레받이(400)에 제1,3바닥판(310,330)을 조립하는 방법도 상술한 바와 유사하며 비껴 끼운 상태에서 내리 누르면 걸림되면서 결속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걸레받이(400)가 접착제를 통해 그 배면이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지만, 걸레받이(400)의 하단이 제1,3바닥판(310,330)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접착부위가 들떠 분리 이탈되지 않아 외관상 우수한 품질을 갖게 된다.
예컨대, 접착제가 수명을 다해 걸레받이(400)가 내벽면으로부터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종래에는 그냥 들뜨면서 일어나거나 탈락해 버렸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3바닥판(310,330)이 붙잡고 있기 때문에 탈락되지 못하고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바닥판들이 서로 조립되는 쪽 상단은 모따기 되어 있어 회전 조립시 간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도록 하면 더욱 좋다.
이에 더하여, 도 5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제1,2,3,4바닥판(310,320,330,T)에는 충격흡수부재(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500)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성형된 수지블럭(510)과, 상기 수지블럭(510)의 하단면에 후크고정되고 하면은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률을 갖는 PU폼으로 된 완충폼(520)과, 상기 수지블럭(510)의 상단면에 끼워지되 상호간에 일정크기의 흡음공간을 갖는 '∩'형상의 완충판(530)과, 상기 흡읍공간인 완충판(530)과 수지블럭(510)의 상면 사이에 내장되는 유리섬유(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지블럭(510)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수지블럭(510)의 양측면에는 맞끼움돌기(512)가 돌출되고, 상기 수지블럭(510)이 조립되는 바닥판(300), 즉 제1,2,3,4바닥판(310,320,330,T)의 하부면에는 블럭끼움홈(360) 및 돌기수용홈(37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블럭(510)은 바닥판(300)의 단변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끼워서 슬라이딩시키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즉, 파티션 쫄대 끼우듯이 끼워 고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지블럭(510)은 상하로 관통한 다수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소음을 흡수하여 흡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소음발생시 음(音)이 관통공을 통해 상승하고, 상승된 음(音)은 상기 유리섬유(540)가 내장된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유리섬유(540) 쪽으로 유입되면서 미세한 유리섬유 가닥들과 충돌하여 퍼짐으로써 효과적인 흡음이 일어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완충폼(520)을 상기 수지블럭(510)의 하면에 후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300)의 상면 일부는 사각형상으로 뚫려 있고, 이 공간을 통해 상기 완충판(530)이 조립되는데, 상기 완충판(530)은 폴리우레탄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판(530)을 끼움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지블럭(510)의 상면에는 판끼움홈(514)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상기 완충폼(520)의 하단면은 약간 볼록하므로 상기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고, 이것은 코일스프링(220)의 완충 흡수를 유발하므로 효과적인 진동 감쇄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소재들이 폴리우레탄 혹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폼이기 때문에 단열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장치는 완벽한 진동 소음 차단, 방지효과가 있어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활용폭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0: 격자형 완충시트 200: 진동소음감쇄유닛
300: 바닥판 400: 걸레받이
500: 충격흡수부재

Claims (1)

  1.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콘크리트인 바닥슬래브 표면에 깔리는도록 2-3mm의 두께를 갖고, 격자상으로 된 다수의 공극(110)을 구비한 실리콘 재질의 격자형 완충시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격자형 완충시트(110)의 상면에는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이 배치되는데, 상기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은 상부가 개방된 하부박스(210)와, 상기 하부박스(210)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고정된 코일스프링(220)과, 상기 하부박스(210)의 장변측 내벽면 양측에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입형성된 고정홈(230)과, 상기 고정홈(230)에 양측 장변단부가 각각 끼워지면서 코일스프링(220)을 탄압하도록 조립되는 상부판(240)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재가 시공될 실내 공간의 내벽 하단부에는 걸레받이(400)가 부착되는데, 상기 걸레받이(400)는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수직하게 돌출되고 돌출된 선단 하부는 라운드형 걸림돌기(410)를 갖는 걸이턱(420)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진동소음감쇄유닛(200)의 상면에는 바닥판(300)이 안착시공되는데, 상기 바닥판(300)은 제1바닥판(310) 및 이와 반대 형상의 제3바닥판(330)과, 상기 제1바닥판(310) 또는 제3바닥판(330)에 결속되는 제2바닥판(320)과, 상기 제2바닥판(320)을 최종 연결하는 연결판인 제4바닥판(T)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3바닥판(310,330)의 장변 일측면에는 상기 걸레받이(400)의 걸이턱(420)과 대향되어 상호 맞물려 걸릴 수 있는 바닥판걸이턱(340)이 돌출되고, 반대쪽인 타측면에는 조립홈(35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350)은 상기 제2바닥판(320)의 장변중 일측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350)은 입구 선단 상측에 상부턱(UDT)이 형성되고, 내부는 호형상을 그리면서 곡률가공되며, 입구 선단 하측에는 하부턱(LDT)이 형성되며, 하부턱(LDT)과 간격을 두고 하측 일측단면에는 결속홈(FTH)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바닥판(320)의 조립홈(350) 반대면 및 상기 제4바닥판(T)의 장변 양측면에는 상기 조립홈(350)에 삽입되는 작동돌기(DRD)가 각각 돌출되는데, 상기 작동돌기(DRD)는 하방향으로 만곡진 뭉퉁한 돌기이며, 상면에는 상기 상부턱(UDT)에 걸림되는 결속돌기(TR)가 돌출되고, 상기 작동돌기(DRD)와 간격을 두고 조립시 상기 결속홈(FTH)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SR)가 돌출되어 상호 형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20160030399A 2016-03-14 2016-03-14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62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99A KR101628224B1 (ko) 2016-03-14 2016-03-14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99A KR101628224B1 (ko) 2016-03-14 2016-03-14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224B1 true KR101628224B1 (ko) 2016-06-22

Family

ID=5636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399A KR101628224B1 (ko) 2016-03-14 2016-03-14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6406A (zh) * 2019-12-04 2020-03-17 华北理工大学 一种带保温层的装配式轻钢框架复合墙
CN114622678A (zh) * 2022-02-28 2022-06-14 东南大学 一种地铁车站隔断墙用减振降噪砖及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634A (ko) * 2002-07-24 2004-01-31 김춘옥 복합 차음패널
KR100579931B1 (ko) * 2005-10-28 2006-05-16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KR100741757B1 (ko) 2006-05-22 2007-07-23 양지인슈텍 (주)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KR20120001159A (ko) * 2010-06-29 2012-01-04 지이코리아세라믹(주)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101356556B1 (ko) * 2013-07-23 2014-02-11 주식회사 도담텍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634A (ko) * 2002-07-24 2004-01-31 김춘옥 복합 차음패널
KR100579931B1 (ko) * 2005-10-28 2006-05-16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KR100741757B1 (ko) 2006-05-22 2007-07-23 양지인슈텍 (주)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KR20120001159A (ko) * 2010-06-29 2012-01-04 지이코리아세라믹(주)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101356556B1 (ko) * 2013-07-23 2014-02-11 주식회사 도담텍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6406A (zh) * 2019-12-04 2020-03-17 华北理工大学 一种带保温层的装配式轻钢框架复合墙
CN110886406B (zh) * 2019-12-04 2021-07-02 华北理工大学 一种带保温层的装配式轻钢框架复合墙
CN114622678A (zh) * 2022-02-28 2022-06-14 东南大学 一种地铁车站隔断墙用减振降噪砖及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757B1 (ko)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KR10156677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10100683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200489566Y1 (ko)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100884158B1 (ko) 층간 차음재
KR102210028B1 (ko) 난방 배관 패드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저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412980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628224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0420631Y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1976928B1 (ko)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KR101509586B1 (ko) 이중 바닥 구조의 차음 난방장치
KR101627670B1 (ko) 공동주택의 건축용 바닥패널
KR102258997B1 (ko)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용 모듈형 건식온돌 및 그 시공방법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1322735B1 (ko) 공용주택 층간 소음 방지 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94040A (ko)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100874427B1 (ko) 건축물 내부 바닥구조
KR2010008622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76496B1 (ko) 착좌 성능이 개선된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KR20160044687A (ko) 댐핑패널과 바닥구조물 및 댐핑패널의 제조방법
KR10205675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음방지 바닥 시공 방법
KR100506698B1 (ko) 공동주택 바닥 슬래브 층간 소음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