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931B1 -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931B1
KR100579931B1 KR1020050102511A KR20050102511A KR100579931B1 KR 100579931 B1 KR100579931 B1 KR 100579931B1 KR 1020050102511 A KR1020050102511 A KR 1020050102511A KR 20050102511 A KR20050102511 A KR 20050102511A KR 100579931 B1 KR100579931 B1 KR 10057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grid
noise
floor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영
Original Assignee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0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구 등을 지지할 지지점이 구조적으로 자연스럽게 제공될 수 있고, 손상된 부재를 교체하여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필요시 보통의 바닥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바닥면에 대한 충격발생원이 되며 층간 소음이 발생될 부위를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타 부재가 상기 낮은 면에 설치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목부(10), 상기 오목부(10) 내부에 판형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격자를 형성해 주며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격자틀(300),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충격흡수판(500),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지 않으며 가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판(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음 방지, 공동주택.

Description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 설치방법{Floor plate assembly for prevention of noise among floors in an apartment house and the method insta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사시도로 격자틀(300)은 설치되어 있으나 아직 충격흡수판(500),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격자틀(3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격자틀(300) 두 개가 교차하는 지점의 격자틀 교차부(30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a)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충격흡수판(5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b)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콘크리트판(6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며 대다수의 충격흡수판(500) 사이에 소수의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오목부 100 : 중앙 오목부
200 : 입구 오목부 300 : 격자틀
310 : 격자틀 덮개부 320 : 격자틀 받침부
350 : 격자틀 탄성체 370 : 완충공간
500 : 충격흡수판 600 : 콘크리트판
3000 : 격자틀 교차부
본 발명은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바닥면에 대한 충격발생원이 되며 층간 소음이 발생될 부위를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타 부재가 상기 낮은 면에 설치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목부(10), 상기 오목부(10) 내부에 판형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격자를 형성해 주며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격자틀(300),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충격흡수판(500),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 된 격자 내부에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지 않으며 가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판(600)을 포함하며,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구 등을 지지할 지지점이 구조적으로 자연스럽게 제공될 수 있고, 손상된 부재를 교체하여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필요시 보통의 바닥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바닥면에서 어린아이가 쿵쿵거리고 뛰거나 바닥에 충격을 가하면 아래층 세대나 주위세대에 까지 소음이 전달된다.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가 바닥면에 사용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한편, 옷장이 놓여있는 자리나 침대가 이미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부위에서는 거주가 그 바닥면에 직접 접촉할 수 없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그 바닥면에는 충격이 가해질 수 없다.
즉,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바닥면 부위가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만약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는 소음방지 구조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그렇다고 해서 바닥면이 물렁물렁하면 가구를 제대로 배치할 수도 없다.
만약 가구 등을 지지할 지지점이 구조적으로 자연스럽게 제공될 수 있는 소음방지 구조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소음방지를 위한 구조의 일부분이 손상되었을 경우 교체하지 못한다면 쓸모없는 구조가 되고 말 것이다.
만약 손상된 부재를 교체하여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만약 필요시 보통의 바닥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 등을 지지할 지지점이 구조적으로 자연스럽게 제공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된 부재를 교체하여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 보통의 바닥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 설치방법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목부(10), 격자틀(300), 충격흡수판(500), 콘크리트판(600)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바닥면에 대한 충격발생원이 되며 층간 소음이 발생될 부위를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타 부재가 상기 낮은 면에 설치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목부(10), 상기 오목부(10) 내부에 판형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격자를 형성해 주며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격자틀(300),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충격흡수판(500),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지 않으며 가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판(600)을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사시도로 격자틀(300)은 설치되어 있으나 아직 충격흡수판(500),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오목부(10)는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입구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격자틀(300), 상기 충격흡수판(500), 상기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는 입구 오목부(200), 상기 입구 오목부(200)와 연속되어 형성되며 실바닥면의 중앙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격자틀(300), 상기 충격흡수판(500), 상기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는 중앙 오목부(1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0)는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바닥면에 대한 충격발생원이 되며 층간 소음이 발생될 부위를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타 부재가 상기 낮은 면에 설치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 1도에 도시된 부분 중 상기 오목부(10)가 아닌 부분은 상기 실바닥면이며, 모르타르 마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0)가 상기 충격흡수판(500), 상기 콘크리트판(600)으로 채워지면, 상기 오목부(10)는 상기 실바닥면과 같은 높이가 된다.
상기 입구 오목부(200)는 실의 출입구가 있는 부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격자틀(300)의 단면도이다.
상기 격자틀(300)은 기다란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그 단면은 아래가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틀(300)의 윗부분으로 형성되는 격자틀 덮개부(310), 상기 격자틀 덮개부(310)와 같은 형상이되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격자틀 덮개부(310)의 밑으로 삽입되어지도록 그 단면은 위가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틀(300)의 아랫부분으로 형성되는 격자틀 받침부(320), 상기 격자틀 덮개부(310)와 상기 격자틀 받침부(320) 사이의 내부 공간인 완충공간(370)이 형성되며 상기 격자틀(300)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격자틀 탄성체(3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자틀(300)은 상기 오목부(10) 내에 형성되며, 폐합성수지 또는 폐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자틀 탄성체(350)는 용수철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격자틀(300) 두 개가 교차하는 지점의 격자틀 교차부(30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틀 교차부(3000)는 상기 격자틀 받침부(320) 사이의 내부 공간인 완충공간(370)이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제 4 (a)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충격흡수판(5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충격흡수판(500)은 골재,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알루미늄 조각을 포함하는 부재들을 접착제로 접착시키면서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골재는 직경이 약 2~3mm, 상기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도 직경이 약 2~3mm, 상기 알루미늄 조각은 길이가 약 2~3mm 두께가 약 1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는 바닥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공동주택 층간에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알루미늄 조각은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이면서 가벼운 물질이므로 상기 충격흡수판(500)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바닥 난방의 열이 잘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거주자가 상기 충격흡수판(500)이나 상기 격자틀(300)을 밟았을 때 거의 비슷한 정도의 탄성이나 충격흡수 정도를 느끼도록, 상기 충격흡수판(500)이나 상기 격자틀(300)의 탄성 정도가 거의 같도록 형성된다.
제 4 (b)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콘크리트판(6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콘크리트판(600)은 바닥 슬래브와 거의 같은 강도로 형성되며 충격흡수 기능은 없으며, 침대, 피아노 등의 가구의 받침점으로 사용된다.
상기 충격흡수판(500)위에 피아노나 침대의 다리를 놓을 수 없다.
피아노나 침대의 다리가 위치할 곳에 미리 상기 콘크리트판(600)을 설치해 두면 된다.
따라서 가구 등을 지지할 지지점이 구조적으로 자연스럽게 제공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오목부(10)에 채워져서 조립되는 상기 충격흡수판(500), 상기 콘크리트판(600)이 손상되거나 기능을 잃게 될 경우 해당되는 판만 교체하면 된다.
또한 상기 격자틀(300)도 역시 손상될 경우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손상된 부재를 교체하여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제 5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며 대다수의 충격흡수판(500) 사이에 소수의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에 주어지는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될 가능성이 큰 실의 입구에 입구 오목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판에 주어지는 충격이 발생하기 어려운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부위에 중앙 오목부(100)가 형성되게 된다.
제 5도에서 상기 충격흡수판(500)과 상기 콘크리트판(600)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판(600)은 사각형이되 그 안에 가로 세로선이 그려져 있는 사각형으로 도시하였다.
즉,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오목부 (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0)는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바닥면에 대한 충격발생원이 되며 층간 소음이 발생될 부위를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타 부재가 상기 낮은 면에 설치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 5도에 도시된 부분 중 상기 오목부(10)가 아닌 부분은 상기 실바닥면이며, 모르타르 마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0)가 상기 충격흡수판(500), 상기 콘크리트판(600)으로 채워지면, 상기 오목부(10)는 상기 실바닥면과 같은 높이가 된다.
상기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부분 조립체의 설치방법은, 슬래브 콘크리트 공사시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바닥면에 대한 충격발생원이 되어 층간 소음이 발생될 부위인 입구 오목부(200), 중앙 오목부(100)를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입구 오목부(200), 중앙 오목부(100)내에 격자틀(300)을 설치하는 2단계, 상기 격자틀(300)내 부위 중 침대의 받침대나 피아노의 다리와 같은 가구 받침점이 있어야 할 부위에 복수 개의 콘크리트판(600)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상기 격자틀(300)내 부위 중 상기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되는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 복수 개의 충격흡수판(500)을 설치하는 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4단계 후에 장판 등의 바닥마감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충격흡수판(500)이나 격자틀(300)이 탄성을 가지지만 지나치게 푹신푹신하게 형성되어서는 곤란하며 바닥면에 주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에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면 충분하다.
만약 거주자 중 늘 바닥에 충격을 주던 어린아이가 성장한다든지 하여 바닥판에 대한 충격부여 요인이 현저하게 줄어들거나 해서 상기 충격흡수판(500)을 제거해야 할 경우가 생기면, 상기 격자틀(300)과 상기 충격흡수판(500)은 제거해 주고 상기 콘크리트판(600)만으로 상기 오목부(10)를 채워주고 상기 격자틀(300)이 있던 부위는 줄눈 모르타르 또는 중진재로 채워서 보통의 바닥판과 같은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보통의 바닥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가구 등을 지지할 지지점이 구조적으로 자연스럽게 제공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손상된 부재를 교체하여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필요시 보통의 바닥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바닥면에 대한 충격발생원이 되며 층간 소음이 발생될 부위를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타 부재가 상기 낮은 면에 설치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목부(10);
    상기 오목부(10) 내부에 판형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격자를 형성해 주며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격자틀(300);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충격흡수판(500);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지 않으며 가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판(6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0)는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입구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격자틀(300), 상기 충격흡수판(500), 상기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는 입구 오목부(200);
    상기 입구 오목부(200)와 연속되어 형성되며 실바닥면의 중앙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격자틀(300), 상기 충격흡수판(500), 상기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주위 바닥면 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는 중앙 오목부(100);
    를 포함하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틀(300)은
    기다란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그 단면은 아래가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틀(300)의 윗부분으로 형성되는 격자틀 덮개부(310);
    상기 격자틀 덮개부(310)와 같은 형상이되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격자틀 덮개부(310)의 밑으로 삽입되어지도록 그 단면은 위가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틀(300)의 아랫부분으로 형성되는 격자틀 받침부(320);
    상기 격자틀 덮개부(310)와 상기 격자틀 받침부(320) 사이의 내부 공간인 완충공간(370)이 형성되며 상기 격자틀(300)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격자틀 탄성체(350);
    를 포함하는 격자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판(500)은
    골재,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알루미늄 조각을 포함하는 부재들을 접착제로 접착시키면서 상기 격자틀(30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되는 충격흡수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상기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부분 조립체의 설치방법은,
    슬래브 콘크리트 공사시 공동주택의 실바닥면 중 바닥면에 대한 충격발생원이 되어 층간 소음이 발생될 부위인 입구 오목부(200), 중앙 오목부(100)를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입구 오목부(200), 중앙 오목부(100)내에 격자틀(300)을 설치하는 2단계;
    상기 격자틀(300)내 부위 중 침대의 받침대나 피아노의 다리와 같은 가구 받침점이 있어야 할 부위에 복수 개의 콘크리트판(600)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상기 격자틀(300)내 부위 중 상기 콘크리트판(600)이 설치되는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 복수 개의 충격흡수판(500)을 설치하는 4단계;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20050102511A 2005-10-28 2005-10-28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KR10057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511A KR100579931B1 (ko) 2005-10-28 2005-10-28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511A KR100579931B1 (ko) 2005-10-28 2005-10-28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931B1 true KR100579931B1 (ko) 2006-05-16

Family

ID=3718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511A KR100579931B1 (ko) 2005-10-28 2005-10-28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24B1 (ko) * 2016-03-14 2016-06-22 (주)나로이엔씨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122U (ja) 1983-11-14 1985-06-08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屋上外断熱材
JP2003176622A (ja) 2001-12-12 2003-06-27 Dow Kakoh Kk 乾式床組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62552B1 (ko) 2002-05-09 2004-12-17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100471607B1 (ko) 2002-05-09 2005-02-21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122U (ja) 1983-11-14 1985-06-08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屋上外断熱材
JP2003176622A (ja) 2001-12-12 2003-06-27 Dow Kakoh Kk 乾式床組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62552B1 (ko) 2002-05-09 2004-12-17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100471607B1 (ko) 2002-05-09 2005-02-21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24B1 (ko) * 2016-03-14 2016-06-22 (주)나로이엔씨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41757B1 (ko)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KR101145878B1 (ko) 공기층으로 소음을 유도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2064550B1 (ko) 층간 소음 저감용 바닥패널 지지장치
KR100656884B1 (ko) 난방패널 및 이를 사용한 난방패널시스템
KR10135655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장치
KR100894597B1 (ko) 층간소음방지용 스티로폼 판넬 및 그 차음 및 흡음구조
KR200423530Y1 (ko) 충격 흡수용 방진고무를 이용한 마루구조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2028754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및 공법
KR101659267B1 (ko)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바닥 소음방지구조
KR100579931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판 조립체 및설치방법
KR100587987B1 (ko) 집합건축물에 사용되는 차음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층간바닥구조
KR20036665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100728519B1 (ko) 건물의 층간 소음 저감용 난방 배관 패널 및 이를 이용한건물의 바닥 난방 구조
KR101431989B1 (ko) 가변높이조절기에 의해 시공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주택의 바닥구조
KR101671278B1 (ko) 기성 공동주택용 비고정하중 집중 충격력 분산형 층간 소음 저감 시공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1942161B1 (ko) 완충재의 상이한 두께를 이용한 층간 소음 완충 구조
KR20110137921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0506698B1 (ko) 공동주택 바닥 슬래브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20060125044A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KR1008748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101956825B1 (ko)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100745471B1 (ko) 공동주택용 거실 층간 소음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