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773B1 -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773B1
KR101038773B1 KR1020100115457A KR20100115457A KR101038773B1 KR 101038773 B1 KR101038773 B1 KR 101038773B1 KR 1020100115457 A KR1020100115457 A KR 1020100115457A KR 20100115457 A KR20100115457 A KR 20100115457A KR 101038773 B1 KR101038773 B1 KR 10103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transformer
safety device
protective cov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순
Original Assignee
대영종합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종합산기(주) filed Critical 대영종합산기(주)
Priority to KR102010011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3/00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 F16K13/04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with a breakable closure member
    • F16K13/06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with a breakable closure member constructed to be ruptured by an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 F16K17/1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with fracturing diaphragm ; Rupture dis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100)의 상부커버(110)에 형성된 개구부(130)에 안착되는 중공형상의 기저부(10)와, 중공부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엔클로저(12), 기저부(10)와 엔클로저(12) 사이에서 배치되고 변압기(100) 내부의 이상압력에서 찢어질 수 있는 파열판(121), 파알판(121)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시킨 절취부(122), 엔클로저(12)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단면이 역U자형상으로 되어 있는 보호커버(14)를 구비하여, 변압기(100)에 이상압력이 발생하는 압력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데, 엔클로저(12)의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스페이서(124);와 기저부(10)의 중공부 가장자리에서 바아(bar)형태로 수직하방으로 길게 뻗어 있는 다수의 지지부재(13); 및 다수의 지지부재(13)의 하단부에 위치고정된 원판형상의 유분출 방지판(131);을 구비하고, 보호커버(14)는 엔클로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페이서(124)에 고정되어, 상기 스페이서(1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보호커버(14)와 엔클로저(12) 사이에 유체 흐름 통로를 제공하고, 지지부재(13)를 매개로 하여 유분출 방지판(131)과 기저부(10) 사이에 유체 흐름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압기 방출안전장치{Rupture disk for the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사용되던 변압기의 구조적 변형 없이도 그 상판에 형성된 개구부(hand hole)와 천공을 통한 개구부를 매개로 하여 이상압력을 방압할 수 있도록 한다.
현대사회에서, 대부부의 생활 중 전기의 효용 범위는 생각하는 그 이상으로 퍼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전기 사용량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전기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 변압기에 주어지는 과부하로 인하여 변압기 자체에 상당한 무리를 주고 있다. 이렇게 자극된 변압기는 기술된 바와 같이 과부하 등의 외부적 환경 요인과 내부적 요인 등으로 변압기 내부에 이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순간 압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변압기 내부압력이 높아져 허용 압력 이상에서 파손되도록 설계된 방출안전장치가 변압기에 구비된 것도 있다.
2009년 2월 27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443694호는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라는 고안의 명칭으로 대영종합산기(주)가 변압기에서 발생한 이상압력을 방압할 수 있는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참고로, 실용신안등록 제20-443694호의 등록권리자인 대영종합산기(주)는 본 출원의 출원인임을 밝혀둔다.
이 고안의 청구항 1은,
「 변압기에 이상압력이 발생하면 압력을 방출할 수 있는 방출안전장치로서,
상기 변압기의 상부커버에 형성된 개구부에 안착되는 걸림부와 상기 개구부 안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뻗어 있는 편평한 내주면을 갖는 지지보유부와;
상기 개구부의 걸림부 위에 배치되고, 원주의 바깥과 안쪽으로 다수의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상부판;
상기 지지보유부와 상기 상부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변압기의 이상압력에서 찢어질 수 있는 파열판;
상기 상부판 상에서 그 둘레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뻗어 있는 저유(貯油)용 엔클로저 및;
편평부와 상기 편평부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수직하방으로 뻗은 측면부를 갖춰 단면상 역U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저유용 엔클로저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누출방지용 상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로 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변압기 상부에 기 형성된 개구부에 저유용 엔클로저 위에서 이격되게 배치된 누출방지용 상판을 갖춘 방출안전장치를 삽통하여 변압기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저유용 엔클로저와 누출방지용 상판 사이의 경로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변압기 절연유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 종래기술은 변압기 내부에 이상압력의 발생유무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저유용 엔클로저와 누출방지용 상판 사이의 틈새 경로를 통해서 빗물 등이 각 구성부재들의 표면을 따라서 방출안전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내구성과 사용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80159호에 "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로 동방전기공업(주)가 변압기에서 발생한 압력을 방출할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하고 있는데, 이 장치는 변압기의 탱크 상단 측면에 개구부를 천공해야만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치되어 있는 변압기는 정전을 시키고 철거를 하여 공장으로 가지고 가야만 기술된 저감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자면, 변압기 내부에는 절연유와 질소가스 등으로 채워져 있는데, 이러한 유입식 변압기는 이상압력에 대한 증후가 나타나면 안전막이 팽창하여 칼날과 같은 파괴구로 찢어져 내부압력이 덮개를 외부로 밀어붙여 덮개에 부착된 표시천으로 외부로 변압기 내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비록 표시천으로 변압기 내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사실을 공지할 때쯤에는 순간압력저감장치를 덮고 있던 덮개가 고압으로 분리되면서 그 내부에 채워져 있던 가스와 절연유가 비산되거나 분출될 수 있다. 특히 변압기는 공중에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고온고압의 가스와 절연유가 외부로 분출되면 그 확산범위가 더 넓어져 피해의 정도를 가늠하기 힘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다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설치 대상의 변압기 상에 기 형성된 개구부에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설치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는 변압기 상판의 개구부 상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변압기에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중인 변압기에 활선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막이 찢어져 내부압력이 방출될 때에 보호커버와 기저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이상 내부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고 절연유는 기저부 상부에 형성된 엔클로저와 보호커버를 매개로 하여 외부로의 유출을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변압기 내부에 충전된 절연유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지하기 위해서 기저부 하부에 형성된 유분출 방지판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변압기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식자를 기저부 상부에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우수(雨水)와 같은 외부 요인에 대해 내식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우수의 침투를 막는 보호커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변압기 내부의 이상압력 발생시 가스의 외부 방출을 돕도록 엔클로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보호커버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변압기 상부에 방출안전장치를 구비하여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는 보호커버를 통해, 방출된 절연유의 비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부압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는 변압기 내부의 이상압력 발생 여부를 방출안전장치의 해체 없이도 표식자를 통해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었던 변압기의 개구부의 뚜껑을 본 고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로 단순히 교체하는 것으로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작업현장에서의 작업공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활선상태로도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변압기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통해 가스의 배출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방출안전장치에서 유분출 방지판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방출안전장치에서 유분출 방지판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Ⅱ-Ⅱ선으로 절취한 방출안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Ⅲ-Ⅲ선으로 절취한 방출안전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변압기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통해 가스의 배출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변압기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통해 가스의 배출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변압기라는 용어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지상변압기 혹은 주상변압기를 모두 포함하여 기술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
도 1a와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다시 말하자면,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a의 Ⅱ-Ⅱ선으로 절취한 방출안전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a의 Ⅲ-Ⅲ선으로 절취한 방출안전장치의 저면도이다. 특히, 도 2는 방출안전장치의 내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보호커버를 배제하였으며, 도 3은 방출안정장치의 내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분출 방지판을 배제하였다.
통상적으로, 변압기(100)는 그 상부를 밀봉하는 상부커버(110)의 일부를 천공하여 형성된 개구부(130;hand hole)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은 변압기(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30)에 삽통시켜 방출안전장치(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출안전장치(1)는 다수의 구성부재로 이루어지는바, 개략적으로 기저부(10)와 역U자형상의 보호커버(14)로 구성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기저부(10)는 개구부(130) 둘레에 안착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1)를 변압기(100)의 상부커버(110)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기저부(10)는 그 외주면 둘레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11)을 형성하는데, 변압기(100)의 상부커버(110)에 구비된 앵커볼트(미도시)는 이 관통구멍(11)을 지나 너트(미도시)로 죄여져 변압기(100)의 방출안전장치(1)의 기저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관통구멍(11)은 변압기(100)의 앵커볼트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부(10)는 본체 상부에서 수직상방으로 뻗은 엔클로저(12;enclosure)와 함께 본체 하부에서 수직하방으로 뻗은 다수의 지지부재(13;bar)를 구비한다.
엔클로저(12)는 기저부(10)의 본체 상부 내주면 둘레에서 수직상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中孔部)를 구비한 원통형상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기로, 엔클로저(12)와 기저부(10)는 단일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개구부에 대응되게 속이 빈 중공부를 구비한다.
엔클로저(12)의 중공부에는 파열판(121)과 절취부(122)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파열판(121) 상에 절취부(122)를 떨어지게 위치시킨다. 파열판(121)은 취성(脆性)을 갖는 소재, 바람직하게는 베크라이트(bakelite)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상압력이 발생하면 소정의 압력 이상에서 찢어지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파열판(121)은 그 내부에 절취선을 미리 형성하여 더욱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변압기 내부에서 예상치 못한 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파열판(121)은 변압기 내부로 쳐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파열판(121) 바로 아래에 고정부(135)를 설치한다. 고정부(1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지지부재(13)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Y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지지부재의 갯수에 따라 고정부의 형상을 달리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압력으로 파열판(121)이 팽창되면서, 팽창된 파열판(121)이 위에 배치된 예리한 칼날과 같은 절취부(122)에 접촉하게 되어 찢어진다. 이로 인해 변압기 내부에 발생된 고압상태의 가스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엔클로저(12)는 또한 그 상부 가장자리에서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O-링 형상의 플랜지(123;flange)를 추가로 구비한다. 엔클로저(12)의 내벽과 플랜지(123)는 분출될 절연유의 저유(貯油)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외부로 분출될 절연유와 가스의 이동방향을 강제로 안내하는 동시에 쉽게 파열될 수 있는 파열판(121)을 변압기에 이상압력 발생을 제외한 다른 외부 요인에 위한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엔클로저(12) 상에 보호커버(14)가 고정상태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기로, 보호커버(14)의 내주면은 엔클로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페이서(124)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거나 이보다 커야할 것이다. 참고로, 스페이서(124)는 수직상방으로 뻗어 있는 엔크로저의 하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스페이서(124)는 엔클로저(12)의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3개의 스페이서(124)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페이서의 갯수는 개구부(130)의 크기와 제작 비용에 종속되어 가변적일 수 있다.
이 스페이서(124)는 보호커버(14)와 엔클로저(12)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데, 이 틈새는 이상압력에 위한 가스의 외부 분출을 위한 경로로 사용된다. 가스의 외부 분출이 원활해야 변압기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될 것이다.
보호커버(14)와 엔클로저(12) 사이의 결합관계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 및/또는 장착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엔클로저(12)의 스페이서(124)에 형성된 암나사산부(125)와 고정볼트(145)를 매개로 하여 고정볼트(145)가 보호커버(14)의 엣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암나사산부(125)와 나사체결된다.
다수의 지지부재(13)는 기저부(10)의 본체 (또는 기저부와 엔클로저가 일체화된 단일부품일 경우) 엔클로저(12) 하부 내주면 둘레에서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되되, 바람직하기로는 변압기의 상판커버보다 아래까지 뻗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다수의 지지부재(13)는 기저부의 본체 하부 내주면 둘레를 따라서 상호 등거리를 유지하면서 이격될 수 있다.
원판형상의 유분출 방지판(131)은 다수의 지지부재(13)의 하단부에 위치고정된다. 유분출 방지판(131)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직경은 개구부(130)의 직경보다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아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분출 방지판(131)은 개구부(130)를 통해 변압기(100) 내부로 삽입/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구부(130)의 크기보다 작아야 한다. 다수의 지지부재(13)의 상단, 더욱 구체적으로 기저부 하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하방으로 뻗어 있는 유분출 방지벽(134)이 추가로 구비된다. 이 유분출 방지벽(134)은 이상압력발생시 외부로 분출되는 절연유의 경로를 일부 차단하여 비산 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변압기(100) 내부에 허용압력 이상의 이상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변압기(100) 내부의 절연유와 가스가 팽창하고, 이로 인해 파열판(121)도 팽창하게 된다. 팽창된 파열판(121)은 절취부(122)와 접촉하게 되어 찢어지게 되는데, 이때 고온고압의 가스와 절연유는 변압기의 내부압과 외부압 사이의 압력차로 인하여 빠른 속도로 외부로 분출되는데, 가스는 도 1b에 표기된 화살표 방향, 즉 변압기 내부에서 지지부재(13)를 매개로 하여 기저부(10)의 하부와 유분출 방지판(131) 사이, 더욱 구체적으로 유분출 방지벽(134)과 유분출 방지판(131)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되고 기저부(10)와 엔클로저(12) 내부의 중공부를 지나, 기저부의 외주면과 보호커버(14) 사이의 틈새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절연유도 변압기 외부로 분출되는데, 특히 절연유는 고온고압의 가스에 연이어 분출하면서 우선적으로 유분출 방지판(131)과 맞부닥쳐져 1차적으로 절연유의 유분출량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유분출 방지벽(134)과, 기저부(10)와 엔클로저(12) 내부의 중공부, 뿐만 아니라 플랜지(123)가 절연유의 차단벽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절연유의 일부만이 기저부(10)와 보호커버(14) 사이의 틈새로 배출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절연유는 최고 370㎖에서 최하 70㎖까지 대략 80%의 저감률을 보이게 된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방출안전장치에서 유분출 방지판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에 도시된 유분출 방지판(131)은 편평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에, 도 1c에 도시된 유분출 방지판(131')은 돔(dome)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달리, 도 1d는 원뿔형상의 유분출 방지판(131")으로 이루어져 변압기 내부에 절연유가 기저부와 엔클로저의 중공부에 직접적으로 안내되지 않도록 한다.
제2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변압기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통해 가스의 배출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a와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와 유사하므로,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배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1)는 엔클로저(12) 상부에 표식자(126)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절취부(122) 혹은 스페이서(124;도 1참조) 위에 부착한다. 이상압력으로 파열판(121)이 팽창하게 되면서, 팽창된 파열판(121)이 위에 배치된 예리한 칼날과 같은 절취부(122)에 접촉하게 되어 파열판(121)이 찢어지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된 고압상태의 가스 등이 기저부와 엔클로저의 중공부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화살표로 표시됨)되면서 표식자(126)를 보호커버(14)와 엔클로저(12) 사이의 틈새로 펼쳐져 변압기 내부의 이상 여부를 확인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표식자(126)는 가늘고 부드러운 리본천으로 되어 있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변압기의 개구부에 삽통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방출안전장치(1)는 빗물 등이 내리면 변압기(100)의 편평한 상부커버에 튀겨지거나 보호커버(14)를 외부 표면을 타고 흘러 보호커버(14)의 내부 표면, 예컨대 하부면 상에 빗물이 맺혀지고 방출안전장치(1) 내부로 유입되어 구성부재들의 내구성과 부식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방출안전장치(1) 내부로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보호커버(14)의 하부면에 수직되게 차단벽(141)을 구비한다. 이러한 차단벽(141)은 보호커버(14)의 하부면을 타고 흘러들어오는 빗물이 방출안전장치(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막으로 되어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141)은 하부면에서 O-링(O-ring) 형상으로 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차단벽(141)은 엔클로저(12)의 플랜지(123)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제4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변압기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통해 가스의 배출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엔클로저(12)의 스페이서(124)에 보호커버(14)를 고정시키지 않고 엔클로저(12)의 스페이서(124)를 수용하여 엔클로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식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보호커버(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커버(14')는 이의 엣지부에서 내부를 향해 뻗은 걸림턱(146')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걸림턱(146')은 엣지부의 내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엔클로저(12)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24)와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호커버(14')는 엔클로저(12)의 스페이서(124)로서 이동거리가 한정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정상상태의 변압기에서는 보호커버(14')는 자체 중량에 의해서 엔클로저(12) 및/또는 엔클로저(12)의 플랜지(123) 위에 안착되어 있지만, 이상압력이 발생하여 파열판이 찢어진 변압기에서는 고온고압의 가스와 절연유로 인해 보호커버(14')는 상승하게 되지만, 이때에 보호커버(14')의 걸림턱(146')이 스페이서(124)의 하부면에 걸쳐져 더 이상의 상승을 방지하여 엔클로저(12)로부터 탈거되지 않는다. 참고로, 이상압력 발생시 고온고압의 가스와 절연유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경 혹은 변형될 수도 있다.
1 ----- 방출안전장치,
12 ----- 엔클로저,
13 ----- 지지부재,
14 ----- 보호커버,
126 ----- 표식자,
131 ----- 유분출 방지판,
141 ----- 차단벽.

Claims (9)

  1. 변압기(100)의 상부커버(110)에 형성된 개구부(130)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엔클로저(12;enclosure), 상기 엔클로저(12)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파열판(121), 상기 파열판(121)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시킨 절취부(122), 상기 엔클로저(12)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단면이 역U자형상으로 되어 있는 보호커버(14)를 구비하여, 상기 변압기(100)에서 발생하는 이상압력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방출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12)의 하부에서 바아(bar)형태로 수직하방으로 길게 뻗어 있는 다수의 지지부재(13);와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13)의 하단부에 위치고정된 원판형상의 유분출 방지판(131);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13)를 매개로 하여 상기 유분출 방지판(131)과 상기 엔클로저(12) 사이에 유체 흐름용 우회로를 제공하여 유체의 분출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12)의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스페이서(12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출 방지판(131)은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한 원뿔형상, 돔(dome)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12)는 그 상부에 플랜지(123;flange)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123)는 상기 보호커버(14)와 맞닿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12) 또는 절취부(122) 상에 리본형태의 표식자(126)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4)는 그 하부면에서 수직하방으로 돌출된 차단벽(141)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벽(141)의 직경은 상기 플랜지(123)의 직경 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이의 엣지부에서 내부를 향해 뻗은 걸림턱(146')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146')은 상기 스페이서(124)의 하부면에 걸쳐지게 배열되어, 이상압력 발생기 상기 보호커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상승이동하여 상기 보호커버(14')와 엔클로저(12) 사이에 유체 흐름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판(121) 아래에 상기 엔클로저(12)의 내부 중공부를 가로질러 배열된 고정부(135)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엔클로저(12) 내부 중공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유분출 방지벽(134)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KR1020100115457A 2010-11-19 2010-11-19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038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57A KR101038773B1 (ko) 2010-11-19 2010-11-19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57A KR101038773B1 (ko) 2010-11-19 2010-11-19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773B1 true KR101038773B1 (ko) 2011-06-03

Family

ID=4440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457A KR101038773B1 (ko) 2010-11-19 2010-11-19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77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169B1 (ko) 2012-07-02 2012-11-30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KR101229732B1 (ko) * 2012-07-02 2013-02-04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KR101531410B1 (ko) * 2013-11-01 2015-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열 디스크장치
KR101628181B1 (ko) 2015-12-18 2016-06-09 대영종합산기(주)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KR101629751B1 (ko) 2015-12-07 2016-06-13 우진전기 주식회사 압력 저감 장치
KR101852146B1 (ko) 2017-10-25 2018-04-25 대영종합산기 주식회사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KR20210034181A (ko) 2019-09-20 2021-03-30 한국전력공사 과압방출장치용 시험장치
KR102541251B1 (ko) * 2022-08-18 2023-06-07 신동기 압력배기밸브가 장착된 열폭주 지연 파열판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827U (ko) * 1998-08-17 2000-03-15 양우현 지상변압기용 순간압력 저감장치
KR200280159Y1 (ko) 2002-03-15 2002-07-02 동방전기공업(주)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
KR20020080159A (ko) * 2001-04-12 2002-10-23 에프디테크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 소자의 자동 제조를 위한아이티오전극 증착 장치 및 방법
KR20030078043A (ko) * 2003-07-12 2003-10-04 엠케이공업 주식회사 인코너용 프로파일
KR20040040185A (ko) * 2002-11-06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밥솥의 피시비 냉각 구조
KR200378043Y1 (ko) 2004-12-15 2005-03-11 주식회사 평일 변압기용 방압장치
KR200440185Y1 (ko) 2006-12-20 2008-05-28 임기홍 순간압력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827U (ko) * 1998-08-17 2000-03-15 양우현 지상변압기용 순간압력 저감장치
KR20020080159A (ko) * 2001-04-12 2002-10-23 에프디테크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 소자의 자동 제조를 위한아이티오전극 증착 장치 및 방법
KR200280159Y1 (ko) 2002-03-15 2002-07-02 동방전기공업(주)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
KR20040040185A (ko) * 2002-11-06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밥솥의 피시비 냉각 구조
KR20030078043A (ko) * 2003-07-12 2003-10-04 엠케이공업 주식회사 인코너용 프로파일
KR200378043Y1 (ko) 2004-12-15 2005-03-11 주식회사 평일 변압기용 방압장치
KR200440185Y1 (ko) 2006-12-20 2008-05-28 임기홍 순간압력 저감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169B1 (ko) 2012-07-02 2012-11-30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KR101229732B1 (ko) * 2012-07-02 2013-02-04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KR101531410B1 (ko) * 2013-11-01 2015-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열 디스크장치
KR101629751B1 (ko) 2015-12-07 2016-06-13 우진전기 주식회사 압력 저감 장치
KR101628181B1 (ko) 2015-12-18 2016-06-09 대영종합산기(주)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KR101852146B1 (ko) 2017-10-25 2018-04-25 대영종합산기 주식회사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KR20210034181A (ko) 2019-09-20 2021-03-30 한국전력공사 과압방출장치용 시험장치
KR102541251B1 (ko) * 2022-08-18 2023-06-07 신동기 압력배기밸브가 장착된 열폭주 지연 파열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773B1 (ko)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149921B1 (ko)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RU2383981C1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зрушения бака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KR101207169B1 (ko)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AU2012378923B2 (en) A device for detecting fluid leakage
KR20120007053A (ko) 피스톤 스템의 제어된 퇴출을 위한 안전 시스템을 가진 가스 실린더 작동기
KR101797440B1 (ko) 변압기용 압력 조절장치
KR200443694Y1 (ko)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US3109555A (en) Emergency pressure relief device
KR101229732B1 (ko)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US20120200961A1 (en) Electric transformer explosion prevention device provided with a liquid detector
KR100899417B1 (ko)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KR101090280B1 (ko) 양방향 파열형 파열 디스크 어셈블리
JP2012026570A (ja) 空気弁、及び空気弁付き消火栓
US9899134B2 (en) Burst protector for high-voltage device
CA2897021C (en) Pressure relief mechanism for an ionization chamber used in radiation detection
JP6440318B2 (ja) ロックボルト維持管理機構
US2628633A (en) Safety valve
KR101839816B1 (ko) 압력 저감 장치
CN105133658A (zh) 一种具有方位指示的防盗井盖
CN220436225U (zh) 一种压力容器和安全泄放装置
RU189792U1 (ru) Клапан
CN110725979B (zh) 防爆阀
KR20240152112A (ko) 맨홀 덮개 유실 및 맨홀 위치 알림을 위한 부력체가 구비된 추락방지장치
KR102639220B1 (ko) 변압기의 화재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