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410B1 - 파열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파열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410B1
KR101531410B1 KR1020130132278A KR20130132278A KR101531410B1 KR 101531410 B1 KR101531410 B1 KR 101531410B1 KR 1020130132278 A KR1020130132278 A KR 1020130132278A KR 20130132278 A KR20130132278 A KR 20130132278A KR 101531410 B1 KR101531410 B1 KR 10153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disk
rupture
blocking member
dis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968A (ko
Inventor
강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4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4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 F16K17/1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with fracturing diaphragm ; Rupture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파열 디스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는 엔진의 배기관에 장착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파열 시 상기 디스크가 파열된 파열부에 맞닿아 상기 파열부를 폐쇄시키도록 구동되는 차단부재 및 파열된 상기 디스크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스크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열 디스크장치{Rupture disk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크의 파열 시 엔진의 가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비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파열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열 디스크(rupture disk)란, 밀폐된 용기 또는 배관 등의 내압이 이상 상승하였을 경우, 정해진 압력에서 파열됨에 따라 본체의 파괴를 막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파열 디스크는 내연기관의 배기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엔진이나 디젤엔진의 배기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스엔진에서는 가스엔진의 연료인 메탄(CH4)이 실린더 내부에서 연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기관내로 배출되는 메탄슬립(CH4 Slip)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관 내에는 메탄이 잔존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탄은 비정상연소로 인하여 실린더 내부에서 배기관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반응함에 따라 배기관 내부에서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는 파열되면서 배기관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열 디스크는 배기관의 내압을 감소시켜 가스 또는 디젤엔진이나 이코노마이저(economizer)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기관에는 디스크의 파열로 인해 외부공간과 연통되는 틈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기관을 복구하기 까지는 엔진을 가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선박의 정상운행을 위해서는 해상에서 자체 수리해야 하며, 수리를 완료할 때까지 선박의 운항이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20-2010-00115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크 파열 시 엔진의 가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비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파열 디스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엔진의 배기관에 장착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파열 시 상기 디스크가 파열된 파열부에 맞닿아 상기 파열부를 폐쇄시키도록 구동되는 차단부재 및 파열된 상기 디스크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스크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파열 디스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디스크를 수용하며,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보조배기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배기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배기관에서 멀어진 상태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파열부를 폐쇄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댐퍼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배기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기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파열부를 폐쇄하는 폐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댐퍼 또는 상기 폐쇄면은 상기 배기관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크는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디스크 사이에 상기 차단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크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 파열 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상기 차단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에 입력된 상기 디스크 파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파열부에 맞닿아 상기 파열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에 의하면 차단부재를 통해 디스크 파열 시 엔진의 가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비상 운전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는 하우징에 의하여 파열된 디스크 조각들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는 복수개의 디스크를 구비함에 따라 디스크 파열 시 여분의 파열 디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 배기관을 복구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다른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파열 디스크장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100), 차단부재(300),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100)는 배기관(20)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됨에 따라 배기관(20) 내의 배기가스를 외부공간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크(100)는 엔진(10)의 배기관(2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0)의 실린더 내부에서 정상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배기가스가 배기관(20) 내로 배출되어 배기관(20)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디스크(100)가 파열됨에 따라 배기관(20) 내의 배기가스를 외부공간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공간은 대기 또는 배기관(20)의 외부를 뜻할 수 있으며, 배기관(20)의 내압이 이상 상승한다는 것은 설계상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배기관(20)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설계상 설정된 최대압력은 배기관(20) 내 폭발현상이 일어날 때 발생되는 압력일 수 있다. 이러한 압력은 엔진(10)의 종류 및 크기, 배기관(2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특정하지는 않지만, 이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내용이다.
이러한 디스크(100)는 배기관(20)이 파열되기 전에 먼저 파열되어야 하므로 배기관의 강도보다 낮은 강도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적절한 재질과 형상,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100)는 배기관(2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파열 시점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크(100)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복수의 파열 홈(101)이 형성되어, 해당부위로 배기관(20)의 내압이 작용함에 따라 디스크(100)가 원활히 파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0)는 평판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금속, 구리 알루미늄과 같이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100)의 형상 및 재질은 일례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디스크(100) 및 다양한 재질의 디스크(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크(10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팅체결을 통해 배기관(20)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차단부재(300)는 디스크(100) 파열 시 디스크(100)가 파열된 파열부(100a)에 맞닿아 상기 파열부(100a)를 폐쇄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재(300)는 댐퍼(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댐퍼(310)는 회전 가능하도록 배기관(20)에 힌지(hinge)결합되어, 힌지 축(311)을 중심으로 배기관(20)에서 멀어진 상태(도 1참조)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2참조).
따라서, 댐퍼(310) 디스크(100)의 파열에 의해 배기관(20)에 형성된 틈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댐퍼(310)는 전술한 디스크(100)와 마찬가지로, 배기관(20)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댐퍼(310)가 여분의 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디스크(100) 파열 시 파열부(100a)를 폐쇄하는 댐퍼(310)를 여분의 파열 디스크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20) 내압의 이상 상승으로 디스크(100)가 파열된 파열부를 댐퍼(310)를 통해 폐쇄시킨 이후, 엔진(10)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 연속적인 운전을 하는 도중에 배기관(20)의 내압이 다시 이상 상승될 경우 댐퍼(310)가 파열됨에 따라 배기관(20)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댐퍼(310)는 스토퍼(330)에 의해 배기관(2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330)는 걸림부재(331), 회전부재(33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331) 및 회전부재(333)는 댐퍼(310) 및 배기관(20)에 각각 고정되고, 이때 지지부재(335)는 회전부재(333)와 축 결합함으로써 회전부재(333)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333)의 걸림홈(333a)이 걸림부재(331)에 정확히 끼워짐에 따라 댐퍼(3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20) 내를 유동하는 유체가 디스크(100)의 파열로 배기관(20)에 형성된 틈을 통해 외부공간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30)는 걸림부재(331)에 회전부재(333)가 끼워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댐퍼(310)를 배관(2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스토퍼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는 차단부재(300)를 통해 파열부(100a)를 폐쇄시킴에 따라 해상에서 배기관(20)의 자체수리가 가능하고, 엔진(10)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 비상운전을 하여 수리 처까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디스크(100)는 하우징(5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파열된 디스크(100)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디스크(100)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파열 디스크장치는 선박 내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500)은 배기관(20)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선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측이 하우징(500)과 연결되고 선체 외부로 연장된 보조배기관(510)을 통해 하우징(500)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조배기관(510) 내부에는 송풍팬(530)이 구비되어 하우징(500) 내부의 배기가스가 외부공간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배기가스의 배출유속을 가속할 수 있다.
송풍팬(530)은 다수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531)로 이루어지며,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보조배기관(5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체 외부로 연장됨에 따라 하우징(500) 내부의 공기가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배기관(510)의 일 측이 하우징(500)과 연통되도록 하고 타 측이 엔진(10)의 배기관(20)과 연통되도록 하여 하우징(500)내부의 공기를 엔진(10)의 배기관(510)으로 배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우징(500) 내의 배기가스는 외부공간으로 배출되고 파열된 디스크 파편들이 하우징(500)에 의해 걸러져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파편들이 다른 기기장치에 손상을 가져오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500)은 합성수지계열이나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접 기타 결합방법에 의해 배기관(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단부재(300)는 폐쇄면(3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폐쇄면(312)은 회전 가능하도록 배기관(20)에 힌지(hinge)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힌지 축(311)의 중심의 가상의 연장선(l)은 배기관(20)의 내측을 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쇄면(312)은 배기관(20)에 맞닿은 상태에서 힌지축(311)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파열부(100a)를 폐쇄함으로써, 디스크(100)의 파열에 의해 배기관(20)에 형성된 틈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폐쇄면(312)은 전술한 댐퍼(310)와 마찬가지로 배기관(20)이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폐쇄면(312)이 여분의 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디스크(100) 파열 시 파열부(100a)를 폐쇄하는 폐쇄면(312)을 여분의 파열 디스크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20) 내압의 이상 상승으로 디스크(100)가 파열된 파열부(100a)를 폐쇄면(312)을 통해 폐쇄시킨 이후, 엔진(10)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 연속적인 운전을 하는 도중에 배기관(20)의 내압이 다시 이상 상승될 경우 폐쇄면(312)이 파열됨에 따라 배기관(20)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단부재(300)는 전술한 댐퍼(310) 또는 폐쇄면(31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열부(100a)를 폐쇄함으로써 배기관(20)을 외부공간과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차단부재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단부재(300)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폐쇄면(3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폐쇄면(312)은 배기관(20)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폐쇄면(312)은 배기관(20)에 맞닿은 상태에서 힌지축(311)을 중심으로 로테이트(rotate)되면서 배기관(20)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교대로 파열됨에 따라 배기관(20)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는 디스크(100), 차단부재(300),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의 디스크(100), 차단부재(300), 하우징(500)은 전술한 실시예의 디스크(100), 차단부재(300), 하우징(500)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의 디스크(100)는 제 1디스크(150) 및 제 2디스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디스크(150) 및 제 2디스크(170)는 전술한 디스크(10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단부재(300)는 제 1디스크(150) 및 제 2디스크(170) 사이에 설치되어, 제 1디스크(150) 또는 제 2디스크(170) 파열 시 제 1디스크의 파열부(150a) 또는 제 2디스크의 파열부(170a)를 폐쇄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즉, 제 1디스크(150)가 파열된 경우, 차단부재(300)는 제 1디스크의 파열부(150a)를 향하는 제 1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 1디스크의 파열부(150a)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는 제 2디스크(170)가 파열된 경우, 차단부재(300)는 제 2디스크의 파열부(170a)를 향하는 제 2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 2디스크의 파열부(170a)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파열 디스크장치의 디스크(100) 및 차단부재(300)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더 구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디스크(100)에는 디스크(100) 파열 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2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센서(210), 필름부(230) 및 전원케이블(25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210)는 단락 여부에 따라 디스크(100)의 파열을 판단하는 부위로써 통상의 회로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부(230)는 센서(210)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감싸는 부위로 박막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케이블(250)은 센서(210)의 두 끝단과 연결되는 전원 선으로써 센서(210)의 단락여부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00)는 디스크(100)에 형성된 파열 홈(101)이 형성된 부위를 덮도록 라운드지게 설치되어 고정부(270)에 의해 디스크(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원케이블(250)은 센서(210)의 단락여부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200)를 통해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400)로 전달되고 제어부(400)는 전기적 신호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구동부(4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10)는 모터일 수 있다.
한편, 구동부(410)는 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부재(300)가 힌지 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방식이면 어떤 구조로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터(410)는 모터축(411)의 일 측이 감속기(430)와 체결되고, 타 측이 힌지 축(311)과 체결됨에 따라 힌지 축(3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감속기(430)는 모터(410)의 회전력을 다단 유성기어를 통해 소정비율로 감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재(300)가 파열부(100a)를 폐쇄하기 위해 회동되는 경우, 배기관(20)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파열부(100a)에 서서히 맞닿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기(430)는 감속기 축(431)이 힌지 축(31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센서부(200)의 전기적 신호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모터(4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410)는 회전에 의해 차단부재(300)가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디스크(150)가 파열된 경우 제어부(400)는 차단부재(300)가 힌지축(311)을 중심으로 하여 제 1디스크의 파열부(150a)를 향하는 제 1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모터(410)에 구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제 2디스크(170)가 파열된 경우 제어부(400)는 차단부재(300)가 힌지축(311)을 중심으로 하여 제 2디스크의 파열부(170a)를 향하는 제 2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모터(410)에 구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210)의 단락여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400)는 제 1디스크(150) 또는 제 2디스크(170)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크(100)가 파열된 경우에 상기 전기적신호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송풍팬(530)의 팬모터(531)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530)이 동작함에 따라 하우징(500) 내부의 공기를 외부공간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300)의 힌지 축(311)에도 구동부(4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상기 구동부(410)를 통해 차단부재(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 디스크장치는 차단부재(300)가 파열부(100a)를 선택적으로 폐쇄함에 따라 엔진(10)의 가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비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20: 배기관 100: 디스크
200: 센서부 300: 차단부재
311: 힌지 축 310: 댐퍼
330: 스토퍼 312: 폐쇄면
400: 제어부 410: 구동부
500: 하우징

Claims (9)

  1. 엔진의 배기관에 장착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파열 시 파열된 파열부에 맞닿아 상기 파열부를 폐쇄시키도록 구동되는 차단부재; 및
    파열된 상기 디스크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스크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파열 디스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디스크를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보조배기관이 더 구비되는 파열 디스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배기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배기관에서 멀어진 상태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파열부를 폐쇄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파열 디스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파열 디스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배기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기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파열부를 폐쇄하는 폐쇄면을 포함하는 파열 디스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파열부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배기관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도록 이루어지는 파열 디스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디스크 사이에 상기 차단부재가 설치되는 파열 디스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 파열 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파열부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차단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에 입력된 상기 디스크 파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파열부에 맞닿아 상기 파열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파열 디스크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면은 상기 파열부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배기관의 내압이 이상 상승될 경우 파열되도록 이루어지는 파열 디스크장치.
KR1020130132278A 2013-11-01 2013-11-01 파열 디스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3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278A KR101531410B1 (ko) 2013-11-01 2013-11-01 파열 디스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278A KR101531410B1 (ko) 2013-11-01 2013-11-01 파열 디스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968A KR20150050968A (ko) 2015-05-11
KR101531410B1 true KR101531410B1 (ko) 2015-06-24

Family

ID=5338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2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1410B1 (ko) 2013-11-01 2013-11-01 파열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86B1 (ko) * 2022-03-02 2023-05-26 에프디씨 주식회사 컨테이너의 내부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패널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508U (ko) * 2009-05-18 2010-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외장형 센싱부를 갖는 파열디스크
KR101038773B1 (ko) * 2010-11-19 2011-06-03 대영종합산기(주)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169838B1 (ko) * 2006-08-17 2012-07-30 파이크 코포레이션 벤트 장치
KR101295401B1 (ko) * 2006-01-19 2013-08-16 파이크 코포레이션 완전 개방식 및 재밀폐 가능한 폭발 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01B1 (ko) * 2006-01-19 2013-08-16 파이크 코포레이션 완전 개방식 및 재밀폐 가능한 폭발 벤트 장치
KR101169838B1 (ko) * 2006-08-17 2012-07-30 파이크 코포레이션 벤트 장치
KR20100011508U (ko) * 2009-05-18 2010-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외장형 센싱부를 갖는 파열디스크
KR101038773B1 (ko) * 2010-11-19 2011-06-03 대영종합산기(주)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86B1 (ko) * 2022-03-02 2023-05-26 에프디씨 주식회사 컨테이너의 내부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패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968A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8233C (zh) 防止电子变压器爆炸的装置
CN203223604U (zh) 一种防背压抗蠕变爆破片与易熔塞串联组合装置
JP5916736B2 (ja) 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をシールするための装置、シールアセンブリ、筐体フランジ及びスペーサ
RU2379569C1 (ru) Взрывозащитный клапан
KR101531410B1 (ko) 파열 디스크장치
CN111022823B (zh) 一种油气管道快速维护装置
JP5203511B2 (ja) 船舶用の推進軸のシール装置及びシール交換方法
KR20130052650A (ko) 매그너스 로터
RU2442052C1 (ru) Взрывозащитный клапан дл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1856569B1 (ko) 선박 응급 보수장치
KR102229292B1 (ko) 배기 터보차저
KR101259450B1 (ko) 페일세이프 전동밸브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동밸브 제어방법
RU120736U1 (ru) Взрывозащитный клапан
CN109000153B (zh) 抑制爆炸装置及抑制爆炸系统
KR101302217B1 (ko)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GB2570386A (en) Accumulator integrated into a fuel pipe
CN1071386A (zh) 受损油轮漏油控制系统
KR100898743B1 (ko) 선박 예인장치
CN106287103B (zh) 永磁液囊均压应急封堵装置及其应急封堵方法
KR20100003165U (ko) 선박용 사이드 트러스트
KR101816702B1 (ko) 선박의 러더 스톡용 그리이스 누설방지구조
CN202418786U (zh) 长管拖车专用爆破片装置
KR20110046723A (ko) 선박 사고 시 유체 유출 차단 장치 및 방법
CN106523115A (zh) 用于船舶燃气柴油机排气管的防爆装置
NO854353L (no) Apparat for lagring av kinetisk energ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