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217B1 -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217B1
KR101302217B1 KR1020110143346A KR20110143346A KR101302217B1 KR 101302217 B1 KR101302217 B1 KR 101302217B1 KR 1020110143346 A KR1020110143346 A KR 1020110143346A KR 20110143346 A KR20110143346 A KR 20110143346A KR 101302217 B1 KR101302217 B1 KR 10130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pipe
casing
ship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123A (ko
Inventor
황성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2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63H21/34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having exhaust-gas defl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Abstract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넬은, 선박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펀넬 케이싱; 상기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펀넬 케이싱의 공간부를 경유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2개 이상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분기관을 구비한 배기관; 상기 분기관 각각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와 소음의 배출경로를 조절하는 댐퍼; 상기 댐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은, 상기 펀넬 케이싱의 상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선박의 측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수평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FUNNEL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의 이동을 위한 추진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추진장치를 구동시키는 엔진이 필요하다. 이러한 엔진을 통해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선박에 설치된 펀넬(funnel)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펀넬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엔진 작동으로 인한 폭발음도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선박의 펀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음기(30)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펀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펀넬(10)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공간부 내부에 소음기(30)가 설치되며, 소음기(30)의 상부는 펀넬(10)의 상부벽체(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폐기관(40)과 연결되고 소음기(30)의 하부는 엔진의 배기관(45)과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음기(30)를 펀넬(10)에 설치하더라도 선박이 항구에 접안 또는 정박시에는 엔진의 배기소음이 항구 주변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전파되어 민원이 제기되는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배기소음을 줄이기 위해 펀넬에 소음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나, 이 경우 선박의 건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며 이를 통한 소음 저감 효과도 미흡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소음기를 설치하는 등의 추가 비용 상승 없이도 기존 펀넬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선박을 항구 등에 정박시 선박의 배기소음이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21105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펀넬에 별도의 소음기를 설치하는 등의 추가 비용 상승 없이도 기존 펀넬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선박을 항구 등에 정박시 선박의 배기소음이 항구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펀넬 케이싱; 상기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펀넬 케이싱의 공간부를 경유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2개 이상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분기관을 구비한 배기관; 상기 분기관 각각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와 소음의 배출경로를 조절하는 댐퍼; 상기 댐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펀넬이 제공된다. 상기 분기관은, 상기 펀넬 케이싱의 상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선박의 측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수평관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관은 상기 펀넬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2단 이상의 다단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펀넬은 상기 다단구조의 수평관을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키는 수평관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관은, 상기 배기관에서 분기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펀넬 케이싱의 관통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관 신축부는, 상기 제2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 기어(rack gear)와;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펀넬 케이싱의 공간부 내에 지지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관 신축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펀넬은 상기 펀넬 케이싱의 좌/우현이 서로 분리되도록 상기 펀넬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상기 펀넬 케이싱에 결합되는 소음 차단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차단벽은 소음차단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펀넬 케이싱의 공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펀넬은 상기 소음 차단벽을 상기 펀넬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소음 차단벽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펀넬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박의 펀넬에 별도의 소음기를 설치하는 등의 추가 비용 상승 없이도 기존 펀넬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선박을 항구 등에 정박시 선박의 배기소음이 항구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펀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넬과 이를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넬의 수평관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넬을 선박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넬과 이를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선박은,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나 부유식 가스저장재기화 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or FSRU)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드릴쉽(drill ship)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추진 가능한 선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넬(100)는 선박의 엔진(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체(1)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가스 배출 구조체로서, 선체(1)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112)를 구비한 펀넬 케이싱(funnel casing, 110)과, 이러한 펀넬 케이싱(110)의 공간부(112)를 경유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2개 이상의 분기관(122)을 구비한 배기관(120)과, 이러한 분기관(122) 각각에 설치되어 엔진(2)으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와 소음의 배출경로를 조절하는 댐퍼(130)와, 이러한 댐퍼(13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분기관(122)은, 펀넬 케이싱(110)의 상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수직관(124)과, 이러한 수직관(124)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며 선박의 측부(즉, 우현이나 좌현)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수평관(12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이 항구에 접안 또는 정박시, 선박의 접안 또는 정박 위치에 따라 배기소음의 방사 방향이 항구와 반대방향이 되도록 펀넬(100)에 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122)을 개폐 조절함으로써, 선박을 항구 등에 정박시 선박의 배기소음이 항구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즉, 선박의 운항 시에는 배기관(120)에서 분기된 수직관(124)을 통해 엔진(2)의 배기가스와 배기소음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방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선박이 항구에 접안 시에는 댐퍼(130)를 이용하여 수직 방향의 수직관(124)을 폐쇄하고 항구 쪽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관(126)을 개방하여 배기가스와 배기소음이 항구의 반대방향으로 배출 또는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가의 소음기 등의 추가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항구 접안 위치에 따라 배기소음의 방사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펀넬(100)을 선박에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펀넬(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펀넬(10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펀넬(100)의 수평관(126)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펀넬(100)을 선박의 측면(즉, 좌현 또는 우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펀넬 케이싱(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공간부(112)를 형성하며 후술할 배기관(120)을 감싸는 구조체이다.
펀넬 케이싱(110)은 그 횡단면을 기준으로 위에서 바라볼 때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엔진룸(미도시)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기관(120)은 선박의 엔진(2)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엔진룸(미도시) 내에 위치한 엔진(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펀넬 케이싱(110)의 공간부(112)를 경유하여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관(120)은 그 단부(즉, 펀넬 케이싱(110) 내에 위치한 배기관(120)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서로 다른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분기관(122)을 구비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122)은 2개 이상의 분기관(124, 1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분기관(122)은, 펀넬 케이싱(110)의 상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즉, 펀넬 케이싱(110)의 상부방향으로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수직관(124)과, 이러한 수직관(124)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며 선박의 측부(예를 들어, 우현이나 좌현)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즉, 펀넬 케이싱(110)의 좌현 또는 우현 방향으로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수평관(1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운항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120)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분기관(122)들 중 수직관(124)을 통해 엔진(2)의 배기가스와 배기소음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이 항구에 접안하여 인구 밀집 지역에 인접한 경우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댐퍼(130)를 이용하여 수직 방향의 수직관(124)을 폐쇄하고 항구 쪽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관(126)을 개방하여 배기가스와 배기소음이 항구의 반대방향으로 배출 또는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선박의 항구 접안 위치에 따라 배기소음의 방사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배기관(120) 내 다수개의 분기관(122)을 선택적으로 개폐 조절함으로써, 선박을 항구에 정박시 선박의 배기소음이 항구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분기관(122) 각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관(124)과 수평관(126) 각각에는 배기관(120)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댐퍼(130)가 설치된다.
댐퍼(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에서 공급된 배기가스와 배기소음이 펀넬 케이싱(110)을 기준으로 원하는 배출방향으로 배출 또는 방사될 수 있도록 각각의 분기관(122)의 초입에 설치되어 각각의 분기관(12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댐퍼(130)는 솔레노이드 밸브(132)와 유압실린더(134) 및 밸브디스크(1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댐퍼(130)는 예를 들어 고압의 유체(예를 들어, 유압이나 공압)를 공급받아 구동하여 밸브디스크(136)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기관(122)이 제공하는 유로를 단속할 수 있다.
밸브디스크(136)는, 분기관(122)의 유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분기관(122)의 유로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분기관(122)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분기관(122) 내의 홈(미도시)에 힌지축(미도시)을 기준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디스크(136)는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실린더(134)가 작동하여 밸브디스크(136)를 회전시킴으로써 분기관(122)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34)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로드가 밸브디스크(136)에 링크 구조를 통해 연결되어 유입되는 유체량에 따라 피스톤 로드를 밀어 밸브디스크(136)를 회동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32)는 유압실린더(134)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134)로 유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외에도, 댐퍼(13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력에 의해 밸브디스크(136)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댐퍼(130)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132)와 유압실린더(134)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관(126)은 펀넬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2단 이상의 다단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단구조의 수평관(12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배기관(120)에서 분기되는 제1 파이프(126a)와, 이러한 제1 파이프(126a)의 외주면을 따라 제1 파이프(126a)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파이프(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이프(126b)는 펀넬 케이싱(110)에 미리 형성된 관통홀(114)을 통해 펀넬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파이프(126a)의 일단부는 배기관(12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제2 파이프(126b)는 제1 파이프(126a)의 타단부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관통홀(114)을 통해 펀넬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파이프(126b)가 제1 파이프(126a)의 타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파이프(126a)의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파이프(126b)의 단부에는 각각 걸림홈(126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파이프(126a)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제2 파이프(126b)가 펀넬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최대로 이동할 경우 이들 걸림홈(126c)이 서로 맞물려서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파이프(126a)와 제2 파이프(126b)로 구성된 2단의 수평관(126)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수평관(126)은 예를 들어 3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파이프(126a)에서 제2 파이프(126b)로 갈수록 그 관경이 커지는 확장관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제1 파이프(126a)에서 제2 파이프(126b)로 갈수록 그 관경이 축소되는 축소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다단구조의 수평관(126)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펀넬(100)은 수평관 신축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관 신축부(12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126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 기어(rack gear, 128a)와, 이러한 래크 기어(128a)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 128b)와, 이러한 피니언 기어(128b)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미도시)는 펀넬 케이싱(110)의 공간부(112)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관 신축부(128)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제2 파이프(126b)의 표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래크 기어(128a)가 형성되고 이러한 래크 기어(128a)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28b)에 모터(미도시)의 모터축이 결합됨으로써,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피니언 기어(128b)가 회전하면서 래크 기어(128a)와 연동되어 래크 기어(128a)를 구비한 제2 파이프(126b)를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즉, 모터(미도시)의 모터축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2 파이프(126b)의 움직임 정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터(미도시)의 모터축의 회전 정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다단구조의 수평관(126)을 펀넬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신축시킬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장치로 작동하는 수평관 신축부(128)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관 신축부(128)로는 예를 들어 유압 모터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유압식 등의 다양한 구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관 신축부(128)는 앞서 설명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의 접안 또는 정박 위치에 따라 배기소음의 방사 방향이 항구와 반대방향이 되도록 펀넬 케이싱(110)의 측부(예를 들어, 좌현이나 우현)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다단으로 구성된 수평관(126)을 구성함으로써, 선박의 배기소음이 항구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펀넬 케이싱(110)이 선체(1)의 좌현과 우현을 분리함으로써 이러한 배기소음의 차단벽(즉, 일측으로 방사되는 배기소음이 그 반대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벽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펀넬(100)은 이러한 펀넬 케이싱(110)의 소음 차단 효과를 더 증폭시킬 수 있도록 소음 차단벽(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차단벽(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넬 케이싱(110)의 좌현과 우현이 서로 분리되도록 펀넬 케이싱(110)에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펀넬 케이싱(110)에 결합되는 장치이다.
즉, 이러한 소음 차단벽(150)은 선박 운항시에는 펀넬 케이싱(110)의 공간부(112) 내에 위치하다가 선박이 항구 등에 정박하여 소음 차단의 효율을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펀넬 케이싱(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펀넬 케이싱(110)의 수평방향으로 확장 돌출되는 소음 차단벽(150)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소음 차단벽(150)은 펀넬 케이싱(110)의 상방향으로도 돌출되어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소음 차단벽(150)이 펀넬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펀넬(100)은 소음 차단벽 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차단벽 구동부(160)는, 앞서 설명된 수평관 신축부(128)와 유사한 작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차단벽(150)의 측면에는 래크 기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소음 차단벽 구동부(160)는 이러한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와 펀넬 케이싱(110)의 공간부(112)에 지지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차단벽 구동부(160)의 작동원리는 앞서 설명된 수평관 신축부(128)와 동일 유사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이 항구에 접안 또는 정박시, 선박의 접안 또는 정박 위치에 따라 배기소음의 방사 방향이 항구와 반대방향이 되도록 펀넬(100)에 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122)을 개폐 조절함으로써, 선박을 항구 등에 정박시 선박의 배기소음이 항구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즉, 선박의 운항 시에는 배기관(120)에서 분기된 수직관(124)을 통해 엔진(2)의 배기가스와 배기소음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방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선박이 항구에 접안 시에는 댐퍼(130)를 이용하여 수직 방향의 수직관(124)을 폐쇄하고 항구 쪽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관(126)을 개방하여 배기가스와 배기소음이 항구의 반대방향으로 배출 또는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가의 소음기 등의 추가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항구 접안 위치에 따라 배기소음의 방사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펀넬(100)을 선박에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선체 2: 엔진
100: 펀넬 110: 펀넬 케이싱
112: 공간부 114: 관통홀
120: 배기관 122: 분기관
124: 수직관 126: 수평관
126a: 제1 파이프 126b: 제2 파이프
126c: 걸림홈
128: 수평관 신축부 128a: 래크 기어
128b: 피니언 기어
130: 댐퍼 132: 솔레노이드 밸브
134: 유압실린더 136: 밸브디스크
150: 소음 차단벽
160: 소음 차단벽 구동부

Claims (12)

  1. 선박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펀넬 케이싱;
    상기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펀넬 케이싱의 공간부를 경유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2개 이상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분기관을 구비한 배기관;
    상기 분기관 각각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와 소음의 배출경로를 조절하는 댐퍼;
    상기 댐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은,
    상기 펀넬 케이싱의 상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선박의 측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수평관을 포함하는 펀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은 상기 펀넬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2단 이상의 다단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구조의 수평관을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키는 수평관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펀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은,
    상기 배기관에서 분기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펀넬 케이싱의 관통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는 펀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는 각각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에서 상기 제2 파이프로 갈수록 관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 신축부는,
    상기 제2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 기어(rack gear)와;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펀넬 케이싱의 공간부 내에 지지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펀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 신축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 케이싱의 좌/우현이 서로 분리되도록 상기 펀넬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상기 펀넬 케이싱에 결합되는 소음 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펀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차단벽은 소음차단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펀넬 케이싱의 공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차단벽을 상기 펀넬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소음 차단벽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펀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펀넬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110143346A 2011-12-27 2011-12-27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0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346A KR101302217B1 (ko) 2011-12-27 2011-12-27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346A KR101302217B1 (ko) 2011-12-27 2011-12-27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123A KR20130075123A (ko) 2013-07-05
KR101302217B1 true KR101302217B1 (ko) 2013-08-30

Family

ID=4898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346A KR101302217B1 (ko) 2011-12-27 2011-12-27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2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063B1 (ko) * 2019-06-12 2020-10-30 국방과학연구소 건식 배기관 구조 및 습식 배기관 구조를 건식 배기관 구조로 변경하는 방법
CN111959737A (zh) * 2020-08-24 2020-11-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烟囱结构及船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779A (ko) 2015-09-10 2017-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평형 연돌 구조물을 구비하는 선박
KR102206943B1 (ko) 2016-06-03 2021-0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8938U (ko) * 1986-01-14 1987-07-28
JPH0216397U (ko) * 1988-07-19 1990-02-01
JP2000238695A (ja) 1999-02-22 2000-09-05 Nippon Yuusen Kk 船艙排気装置
KR20050021105A (ko) * 2003-08-26 2005-03-07 삼광조선공업주식회사 선박 연돌의 소음기 지지용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8938U (ko) * 1986-01-14 1987-07-28
JPH0216397U (ko) * 1988-07-19 1990-02-01
JP2000238695A (ja) 1999-02-22 2000-09-05 Nippon Yuusen Kk 船艙排気装置
KR20050021105A (ko) * 2003-08-26 2005-03-07 삼광조선공업주식회사 선박 연돌의 소음기 지지용 완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063B1 (ko) * 2019-06-12 2020-10-30 국방과학연구소 건식 배기관 구조 및 습식 배기관 구조를 건식 배기관 구조로 변경하는 방법
CN111959737A (zh) * 2020-08-24 2020-11-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烟囱结构及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123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217B1 (ko)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8715021B2 (en) Service space for a retractable propulsion device
EP2694854B1 (en) Device for reducing flow noise and valve
JP5808428B2 (ja) 船舶用の格納式スラスタユニット
KR102638482B1 (ko) 항공기 시스템들 내부의 가변적인 기하학적 틈들을 위한 밀봉 시스템
US7775233B2 (en) Choke or inline valve
RU2560940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ое ру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инторулевой колонки морского судна
CN101932501A (zh) 推动系统
CN104295752A (zh) 一种多级降压套筒调节阀
KR101017644B1 (ko) 잠수함
KR101067343B1 (ko) 선박 추진장치
KR20110020118A (ko)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추선
JP6590146B2 (ja) 操舵装置、航走体
SE531516C2 (sv) Ljuddämpande arrangemang
KR102595972B1 (ko) Lng 저장 탱크의 펌프 타워
IL292939B1 (en) Disruptive coupling systems and methods for underwater systems
KR101390380B1 (ko) 유체 수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수송 방법
KR101524159B1 (ko) 선박 스러스터 시스템
KR100736435B1 (ko) 방류형 할로우 제트밸브
KR20160018303A (ko) 해수 유입 차단용 소음기
KR102601309B1 (ko) 액체화물창의 펌프타워용 배출관 연결장치
JP5896350B2 (ja) バルブ
CN212657260U (zh) 用于船舶的流体控制阀
KR200491857Y1 (ko) 가스운반선용 펌프 장치
KR20140010569A (ko) 소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