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943B1 -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 Google Patents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943B1
KR102206943B1 KR1020160069376A KR20160069376A KR102206943B1 KR 102206943 B1 KR102206943 B1 KR 102206943B1 KR 1020160069376 A KR1020160069376 A KR 1020160069376A KR 20160069376 A KR20160069376 A KR 20160069376A KR 102206943 B1 KR102206943 B1 KR 102206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 reactor
exhaust
pipe
scr
particulate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360A (ko
Inventor
권영우
박남기
주호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94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CR 장치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는, 내부에 SCR 촉매가 설치되는 SCR 반응기(30); 상기 SCR 반응기(30)의 출구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기관(25); 상기 SCR 반응기(30)의 입구로부터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고, 연장된 하단부에 개폐 덮개(110)가 설치되는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 엔진(10)의 배기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하단부로부터 입자상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높이(h)를 확보하여 상기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중간 부분에 접속되는 제1 배기관(20); 을 포함한다.
제2 배기관(25)의 중간 부분에는,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내려오는 수분을 차단하여 모으기 위한 환형의 집수구 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집수구 부재(200)의 일측에는, 집수구 부재(200)에 모인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10)을 설치한다.

Description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Exhaust gas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SCR reactor}
본 발명은 배기가스 포함된 입자상 물질이 SCR 촉매나 반응기 내에 부착 및 퇴적되는 한편, 외기로부터의 수분이 SCR 반응기 내에 유입되는 원인에 기인하여 SCR 장치의 기능 및 내구성과 엔진성능을 떨어뜨리는 현상을 전반적으로 억제 내지 방지함으로써 SCR 반응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SCR 장치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에 관한 것이다.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Selective Catalyst Reduction System)으로 불리는 SCR 시스템은, 선박 추진용 디젤 엔진, 플랜트 발전용 디젤 엔진, 터빈 발전기 등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SCR 시스템은, 배기관의 도중에 촉매가 내장된 SCR 반응기(SCR Chamber)를 설치하고, 배기가스 내에 암모니아나 요소 수용액(Urea)과 같은 환원제를 공급하기 위한 환원제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배기가스 내의 질소 산화물(NOx)을 촉매(Catalyst) 층에서 암모니아(NH3), 우레아(Urea) 등의 환원제와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인체에 무해한 물과 질소로 분해한 후 배출시킨다(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도 1에는 엔진의 배기계에 대한 하나의 대표적 형태로서, 선박의 동력 시스템의 배기계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엔진(10) 배기 측의 배기가스 리시버(exhaust gas receiver)(12)로부터 제1 배기관(20)이 연장되어 SCR 반응기(30)의 입구 측에 연결되고, SCR 반응기(30)의 출구 측으로부터 제2 배기관(25)이 연장되며, 제1 배기관(20)에는 암모니아나 우레아와 같은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분사장치(40)가 설치된다.
SCR 반응기(30)의 내부에는, SCR 촉매(32)들이 배치되고, SCR 촉매(32)의 표면에 부착된 입자상 물질(PM; Particle Matter)(예; 탄소 찌꺼기(그을음, 검댕 등)이나 부반응 물질(예; 중황산암모늄, 황산암모늄)을 고압공기로 불어 제거하기 위한 수트 블로어(soot blower)(34)가 설치된다.
엔진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질소산화물(NOx)이나 황산화물(SOx)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 이외에도 다량의 입자상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입자상 물질은 SCR 반응기(30) 내부로 들어와 부유하다가 일부는 SCR 촉매(32)를 통과하여 제2 배기관(25)으로 빠져나와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SCR 촉매(32)에 부착되거나 아래로 가라앉아 SCR 반응기(30)의 바닥면이나 벽면, 제1,2 배기관(20, 25)의 내벽면에 침착된다.
또한, 수트 블로어(34)에 의해 SCR 촉매(32)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SCR 촉매(32)로부터 탈리된 입자상 물질의 일부가 SCR 반응기(30)의 바닥면에 침착된다.
입자상 물질이 SCR 촉매(32)에 부착되면, 촉매 반응을 저해하여 본연의 질소산화물 제가 성능을 떨어뜨리고, 배기 흐름을 방해하여 엔진 배압(背壓, Back Pressure)을 증가시킴으로써 엔진 출력을 떨어뜨린다. 또한, SCR 반응기(30)의 바닥면이나 벽면, 제1,2 배기관(20, 25)의 내벽면에 침착하는 경우에도 배기 흐름을 방해하여 엔진 배압을 증가시켜 엔진 출력을 떨어뜨린다.
SCR 반응기(30)가 도 1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수직형(배기 흐름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형태)이 아니고 수평형으로 설치되는 형태라면, 위와 같은 입자상 물질의 부착 및 침착에 의한 악영향이 더욱 커지게 된다.
한편, 선박의 배기계인 경우에는, SCR 반응기(30) 출구 측의 제2 배기관(25)은 선상에 높게 구축된 이른바 '펀넬(Funnel)'이라고 하는 연돌 구조물의 내부로 연장된 후 연돌 구조물 상단으로 돌출되어 배기가스를 대기 중에 확산시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특허문헌 4, 5 참조).
이처럼 제2 배기관(25)이 외기로 노출되는 배기계에서는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하거나 온도 차이에 의해 배관 내벽에 응결이 발생하여 물방울이 맺히고, 맺힌 물방울이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내려와 SCR 반응기(30)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SCR 반응기(30) 내부로 침투한 수분에 의해, 엔진 정지 중이나 SCR 정지 중과 같이 배기계의 온도가 낮을 때에는 부착된 입자상 물질이 엉겨 반죽처럼 되고, 기어이 엔진 가동에 의한 배기가스 열에 의해 고체화되어 SCR 촉매(32) 표면이나 SCR 반응기(30)의 바닥면 및 내벽면에 고착되게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SCR 촉매(32)는 보통 세라믹을 허니콤 구조로 압출하거나 또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지지체의 표면에 촉매 물질을 코팅한 구조를 가지는데, SCR 반응기(30) 내부로 침투한 수분은 SCR 운전 중에 높은 온도로 가열된 SCR 촉매(32)의 표면에 접촉하는 즉시 폭발하여 SCR 촉매(32)에 균열이나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778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4980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112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377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751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SCR 촉매나 반응기 내의 입자상 물질을 쉽게 포집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배기가스 포함된 입자상 물질이 SCR 촉매나 반응기 내에 부착 및 퇴적되는 것을 억제하고, SCR 반응기 안으로 침투하는 수분을 SCR 반응기에 이르기 전에 제거함으로써 SCR 내부에 부착된 입자상 물질을 고착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SCR 촉매의 손상을 줄임으로써, SCR 반응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 SCR 장치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는, 내부에 SCR 촉매가 설치되는 수직형 SCR 반응기(30); 상기 SCR 반응기(30)의 출구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기관(25); 상기 SCR 반응기(30)의 입구로부터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고, 연장된 하단부에 개폐 덮개(110)가 설치되는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 엔진(10)의 배기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하단부로부터 입자상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높이(h)를 확보하여 상기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중간 부분에 접속되는 제1 배기관(20); 을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는, 내부에 SCR 촉매가 설치되는 수평형 SCR 반응기(30a); 상기 SCR 반응기(30a)의 출구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기관(25); 상기 SCR 반응기(30a)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어 SCR 반응기(30a) 내부에서 가라앉는 입자상 물질을 담아 가두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연장된 하단부에는 담아 가둔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개폐 덮개(110)가 설치되는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 엔진(10)의 배기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SCR 반응기(30a)의 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1 배기관(20); 을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관(25)의 중간 부분에는,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내려오는 수분을 차단하여 모으기 위한 환형의 집수구 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집수구 부재(200)의 일측에는, 집수구 부재(200)에 모인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1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수구 부재(200)는 받은 물을 한쪽으로 흘려 모을 수 있도록 한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210)은 경사진 집수구 부재(200)의 가장 낮은 지점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계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부재(200)는,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에 접합되어 배수 도랑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02)와, 상기 바닥부(202)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배수 도랑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204)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계에 의하면, SCR 반응기에 유입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입자상 물질 포집관을 통해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SCR 촉매 표면이나 SCR 반응기의 바닥면에 부착 내지 침착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줄어들고, SCR 촉매의 성능 저하나 배기가스 흐름 방해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SCR 반응기의 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기관에 집수구 부재를 설치하여 제2 배기관의 내벽면을 타고 SCR 반응기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물을 차단하고 배출함으로써, SCR 반응기 내부로 수분 침투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SCR 반응기 내부로 침투한 수분에 의해 SCR 반응기 내벽면이나 SCR 촉매 표면에서의 입자상 물질의 반죽화 및 고착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SCR 촉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SCR 장치를 가지는 일반적인 배기계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집수구 부재 및 배출관을 자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집수구 부재 및 배출관을 자세하게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는, 내부에 SCR 촉매(32)가 설치되는 수직형 SCR 반응기(30)와, SCR 반응기(30)의 출구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기관(25)과, SCR 반응기(30)의 입구로부터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는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을 포함한다.
엔진(10)(도 1 참조)의 배기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배기관(20)은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데,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하단부로부터 입자상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소정의 높이(h)를 확보하여 접속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엔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1 배기관(20)을 따라 흘러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으로 들어온 다음 SCR 반응기(30) 안으로 들어간다. SCR 반응기(30) 안으로 들어온 배기가스는 SCR 촉매(32)를 거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제2 배기관(25)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가 SCR 반응기(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무게가 무거운 입자상 물질은 SCR 반응기(30)의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으로 떨어지게 된다.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으로 떨어진 입자상 물질은 제1 배기관(20)의 아래쪽으로 높이(h)에 의해 확보된 수용 공간에 쌓이게 되며, 주기적으로 개폐 덮개(110)를 열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SCR 촉매(32) 표면이나 SCR 반응기(30)의 바닥면에 부착 내지 침착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줄어들고, SCR 촉매(32)의 성능 저하나 배기가스 흐름 방해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개폐 덮개(110)는,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하단부에 플랜지(102)를 형성하고, 그 플랜지(102)에 볼트 등의 체결구(120)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덮개(110)를 플랜지(102)에 힌지(11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면 입자상 물질 제거시 개폐 덮개(110)를 떼어내지 않고 한쪽으로 열어놓고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무거운 개폐 덮개(110) 취급시의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는 주요부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집수구 부재 및 배출관을 자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집수구 부재 및 배출관을 자세하게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SCR 반응기(30)의 출구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기관(25)의 중간 부분에는 환형의 집수구(集水溝) 부재(200)가 구비된다. 집수구 부재(200)는, 그 명칭 그대로 '물을 모으는 도랑'으로서,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SCR 반응기(30)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수분을 차단하여 모으는 역할을 한다.
집수구 부재(200)의 일측에는, 집수구 부재(200)를 통해 모은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10)이 설치된다.
배출관(210)으로 배출되는 물은 집수통(220)에 집수된다. 배출관(210)에는 개폐 밸브(212)를 설치하여 배수가 필요할 때마다 열어서 배출하고 평상시에는 닫아 두어 배기가스가 배출관(210)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같이, 집수구 부재(200)는 받은 물을 한쪽으로 흘려 모을 수 있도록 한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출관(210)은 경사진 집수구 부재(200)의 가장 낮은 지점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집수구 부재(200)의 하나의 양호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구 부재(200)는 바닥부(202)와 측벽부(204)를 가지면서 전체 모양이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 둘레를 따르는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부(202)는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배수 도랑의 바닥을 형성함으로써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차단하고 모으는 역할을 한다.
측벽부(204)는, 바닥부(202)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배수 도랑의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바닥부(202)에 의해 차단한 물을 가두는 역할을 한다.
배출관(210)은, 이러한 집수구 부재(200)의 가장 낮은 부분에 접속된다. 즉, 집수구 부재(200)의 가장 낮은 부분의 바닥부(202)와 통하도록 연결된다. 이로써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SCR 반응기(30)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물은 바닥부(202)에 의해 차단되는 한편, 바닥부(202)와 측벽부(204)에 의해 형성된 경사진 도랑을 따라 가장 낮은 곳으로 흘러 모이고, 가장 낮은 곳에서 배출관(210)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SCR 반응기(30)의 출구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기관(25)에 집수구 부재(200)를 설치하여,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SCR 반응기(30)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물을 차단하고 배출함으로써, SCR 반응기(30) 내부로 수분 침투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SCR 반응기(30) 내부로 침투한 수분에 의해 SCR 반응기(30) 내벽면이나 SCR 촉매(32) 표면에서의 입자상 물질의 반죽화 및 고착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SCR 촉매(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의 주요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제3 실시예는 수평형의 SCR 반응기(30a)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수평형의 SCR 반응기(30a)의 길이방향 한쪽 끝의 입구 측에는 제1 배기관(20)이 연결되고, 반대쪽 끝의 출구 측에는 제2 배기관(25)이 연결된다.
수평형 SCR 반응기(30a)의 내부에는 SCR 촉매(32a)가 설치된다. 제1 배기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SCR 촉매(32a)를 거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제2 배기관(25)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SCR 반응기(30a)의 하단에는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이 구비된다.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은 하나의 SCR 촉매(32a)마다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SCR 촉매(32a)의 하류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은 SCR 반응기(30a)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어, SCR 반응기(30a) 내부에서 가라앉는 입자상 물질을 담아 가두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연장된 하단부에는 담아 가둔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개폐 덮개(110)가 설치된다. 개폐 덮개(1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형태와 동일하다.
엔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1 배기관(20)을 따라 흘러 SCR 반응기(30a) 안으로 들어간다. SCR 반응기(30a) 안으로 들어온 배기가스는 SCR 촉매(32a)를 거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제2 배기관(25)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가 SCR 반응기(30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무게가 무거운 입자상 물질은 SCR 반응기(30a)의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으로 떨어지게 된다.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으로 떨어진 입자상 물질은,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에 의해 확보된 내부 수용 공간에 쌓이게 되며, 주기적으로 개폐 덮개(110)를 열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SCR 촉매(32a)나 SCR 반응기(30a)의 바닥면에 부착 내지 침착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줄어들고, SCR 촉매(32a)의 성능 저하나 배기가스 흐름 방해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배기관(25)에 집수구 부재(200) 및 배출관(210)을 설치하여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수분을 차단하여 배출함으로써 SCR 반응기(30a) 안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집수구 부재(200) 및 그와 연관된 배출관(210), 집수통(220), 밸브(212)의 상세 구성은 제2 실시예의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엔진
12: 배기가스 리시버
14: 흡기부
16: 과급기
20: 제1 배기관
25: 제2 배기관
30: SCR 반응기
32: SCR 촉매
34: 수트 블로어
40: 환원제 분사장치
100: 입자상 물질 포집관
102: 플랜지
110: 개폐 덮개
112: 힌지
120: 체결구
200: 집수구 부재
202: 바닥부
204: 측벽부
210: 배출관
212: 밸브
220: 집수통

Claims (8)

  1. 내부에 SCR 촉매가 설치되는 수직형 SCR 반응기(30);
    상기 SCR 반응기(30)의 출구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기관(25);
    상기 SCR 반응기(30)의 입구로부터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고, 연장된 하단부에 개폐 덮개(110)가 설치되는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 및
    엔진(10)의 배기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하단부로부터 입자상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높이(h)를 확보하여 상기 입자상 물질 포집관(100)의 중간 부분에 접속되는 제1 배기관(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관(25)의 중간 부분에는,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을 타고 내려오는 수분을 차단하여 모으기 위한 환형의 집수구 부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집수구 부재(200)의 일측에는, 집수구 부재(200)에 모인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부재(200)는 받은 물을 한쪽으로 흘려 모을 수 있도록 한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210)은 경사진 집수구 부재(200)의 가장 낮은 지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부재(200)는,
    제2 배기관(25)의 내벽면에 접합되어 배수 도랑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02)와,
    상기 바닥부(202)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배수 도랑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20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69376A 2016-06-03 2016-06-03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KR10220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76A KR102206943B1 (ko) 2016-06-03 2016-06-03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76A KR102206943B1 (ko) 2016-06-03 2016-06-03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60A KR20170137360A (ko) 2017-12-13
KR102206943B1 true KR102206943B1 (ko) 2021-01-22

Family

ID=6094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376A KR102206943B1 (ko) 2016-06-03 2016-06-03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9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855Y1 (ko) 1996-12-31 1999-10-01 추호석 선박용 엔진의 배기관
JP2002339729A (ja) * 2001-05-17 2002-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中の浮遊微粒子除去装置
KR101394885B1 (ko) 2013-03-25 2014-05-14 (주)광산 선박 또는 해상 플랜트용 scr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772A (ko) 2011-06-13 2012-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연돌 구조물
US20140346031A1 (en) * 2011-12-02 2014-11-27 Basf Se Pipe, device for carrying out mass transfer processes and use of the device
KR101302217B1 (ko) 2011-12-27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40121129A (ko) 2013-04-05 2014-10-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납식 촉매 모듈을 구비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장치
KR102017347B1 (ko) 2013-10-31 2019-09-02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엔진 배기관 구조
KR101536824B1 (ko) 2013-12-30 2015-07-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환원제 공급라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855Y1 (ko) 1996-12-31 1999-10-01 추호석 선박용 엔진의 배기관
JP2002339729A (ja) * 2001-05-17 2002-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中の浮遊微粒子除去装置
KR101394885B1 (ko) 2013-03-25 2014-05-14 (주)광산 선박 또는 해상 플랜트용 scr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60A (ko)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390B2 (en) Filter system and filtration method for fluid reservoirs
RU2260469C2 (ru) Ловушка для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и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от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EP2530269B1 (en) SCR Muffler
RU2405946C2 (ru) Система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US20150068400A1 (en) Emissions Cleaning Module and a Method of Cleaning a Particulate Filter
EP1715153A1 (en) Scr muffler
KR101608720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170043514A (ko) 엔진 배기가스로부터 미립자 물질 및 중금속의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453085B2 (ja) テールパイプの水侵入防止構造
US20110151760A1 (en) Exhaust stack with baffles
US8845973B2 (en) Particle filter with hydrolysis coating, device and motor vehicle
JP2010007556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140062899A (ko) 차량의 배기 가스 정화장치
KR101556913B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CN106540529A (zh) 一种气体污染物一体化处理装置
US20060157296A1 (en) Engine exhaust system with water entrapment
WO2015117117A1 (en) Filter system and filtration method for fluid reservoirs
KR102206943B1 (ko) Scr 반응기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기계
US20150354431A1 (en) Sensor mounting apparatus
CN203756289U (zh) 用于scr后处理系统的尿素水溶液的喷射系统
CN206463755U (zh) 一种气体污染物一体化处理装置
KR102482802B1 (ko) 엔진 배기가스 또는 공정 장치로부터 미립자 물질의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340519B1 (ko) 배기가스 여과 장치
CN204511585U (zh) 用于还原剂箱的冷却剂系统及发动机
KR102382254B1 (ko) 디젤엔진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