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417B1 -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417B1
KR100899417B1 KR1020080064701A KR20080064701A KR100899417B1 KR 100899417 B1 KR100899417 B1 KR 100899417B1 KR 1020080064701 A KR1020080064701 A KR 1020080064701A KR 20080064701 A KR20080064701 A KR 20080064701A KR 100899417 B1 KR100899417 B1 KR 100899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transformer
hand hole
delete delete
oi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순
Original Assignee
대영종합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종합산기(주) filed Critical 대영종합산기(주)
Priority to KR102008006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상변압기 상부커버에 미리 형성된 핸드 홀 또는 천공부에 허용압력 이상에서 찢어지는 파열판과 이를 파기하는 절취부를 설치하며, 고온고압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절연유를 흩어지지 않도록 방출안전장치 상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포개진 저유용 엔클로저 및 누출방지용 상판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에 설치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Rupture disk for the pole transformer and instal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 상판에 형성된 핸드 홀(hand hole)을 수단으로 하여 이상 압력을 방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종래에 사용되던 주상변압기의 구조적 변형 없이 핸드 홀을 활용함으로써 방출안전장치를 활선상태에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법을 포함한다.
현대 사회에서, 대부분의 생활 중 전기의 효용 범위는 생각하는 그 이상으로 퍼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전기 사용량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전기 사용량의 증가함으로써, 각 변압기에 주어지는 과부하로 인하여 변압기 자체에 상당한 무리를 주고 있다. 이렇게 자극된 변압기는 기술된 바와 같이 과부하 등의 외부적 환경 요인 등으로 변압기 내부에 이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순간 압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변압기 내부압력이 높아져 허용 압력 이상에서 파손되도록 설계된 방출안전장치가 변압기에 구비된 것도 있다.
대한민국 실용실안등록 제20-280159호에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로 동방전기공업(주)가 변압기에서 발생한 압력을 방압할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하였다. 이 고안의 청구항 1은,
「 탱크 상단 측면에 형성된 압력배출구와;
상기 압력배출구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고 탱크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의 걸림턱 상부에 고정되는 안전막과;
상기 안전막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로 돌출형성된 파괴구와;
표시천을 갖고 있는 덮개와;
상기 탱크 내부에 소정깊이로 삽입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져 상기 탱크 상단 측면에 고정너트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장치」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기존의 주상변압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당한 불편함을 동반하고 또한 별도의 작업을 반드시 수행해야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는 이미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주상변압기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안전막이 파괴구로 찢어져 변압기 내부압력이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청구항 1에 전술되었듯이, 종래기술은 변압기의 탱크 상단 측면에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변압기 내부에는 절연유와 질소가스 등으로 채워져 있는데, 이러한 유입식 변압기는 이상압력에 대한 증후가 나타나 면 안전막이 팽창하여 칼날과 같은 파괴구로 찢어져 내부압력이 덮개를 외부로 밀어붙여 덮개에 부착된 표시천으로 외부로 변압기 내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압기는 이상현상이 발생하여 표시천 등으로 외부로 그 사실을 공지할 때쯤에는 순간압력저감장치를 덮고 있던 덮개가 고압으로 분리되면서 그 내부에 채워져 있던 가스와 절연유가 비산되거나 분출될 수 있다. 특히 주상변압기는 공중에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고온고압의 가스와 절연유가 외부로 분출되면 그 확산범위가 더 넓어져 피해의 정도는 가늠하기 힘들게 된다.
또한, 순간압력장치는 청구항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탱크 상단 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으로 배출되는 절연유를 더욱 멀리 뻗어나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변압기를 사용하려면 활선상태로는 불가능하고 새로운 탱크에 압력배출구를 천공하고 압력배출구에 맞춰 탱크 내부에는 고정너트를 배치하고 이에 맞물리는 가이드링의 몸체를 탱크 외부에서 나사체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탱크에 압력배출구를 위한 별도의 구멍을 천공해야만 하고 또한 그 구멍에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배출구 안팎으로 별도의 구성부재를 갖춰야만 하는 단점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다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설치 대상의 주상변압기 상에 기 형성된 핸드 홀에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설치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는 변압기 상판의 핸드 홀 상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변압기에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활선상태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막이 찢어져 내부압력이 방출될 때에 이 방출압에 의해 절연유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누출방지용 커버를 방출안전장치 상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절연유 누출방지용 커버는 이상 현상으로 발생된 변압기의 내부압력을 확실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압력의 영향으로 동시에 분출되는 절연유를 주변으로 더 이상 확산되지 못하게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출방지용 커버는 변압기의 방출안전장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되, 방출안전장치의 막이 찢어져 내부압력은 방출안전장치를 지나 누출방지용 커버에서 제공하는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절연유는 방출안전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엔클로저로 더 이상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방출안전장치의 설치방법은 주상변압기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핸드 홀을 활용하여 그 뚜껑 대신에 방출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방출안전장치는 기존 핸드 홀의 규격에 맞는 것 이면 어떤 형태로 된 것이든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 상부에 방출안전장치를 구비하여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을 충분히 배출하면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는 누출방지용 커버를 통해, 방출된 절연유의 비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부압력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던 주상변압기의 핸드 홀의 뚜껑을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로 교체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작업현장에서의 작업공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활선상태로도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출안전장치의 분해도이다. 특히, 도 2의 분해도에서 상부판(7)을 제외한 구성부재들은 측단면도로 도해하고 있는 반면에, 상부판(7)은 다수의 구멍을 도시하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주상변압기(100)는 그 상부를 밀봉하는 상부커버(110)의 일부를 천공하여 형성된 핸드 홀(130)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100)의 상부에 형성된 핸드 홀(130)에 삽통시켜 방출안전장치(120)를 설치하고 있다.
방출안전장치(120)는 다수의 구성부재로 이루어지는바, 특히 지지보유부(2)와 파열판(4), 상부판(7) 및 누출방지용 커버(11,12)를 구비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지지보유부(2)는 핸드 홀(130) 둘레에 안착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120)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하는바, 지지보유부(2)의 상부는 핸드 홀(130)에 안착될 수 있게 걸림부(22)를 형성하고 그 하부는 핸드 홀(130) 안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뻗은 내주면(21)을 형성한다.
내주면(21)은 그 위에 파열판(4)과 다수의 스페이서(5)를 구비하는 한편, 상부판(7)은 지지보유부(2)의 걸림부(22) 상에 안착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내주면(21)으로부터 걸림부(22)의 높이까지 파열판(4)과 다수의 스페이서(5)로 적층시켜 상부판(7)이 지지보유부(2) 상에 고정될 때 내주면(21)에서 상부판(7)까지 구성부재(4,5)들로 채워져 헐겁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5)는 기술되었듯이 높이조절용으로 사용되는 한편 가스와 절연유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캐스킷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5)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5)는 필요에 따라 혹은 지지보유부의 높이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파열판(4)은 취성(脆性)을 갖는 소재,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호일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상 압력이 발생하면 소정의 압력 이상에서 찢어지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파열판(4)은 그 내부에 절취선(도 1에 도시된 파 열판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도해됨)을 미리 형성하여 더욱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부판(7)은 도 2에 도시되었듯이 링(ring)형상으로 되어 있어 지지보유부(2)의 걸림부(22) 상에 안착되는바, 외곽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구멍(71;편의상 도면에는 2개만 도시함)이 형성되어 주상변압기(100)의 상부커버(110)에 용접 등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 널리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숫나사산부(111)를 관통시켜 암나사산부(112)로 나사체결시키도록 한다. 특히, 숫나사산부(111)는 기존 핸드 홀(130)용 핸드 홀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방출안전장치(120)는 내주면(21)으로부터 상부판(7)의 아래까지 다수의 구성부재들을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상부판(7) 안쪽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구멍(72)이 형성되어 숫나사산부(113)를 관통시켜 암나사산을 형성한 내주면(21)에 나사체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120)는 그 상부에 절연유 누출방지용 커버를 배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누출방지용 커버는 2개의 구성부재로 이루어지는바, 방출안전장치(120)의 상부판(7)에서 상방으로 뻗어 있는 저유(貯油)용 엔클로저(12;enclosure) 및 이 저유용 엔클로저(12)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누출방지용 상판(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출방지용 상판(11)은 편평부(11')와 편평부(11')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수직하방으로 뻗은 측면부(11")로 이루어진 단면이 역U자형상으로 저유용 엔클로저(12) 상에 위치된다.
저유용 엔클로저(12)가 방출안전장치(120)의 상부판(7)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되어 뻗는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부판(7)이 숫나사산부(113)를 매개로 편평부(21)에 형성된 암나사산부에 나사체결하기 전에, 상부판(7) 위로 저유용 엔클로저(12)를 안착시키고 숫나사산부(113)를 통해 편평부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서, 저유용 엔클로저(12)는 "ㄴ"자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상부판(7)의 구멍(72)에 일치시킨다.
저유용 엔클로저(12)와 함께 한 쌍을 이루는 누출방지용 상판(11)은 저유용 엔클로저(12) 위에 배치되되, 저유용 엔클로저(12)의 상단부뿐만 아니라 측면과도 직접 맞닿아 있지 않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누출방지용 상판(11)과 저유용 엔클로저(12) 사이의 틈새는 파열판(4)의 훼손으로 분출된 고압상태의 가스를 외부계로 배출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누출방지용 상판(11)은 저유용 엔클로저(12)와 고정연결되되, 편평부(11')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수직하방으로 뻗은 측면부(11")는 저유용 엔클로저(1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측면부(11")와 저유용 엔클로저(12) 사이에는 연결로드(14)를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
선택가능하기로, 누출방지용 상판(11)은 편평부(11')의 하부면에 수직되게 루버(13;louver)를 구비한다. 이러한 루버(13)는 주상변압기(100)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물질(절연유)들이 이상현상으로 방출안전장치(120)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출될 때 외부로 직접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출안전장치의 형상과 갯수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다.
만약 주상변압기(100)의 작동 오류로 방출안전장치(120)의 파열막(4)이 훼손되면서 주상변압기(100) 내부에 채워져 있던 이상압력의 충전가스 및 절연유가 방출안전장치(120)를 관통하여 주상변압기 외부로 방출하는데, 전술된 바와 같이 저유용 엔클로저(12)는 방출된 절연유가 변압기 외부면들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예기치 못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방출안전장치(120)의 상부판(7)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즉, 방출안전장치(120)를 관통하여 분출된 절연유는 수직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저유용 엔클로저(12) 내부에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와 유사하므로,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배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120)는 파열판(4)과 스페이서(5) 상으로 절취부(6)를 배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상부판(7) 아래에 위치시킨다. 이상압력으로 파열판(4)이 팽창하게 되면서, 팽창된 파열판(4)이 위에 배치된 예리한 칼날과 같은 절취부(6)에 접촉하게 되어 파열판(4)을 찢는다. 이로 인해 주상변압기 내부에 발생된 고압상태의 가스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로 하면, 통상적으로 주상변압기(100)는 그 상부를 밀봉하는 상부커버(110)의 일부를 천공하여 형성된 핸드 홀(130)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미 충분히 기술되었듯이 이미 형성된 핸드 홀(130)에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120')을 삽통하여 설치한다.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120)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방출안전장치(120')는 더욱 간단한 구조적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출안전장치(120')는 지지보유부(2')와 파열판(4), 절취부(6') 및 누출방지용 커버(11,12')로 구성된다.
지지보유부(2')는 본 발명의 방출안전장치(120')를 핸드 홀(130) 둘레에 안착될 수 있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바, 핸드 홀(130) 안쪽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뻗은 내주면(21')과, 핸드 홀(13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22'), 그 상부의 안쪽면에 형성된 암나사산부(23') 및, 주상변압기(100)의 상부커버(110)에 장착된 핸드 홀 뚜껑의 고정용 숫나사산부(111)를 관통시키는 구멍(24')을 구비한다. 특히 구멍(24')은 지지보유부(2')의 외곽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내주면(21')은 그 위에 파열판(4)과 스페이서(5)를 안착시키는 한편, 필요에 따라 스페이서(5)를 배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120')는 그 상부에 누출방지용 커버를 배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누출방지용 커버는 2개의 구성부재로 이루어지는바, 지지보유부(2')의 암나사산부(23')와 나사체결될 수 있게 대응하는 숫나사산부(123')를 구비한 저유용 엔클로저(12') 및 이 저유용 엔클로저(12')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누출방지용 상판(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누출방지용 상판(11)은 도 1에 도시된 노출방지용 상판과 유사한 구조와 형태로 되어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서 피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방출안전장치(120')는 지지보유부(2')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된 암나사산부(23')와 저유용 엔클로저의 나사산부(123')을 체결하여 지지보유부(2')에 저유용 엔클로저(12')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지지보유부(2')에서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부분 외부 측면상에 나사산부(숫나사산부)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부(암나사산부)는 저유용 엔클로저 하부 안쪽으로 형성하여 체결될 수 있는바, 이러한 구조배치는 저유용 엔클로저 내부에 지지보유부의 상부를 수용하게 한다.
저유용 엔클로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는 숫나산부(123')를 형성하는 반면에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되어 뻗는다. 한편, 저유용 엔클로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형상으로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소정의 깊이를 갖는 링형상으로 되어 있고 링의 측면상에 나사산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 저유용 엔클로저(12')가 지지보유부(2')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데, 저유용 엔클로저(12')의 숫나사산부(123')와 내주면(21') 사이에 찢어질 수 있는 파열판(4)와 함께 높이조절뿐만 아니라 밀봉용 스페이서(5)를 위치시킨다.
파열판(4)은 주상변압기(100)의 이상으로 그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면 팽창하게 되고 절취부(6')에 맞닿게 되면서 찢어지는데, 절취부는 저유용 엔클로저(12')의 단차부에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여 위치고정시킨다. 도 4에서는 작업의 편이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나사(참조부호 없음)를 수단으로 하여 절취부(6')를 지지보유부(2')의 단차부에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서, 파열판(4)과 절취부(6')는 숫나사산 부(123')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누출방지용 상판(11)은 저유용 엔클로저(12')의 길이연장부(122')에 연결로드를 매개로 하여 저유용 엔클로저(12')의 상단부뿐만 아니라 측면(길이연장부)과도 직접 맞닿아 있지 않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설치방법은 아래의 방법으로 제작 및 설치/교체되되, 특히 방출안전장치를 공장에서 선제작하고 기존 주상변압기 상에 설치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창출된 방법을 포함한다. 이는 기존의 주상변압기에 설치되어 있는 핸드 홀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설치 대상인 주상변압기(더욱 특별하기로는 상판커버의 핸드 홀)의 규격 정보를 입수하거나 직접 실측하는 단계(Ⅰ)와; 작업장에서 변압기에 구비된 핸드 홀의 규격대로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를 미리 제작하는 단계(Ⅱ); 활선 상태에서 핸드 홀을 덮고 있던 핸드 홀 뚜껑을 분리하는 단계(Ⅲ) 및; 미리 제작된 방출안전장치를 핸드 홀에 안착시키는 단계(Ⅳ);를 포함한다. 단계(Ⅱ)에서 사용되는 방출안전장치는 핸드 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방출안전장치는 미리 형성되어 있던 핸드 홀(130)에 안착되고 이를 덮어씌울 수 있는 형상으로 유지하고 또한 그 내부는 중공형태로 되어 있어 방출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부재들, 예컨대 상부판, 스페이서, 지지보유부 등은 링형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이미 주지된 사항으로 구체적인 언급은 배제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로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경 혹은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출안전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출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지지보유부,
4 ----- 파열판,
5 ----- 스페이서,
6,6' ----- 절취부,
7 ----- 상부판,
11 ----- 누출방지용 상판,
12,12' ----- 저유용 엔클로저,
110 ----- 상판커버,
120,120' ----- 방출안전장치,
130 ----- 핸드 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설치 대상인 주상변압기의 핸드 홀의 규격 정보를 입수하거나 직접 실측하는 단계(Ⅰ)와;
    공장에서 상기 주상변압기에 구비된 핸드 홀의 규격대로 상기 주상변압기 내부에 있는 절연유의 외부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출안전장치를 미리 제작하는 단계(Ⅱ);
    상기 미리 제작된 방출안전장치를 현장으로 이송하고, 활선 상태에서 핸드 홀을 덮고 있던 핸드 홀 뚜껑을 분리하는 단계(Ⅲ); 및
    미리 제작된 방출안전장치를 상기 핸드 홀에 올려놓고 설치하는 단계(Ⅵ);를 포함하는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안전장치는 파열판과; 수직상방으로 뻗어 있는 저유용 엔클로저; 및 상기 저유용 엔클로저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누출방지용 상판;으로 이루어진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KR1020080064701A 2008-07-04 2008-07-04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KR10089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01A KR100899417B1 (ko) 2008-07-04 2008-07-04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01A KR100899417B1 (ko) 2008-07-04 2008-07-04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417B1 true KR100899417B1 (ko) 2009-06-01

Family

ID=4098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701A KR100899417B1 (ko) 2008-07-04 2008-07-04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4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169B1 (ko) 2012-07-02 2012-11-30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KR101229732B1 (ko) 2012-07-02 2013-02-04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KR101629751B1 (ko) 2015-12-07 2016-06-13 우진전기 주식회사 압력 저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827U (ko) * 1998-08-17 2000-03-15 양우현 지상변압기용 순간압력 저감장치
KR200280159Y1 (ko) 2002-03-15 2002-07-02 동방전기공업(주)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
KR20040050293A (ko) * 2002-12-10 2004-06-16 주식회사 포스코 변압기의 유해가스 방출장치
KR100787472B1 (ko) 2007-07-11 2007-12-21 대보전력기술 주식회사 지상변압기에서의 순간압력저감장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827U (ko) * 1998-08-17 2000-03-15 양우현 지상변압기용 순간압력 저감장치
KR200280159Y1 (ko) 2002-03-15 2002-07-02 동방전기공업(주)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
KR20040050293A (ko) * 2002-12-10 2004-06-16 주식회사 포스코 변압기의 유해가스 방출장치
KR100787472B1 (ko) 2007-07-11 2007-12-21 대보전력기술 주식회사 지상변압기에서의 순간압력저감장치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169B1 (ko) 2012-07-02 2012-11-30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KR101229732B1 (ko) 2012-07-02 2013-02-04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KR101629751B1 (ko) 2015-12-07 2016-06-13 우진전기 주식회사 압력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773B1 (ko)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200443694Y1 (ko)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KR100899417B1 (ko)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CN102687307A (zh) 电化学电池
KR101797440B1 (ko) 변압기용 압력 조절장치
BR102012024145A2 (pt) Válvula à prova de explosão para recipiente de gás, e método de montagem dela
KR101149921B1 (ko)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AR034805A1 (es) Conjunto de caperuza terminal para sellar pilas electroquimicas
US6068945A (en) Battery
KR200491993Y1 (ko) 전력용 변압기의 압력조절 주유캡
US8770889B2 (en) Method of waterproofing a containment sump
KR20150004317A (ko) 버클 탭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폭발 벤트
CN104213752B (zh) 一种带线槽的围栏
CN204112852U (zh) 一种带线槽的围栏
KR101949119B1 (ko) 변압기의 방압장치
CA2897021C (en) Pressure relief mechanism for an ionization chamber used in radiation detection
KR200441829Y1 (ko) 가스 저장탱크
CN106949273A (zh) Sf6设备防爆膜的防护装置及防护机构
KR100951247B1 (ko) 변압기의 유해가스 방출장치
KR101839816B1 (ko) 압력 저감 장치
KR200173843Y1 (ko) 고온 고압용 수면 게이지의 밀봉구조
EP2606544B1 (en) New sealing device
KR101733482B1 (ko) 결로 방지용 맨홀
CN105133658A (zh) 一种具有方位指示的防盗井盖
CN219801120U (zh) 电池托盘以及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