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146B1 -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146B1
KR101852146B1 KR1020170139510A KR20170139510A KR101852146B1 KR 101852146 B1 KR101852146 B1 KR 101852146B1 KR 1020170139510 A KR1020170139510 A KR 1020170139510A KR 20170139510 A KR20170139510 A KR 20170139510A KR 101852146 B1 KR101852146 B1 KR 10185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asket
transformer
elastic spring
expl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순
김대복
Original Assignee
대영종합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종합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종합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종래기술인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의 구성요소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오링(가스켓)이 헐겁게 결합되어 있어, 밀폐력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변압기 핸드홀을 통해 분출되는 변압기의 기준 분출압력값 이하에서도 쉽게,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가 구동되는 문제점과, 변압기 내부에서 순간 방출되는 압력에 의해 탄성스프링부를 거쳐 외장캡이 들어올려지는 힘을 전달받아, 삼발이몸체를 기준으로 탄성스프링부,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 외장캡이 들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이때, 탄성스프링부 내부공간을 통해 변압기 내부공간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변압기 방전사고 및 변압기 사용불능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삼발이몸체(100),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 탄성스프링부(500), 외장캡(600)이 구성됨으로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하단면 테두리 일측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접촉되어 정위치 안착되면서 수용시키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이 형성됨으로서,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에 맞춤형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에 비해 2배~4배의 밀폐력을 가지며, 삼발이몸체의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2cm로 형성시키고,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에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게 형성시킬 수 있어, 변압기 핸드홀을 통해 분출되는 변압기의 기준 분출압력값 범위내에 맞게 분출시킬 수 있는 양질의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외장캡 사이에 탄성 스프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가 형성되어, 탄성 스프링부 내부 공간으로의 이물질 및 수분침투율을 90% 방지할 수 있고, 방압변 장치 없이도 하나의 장치에 자동복귀기능과 변압기 내부 압력 배출기능을 부가시켜, 일회용 파열판이 아닌, 복수회용 순간압력저감기능을 갖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THE AUTO RESEALING SMART SUDDEN PRESSURE RELIEF DEVICE FOR TRANSFORMER}
본 발명에서는 삼발이몸체의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2cm로 형성시키고,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에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게 형성시켜, 방압변 장치 없이도 하나의 장치에 자동복귀기능과 변압기 내부 압력 배출기능을 부가시켜, 일회용 파열판이 아닌, 복수회용 순간압력저감기능을 갖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에는 변압기의 내부고장으로 내부압력이 급격히 상승되는 경우에 변압기 내부압력을 외부로 순간적으로 방출시켜 변압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가 장착된다.
하지만, 종래기술로 자동복귀형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의 경우에 압력저감판의 중앙부위에 방압변이 돌출 형성되어, 장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압변의 배출홀이 이물질에 막혀서, 변압기 내부 압력이 방압변 배출홀을 통해 배출이 안되어, 순간압력저감장치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28181호에서는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가 제시된 바 있었다.
하지만, 이는 단지,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 일측과 접촉되는 오링(가스켓)이 단독으로, 제1 삼발이몸체의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오링(가스켓)이 헐겁게 결합되어 있어, 밀폐력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변압기 핸드홀을 통해 분출되는 변압기의 기준 분출압력값 이하에서도 쉽게,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가 구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압기 내부에서 순간 방출되는 압력에 의해 탄성스프링부를 거쳐 외장캡이 들어올려지는 힘을 전달받아, 삼발이몸체를 기준으로 탄성스프링부,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 외장캡이 들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이때, 탄성스프링부 내부공간을 통해 변압기 내부공간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변압기 방전사고 및 변압기 사용불능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특허등록공보 제10-1038773호 2. 특허등록공보 제10-1149921호 3. 특허등록공보 제10-1207169호 4. 특허등록공보 제10-1229732호 5. 특허등록공보 제10-1465690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하단면 테두리 일측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접촉되어 정위치 안착되면서 수용시키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을 형성시킬 수 있고, 삼발이몸체의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2cm로 형성시키고,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에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외장캡 사이에 탄성 스프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를 형성시킬 수 있고, 방압변 장치 없이도 하나의 장치에 자동복귀기능과 변압기 내부 압력 배출기능을 부가시켜, 일회용 파열판이 아닌, 복수회용 순간압력저감기능을 갖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는,
삼발이구조로 이루어져 중심에 원형 분출구가 형성되고, 변압기 핸드홀에 탈부착되어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삼발이몸체(100)와,
삼발이몸체의 원형 분출구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면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허용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도록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쪽으로 허용압력을 초과한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전달시키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상단면에 위치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와,
도넛형 요홈구조로 이루어져, 삼발이몸체의 내부 중앙 부위인 원형 분출구에 삽입되고, 하단면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과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를 에어싸면서형성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의 허용압력을 초과한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상단면의 요홈공간에 형성된 탄성스프링부쪽으로 전달시키고, 탄성스프링부로부터 압출력과 예하중을 전달받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과,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요홈공간과, 외장캡 사이에 위치되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쪽으로 압축력과 예하중을 전달시키는 탄성스프링부(500)와,
삼발이몸체의 상단방향에 위치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 탄성스프링부,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포함되어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볼트결합되면서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장캡(600)으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과, 상기 외장캡(600)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부 내부 공간으로의 수분 침투방지를 위하여 탄성 스프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하단면 테두리 일측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접촉되어 정위치 안착되면서 수용시키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이 형성됨으로서,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에 맞춤형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에 비해 2배~4배의 밀폐력을 가진다.
둘째, 삼발이몸체의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2cm로 형성시키고,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에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게 형성시킬 수 있어, 변압기 핸드홀을 통해 분출되는 변압기의 기준 분출압력값 범위내에 맞게 분출시킬 수 있는 양질의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외장캡 사이에 탄성 스프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가 형성되어, 탄성 스프링부 내부 공간으로의 이물질 및 수분침투율을 90%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방압변 장치 없이도 하나의 장치에 자동복귀기능과 변압기 내부 압력 배출기능을 부가시켜, 일회용 파열판이 아닌, 복수회용 순간압력저감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직경(D) 30mm~100mm로 형성된 환형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두께(t) 1.5t~5t로 형성되고, 띠폭(W)이 1mm~15mm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의 구성 중 상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상기 외장캡 사이에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을 저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압력보호판 몸체의 내부공간 상단 측면 둘레를 따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을 평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탄성스프링부가 포함되어 수용되는 요홈공간부 바닥면 일측에 탄성스프링부가 변압기 내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힘에 의해 위치가 뒤틀리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턱돌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의 삼발이몸체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의 삼발이몸체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탈부착식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변압기에서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시,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해 안전한계이상의 초과압력을 천천히 배출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고압을 전달받아 탄성스프링부에 압축력을 부가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의 외장캡 상단방향에 절연커버가 탈부착식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가 변압기에서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해 안전한계이상의 초과압력을 천천히 배출시키다가,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고압을 전달받아 탄성스프링부에 압축력을 부가시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를 형성시키고, 배출 통로를 통해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가 변압기에 설치되고,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상기 외장캡 사이에 형성된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를 통해, 탄성 스프링부 내부 공간으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삼발이몸체(100),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 탄성스프링부(500), 외장캡(6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삼발이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삼발이몸체(100)는 삼발이구조로 이루어져 중심에 원형 분출구가 형성되고, 변압기 핸드홀에 탈부착되어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0도 간격으로 3개의 취부용 볼트홀(110)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 부위에 원형 분출구(120)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원형 분출구는 3cm~7cm의 직경(D), 2cm~6cm의 높이(h1)를 갖고, 원형 분출구의 상단면에는 요홈용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는 접촉띠(121)가 1mm~15mm의 폭(W)을 가지면 형성된다.
그리고, 원형 분출구 측면 둘레를 따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의 높이(h2)를 0.5cm~1.5cm로 높여주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높이조절 띠(1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삼발이몸체는 압력폭발 조용 가스켓 높이조절 띠 상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가 안착되고, 원형 분출구를 기준으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정위치되면서 안착되도록 안내지지하면서, 평상시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에 의해 차폐되다가,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생성되는 고압의 힘을 원형분출구를 통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으로 전달시키는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이 포함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삼발이몸체는 원형 분출구의 외부방향 둘레 일측에 환형상의 단턱이 형성되고, 그 단턱 상에 외장캡의 캡 고정볼트와 체결되는 캡 이음볼트가 복수개로 돌출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캡 이음볼트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은 삼발이몸체의 원형 분출구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면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허용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도록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쪽으로 허용압력을 초과한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미끄럼방지, 밀폐성, 팽창성, 내구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합성재질로 이루어져,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허용압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D) 30mm~100mm로 형성된 환형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두께(t) 1.5t~5t로 형성되고, 띠폭(W)이 1mm~15mm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2cm로 형성된다.
여기서,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이하에서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헐겁게 결합되어, 밀폐력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변압기 핸드홀을 통해 분출되는 변압기의 기준 분출압력값 범위 이하에서도 쉽게,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가 구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2cm이상에서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하단면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밀착 수용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을 꽉 붙잡고 있어, 기준 분출압력값 범위가 아닌 기준 분출압력값 범위 이상에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를 구동시키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2cm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처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2cm로 형성되고,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탄성스프링을 통해 약 50ms동안 분출하는 허용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도록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쪽으로 허용압력을 초과한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전달시킴으로서, 변압기 핸드홀을 통해 분출되는 변압기의 기준 분출압력값 범위내에 맞게 분출시킬 수 있는 양질의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은 미끄럼방지, 밀폐성, 팽창성, 내구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합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은 용매 74 ~ 85 wt%와, 실리콘 고무의 비닐 말단 폴리(디메칠 실록산)(vinyl terminated poly(dimethyl siloxane)) 14.5 ~ 25.5 wt%와, 경화제의 디큐밀 페록사이드(dicumylperoxide: DCP) 0.01 ~ 0.5 wt%를 혼합한 후 5 ~ 7 시간 동안 교반하여 실리콘 용액을 조성하고,
산처리된 탄소섬유를 톨루엔에 침지시킨 후, 탄소섬유가 침지된 상기 톨루엔에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3-(triethoxysilyl)propyl isocyanate)와 다이부틸틴 다이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를 90 ~ 95 : 1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하여 75 ~ 85 ℃에서 3 ~ 5 시간 동안 반응시켜 표면처리한 탄소섬유를 제조한 후,
상기 실리콘 용액 60 ~ 95 wt%에 상기 표면처리한 탄소섬유 5 ~ 40 wt%를 분산시켜 실리콘/탄소섬유 복합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실리콘/탄소섬유 복합혼합물을 165 ~ 180℃, 10 ~ 20 MPa의 압력 조건에서 5 ~ 15 분 동안 가압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리콘 고무는 다른 유기고무 탄성체들과 비교하여 높은 열 안정성, 낮은 표면장력의 특징을 갖는 반면 충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리콘 고무는 기계적 물성이 매우 약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은 충진제와 실리콘 고무간의 상호 작용에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실리콘 고무와 충진제 간의 화학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 물리적 성질의 향상은 크게 일어나게 된다.
상기 탄소섬유는 표면처리를 통해 실리콘 고무와의 화학적 결합을 이루도록 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의 높은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상기 실리콘 용액의 구체적인 성분 배합예로는,
톨루엔 85 wt%와, 실리콘 고무의 비닐 말단 폴리(디메칠 실록산)(vinyl terminated poly(dimethyl siloxane)) 14.5 wt%와, 경화제의 디큐밀 페록사이드(dicumylperoxide: DCP) 0.5 wt%의 혼합으로 조성한다.
상기 실리콘/탄소섬유 복합혼합물을 조성하는 실리콘 용액의 양이 60 wt%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떨어지고 또한 팽창성 등의 일부 물리적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9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물리·화학적 특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60 ~ 95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처리한 탄소섬유의 사용량이 5 wt% 미만인 경우에는 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4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표면처리한 탄소섬유의 사용량은 5 ~ 4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탄소섬유 복합혼합물의 구체적인 성분 배합예로는, 실리콘 용액 80 wt%과 표면처리한 탄소섬유 20 wt%의 혼합으로 조성한다.
상기 실리콘/탄소섬유 복합혼합물은 165 ~ 180℃, 10 ~ 20 MPa의 압력, 5 ~ 15 분의 시간 조건 하에서 가압성형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180℃, 20 MPa의 압력조건에서 15분간 가압하여 성형함으로써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상단면에 위치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클램프로 이루어져,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은 도넛형 요홈구조로 이루어져, 삼발이몸체의 내부 중앙 부위인 원형 분출구에 삽입되고, 하단면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과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를 에어싸면서 형성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의 허용압력을 초과한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상단면의 요홈공간에 형성된 탄성스프링부쪽으로 전달시키고, 탄성스프링부로부터 압출력과 예하중을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넛형 요홈구조의 압력보호판 몸체(410)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압력보호판 몸체의 내부공간 상단 측면 둘레를 따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42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이 움푹 함몰된 구조로 형성됨으로서, 밑단에 결합되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과,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를 맞춤형으로 포함하여 밀폐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탄성스프링부가 포함되어 수용되는 요홈공간부(430) 바닥면 일측에 탄성스프링부가 변압기 내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힘에 의해 위치가 뒤틀리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턱돌기(431)가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에서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은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삼발이몸체의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해 안전한계이상의 초과압력을 천천히 배출시키고, 안전한계 이하로 압력이 내려가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틈사이에서 형성된 배출통로가 닫혀지는 원리로 구동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안전한계 또는 규정한계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의 기준동작압력과, 기준복귀압력을 각각 말한다.
이는 변압기 크기와 용량,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상기 안전한계이상의 초과압력을 천천히 배출시키는 것은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에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허용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게 형성시킬 수 있어, 변압기 핸드홀을 통해 분출되는 변압기의 기준 분출압력값 범위내에 맞게,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해 변압기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배출속도를 말한다.
일예로, 상기 배출속도는 변압기의 길이, 직경, 압력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Q=AV, V=Q/A를 통해 수백m/s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은 상단 표면상에 탄성스프링부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하단부에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이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서, 탄성스프링부의 200N이상의 예하중에 의해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을 차폐시킨다.
여기서, 예하중은 200N이상의 힘을 미리 압축해놓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에서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해 안전한계이상의 초과압력을 천천히 배출시키다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고압을 전달받아 탄성스프링부에 압축력을 부가시킨다.
여기서, 탄성스프링부에 압축력을 부가시킨다는 것은 탄성스프링부를 수축시킨다는 것으로서,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탄성스프링부의 탄성계수 한계치를 벗어났을 경우에,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미는 힘이 탄성스프링부에 수축되는 압축력을 부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탄성스프링부에 예하중보다 큰 압축력이 부가되면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을 포함하면서 밀폐시키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탄성스프링부의 수축으로 상단방향으로 밀어올려지면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배출 통로를 형성시킨다.
이때, 배출 통로를 통해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킨 후, 변압기 내부에 정상압력내에 되었을 때, 탄성스프링부의 예하중을 전달받아 자동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은 변압기 내부의 고장에 의한 급작스런 순간압력이 발생되어, 압력 상승 즉시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탄성스프링부를 수축시키며, 가스압력의 방출을 위해 탈출구인 배출 통로를 형성시켜주며 압력을 순간적으로 저감시키고, 압력이 정상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탄성스프링부의 예하중에 의해 즉시 닫히는 구조로 동작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스프링부(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탄성스프링부(500)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요홈공간과, 외장캡 사이에 위치되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쪽으로 압축력과 예하중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평상시에 예하중에 의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을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에 밀폐시키다가 변압기 고압발생시, 고압에 의한 압축력을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으로부터 전달받아 수축되고, 정상압력내에 되었을 때, 예하중에 의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을 자동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스프링부는 1차로, 변압기 내부의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값에 따른 스프링상수와 전단탄성계수를 고려해서 설계하고, 2차로,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순간압력값에 따른탄성스프링부의 탄성계수 한계치를 벗어났을 때의 스프링상수와 전단탄성계수를 모두 고려해서 설계한다.
먼저, 외장캡 내부 하단과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 사이에서 변압기 내부의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값 및,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순간압력값에 의해 압력저감판을 통해 전달되는 비틀림 모멘트(Mt)를 받고 있을 경우에, 비틀림 각의 크기(Φ)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1
여기서, G는 외장캡 내부 하단과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 사이의 전단탄성계수이고, IP는 극단면이차모멘트를 나타낸다.
이어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부의 경우 축방향 압축하중에 대해서 소선에서는 전단하중과 비틀림 하중을 대부분 받고 있으므로, 전단하중을 무시할 경우 축하중 P와 중심으로부터 평균반경의 길이 R, 소선의 직경 d, 그리고 스프링 권수가 n인 경우에, 모멘트(Mt), 탄성스프링의 길이(L), 극단면이차모멘트(IP)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2
상기 수학식 2를 수학식 1에 대입한 후, 탄성스프링 단면에서의 비틀림 각 Φ를 나타내면,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3
이때, 처짐량(=변형률)은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4
의 관계를 가지므로,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5
따라서, 탄성스프링의 복원영역(=예하중)과 탄성영역(=압축력)에서의 스프링 상수(k)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6
이때, 직교 이방성 성질을 가지고 있는 외장캡 내부 하단과 압력저감판 사이에서 변압기 내부의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값 및,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순간압력값 에 따른 탄성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7
)와 전단탄성계수(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8
)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105665544-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17105665544-pat00010
를 나타낸다.
즉, 변압기 내부의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값 및,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순간압력값 에 따른 탄성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Figure 112017105665544-pat00011
)는 외장캡 내부 하단과 요홈형 압력저감판 사이의 전단탄성계수(
Figure 112017105665544-pat00012
)에 비례하고, 소선의 직경에 대해서는 네제곱의 크기에 비례하며, 스프링의 권수와 외경의 세제곱에는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기본모델로 하여, 변압기 내부의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값 및,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순간압력값 을 미리 측정해서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이에 대응되는 스프링 상수(
Figure 112017105665544-pat00013
)와 전단탄성계수(
Figure 112017105665544-pat00014
)를 설정시켜 설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스프링부는 금형용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일예로, 경소하중용으로 외경이 30mm이고, 내경이 40mm, 자유장길이(25~200mm) 중 40mm, 스프링상수(0.72~5.80) 중 3.60 kgl/mm, 30만회 시험시, 20.0 변형량(mm), 50만회 시험시, 18.0 변형량(mm), 100만회 시험시, 16.0 변형량(mm)을 기준으로 다음의 표 1과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탄성스프링부가 외경이 30mm이고, 내경이 40mm, 자유장길이(25~200mm) 중 40mm, 스프링상수(0.72~5.80) 중 3.60 kgl/mm으로 형성됨으로서, 200N이상의 예하중에 맞게 설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에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게 형성시켜, 방압변 장치 없이도 하나의 장치에 자동복귀기능과 변압기 내부 압력 배출기능을 부가시킬 수가 있다.
외경
(mm)
내경
(mm)
자유장
(mm)
스프링상수
(kgl/mm)
30만(0.3million)회 시험 50만(0.5million)회 시험 100만(1million)
시험
변형량(mm) 하중(kgl) 변형량(mm) 중(kgl) 변형량(mm) 중(kgl)






30












40






25 5.80 12.5





72






11.2





65






10.0





58






30 4.83 15.0 .13.5 12.0
35 4.13 17.5 15.7 14.0
40 3.60 20.0 18.0 16.0
45 3.21 22.5 20.2 18.0
50 2.88 25.0 22.5 20.0
55 2.63 27.5 24.7 22.0
60 2.40 30.0 27.0 24.0
65 2.22 32.5 29.2 26.0
70 2.05 35.0 31.5 28.0
75 1.93 37.5 33.7 30.0
80 1.80 40.0 36.0 32.0
90 1.60 45.0 40.5 36.0
100 1.44 50.0 45.0 40.0
125 1.15 62.5 56.2 50.0
150 0.96 75.0 67.5 60.0
175 0.82 87.5 78.7 70.0
200 0.72 100.0 90.0 80.0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캡(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외장캡(600)은 삼발이몸체의 상단방향에 위치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 탄성스프링부,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포함되어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볼트결합되면서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통드럼, 삼각형상, 사각형상, 오각형상, 육각형상, 팔각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부 하단 표면에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1:1로 맞물려 밀폐되면서 설치가 되도록 하기 위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캡의 상단 표면에 도넛형상이 돌출 형성되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내부 하단 표면을 따라 밀폐되면서 설치되어 구성되고, 외장캡의 하단 중앙 부위에 안착홀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부의 상단부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캡의 상단 표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캡고정볼트 삽입홀(6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캡고정볼트 삽입홀(610)에 캡고정볼트(62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는 삼발이몸체(100),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 탄성스프링부(500), 외장캡(600)에다가, 절연커버(7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절연커버(7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캡의 상단방향에 위치되어, 외장캡, 삼발이몸체를 모두 포함하여 수용시키는 내부공간을 형성시켜,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하면서, 변압기 내부에서 순간 방출되는 고압력에 의해 탄성스프링부를 거쳐 외장캡이 들어올려지는 힘을 전달받아, 외장캡으로부터 이탈되어 순간압력저감장치가 작동되었음을 알림과 동시에 변압기가 고장으로 소손되었다는 표시역할을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발이몸체(100)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발이몸체(100)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의 구성 중 상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상기 외장캡 사이에 형성된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650)를 통해, 탄성 스프링부 내부 공간으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상기 외장캡 사이에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650)가 형성됨으로서, 탄성 스프링부 내부 공간으로의 이물질 및 수분침투율을 90%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 핸드홀에 삼발이몸체를 볼트로 결합시켜 설치한다.
다음으로, 탄성스프링부의 예하중에 의해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을 차폐시킨다.
다음으로, 변압기에서 평상시 운전으로 인한 정상상태의 느린 압력상승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해 안전한계이상의 초과압력을 천천히 배출시킨다.
이때,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에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약 50ms동안 분출하는 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게 한다. 이로 인해, 변압기 핸드홀을 통해 분출되는 변압기의 기준 분출압력값 범위내에 맞게 분출시킬 수 있는 양질의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가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다음으로,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고압을 전달받아 탄성스프링부에 압축력을 부가시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과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사이에서 형성된 배출 통로를 형성시키고, 배출 통로를 통해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킨다.
이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상기 외장캡 사이에 형성된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를 통해, 탄성 스프링부 내부 공간으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시킨다.
끝으로, 변압기 내부에 정상압력 내에 되었을 때,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탄성스프링부의 예하중을 전달받아 자동복귀시킨다.
여기서, 자동복귀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 상단부위를 포함하면서 씌워진 구조로 이루어진 위치에 복귀시키는 것을 말한다.
1 :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100 : 삼발이몸체 200 :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300 :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 400 :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
500 : 탄성스프링부 600 : 외장캡

Claims (7)

  1. 삼발이구조로 이루어져 중심에 원형 분출구가 형성되고, 변압기 핸드홀에 탈부착되어 각 기기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삼발이몸체(100)와,
    삼발이몸체의 원형 분출구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과 접촉되면서, 원형 분출구를 통해 변압기의 압력이 분출할 경우에 50ms동안 분출하는 허용압력을 모았다가 일순간에 터지도록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쪽으로 허용압력을 초과한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전달시키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상단면에 위치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300)와,
    도넛형 요홈구조로 이루어져, 삼발이몸체의 내부 중앙 부위인 원형 분출구에 삽입되고, 하단면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과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를 에어싸면서형성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의 허용압력을 초과한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상단면의 요홈공간에 형성된 탄성스프링부쪽으로 전달시키고, 탄성스프링부로부터 압출력과 예하중을 전달받는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과,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의 요홈공간과, 외장캡 사이에 위치되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쪽으로 압축력과 예하중을 전달시키는 탄성스프링부(500)와,
    삼발이몸체의 상단방향에 위치되어,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 탄성스프링부,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포함되어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볼트결합되면서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장캡(6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몸체(100)는
    120도 간격으로 3개의 취부용 볼트홀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 부위에 원형 분출구가 돌출형성되며, 원형 분출구 측면 둘레를 따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의 높이를 0.5cm~1.5cm로 높여주는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높이조절 띠가 형성되고, 압력폭발 조용 가스켓 높이조절 띠 상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가스켓 견지용 클램프가 안착되고, 원형 분출구를 기준으로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이 정위치되면서 안착되도록 안내지지하면서, 평상시에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에 의해 차폐되다가, 변압기 내부의 고압발생시 생성되는 고압의 힘을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을 통해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으로 전달시키는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끝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분출구의 테두리형 상부 끝단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사이의 간격차가 0.9cm~2c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은
    도넛형 요홈구조의 압력보호판 몸체(410)로 이루어지고, 저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압력보호판 몸체의 내부공간 상단 측면 둘레를 따라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 수용홈(420)이 형성되며, 평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탄성스프링부가 포함되어 수용되는 요홈공간부(430)가 형성되고, 요홈공간부 바닥면 일측에 탄성스프링부가 변압기 내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힘에 의해 위치가 뒤틀리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턱돌기(431)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넛요홈형 압력보호판(400)과, 상기 외장캡(600)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부 내부 공간으로의 수분 침투방지를 위하여 탄성 스프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수분 침투 방지용 띠벽체(6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폭발 조정용 가스켓(200)은
    용매 74 ~ 85 wt%와, 실리콘 고무의 비닐 말단 폴리(디메칠 실록산)(vinyl terminated poly(dimethyl siloxane)) 14.5 ~ 25.5 wt%와, 경화제의 디큐밀 페록사이드(dicumylperoxide: DCP) 0.01 ~ 0.5 wt%를 혼합한 후 5 ~ 7 시간 동안 교반하여 실리콘 용액을 조성하고,
    산처리된 탄소섬유를 톨루엔에 침지시킨 후, 상기 톨루엔에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3-(triethoxysilyl)propyl isocyanate)와 다이부틸틴 다이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를 90 ~ 95 : 1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하여 75 ~ 85 ℃에서 3 ~ 5 시간 동안 반응시켜 표면처리한 탄소섬유를 제조한 후,
    상기 실리콘 용액 60 ~ 95 wt%에 상기 표면처리한 탄소섬유 5 ~ 40 wt%를 분산시켜 실리콘/탄소섬유 복합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실리콘/탄소섬유 복합혼합물을 165 ~ 180℃, 10 ~ 20 MPa의 압력 조건에서 5 ~ 15 분 동안 가압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7. 삭제
KR1020170139510A 2017-10-25 2017-10-25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KR10185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510A KR101852146B1 (ko) 2017-10-25 2017-10-25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510A KR101852146B1 (ko) 2017-10-25 2017-10-25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146B1 true KR101852146B1 (ko) 2018-04-25

Family

ID=6208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510A KR101852146B1 (ko) 2017-10-25 2017-10-25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02B1 (ko) * 2020-12-22 2021-03-05 대영종합산기 주식회사 오링을 장착한 순간압력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압기 다중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24051B1 (ko) * 2022-12-27 2023-04-21 선광테크 주식회사 배전선로 주상변압기 순간 압력 저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73B1 (ko) 2010-11-19 2011-06-03 대영종합산기(주)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149921B1 (ko) 2010-11-19 2012-05-30 대영종합산기(주)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207169B1 (ko) 2012-07-02 2012-11-30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73B1 (ko) 2010-11-19 2011-06-03 대영종합산기(주)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149921B1 (ko) 2010-11-19 2012-05-30 대영종합산기(주)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207169B1 (ko) 2012-07-02 2012-11-30 임기홍 변압기용 순간압력방출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02B1 (ko) * 2020-12-22 2021-03-05 대영종합산기 주식회사 오링을 장착한 순간압력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압기 다중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24051B1 (ko) * 2022-12-27 2023-04-21 선광테크 주식회사 배전선로 주상변압기 순간 압력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146B1 (ko) 수분침투 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CN101984763B (zh) 端毂及复合压力容器
US5694969A (en) Pressure relief tire valve
WO1992004556A1 (en) Resilient mount
US7392694B2 (en) Tire condition moni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787528A (zh) 具有过压防护机构的壳体
US5167340A (en) Fuel cap with a molded seal
US20170016195A1 (en) Pneumatic Fender and Mouth Piece Metal for Pneumatic Fender
WO1988007939A1 (en) Pneumatic safety tyres
US6352115B1 (en) Device for fitting an oil pipe stiffening sleeve on a support structure
CA1092509A (en) Tubing hanger for temperature variations and extremes
WO2009111416A2 (en) Variable dispersion valve for impact dispersal system
CA2033513A1 (en) Overpressure relief safety plug for pressure gauges
KR101628181B1 (ko) 무방압변형 자동복귀식 스마트 순간압력저감장치
US6315147B1 (en) Seal cap for pressurized gas containers
US5988245A (en) Vehicle wheel assemblies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excessive tire pressure
US6209577B1 (en) Modulating action non-flowing pilot operated relief valve
KR102017718B1 (ko) 틸팅형 레이더 마스트
EP2819855A1 (en) Ballistic resilient run-flat tire, kit and method thereof
EP3121826B1 (de) Aufnahmevorrichtung zur aufnahme von isolierflüssigkeit
US4315575A (en) Vacuum support for burst protection device
US20160121681A1 (en) Shaped rubber flexible member
CN113738908A (zh) 泄压阀
GB1578750A (en) Springs
EP0350289A2 (en) Explosion preventing porcelain hollow ins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