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620B1 -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620B1
KR101037620B1 KR1020100041902A KR20100041902A KR101037620B1 KR 101037620 B1 KR101037620 B1 KR 101037620B1 KR 1020100041902 A KR1020100041902 A KR 1020100041902A KR 20100041902 A KR20100041902 A KR 20100041902A KR 101037620 B1 KR101037620 B1 KR 10103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pipe
waterway
soil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주
김흥섭
류동규
Original Assignee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신강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0004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파기한 굴착부의 바닥에 기초 자갈층을 포설하고 그 위에 수로관을 거치하여 상기 수로관이 수로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시공된 수로의 양측벽이 변형되거나 여재층이 수로 하부 토양으로 침하 매몰되는 일이 없게 되어 여재의 기능과 강우유출수의 여과 처리수에 대한 운송 기능이 장기간 유지되며, 투수성 토양이 수로관 내에 충전되는 것이므로 투수성 토양이 유실되지 않고 제 위치에 보전되고 그 위에 식재된 초목류가 제대로 활착하게 되어 식생수로로서의 가능을 충족시키게 되고, 수로관의 바닥에 절개부를 형성한 것이므로 별도의 암거용 유공관을 시공하지 않고서도 침투 도랑을 구성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원가가 절감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또는 노견을 따라 선형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식생수로를 조성할 지역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ㄷ'자형 또는 'ㄹ'자형 등으로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생수로의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vegetated channels}
본 발명은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된 수로의 양측벽이 변형되거나 여재층이 바닥으로 침하 매몰되는 일이 없게 되어 여재의 기능과 강우유출수의 여과 처리수에 대한 운송 기능이 향상되며, 투수성 토양이 유실되지 않고 제 위치에 보전되고 그 위에 식재된 초목류가 제대로 활착하게 되어 식생수로로서의 가능을 충족시키게 되고, 별도의 암거용 유공관을 시공하지 않고서도 침투도랑을 구성할 있도록 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생수로는 식생을 갖춘 개수로로서 배수구역으로부터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포착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운송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수생태를 보전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식생수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및 노견(R) 측부에 백호(backhoe)로 수로부(1)를 굴착하고, 상기 수로부(1) 바닥에 자갈로 된 여재층(2)을 포설하며, 상기 여재층(2) 위에 투수성 토양(3)을 충전하고, 상기 수로부(1)의 양측과 도로 및 노견(R) 사이에 사면(4)을 조성하며, 상기 투수성 토양(3과 사면(4)에 초목류(5)를 식재하는 단계를 거쳐 시공된다.
또한 상기 여재층(2)을 시공하기 전에 수로부(1) 바닥에 암거용 유공관(6)을 거치하여 여재층(2)을 통해 여과된 여과처리수가 암거용 유공관(6)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 WL1은 수질처리용량을 보인 수위 표시이고, WL2는 하천침식조절용량을 보인 수위 표시이며, WL3은 홍수조절용량을 보인 수위 표시이다.
그러나 종래의 식생수로는 수로부(1)가 기존의 토양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굴착된 수로부(1)의 양측 토양벽이 시공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여재층(2)이 수로부(1)의 바닥 토양으로 침하 매몰되면서 여재(2)의 기능과 강우유출수의 여과 처리수의 운송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식생수로는 수로부(1)에 충전된 투수성 토양(3)이 수로부(1)를 구성하는 기존 토양벽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등 유실되어 제 위치에서 보전되지 않게 되므로 그 위에 식재된 초목류(5)가 제대로 활착하지 못하게 되어 식생수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식생수로는 암거 배수를 위하여 별도의 암거용 유공관을 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시공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된 수로의 양측벽이 변형되거나 여재층이 바닥으로 침하 매몰되는 일이 없게 되어 여재의 기능과 강우유출수의 여과 처리수에 대한 운송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목류가 식재되는 투수성 토양이 유실되지 않고 제 위치에 보전되고 그 위에 식재된 초목류가 제대로 활착하게 되어 식생수로로서의 가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암거용 유공관을 시공하지 않고서도 침투도랑을 구성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원가가 절감되도록 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및 노견의 측부를 따라 선형의 식생수로를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식생수로를 조성할 지역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제한되어 있을 경우, 'ㄷ'자형이나 'ㄹ'자형 등의 식생수로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 및 노견 측부의 식생수로를 시공할 구역에 수로관의 용적보다 크게 터파기를 단계; 상기 터파기한 굴착부 바닥에 기초 자갈층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 자갈층 위에 수로관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수로관 내에 여재층과 투수성 토양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굴착부와 수로관 사이에 토양을 되메우는 단계; 상기 수로관의 양측 상단과 도로 및 노견 사이에 사면을 조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수성 토양과 사면에 초목을 식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로관을 거치하는 단계에서는 평행한 벽체를 가지는 선형 수로관을 사용하여 선형으로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수로관을 거치하는 단계에서는 평행한 벽체를 가지는 수로관과, 'ㄱ'자형 벽체를 가지는 코너 수로관을 사용하여 'ㄷ'자형으로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수로관 거치 단계에서는 그 바닥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수로관을 거치하여 상기 절개부가 침투도랑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로관의 바닥 절개부는 수로관의 바닥 일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로관의 바닥 절개부는 수로관의 바닥 전체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파기한 굴착부의 바닥에 기초 자갈층을 포설하고 그 위에 수로관을 거치하여 상기 수로관이 수로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시공된 수로의 양측벽이 변형되거나 여재층이 수로 하부 토양으로 침하 매몰되는 일이 없게 되어 여재의 기능과 강우유출수의 여과 처리수에 대한 운송 기능이 장기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투수성 토양이 수로관 내에 충전되는 것이므로 투수성 토양이 유실되지 않고 제 위치에 보전되고 그 위에 식재된 초목류가 제대로 활착하게 되어 식생수로로서의 가능을 충족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로관의 바닥에 절개부를 형성한 것이므로 별도의 암거용 유공관을 시공하지 않고서도 침투 도랑을 구성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또는 노견을 따라 선형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식생수로를 조성할 지역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ㄷ'자형 또는 'ㄹ'자형 등으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공정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식생수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로관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공정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식생수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로관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식생수로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수로관의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0은 시공된 식생수로의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수로관의 사시도,
도 13은 종래 식생수로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종단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는 도로 및 노견(R)의 측부에 식생수로를 시공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에서는 수로관(30)이 일직선상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굽은 길이나 교차로 등 도로 및 노견(R)의 형태에 따라 그 설치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은,
터파기 단계와, 기초 자갈층 포설 단계와, 수로관 거치 단계와, 여재층과 투수성 토양 충전 단계와, 토양 되메움 단계와, 사면 조성 단계 및, 초목류 식재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파기 단계에서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및 노견(R)의 측부에 식생수로가 시공될 구역을 백호(backhoe)를 사용하여 굴착부(10)를 굴착한다.
상기 굴착부(10)는 후술하는 수로관(30)의 용적보다 크게 시공한다. 즉 상기 굴착부(10)는 수로관(30)의 폭보다 넓고 높이보다 깊게 시공한다.
상기 기초 자갈층 포설 단계에서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부(10)에 자갈을 투입하고 다짐 과정을 통해 후술하는 수로관(30)이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평탄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수로관 거치 단계에서는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착부(10)에 포설된 기초 자갈층(20) 위에 상면이 개방된 U자형 수로관(30)을 거치한다(도 3 참조).
이때 굴착부(10)가 수로관(30)의 용적보다 크게 굴착되어 있으므로 굴착부(10)와 수로관(30) 사이에는 공간부(S)가 형성된다.
상기 여재층과 투수성 토양 충전 단계에서는 도 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자갈로 된 여재층(41)을 충전하고 그 위에 모래로 된 여재층(42)을 충전한 다음 그 위에 투수성 토양(50)을 충전한다.
이때 여재층(41)(42)은 상기 수로관(30)의 바닥 위에 충전되는 것으로 여재층(41)(42)이 수로 하부 토양으로 침하 매몰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여재의 기능과 강우유출수의 여과 처리수에 대한 운송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투수성 토양(50)은 도로 및 노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충전한다.
상기 수로관(30)에 충전된 투수성 토양(50)은 수로관(30)에 의해 주변의 토양과 차단되고 보호되므로 투수성 토양(50)에 주변 토양으로 흘러들어가는 등 유실되지 않고 충전된 제 위치로 그대로 보전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초목류 식재 단계에서 식재된 초목류가 쉽게 고사하지 않고 활착하게 되어 식생수로로서의 가능을 충족시키게 된다.
상기 토양 되메움 단계에서는 도 1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착부(10)와 수로관(30) 사이의 공간부(S)에 되메움 토양(60)을 되메운다.
이때 되메움 토양(40)은 터파기 단계에서 굴착해낸 토양을 사용한다.
상기 사면 조성 단계에서는 도 1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및 노견(R)과 수로관(30)의 양 측벽 사이에 사면(70)을 조성한다.
이때 사면(70)은 상기 터파기 단계에서 굴착해낸 토양을 북돋우고 다지는 것에 의해 조성한다.
상기 초목류 식재 단계에서는 도 1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수성 토양(50)과 사면(70)에 초목류(80)를 식재한다. 여기서 초본류나 목본류는 수로의 특성을 살려 수생식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식생수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로관 거치 단계에서 도 4의 (c) 내지 (g)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절개부(31)가 형성된 수로관(30)을 거치함으로써 상기 절개부(31)가 침투도랑을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즉, 침투도랑을 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암거용 유공관을 시공하지 않고 수로관(30) 자체로서 침투 도랑을 구성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원가가 절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에서 수로관 거치 단계를 제외한 터파기 단계, 기초 자갈층 포설 단계와, 여재층과 투수성 토양 충전 단계와, 토양 되메움 단계와, 사면 조성 단계와, 초목류 식재 단계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는 식생수로를 조성할 지역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제한되어 있을 경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관(30)을 평면에서 볼 때 'ㄷ'자형으로 설치한 것이며, 구체적인 시공방법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로관(30)을 'ㄷ'자형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평행한 벽체를 가지는 선형 수로관(30A)과 'ㄱ'자형 벽체를 가지는 코너 수로관(30B)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바닥에 절개부가 없는 수로관을 보인 것이고, 도 9는 바닥에 절개부(31)가 있는 수로관을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식생수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식생수로를 조성할 지역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제한되어 있을 경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수로의 시공방법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관(30)을 'ㄹ'자형으로 설치한 것이며, 구체적인 시공과정은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로관(30)을 'ㄹ'자형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평행한 벽체를 가지는 선형 수로관(30A)과 'ㄱ'자형 벽체를 가지는 코너 수로관(30B)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바닥에 절개부가 없는 수로관을 보인 것이고, 도 12는 바닥에 절개부(31)가 있는 수로관을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식생수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선형 식생수로와 'ㄷ'자형 식생수로 및 'ㄹ'자형 식생수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S'자형이나 'T'자형, 'L'자형 등 식생수로를 조성할 지역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해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 안에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10 : 굴착부 20 : 기초 자갈층
30 : 수로관 31 : 바닥 절개부
41,42 : 여재층 50 : 투수성 토양
60 : 되메움 토양 70 : 사면
80 : 초목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도로 및 노견(R) 측부의 식생수로를 시공할 구역에 수로관의 용적보다 크게 터파기를 단계;
    상기 터파기한 굴착부(10) 바닥에 기초 자갈층(20)을 포설하는 단계;
    바닥면에 침투도랑을 구성하는 절개부(31)가 형성된 수로관(30)을 상기 기초 자갈층(20) 위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수로관(30) 내에 여재층(41)(42)과 투수성 토양(50)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굴착부(10)와 수로관(30) 사이에 토양(60)을 되메우는 단계;
    상기 수로관(30)의 양측 상단과 도로 및 노견(R) 사이에 사면(70)을 조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수성 토양(60)과 사면(70)에 초목류(80)를 식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30)의 바닥 절개부(31)는 수로관의 바닥 일부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의 바닥 절개부는 수로관의 바닥 전체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KR1020100041902A 2010-05-04 2010-05-04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KR10103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902A KR101037620B1 (ko) 2010-05-04 2010-05-04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902A KR101037620B1 (ko) 2010-05-04 2010-05-04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99A Division KR101150915B1 (ko) 2011-02-08 2011-02-08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620B1 true KR101037620B1 (ko) 2011-05-27

Family

ID=4436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902A KR101037620B1 (ko) 2010-05-04 2010-05-04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6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41B1 (ko) * 2011-06-28 2012-01-31 유한회사 태일토건 저류형 농수로의 시공방법
KR101656668B1 (ko)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CN106702981A (zh) * 2016-12-22 2017-05-2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灌区排水系统的参数生成方法及装置
KR20190116646A (ko) 2018-04-05 2019-10-15 손준표 수로관이 부설되는 수로 바닥면의 평탄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7912A (en) * 1987-07-14 1989-01-20 Fuji Shoji Construction work method of large concrete block
JP2007138401A (ja) 2005-11-15 2007-06-07 Earth Shift:Kk 河川用護岸壁及び河川用護岸壁の施工方法
KR100879402B1 (ko) 2008-07-29 2009-01-21 신강하이텍(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 확장형 주차장 포장구조
KR100904081B1 (ko) * 2008-03-03 2009-06-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7912A (en) * 1987-07-14 1989-01-20 Fuji Shoji Construction work method of large concrete block
JP2007138401A (ja) 2005-11-15 2007-06-07 Earth Shift:Kk 河川用護岸壁及び河川用護岸壁の施工方法
KR100904081B1 (ko) * 2008-03-03 2009-06-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879402B1 (ko) 2008-07-29 2009-01-21 신강하이텍(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 확장형 주차장 포장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41B1 (ko) * 2011-06-28 2012-01-31 유한회사 태일토건 저류형 농수로의 시공방법
KR101656668B1 (ko)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CN106702981A (zh) * 2016-12-22 2017-05-2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灌区排水系统的参数生成方法及装置
KR20190116646A (ko) 2018-04-05 2019-10-15 손준표 수로관이 부설되는 수로 바닥면의 평탄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18534B (zh)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KR101037620B1 (ko)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27810B1 (ko)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1150915B1 (ko)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JP2004052269A (ja) マンホールおよび下水管路
JP7343188B2 (ja) 谷地形用排水構造および暗渠ブロック
JP2662823B2 (ja) 雨水浸透構造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189588Y1 (ko) 조립식 옹벽 배수판 및 배수공법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Cavanagh et al. Remedial works to ornamental ponds within a historic park in the UK
CN215563144U (zh) 一种道路排水结构
CN212247734U (zh) 一种生态透水性园路加宽结构
CN218508147U (zh) 老路基的拓宽路基结构
CN213625484U (zh) 采用生态孔洞法增强土壤联系的间断式生态渠
JP3182036U (ja) 浸透側溝
JP2007239424A (ja) 越流浸透兼用排水ブロック工
JPS60203719A (ja) 流水溝の施工方法
JP3154026U (ja) 越流浸透兼用排水ブロック工
JP6763936B2 (ja) 水路形成用ブロックおよび水路構造
Reddy Enhanced aquifer recharge
Gardens Rain Gard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