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649B1 -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649B1
KR101036649B1 KR1020080095314A KR20080095314A KR101036649B1 KR 101036649 B1 KR101036649 B1 KR 101036649B1 KR 1020080095314 A KR1020080095314 A KR 1020080095314A KR 20080095314 A KR20080095314 A KR 20080095314A KR 101036649 B1 KR101036649 B1 KR 10103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unit
power
attachment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927A (ko
Inventor
강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9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6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4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utes (AREA)

Abstract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원료탄을 공급시에 댐퍼의 회전 각도 조절과 댐퍼의 플레이트에 부착된 부착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는 슈트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되는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원료탄의 공급 경로를 구분하며, 외력의 전달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댐퍼, 외력의 전달에 따라 구동되어 댐퍼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제거부, 댐퍼 및 제거부에 공급되는 외력을 발생하는 동력부, 동력부와 댐퍼 및 동력부와 제거부 사이에서 해당되는 동력 전달 경로에 개재되며 동력부의 동력을 댐퍼 및 제거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댐퍼의 각도 조절시 제거부가 연동되어 댐퍼에 부착된 부착물이 제거된다.
댐퍼, 댐퍼 샤프트, 부착물, 스크래퍼

Description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DHERENT MATTER ON DAMPER}
본 발명은 원료탄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고로 부원료로 사용하는 원료탄을 이송시키는 슈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10) 내부에 설치된 댐퍼(14)의 각도에 따라서 양 방향 벨트 컨베이어(16)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조절하여 이송된다.
즉, 제철 과정에서 원료탄은 1개소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다른 2개소의 벨트 컨베이어(16)로 공급된다. 원료탄 공급시 슈트(10) 내부에 설치된 댐퍼(14)의 각도 조절에 따라 양 방향 벨트 컨베이어(16)의 원료탄 공급량이 결정되어 원료탄 적정 입도관리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런데, 원료탄이 슈트(10)에서 낙하되어 양 방향 벨트 컨베이어(16)로 낙하시 댐퍼(14)의 각도에 따라 부착물(12)이 다량 형성된다. 댐퍼(14)에 부착물(12)이 형성되면, 양 방향 벨트 컨베이어(16)의 원료탄 공급량 편차가 심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공급하고자 하는 공급량이 적정하게 공급되지 않아 후공정의 설비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원료탄 공급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댐퍼(14)의 각도 조절이 어렵게 된다. 만약, 댐퍼(14)에 부착되는 부착물(12)이 계속 증가되는 경우에는 슈트(10) 막힘으로 인하여 원료탄 공급자체가 불가능하여 공급작업이 지연되고 운송 제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댐퍼(14)에 부착된 부착물(12)을 수공구에 의한 인력으로 제거하였다. 또한, 댐퍼(14)에 부착된 부착물(12) 제거시 슈트(10) 점검문이 협소하여 제거작업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러한 이유로, 원료탄 공급작업 지연에 따른 후공정의 재고부족으로 작업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원료탄을 공급시에 댐퍼의 회전 각도 조절과 댐퍼의 플레이트에 부착된 부착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는 슈트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되는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원료탄의 공급 경로를 구분하며, 외력의 전달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댐퍼, 외력의 전달에 따라 구동되어 댐퍼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제거부, 댐퍼 및 제거부에 공급되는 외력을 발생하는 동력부, 동력부와 댐퍼 및 동력부와 제거부 사이에서 해당되는 동력 전달 경로에 개재되며 동력부의 동력을 댐퍼 및 제거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댐퍼의 각도 조절시 제거부가 연동되어 댐퍼에 부착된 부착물이 제거된다.
댐퍼는 원료탄의 공급 경로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각도를 갖고 양측으로 각각 기울어진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거부는 플레이트에 각각 면접촉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플레이트 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는 댐퍼와 동력부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배치되며, 동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력의 전달에 따라 구동되어 댐퍼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댐퍼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각도 조절부는 양측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외면에 플레이트 의 일측이 결합되는 중공형의 댐퍼 샤프트, 및 댐퍼 샤프트에 결합되며, 댐퍼 샤프트를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는 일부분이 댐퍼 샤프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댐퍼 샤프트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댐퍼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거부는 이동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와 결합되며,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하부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구멍을 가지며, 안내 구멍을 통해 연결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스크래퍼가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는 댐퍼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제1 부재, 댐퍼 샤프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연결부재의 일측이 결합되고, 내면에는 제1 부재의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2 부재, 및 제1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부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볼을 매개로 결합되며, 제1 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3 부재는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 랙 기어, 및 제1 부재의 일단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제1 랙 기어에 맞물리는 제1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는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 랙 기어, 및 댐퍼 샤프트의 일단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제2 랙 기어에 맞물리는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랙 기어와 제2 랙 기어는 동력부에 각각 연결되며, 동력부의 구동에 따라 댐퍼 샤프트의 회전과 스크래퍼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는 슈트 내부에 부착물 형성시 동력부에 의해 플레이트에 부착된 부착물을 스크래퍼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슈트 막힘으로 인한 원료탄 공급지연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근무자의 조치시간이 단축되며, 원료탄 운송작업을 안정적으로 운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는 댐퍼(damper, 20), 제거부(30), 동력부(40), 동력 전달부(50)를 포함하며, 댐 퍼(20)의 각도 조절시 제거부(30)가 연동되어 댐퍼(20)에 부착된 부착물(12)이 제거되도록 한다.
먼저, 댐퍼(20)는 슈트(chute)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되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로 공급되는 원료탄의 공급 경로를 구분한다. 댐퍼(20)는 동력부(40)로부터 공급되는 외력의 전달에 따라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도 조절된다. 댐퍼(20)는 원료탄의 공급 경로에 대응되도록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각도를 갖고 양측으로 각각 기울어진 플레이트(plate, 22)를 구비한다. 플레이트(22)는 이등변 삼각형의 이등변과 같이 서로 대칭 형상으로 기울어진다. 플레이트(22)의 기울어진 면을 따라 원료탄이 해당되는 공급 경로로 공급된다. 플레이트(22)의 면을 따라 원료탄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일부 원료탄이 플레이트(22)에 남아 부착물(12)을 형성하게 된다.
제거부(30)는 동력부(40)로부터 공급되는 외력의 전달에 따라 구동되어 댐퍼(20)의 플레이트(22)에 부착된 부착물(12)을 제거한다. 제거부(30)는 플레이트(22)에 각각 면접촉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플레이트(22) 면을 따라 이동된다.
동력부(40)는 댐퍼(20) 및 제거부(30)에 공급되는 외력을 발생한다. 동력부(40)는 모터와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력 전달부(50)는 동력부(40)와 댐퍼(20) 및 동력부(40)와 제거부(30) 사이에서 각각 해당되는 동력 전달 경로에 개재되며 동력부(4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댐퍼(20) 및 제거부(30)로 전달한다. 동력 전달부(50)는 댐퍼(20)와 동력부(40)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배치되며, 동력부(40)로부터 공급되는 외력의 전달에 따라 구동되어 댐퍼(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댐퍼 각도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댐퍼 각도 조절부(500)는 댐퍼 샤프트(damper shaft, 510)와 회전부재(520)를 포함한다.
댐퍼 샤프트(5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댐퍼 샤프트(510)의 외면에는 플레이트(22)의 일측이 결합된다. 댐퍼 샤프트(510)는 슈트 내에서 댐퍼(20)와 용접되어 고정되고 댐퍼 샤프트(510)의 양측에는 댐퍼 샤프트(51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댐퍼 샤프트 베어링 하우징(512)이 설치된다. 댐퍼 샤프트 베어링 하우징(512)은 동력부(40)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 샤프트(510)의 회전을 지지한다. 댐퍼 샤프트 베어링 하우징(512)은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에 볼트로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댐퍼 샤프트(510) 상에는 제거부(30)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홀(511)이 개공된다. 그리고 플레이트(22) 하부 좌, 우측에는 절곡부(24)가 구비된다. 절곡부(24) 하부에는 제거부(30)가 이동할 수 있게 안내 구멍(26)이 개공된다.
회전부재(520)는 댐퍼 샤프트(510)에 결합되며, 동력부(40)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구동되어 댐퍼 샤프트(510)를 회전시킨다.
한편, 동력 전달부(50)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는 일부분이 댐퍼 샤프트(510)의 내측에 삽입되며, 댐퍼 샤프트(51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동부재는 동력부(40)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댐퍼 샤프트(510) 내측에 삽입되는 부분 가운데 일부분이 댐퍼 샤프트(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제거부(30)는 연결부재(34), 스크래퍼(32)를 포함한다.
연결부재(34)는 이동부재의 외면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4)는 스크래퍼(32)와 볼트 체결되며, 댐퍼 샤프트(510) 상에 개구된 가이드 홀(511)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연결부재(34)는 플레이트(22)의 절곡부(24) 하부에 개구된 안내 구멍(26)을 따라 좌, 우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34)의 일부가 안내 구멍(26)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스크래퍼(32)와 볼트 결합된다. 따라서, 스크래퍼(32)는 플레이트(22)의 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재(34)는 스크래퍼(32)가 플레이트(22)를 따라 이동되는 동작을 수행할 때 스크래퍼(32)의 이동에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스크래퍼(32)는 플레이트(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스크래퍼(32)는 연결부재(34)와 결합되며, 이동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플레이트(22) 면을 따라 이동된다. 스크래퍼(32)는 연결부재(34)와 결합됨에 따라 플레이트(22)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34)가 플레이트(22)의 절곡부(24)에 형성되는 안내 구멍(26)으로 일부 돌출된 상태에서 스크래퍼(32)와 연결됨에 따라 플레이트(22) 외측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22)는 하부에 형성되는 절곡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구멍(26)을 가지며, 안내 구멍(26)을 통해 연결부재(34)의 일부가 삽입되어 스크래퍼(32)가 플레이트(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는 제1 부재(530), 제2 부재(540), 제3 부재(550)를 포함한다.
제1 부재(530)는 댐퍼 샤프트(5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제1 부재(530)는 댐퍼 샤프트(510) 내부에 설치되며, 양측이 댐퍼 샤프트(510)로부터 돌출된다. 제1 부재(530)의 양측에는 제1 부재(530)의 회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부재 베어링 하우징(532)이 설치된다. 제1 부재 베어링 하우징(532)은 동력부(40)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제1 부재(530)의 회전을 지지한다. 제1 부재 베어링 하우징(532)은 베이스 프레임에 볼트로 고정된다.
제2 부재(540)는 댐퍼 샤프트(510)의 내측에 삽입된다. 제2 부재(5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연결부재(34)의 일측이 결합되고, 내면에는 제1 부재(530)의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제1 부재(530)와 제2 부재(540)는 볼(542)을 매개로 결합되며, 제1 부재(5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 부재(540)가 제1 부재(5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연결부재(34)는 제2 부재(540)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2 부재(540)가 움직이면 연결부재(34)와 스크래퍼(32)가 연동되어 플레이트(22)에 부착된 부착물(12)을 제거하게 된다.
회전부재(520)는 제1 부재(5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부재(530)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회전부재(520)는 제1 랙 기어(522)와 제1 피니언 기어(524)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1 랙 기어(522)는 동력부(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제1 피니언 기어(524)는 제1 부재(530)의 일단측 외주면에 축 결합되며, 제1 랙 기어(522)에 맞물린다.
제3 부재(550)는 제2 랙 기어(552)와 제2 피니언 기어(554)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2 랙 기어(552)는 동력부(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제2 피니언 기어(554)는 댐퍼 샤프트(510)의 일단측 외주면에 축 결합되며, 제2 랙 기어(552)에 맞물린다.
제1 랙 기어(522)와 제2 랙 기어(552)는 동력부(40)에 각각 연결된다. 제1 랙 기어(522) 및 제2 랙 기어(552)의 하부에는 전진 및 후진 동작이 원활하게 되도록 롤러(560)가 구비되며, 회전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에 용접으로 취부될 수 있다. 동력부(40)의 구동에 따라 회전부재(520)가 구동되면, 댐퍼 샤프트(510)가 회전된다. 그리고 동력부(40)의 구동에 따라 제3 부재(550)가 구동되면, 스크래퍼(32)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1 랙 기어(522)와 제2 랙 기어(552)는 동력부(40)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동력 전달을 받게 되므로 동력부(40)의 구동에 따라 댐퍼 샤프트(510)의 회전과 스크래퍼(32)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의 동력 전달 경로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는 중앙 운전실에서 댐퍼율(경사각)을 선택하여 댐퍼(20)를 작동시키면 동력부(4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제1 랙 기어(522) 및 제2 랙 기어(552)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제1 피니언 기어(524)와 제2 피니언 기어(554)를 회전시켜 댐퍼 각도 조절과 스크래퍼(32)의 이동이 병행 작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는 슈트 내부에 설치된 댐퍼(20)의 각도 조절에 의하여 해당되는 벨트 컨베이어로 원료탄을 공급하며, 제거부(30)의 구동을 통해 플레이트(22)에 부착된 부착물(12)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슈트로부터 해당되는 벨트 컨베이어로 원료탄을 공급하는 경우 원료탄을 운반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다른 벨트 컨베이어로 원료탄을 공급한다. 그런데, 슈트 내부에 설치된 댐퍼(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원료탄의 공급량이 다르게 된다. 한편, 댐퍼(20)의 플레이트(22) 상에 부착물(12)이 부착된 경우 적정량의 원료탄을 공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댐퍼(20)의 플레이트(22) 상에 부착된 부착물(12)을 제거하여 원료탄의 공급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댐퍼(20)의 플레이트(22)에 스크래퍼(32)를 설치한다. 그리고 동력부(40)에 의해 회전부재(520)를 구동하여 댐퍼(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댐퍼(20)의 회전은 회전부재(520)를 구성하는 제2 랙 기어(552)와 제2 피니언 기어(554)의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랙 기어(522)는 제2 랙 기어(552)와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동력부(40)가 구동되면 제1 랙 기어(522)가 제2 랙 기어(552)와 연동되고, 제1 랙 기어(522)에 맞물리는 제1 피니언 기어(524)도 회전하게 된다. 제1 피니언 기어(524)가 회전됨에 따라 제1 부재(530)는 회전된다. 즉, 회전부재(520)의 구동에 따라 댐퍼(2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1 부재(530)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제2 부재(540)와 연결되는 스크래퍼(32)를 플레이트(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레이트(22)에 부착된 부착물(12)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력부(40)의 작동에 의해 댐퍼(20)의 회전 각도 조절과 댐퍼(20)의 플레이트(22) 상에 부착되는 부착물(12) 제거를 연동 하여 할 수 있다. 플레이트(22) 상에 부착된 부착물(12)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적정량의 원료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원료탄 공급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물(12) 제거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제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원료탄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슈트 내부의 댐퍼 부착물 형성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댐퍼 22 ; 플레이트
24 ; 절곡부 30 ; 제거부
32 ; 연결부재 34 ; 스크래퍼
40 ; 동력부 50 ; 동력 전달부
500 ; 댐퍼 각도 조절부 510 ; 댐퍼 샤프트
520 ; 회전부재 530 ; 제1 부재
540 ; 제2 부재 550 ; 제3 부재

Claims (11)

  1. 슈트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되는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원료탄의 공급 경로를 구분하며, 외력의 전달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댐퍼;
    외력의 전달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댐퍼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제거부;
    상기 댐퍼 및 상기 제거부에 공급되는 외력을 발생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상기 댐퍼 및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거부 사이에서 각각 해당되는 동력 전달 경로에 개재되며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상기 댐퍼 및 상기 제거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의 각도 조절시 상기 제거부가 연동되어 상기 댐퍼에 부착된 부착물이 제거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원료탄의 공급 경로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각도를 갖고 양측으로 각각 기울어진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각각 면접촉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 면을 따라 이동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댐퍼와 상기 동력부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력의 전달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댐퍼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댐퍼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각도 조절부는
    양측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외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이 결합되는 중공형의 댐퍼 샤프트, 및
    상기 댐퍼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댐퍼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일부분이 댐퍼 샤프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댐퍼 샤프트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댐퍼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되는 스크래퍼
    를 포함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하부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구멍을 가지며, 상기 안내 구멍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댐퍼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제1 부재;
    상기 댐퍼 샤프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분이 결합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 부재의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부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3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볼을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 랙 기어,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단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랙 기어에 맞물리는 제1 피니언 기어
    를 포함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 랙 기어, 및
    상기 댐퍼 샤프트의 일단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랙 기어에 맞물리는 제2 피니언 기어
    를 포함하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 기어와 상기 제2 랙 기어는 상기 동력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동력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댐퍼 샤프트의 회전과 상기 스크래퍼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KR1020080095314A 2008-09-29 2008-09-29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KR10103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14A KR101036649B1 (ko) 2008-09-29 2008-09-29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14A KR101036649B1 (ko) 2008-09-29 2008-09-29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27A KR20100035927A (ko) 2010-04-07
KR101036649B1 true KR101036649B1 (ko) 2011-05-24

Family

ID=4221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314A KR101036649B1 (ko) 2008-09-29 2008-09-29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43B1 (ko) * 2014-08-26 2016-01-19 현대제철 주식회사 투웨이 슈트장치
KR102034521B1 (ko) * 2019-09-09 2019-10-21 윤광수 선반을 구비한 창고
KR102063302B1 (ko) * 2019-09-23 2020-01-07 신명약품(주) 의약품 보관 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556A (ko) * 1997-07-07 2001-03-15 로버트 히에벨 타이어용 착색 고무 조성물
KR20010056383A (ko) * 1999-12-15 2001-07-04 이구택 전자석을 이용한 분할형 프롭게이트 표면 부착광 제거장치
KR20030034898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이동형슈트의 내부 부착탄 제거장치
KR100870904B1 (ko) 2008-09-02 2008-11-28 한국산기 주식회사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556A (ko) * 1997-07-07 2001-03-15 로버트 히에벨 타이어용 착색 고무 조성물
KR20010056383A (ko) * 1999-12-15 2001-07-04 이구택 전자석을 이용한 분할형 프롭게이트 표면 부착광 제거장치
KR20030034898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이동형슈트의 내부 부착탄 제거장치
KR100870904B1 (ko) 2008-09-02 2008-11-28 한국산기 주식회사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27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649B1 (ko) 댐퍼 부착물 제거장치
KR101433600B1 (ko) 고추 가공기
CN108453715B (zh) 输送用工具
EP1742743B1 (en) Crusher apparatus
KR20130134376A (ko) 벨트컨베이어용 부착광 제거장치
CN108817869B (zh) 一种扭剪型螺栓的生产工艺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CN211762810U (zh) 一种塑料桶回收用磁选装置
CN102728959A (zh) 用于管支撑元件的保持和驱动装置
KR102020887B1 (ko) 튜브형 링크 체인 컨베이어
KR20130120951A (ko) 연원료 불출기용 분쇄장치
KR101887270B1 (ko) 리크레이머
KR20150001428U (ko) 회송 이단 스크루 컨베이어
CN211197749U (zh) 产品组装用的螺丝自动供料机
CN211636754U (zh) 一种球磨机
KR20130044145A (ko) 제품회수장치
CN101328921B (zh) 销轴装退及锁紧装置
KR20090027548A (ko) 볼트 결합형 파이프 컨베이어
KR101624536B1 (ko) 원료 공급 장치
KR101167165B1 (ko) 부착광 부착 방지장치
KR200387380Y1 (ko) 소형부품의 이송배출장치
CN103370170B (zh) 喷丸处理装置和喷丸处理方法
CN1981938A (zh) 冲击式粉碎机自吸式进料装置
KR102249944B1 (ko) 컨베이어벨트 이송물 적재장치
JP2015077659A (ja) 切屑処理装置、切屑処理方法、及び工作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