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387B1 -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387B1
KR101036387B1 KR1020090029771A KR20090029771A KR101036387B1 KR 101036387 B1 KR101036387 B1 KR 101036387B1 KR 1020090029771 A KR1020090029771 A KR 1020090029771A KR 20090029771 A KR20090029771 A KR 20090029771A KR 101036387 B1 KR101036387 B1 KR 101036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c
relay
phase motor
revers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379A (ko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김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석 filed Critical 김인석
Priority to KR102009002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3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8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 H02P1/2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in either direction of ro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4Means for controlling progress of starting sequence in dependence upon time or upon current, speed, or other motor parameter
    • H02P1/10Manually-operated on/off switch controlling relays or contactors operating sequentially for starting a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4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drawn or delivered by the motor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상모터에서 회전방향을 전환할 때 아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삼상모터와, 제1 및 제2 트라이악과, 제1 및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와, 제1 트라이악과 제2 트라이악의 출력단과 삼상모터의 2상 입력단(V,W) 사이에 연결되어 정역제어신호에 따라 인입선로의 결선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삼상모터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계전기와, 정역조작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삼상모터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되도록 계전기와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정역제어회로부를 포함하고, 정역제어회로부는 정역조작 스위치와, 정역조작 스위치의 온이나 오프시에 T1시간만큼 제 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와 제 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를 오프시켜 계전기 접점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트라이악 제어부와, 정역조작 스위치가 오프되면 T2 지연시간 후 계전기의 코일을 소자시켜 삼상모터를 역회전시키도록 계전기의 접점을 연결하고, 정역조작 스위치가 온되면 T2 지연시간후 계전기의 코일을 여자시켜 삼상모터를 정회전시키도록 계전기의 접점을 연결하는 계전기 제어부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29771
삼상모터, 계전기, 아크방지,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 정역회전

Description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ON DIRECTION OF 3 PHASE MOTOR }
본 발명은 삼상모터를 사용하는 장치의 정역회전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삼상모터에서 회전방향을 전환할 때 아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상 모터는 다양한 기계장치들에 사용되는데, 3상 모터가 채용된 기계장치에는 3상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정역회전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 3상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정역회전 제어장치는 두 개의 전자개폐기를 이용해 두 상을 바꾸어 주는 방식으로 정역조작을 수행 하고있는 실정이다. 3상(U,V,W) 모터에 L1, L2, L3 선로를 통해 삼상교류전원이 인가될 경우에 A전자개폐기가 온되면 정회전 하고 B전자개폐기가 온되면 L2선로가 V로 연결 되고 L3선로가 W로 연결되어 3상 모터는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두 전자개폐기는 반드시 상호 인터록 상태로 결선되어 있다. 이와 같이 3상 모터의 정역 회전제어는 전자개폐기에 의해 결선방향이 전환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3상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종래의 정역회전 제어장치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계전기의 접점이 전환되어 아크가 발생되어 계전기가 자주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삼상모터에서 트라이악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 후 계전기의 접점을 전환함으로써 계전기에 의해 결선 방향을 전환할 때 아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 V, W 삼상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삼상 교류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삼상 모터; L1, L2, L3 삼상 교류전원 인입선로 중 한 선로에 직렬 연결되는 제1 트라이악; 상기 제1 트라이악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 L1, L2, L3 삼상 교류전원 인입선로 중의 다른 한 선로에 직렬 연결되는 제2 트라이악; 상기 제2 트라이악을 온/오프하기 위 한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 상기 제1 트라이악과 상기 제2 트라이악의 출력단과 상기 삼상모터의 2상 입력단(V,W) 사이에 연결되어 정역제어신호에 따라 인입선로의 결선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삼상모터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계전기; 및 정역조작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삼상모터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되도록 상기 계전기와 상기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정역제어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역제어회로부는 정역조작 스위치와, 상기 정역조작 스위치의 온이나 오프시에 T1시간만큼 제 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와 제 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를 오프시켜 계전기 접점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트라이악 제어부와, 상기 정역조작 스위치가 오프되면 T2 지연시간 후 계전기의 코일을 소자시켜 상기 삼상모터를 역회전시키도록 계전기의 접점을 연결하고, 상기 정역조작 스위치가 온되면 T2 지연시간후 계전기의 코일을 여자시켜 상기 삼상모터를 정회전시키도록 계전기의 접점을 연결하는 계전기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필요에 따라 트라이악 3개를 사용해 삼상을 모두 제어 할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삼상모터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해 계전기로 결선방향을 전환할 때 트라이악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 후 계전기의 접점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계전기에 의해 결선 방향을 전환할 때 아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계전기를 보호하여 삼상모터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과부하 방지회로와 기타 모터제어회로를 구성해 트라이악의 온 오프제어가 매우 용이한 것이 장점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V, W 삼상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삼상 교류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삼상 모터(10)와, L1, L2, L3 삼성 교류전원 인입선로 중 한 선로에 직렬 연결되는 제1 트라이악(Q1)과, 제1 트라이악(Q1)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 L1, L2, L3 삼상 교류전원 인입선로 중의 다른 한 선로에 직렬 연결되는 제2 트라이악(Q2)과, 제2 트라이악(Q2)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 제1 트라이악(Q1)과 제2 트라이악(Q2)의 출력단과 삼상 모터의 2상 입력단(V,W) 사이에 연결되어 정역제어신호에 따라 인입선로의 결선방향을 전환하여 삼상모터(20)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계전기(RL)와, 정역조작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삼상모터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되도록 계전기와 트라이악을 제어하는 정역제어회로부(100)와, L1,L2,L3 선로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원중 단상의 교류전원 을 정류하여 안전하고 안정된 직류전원(24V, Vcc)을 공급하는 전원부(102)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역제어회로부(100)는 정역조작 스위치(SW)와, 정역조작 스위치(SW)의 온이나 오프시에 T1시간만큼 제 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 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를 오프시켜 계전기 접점(104,106)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트라이악 제어부(110)와,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면 T2 지연시간 후 계전기(RL)의 코일을 소자시켜 삼상모터를 역회전시키도록 계전기의 접점(104,106)을 연결하고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온되면 T2 지연시간후 계전기(RL)의 코일을 여자시켜 삼상모터(20)를 정회전시키도록 계전기의 접점(104,106)을 연결하는 계전기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트라이악 제어부(110)는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면 로우신호를 입력받아 하이로 출력하고 온되면 하이신호를 입력받아 로우로 출력하는 제1 인버터(U1A)와, 제1 인버터(U1A)의 하이신호를 T1off 시간만큼 유지하는 제1미분회로(112)와, 제1 인버터(U1A)의 로우출력을 입력받아 하이신호로 출력하는 제2 인버터(U1B)와, 제2 인버터(U1B)의 하이출력을 T1on 시간만큼 유지하는 제2 미분회로(114)와, 제1 미분회로나 제2 미분회로가 하이신호를 유지하는 T1시간동안 로우를 출력하여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를 오프시키고 제1 미분회로나 제2 미분회로가 로우신호가 되면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를 온시키는 제3 인버터(U1C)와, 제3 인버터(U1C)의 출력에 따라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를 T1시간 동안 오프시킨 후 온시키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 터(Q6)로 구성된다.
그리고 계전기 제어부(120)는 정역조작 스위치가 오프되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온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4 인버터(U1D)와, 제4 인버터의 출력이 로우신호가 되면 T2시간 콘덴서(C1)을 방전시키고, 제4 인버터의 출력이 하이신호가 되면 T2시간 C1을 충전시켜 T2시간 지연시키는 적분회로(122), 제5 인버터(U1E), 제6 인버터(U1F),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면 T2 지연시간 후 계전기(RL)의 코일을 소자시키고 온되면 T2 지연시간 후 계전기(RL)의 코일을 여자시키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역제어장치의 동작을 도 2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역회전 동작 설명
정역조작 스위치(SW)가 개방된 상태(OFF)에서 삼상전원이 L1, L2, L3 선로에 인가되면 전원부(102)가 회로동작에 필요한 직류전원(24V, Vcc)을 공급하게 되고, 제1 인버터(U1A)의 입력은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로우상태가 된다.
[트라이악 차단]
제1 인버터(U1A)의 입력이 로우상태가 되면, 제1 인버터(U1A)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1 인버터(U1A)의 하이신호는 제1 미분회로(112)의 C4, R6, R7에 의한 시상수(T1off)만큼 하이신호가 유지된다. 제3 인버터(U1C)는 제1 미분회로가 하이신호를 유지하는 T1off 시간동안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는 오프되어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가 오프된다.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가 오프되면 제1 트라이악(Q1)과 제2 트라이악(Q2)이 오프되어 L2, L3 전류가 차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미분회로(112)의 시상수에 의한 유지시간을 'T1off', 제2 미분회로(114)의 시상수에 의한 유지시간을 'T1on'이라 하는데, 'T1off'와 'T1on'이 같도록 각 시상수값을 설정하였으므로 통칭하여 'T1'이라고 한다.
[릴레이 소자]
한편, 정역조작 스위치(SW)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인버터(U1A)의 입력이 로우가 되어 제1 인버터(U1A)가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제4 인버터(U1D)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적분회로(122)의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저항(R3)을 통해 방전된다. 콘덴서(C1)의 전하가 방전되어 제5 인버터(U1E)의 입력이 로우신호가 되면 제5 인버터(U1E)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6 인버터(U1F)는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5)를 오프시키게 된다.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되면 계전기(RL)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어 계전기(RL)가 소자상태로 있게 되고, 계전기(RL)가 소자되면 계전기 접점(104,106)은 NC(1-5, 2-6)상태로 유지된다.
[트라이악 재도통]
제1 미분회로(112)의 시상수에 의해 제3 인버터(U1C)의 입력이 T1 시간동안 하이신호가 유지되다가 T1 시간 이후에 로우신호가 되면 제3 인버터(U1C)의 출력은 하이신호가 되고,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어 제1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를 온시키게 된다.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가 온되면, 제1 트라이악(Q1)과 제2 트라이악(Q2)이 턴온되어 L1-U, L2-V, L3-W로 선로가 연결되어 삼상모터(20)가 역회전하게 된다.
2. 정회전 동작 설명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온되면 제1 인버터(U1A)의 입력은 하이상태가 된다.
[트라이악 차단]
제1 인버터(U1A)의 입력이 하이상태가 되면, 제1 인버터(U1A)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2 인버터(U1B)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2 인버터(U1B)의 하이신호는 제2 미분회로(114)의 C3, R5, R7에 의한 시상수(T1on)만큼 하이신호가 유지된다. 제3 인버터(U1C)는 제2 미분회로(114)가 하이신호를 유지하는 시간동안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는 오프되어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가 오프된다.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가 오프되면 제1 트라이악(Q1)과 제2 트라이악(Q2)이 오프되어 L2, L3전류가 차단된다.
[릴레이 여자]
한편,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온(on)되어 제1 인버터(U1A)의 입력이 하이가 되고 이에 따라 제1 인버터(U1A)가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제4 인버터(U1D)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4 인버터(U1D)의 하이신호는 적분회로(122)의 콘덴서(C1)을 충전시키게 되고, T2 지연시간 후 충전이 완료되면 제5 인버터(U1E)의 입력이 하이신호가 되어 제5 인버터(U1E)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6 인버터(U1F)는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5)를 온시키게 된다.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5)가 온되면 계전기(RL)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계전기(RL)가 여자상태로 있게 되고, 계전기(RL)가 여자되면 계전기의 접점(104,106)은 NO(3-5번, 4-6번 연결) 상태로 유지된다.
[트라이악 재도통]
제2 미분회로(114)의 시상수에 의해 제3 인버터(U1C)의 입력이 T1 시간동안 하이신호가 유지되다가 T1 시간 이후에 로우신호가 되면 제3 인버터(U1C)의 출력은 하이신호가 되고,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어 제1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를 온시키게 된다.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가 온되면, 제1 트라이악(Q1)과 제2 트라이악(Q2)이 턴온되어 L1-U, L2-W, L3-V로 선로가 연결되어 삼상모터(20)가 정회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이밍도에서 "RL"은 릴레이(RL)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고, "TRIAC"은 트라이악(Q1,Q2)의 온/오프를 나타내며, "SW"는 정역조작 스위치(SW)의 온/오프를 나타낸다.
타이밍도에 따르면,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어 삼상모터(20)가 역회 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온(on)되면 트라이악 제어부(110)가 제2 미분회로(114)의 시상수에 정해진 T1(예컨대, 50msec) 시간동안 트라이악(Q1,Q2)을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트라이악(Q1,Q2)이 오프되어 계전기(RL)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T2(예컨대, 20msec) 시간 지연 후에 계전기 제어부(120)가 계전기(RL)를 온시켜 삼상모터(20)의 결선방향을 전환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계전기 접점(104,106)의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 트라이악(Q1,Q2)이 재동작하여 삼상모터(20)가 정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삼상모터(20)가 정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off)되면 트라이악 제어부(110)가 제1 미분회로(112)의 시상수에 정해진 T1(예컨대, 50msec) 시간동안 트라이악(Q1,Q2)을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트라이악(Q1,Q2)이 오프되어 계전기(RL)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T2(예컨대, 20msec) 시간 지연 후에 계전기 제어부(120)가 계전기(RL)를 온시켜 삼상모터(20)의 결선방향을 전환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계전기 접점(104,106)의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 트라이악(Q1,Q2)이 재동작하여 삼상모터(20)가 역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라이악(Q1,Q2)이 오프되어 계전기의 접점(104,106)에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 접점(104,106)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전환이 완료된 후에 다시 트라이악(Q1,Q2)이 온되어 접점(104,106)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계전기(RL)의 접점 전환 중에 아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트라이악 대신 전자개폐기로 대체할 경우 아크는 발생되나 경제성이 우월한 정역제어 장치로 활용이 가능 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정역제어회로 110: 트라이악 제어부
112,114: 미분회로 120: 계전기 제어부
122: 적분회로 102: 전원부
104,106: 계전기 접점 20: 삼상모터

Claims (4)

  1. 삭제
  2. U, V, W 삼상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삼상 교류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삼상 모터(20);
    L1, L2, L3 삼상 교류전원 인입선로 중 한 선로에 직렬 연결되는 제1 트라이악(Q1);
    상기 제1 트라이악(Q1)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
    L1, L2, L3 삼상 교류전원 인입선로 중의 다른 한 선로에 직렬 연결되는 제2 트라이악(Q2);
    상기 제2 트라이악(Q2)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
    상기 제1 트라이악(Q1)과 상기 제2 트라이악(Q2)의 출력단과 상기 삼상모터의 2상 입력단(V,W) 사이에 연결되어 정역제어신호에 따라 인입선로의 결선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삼상모터(20)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계전기(RL); 및
    정역조작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삼상모터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되도록 상기 계전기와 상기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 및 상기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정역제어회로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정역제어회로부(100)는
    정역조작 스위치(SW)와,
    상기 정역조작 스위치(SW)의 온이나 오프시에 T1시간만큼 제 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 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를 오프시켜 계전기 접점(104,106)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트라이악 제어부(110)와,
    상기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면 T2 지연시간 후 계전기(RL)의 코일을 소자시켜 상기 삼상모터를 역회전시키도록 계전기의 접점(104,106)을 연결하고, 상기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온되면 T2 지연시간후 계전기(RL)의 코일을 여자시켜 상기 삼상모터를 정회전시키도록 계전기의 접점(104,106)을 연결하는 계전기 제어부(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악 제어부(110)는
    상기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면 로우신호를 입력받아 하이로 출력하고 온되면 하이신호를 입력받아 로우로 출력하는 제1 인버터(U1A)와,
    상기 제1 인버터(U1A)의 하이신호를 T1off 시간만큼 유지하는 제1 미분회로(112)와,
    상기 제1 인버터(U1A)의 로우출력을 입력받아 하이신호로 출력하는 제2 인버터(U1B)와,
    상기 제2 인버터(U1B)의 하이출력을 T1on 시간만큼 유지하는 제2 미분회로(114)와,
    상기 제1 미분회로나 제2 미분회로가 하이신호를 유지하는 T1시간동안 로우 를 출력하여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1 미분회로나 제2 미분회로가 로우신호가 되면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를 온시키는 제3 인버터(U1C)와,
    상기 제3 인버터(U1C)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1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3)와 제2 트라이악 포토 드라이버(Q4)를 T1시간 동안 오프시킨 후 온시키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 제어부(120)는
    상기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온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4 인버터(U1D)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이 로우신호가 되면 T2시간 콘덴서(C1)를 방전시키고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이 하이신호가 되면 T2시간 콘덴서(C1)을 충전시켜 T2시간 지연시키는 적분회로(122)와,
    상기 적분회로(122)의 출력에 따라 정역조작 스위치(SW)가 오프되면 T2 지연시간 후 상기 계전기(RL)의 코일을 소자시키고, 온되면 T2 지연시간 후 상기 계전기(RL)의 코일을 여자시키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KR1020090029771A 2009-04-07 2009-04-07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KR10103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771A KR101036387B1 (ko) 2009-04-07 2009-04-07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771A KR101036387B1 (ko) 2009-04-07 2009-04-07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379A KR20100111379A (ko) 2010-10-15
KR101036387B1 true KR101036387B1 (ko) 2011-05-23

Family

ID=4313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771A KR101036387B1 (ko) 2009-04-07 2009-04-07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39B1 (ko) 2013-01-31 2014-04-17 김인석 아크없는 개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46B1 (ko) * 2010-11-24 2013-01-31 주식회사 이피코 3상입력전원에 따른 전원 스위칭 제어장치
WO2013094783A1 (ko) * 2011-12-20 2013-06-27 Kim In-Suk 상승 및 하강 제어장치
KR101362711B1 (ko) * 2012-10-10 2014-02-13 김인석 아크없는 개폐기
KR102431535B1 (ko) * 2020-05-28 2022-08-11 주식회사 인테로 자동위상교정 기능을 구비한 삼상 정역 전자접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178A (ja) * 1983-12-27 1985-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タの制御装置
KR930001780Y1 (ko) * 1990-03-27 1993-04-15 원광재 모우터의 정,역장치
JPH07245973A (ja) * 1994-03-01 1995-09-19 Tokyo Electron Ltd 誘導電動機の制御回路
JPH11262292A (ja) * 1998-03-12 1999-09-24 Kokusan Denki Co Ltd 直流電動機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178A (ja) * 1983-12-27 1985-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タの制御装置
KR930001780Y1 (ko) * 1990-03-27 1993-04-15 원광재 모우터의 정,역장치
JPH07245973A (ja) * 1994-03-01 1995-09-19 Tokyo Electron Ltd 誘導電動機の制御回路
JPH11262292A (ja) * 1998-03-12 1999-09-24 Kokusan Denki Co Ltd 直流電動機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39B1 (ko) 2013-01-31 2014-04-17 김인석 아크없는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379A (ko)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9078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03053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ypassing Cascaded H-Bridge (CHB) power cells and power sub cell for multilevel inverter
KR101036387B1 (ko) 삼상모터의 정역회전 제어장치
MX2008000516A (es) Dispositivo de arranque de motor electrico a base de sistema micro-electromecanico.
WO2019008756A1 (ja) モータ駆動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機
US7638985B2 (en) Self-excitation of switched reluctance generators during load bus faults
JP2012165509A (ja) 電力供給装置の突入電流防止回路
JP2011087399A (ja) 電動機の巻線切替え装置
WO1990010333A1 (en) Device for preventing inrush current from flowing into electric apparatus
JP2006521079A (ja) Ac電圧源間で負荷を移動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10337063A (ja) 交流電動機の始動方法及び装置
US466726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of a three phase load with its normal phase sequence
JP2005304129A (ja) 三相欠相検出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0687653B1 (ko)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의 제어방법
CN112236933B (zh) 马达驱动装置及空气调节机
KR100492758B1 (ko) 하이브리드 모터 스타터의 정지 제어회로
KR100234044B1 (ko) 모터 구동 교대운전 제어 장치
JP2004194418A (ja) 電動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8086091A (ja) 電動機制御システム
JP6285290B2 (ja) 電力変換装置
US20230370003A1 (en) De-Exciting System for Inductive Circuits
WO2023187863A1 (ja) 駆動回路、駆動回路の制御方法
JP2016144282A (ja) 車両用回転電機
JP2024020709A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2004295420A (ja) 自動電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