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048B1 -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 Google Patents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048B1
KR101034048B1 KR1020100083518A KR20100083518A KR101034048B1 KR 101034048 B1 KR101034048 B1 KR 101034048B1 KR 1020100083518 A KR1020100083518 A KR 1020100083518A KR 20100083518 A KR20100083518 A KR 20100083518A KR 101034048 B1 KR101034048 B1 KR 10103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melting point
water treatment
carri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택욱
Original Assignee
남택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택욱 filed Critical 남택욱
Priority to KR102010008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3Textile-type pac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사용한 수처리 분야에서 처리대상수(水)에 투입되어 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한 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는,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기간 사용된 후 분해되어 추가적인 투입만이 요구될 뿐 교체작업 등이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담체의 교체작업 등으로 인한 수처리 공정의 중단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기처분 등으로 인한 비용의 지출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의 외부에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가 위치되어 있되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에 용착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담체가 그 본래의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원활한 수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Water treatment bio-media made by Bio-degradable bicomponent yarns}
본 발명은 미생물을 사용한 수처리 분야에서 처리대상수(水)에 투입되어 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한 담체에 관한 것이다.
댐 등을 통해 확보된 물은 상당히 오염된 상태이기 때문에 식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수처리(정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 생활하수나 오, 폐수의 처리를 위하여 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일반적인 수처리 방법 특히 정수처리 방법은 전염소처리, 응집, 침전, 여과의 공정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정수처리 방법을 통해 일부 용존성 유기물질 들의 제거가 가능하지만 제거되지 못하는 용존성 유기물질이 상당량 발생되는데 제거되지 못한 용존성 유기물질 등은 살균부산물의 생성 및 배수관망에서의 미생물 오염 등을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전염소처리, 응집, 침전, 여과 등의 공정만을 갖던 수처리 방법에 미생물을 사용하여 용존성 유기물질 등을 대부분 제거하는 생물여과공정이 추가된 수처리 방법이 안출되었다.
생물여과공정에 의해서 용해성 유기물, 미량 유기화합물, 암모니아성 질소, 인, 철 및 망간 등의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해졌다.
상기와 같은 생물여과공정에는 수처리에 사용되는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한 담체가 이용된다.
즉, 처리대상수에 투입된 담체에서 미생물이 원활하게 번식하고 활성화되면서 처리대상수에 포함된 용존성 유기물질 들이 미생물에 의해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상기와 같은 담체로는 알갱이 형태의 활성탄, 제올라이트, 안트라사이트와 모래 등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1999-0049032호 및 특허출원 제10-1997-034028호 등에는 미생활의 활성화를 위한 담체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북미지역과 우리나라에서는 생물 활성탄을 이용한 여과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실제로 수처리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미생물 활성화를 위한 종래의 담체는 일정기간 사용된 후 폐기되거나 세척 후 재사용되는 것이어서 정수처리 공정을 일정한 시간 동안 중단한 후 담체의 수거나 교체 등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처리대상수에 새롭게 투입된 담체나 세척 후 다시 투입된 담체에서 미생물이 활성화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은 미생물을 사용한 정수처리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 고가의 담체를 교체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사용된 담체는 폐기물에 해당하는 것이어서 폐기처분에도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오염된 하천에는 상당량의 유기물질 등이 존재하고 이러한 유기물질 등이 하천의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기물질 들을 제거하여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는 것에는 상당한 어려움과 비용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체가 요구되지 않고 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의 활성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질 수 있어 담체의 교체나 세척 작업 등으로 인한 수처리 공정의 중단이 요구되지 않으며, 폐기처분 등으로 인한 비용의 지출도 발생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생분해성 담체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하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 하천에 살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는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담체가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기간 사용된 후에는 완전히 생분해되어 추가적인 투입만이 요구될 뿐 교체작업 등이 요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담체의 교체작업 등으로 인한 수처리 공정의 중단이 요구되지 않으며, 폐기처분 등으로 인한 비용의 지출도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의 외부에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가 위치되어 있되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에 용착(鎔着)되어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담체가 그 본래의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담체는,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기간 사용된 후 분해되어 추가적인 투입만이 요구될 뿐 교체작업 등이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담체의 교체작업 등으로 인한 수처리 공정의 중단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기처분 등으로 인한 비용의 지출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의 외부에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가 위치되어 있거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거나,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와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가 시스-코어형(sheath-core type)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side-by-side type) 복합섬유로 이루어지되,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에 용착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담체가 그 본래의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원활한 수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가 부직포 형태로 구현된 경우 미생물의 활성화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담체는 생분해성이기 때문에 오염된 하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 하천에 살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유기물질 들을 걷어내어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비하여 본 발명의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를 살포하는 것이 매우 경제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의 상, 하에만 위치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B :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의 상, 하, 좌, 우, 전, 후에 위치되어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를 감싸고 있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다수 개의 생분해성 섬유가 엉켜있고, 생분해성 섬유 간의 접촉부가 용착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담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복합섬유 형태의 생분해성 섬유를 도시한 개략도
A : 녹는 점이 낮은 부분이 녹는 점이 높은 부분을 감싸고 있는 형태
B : 녹는 점이 낮은 부분과 녹는 점이 높은 부분이 각각 좌, 우측에 위치된 형태(side-by-side type)
B : 녹는 점이 낮은 부분과 녹는 점이 높은 부분이 각각 좌, 우측에 위치된 또 다른 형태(side-by-side type)
도 4는 녹는 점이 동일한 생분해성 섬유가 융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용착되기 전의 상태
B : 용착된 상태
도 5는 녹는 점이 낮은 부분이 녹는 점이 높은 부분을 감싸고 있는 형태(sheath-core type)의 생분해성 섬유간의 용착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녹는 점이 낮은 부분이 녹는 점이 높은 부분을 감싸고 있는 형태의 생분해성 섬유와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 간의 용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용착되기 전의 상태
B : 용착된 상태
도 7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와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 간의 용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용착 전의 상태
B : 용착된 상태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수처리 공정에서 미생물을 사용한 수처리를 위해 처리대상수에 투입되고 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담체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교체가 요구되지 않고 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의 활성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질 수 있어 담체의 교체나 세척 작업 등으로 인한 수처리 공정의 중단이 요구되지 않으며, 폐기처분 등으로 인한 비용의 지출도 발생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생분해성 담체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처리대상수에 투입된 상태에서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미생물에 의해 분해(생분해)됨으로써 교체가 요구되지 않고 추가적인 투입만이 요구되는 수처리용 담체를 안출하였다.
상기와 같은 생분해성 소재로는, Polyhydroxybutylate(PHB), Polyhydroxybutylate/hexanoate(PHBH), 폴리유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카보네이트(PB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석시네이트(PETS),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TMAT),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PES),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이 있다.
전술한 Polyhydroxybutylate(PHB), Polyhydroxybutylate/hexanoate(PHBH)는 미생물생성계이고, 폴리유산(PLA), 폴리글리콜산(PGA)은 식물계이다.
또,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카보네이트(PB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석시네이트(PETS),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TMAT),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PES), 폴리비닐알코올(PVA)는 석유계이다.
그런데 생분해성 재질의 섬유를 사용하여 담체를 만드는 경우 생분해성 섬유가 분해되기도 전에 여러 조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즉, 담체가 생분해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이 작은 크기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생분해성 담체는 부직포 형태를 갖는 것이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해 바람직한데 부직포 형태로 구현될 경우 담체의 일부분이 작은 크기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더 원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모여있는 곳의 외측에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가 위치되어 있되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에 용착(鎔着)되어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도 1 참조)
즉,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모여있는 곳의 외측에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생분해성 섬유(10)가 작은 크기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모여있는 곳 위에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가 다량 위치된 상태에서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에 열을 가하는 방법이 있다.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나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는 생분해성 섬유의 재질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 생분해성 섬유의 분자중합도에 의해서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생분해성 섬유의 분자중합도(수평균 분자량, 중량평균분자량)가 높으면 녹는 점이 높고, 분자중합도(수평균 분자량, 중량평균분자량)가 낮으면 녹는 점이 낮은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담체는 부직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를 위하여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와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부직포의 형태를 갖는 생분해성 담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에는 니들펀칭 방법과 스펀본드 방법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담체가 부직포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작은 크기의 생분해성 담체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라면 부직포 형태로 크게 제조된 것을 세절하여 작은 크기의 생분해성 담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의 A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소재(20, 섬유)가 형성하고 있는 층의 상부와 하부에만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소재(10, 섬유)가 위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 도 1의 B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소재(20, 섬유)가 형성하고 있는 층의 상, 하, 좌, 우, 전, 후에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소재(10, 섬유)가 위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 도 1의 A와 도 1의 B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와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가 모두 약간의 두께를 갖는 형태이어서 층을 형성하고 있는데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형성하는 층이 더 두꺼운 형태이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의 외측에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가 위치되어 있되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에 용착(鎔着)된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의 외측에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위치되고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용착된 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에 의해서 두꺼운 층이 형성되고, 이 층에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의 접촉면에서만 용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의 접촉부에 순간적으로 열을 가하는 방법이 있다.
또, 전체적으로 열을 가하되 용착을 원하지 않는 지점은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의 접촉부에서만 용착이 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내측에 다량의 생분해성 섬유가 위치되고 그 외측에 또 다른 생분해성 섬유가 위치되는데 외측에 위치된 생분해성 섬유가 내측에 위치된 냉분해성 섬유와 융착된 형태를 설명하였다.
즉, 생분해성 섬유가 층을 형성하고 있고, 층과 층 사이에서 용착이 이루어진 형태인 것이다.
그러나 담체를 형성하는 각각의 생분해성 섬유는 모두 용착된 부분을 갖는 형태가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담체는 다수의 생분해성 섬유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생분해성 섬유와 생분해성 섬유는 교차되면서 서로 접촉되는 접촉부(30)를 갖는 형태(생분해성 섬유가 엉켜있는 형태)이되 접촉부(30)는 용착(鎔着)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2참조)
이러한 구조는 도 1과 같이 층을 형성하는 구조보다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접촉부(30)가 용착된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 생분해성 섬유는 도 3의 A와 같이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이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높은 부분(42)을 감싸고 있는 시쓰-코어형(sheath-core type) 복합섬유의 형태이어서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이 녹으면서 생분해성 섬유 간의 접촉부(30)가 용착(鎔着)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생분해성 섬유는 도 3의 B나 도 3의 C와 같이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과 녹는 점이 높은 부분(42)이 병렬적으로 존재하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side-by-side type) 복합섬유의 형태이고,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이 녹으면서 생분해성 섬유 간의 접촉부(30)가 용착(鎔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일부 생분해성 섬유는 녹는 점이 높은 것이고 일부 생분해성 섬유는 녹는 점이 낮은 것이어서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가 녹으면서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소재에 용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 7 참조)
물론, 도 4와 같이 녹는 점이 동일한 생분해성 섬유가 녹으면서 생분해성 섬유 간의 접촉부가 용착(鎔着)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생분해성 섬유는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과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높은 부분(42)을 갖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열을 가해 용착시켰을 때 그 형태를 가장 잘 유지하기 때문이다.
10.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
20.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
30. 접촉부
41. 녹는 점이 낮은 부분
42. 녹는 점이 높은 부분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처리대상수에 투입되어 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한 담체에 있어서,
    Polyhydroxybutylate(PHB), Polyhydroxybutylate/hexanoate(PHBH), 폴리유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카보네이트(PB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석시네이트(PETS),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TMAT),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PES)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완전히 생분해됨으로써 교체가 요구되지 않으며,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모여있는 곳의 외측에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가 위치되어 있되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는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에 용착(鎔着)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4. 처리대상수에 투입되어 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한 담체에 있어서,
    Polyhydroxybutylate(PHB), Polyhydroxybutylate/hexanoate(PHBH), 폴리유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카보네이트(PB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석시네이트(PETS),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TMAT),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PES)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완전히 생분해됨으로써 교체가 요구되지 않으며,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가 모여있는 곳의 외측에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위치되고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10)와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20)가 용착(鎔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섬유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부직포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6. 처리대상수에 투입되어 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한 담체에 있어서,
    Polyhydroxybutylate(PHB), Polyhydroxybutylate/hexanoate(PHBH), 폴리유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카보네이트(PB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석시네이트(PETS),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TMAT),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PES)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완전히 생분해됨으로써 교체가 요구되지 않으며,
    상기 생분해성 섬유는 교차되면서 서로 접촉되는 접촉부(30)을 갖되 상기 접촉부(30)는 용착(鎔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섬유는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이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높은 부분((42)을 감싸고 있는 형태이어서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이 녹으면서 생분해성 섬유 간의 접촉부(30)가 용착(鎔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섬유는 상대적으로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과 녹는 점이 높은 부분(42)이 동시에 존재하는 형태이고, 녹는 점이 낮은 부분(41)이 녹으면서 생분해성 섬유 간의 접촉부(30)가 용착(鎔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섬유 중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가 녹으면서 생분해성 섬유 간의 접촉부(30)가 용착(鎔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10. 삭제
  1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섬유 중 녹는 점이 높은 생분해성 섬유는 녹는 점이 낮은 생분해성 섬유에 비해 분자중합도가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KR1020100083518A 2010-08-27 2010-08-27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KR10103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18A KR101034048B1 (ko) 2010-08-27 2010-08-27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18A KR101034048B1 (ko) 2010-08-27 2010-08-27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048B1 true KR101034048B1 (ko) 2011-05-11

Family

ID=4436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518A KR101034048B1 (ko) 2010-08-27 2010-08-27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5586A (zh) * 2014-12-05 2015-03-25 广西博世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水生态修复人工水草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840A (ko) * 2004-12-27 2006-07-03 캉 나 흐시웅 엔터프라이즈 캄파니, 리미티드 오염된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 오염된 유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오염된 유체를 처리하는데 적당한 바이오매스캐리어 형성 방법
JP2007007575A (ja) * 2005-06-30 2007-01-18 Ebara Corp 微生物担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840A (ko) * 2004-12-27 2006-07-03 캉 나 흐시웅 엔터프라이즈 캄파니, 리미티드 오염된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 오염된 유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오염된 유체를 처리하는데 적당한 바이오매스캐리어 형성 방법
JP2007007575A (ja) * 2005-06-30 2007-01-18 Ebara Corp 微生物担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5586A (zh) * 2014-12-05 2015-03-25 广西博世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水生态修复人工水草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604B2 (en) Liquid waste treatment apparatus
WO2007030671A3 (en) Bioremediation mat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JP4807777B2 (ja) 汚染流体を処理する方法、汚染流体を処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汚染流体を処理するのに適したバイオマスキャリアを作る方法
KR101034048B1 (ko) 섬유로 이루어진 수처리용 생분해성 담체
US20220143951A1 (en) Geomaterial web with biological degradation properties
KR101012414B1 (ko) 다공성 무기계 흡착재 및 다공성 여과재가 분획 충전된 수생 식물용 식생 매트
JP5910397B2 (ja) 防水シート
US10844528B2 (en) Anti-weed sheet
US5601906A (en) Geosynthetic barrier to prevent wildlife access to contaminated sediments
Suhaib et al. Dynamics of clogging in sub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s
JP2007160140A (ja) 廃棄物処分場のキャッピングシートおよびそのキャッピング工法
JP2014166621A (ja) 環境汚染物質除去シート
JP2014032038A (ja) 環境汚染物質の除去方法
KR101254101B1 (ko) 침전형 섬유여재
KR20200141125A (ko) 인공습지 수처리 시스템
Shamsuzzaman et al. Waste Management in Textile Industry
JPH02126982A (ja) 廃棄物の処理方法
KR100911483B1 (ko) 유흡착용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와이의 제조방법
WO2022253990A1 (en) Concrete washout materials and system
CZ35793U1 (cs) Textilní nosič biomasy
KR20010102871A (ko) 코코넛 섬유로 제조된 오수 또는 폐수처리용 미생물접촉여재 및 이를 이용한 오수 또는 폐수의 처리방법
JP3673457B2 (ja) 固液分離膜および液体の浄化方法
EP3375516A1 (en) Cesium recovery member and cesium recovery method
JP6429544B2 (ja) 固液分離フィルター材
JP2005246206A (ja) 微生物処理用成形体及び生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