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742B1 - 신호 전달회로 - Google Patents

신호 전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742B1
KR101033742B1 KR1020090045617A KR20090045617A KR101033742B1 KR 101033742 B1 KR101033742 B1 KR 101033742B1 KR 1020090045617 A KR1020090045617 A KR 1020090045617A KR 20090045617 A KR20090045617 A KR 20090045617A KR 101033742 B1 KR101033742 B1 KR 10103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voltage
path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096A (ko
Inventor
박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74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38Special circuits to enhance selectivity of receiv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신호전달 경로를 구비한 경우에, 각 경로가 신호의 전달에 영향을 서로 주지 않아서, 각각의 경로별로 신호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신호 전달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력단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출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신호 전달경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 전달경로의 신호전달을 중지시키기 위한 경로 인에이블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는 증폭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입력단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출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신호 전달경로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를 제공한다.
튜너, 고주파, 다이오드, 증폭, 노이즈.

Description

신호 전달회로{SIGNAL TRANSFERRING CIRCUIT}
본 발명은 무선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무선 전자기기가 개발되고,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출장치가 있고, 무선신호를 수신받는 수신장치가 있다. 송출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고주파와 결합시키는 복조과정을 통해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한다. 수신장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변조과정을 거쳐서 원하는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내부에서 사용한다.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방송국에서는 초단파(VHF)·극초단파(UHF)의 전파를 시청자에게 송출한다. 최근 도심지에서는 항공기·자동차·고속철도·전철 등 교통기관의 혼잡, 고층빌딩의 증가에 따라 빈번하게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에 의해,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신호가 제대로 수신장치인 텔레비젼 단말기에 제대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는 텔레비젼 단말기에서 있는 무선신호 수신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노이즈가 많은 경우에 이를 제거하고 증폭시키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신호 수신장치는 노이즈가 많아 제대로 화면에 영상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원래의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신호 수신장치는 입력된 신호가 노이즈가 없는 경우에는 원래의 수신된 신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만약 노이즈가 별로 없는 상태에서는 수신된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증폭하게 되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여 오히려 제대로 영상이 나오지 않게 되기 때문에 노이즈가 없는 경우에는 증폭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수신장치의 기능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텔레비젼의 경우 이외에도 라디오나 기타 다른 장치에서도 빈번하게 적용되고 있다.
무선신호 수신장치가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부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2가지로 구비해야 하는데, 이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해야 하며, 한쪽이 ON 이며 다른 한쪽은 반드시 OFF 가 되어야지 신호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 진다. 이때 구비되는 2개의 경로가 서로 영향을 미치거나 간섭이 발생하면 신호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수신 장치가 오동작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신호전달 경로를 구비한 경우에, 각 경로가 신호의 전달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서, 각각의 경로별로 신호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신호 전달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력단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출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신호 전달경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 전달경로의 신호전달을 중지시키기 위한 경로 인에이블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증폭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입력단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출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신호 전달경로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2개의 직렬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1 회로; 출력단과 상기 제1 회로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직렬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2 회로;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1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3 회로;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1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4 회로; 및 상기 제3 회로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4 회로로 전달하기 위한 증폭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달회로는 구비된 2개의 신호전달경로가 다른 신호전달경로의 신호전달동작에 영향을 실질적으로 주지 않아서, 각각의 경로별로 신호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달회로를 이용하게 되면, 다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회로 또는 장치를 꾸밀 때 동작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달회로를 이용하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신호를 다수의 경로를 이용하여 전달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특히 고주파 무선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기 위한 고주파 수신장치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고주파 수신장치는 안테나(ANT), 고주파 필터부(10), 신호 전달부(20), 및 튜너(30)를 구비한다. 안테나(ANT)는 고주파 신호를 수신받아 고주파 필터부(10)로 전달한다. 고주파 필터부(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전달되는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요한 성분의 신호만 남도록 하여 신호 전달부(20)로 전달한다.
신호 전달부(20)는 고주파 필터부(10)에서 제공되는 필터링된 신호를 2가지 경로(X,Y)를 선택하여 전달한다. 제1 경로(X)는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그대로 출력단(OUT)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경로(Y)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줄이는 증폭회로(21)을 구비하여, 입력단(IN)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단(OUT)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튜너(30)는 신호 전달부(2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특히, 도1에 도시된 수신장치는 DTV 장치에 적용이 될 수 있다.
신호 전달부(20)에서 제1 경로(X)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를 통과 모드(Through Mode)라고 하며, 제2 경로(Y)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LNA 모드(Low noise amplification mode)라고 한다. 이 2개의 모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선택된다. 이렇게 2가지 경로를 구비하고 있는 이유는 고주파 수신장치에서 수신하는 신호가 노이즈 성분이 많을 경우에는 제2 경로(Y)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튜너(30)로 전달하게 하고, 노이즈 성분이 없을 경우에는 제1 경로(X)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튜너(30)으로 전달하게 하여, 튜너(30)에서는 노이즈가 없는 신호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 경로(X)를 구비하는 이유는 노이즈가 없는 신호인 경우에 증폭을 하게 되면, 오히려 튜너(30)에서 처리한 신호가 덜 선명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2는 도1의 신호 전달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전달부(20)의 입력단(IN)과 출력단(OUT)에는 각각 캐패시터(C33,C34)가 배치되어 있고, 제1 경로(X)에는 다이오드(D2,D4)가 있 다. 저항(R1,R22)과 보조전압(+5V)은 제1 경로(X)의 내부 노드에 DC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캐패시터(C30)는 보조전압(+5V)의 안정성을 위한 것이다.
제2 경로(Y)에는 다이오드(D9,D10), 캐패시터(C31,C32), 증폭회로(21)가 있다. 저항(R23,R24, R32,R33)은 제2 경로(Y)의 스위치 신호(SW)에 응답하여 각 노드에 예정된 DC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인덕턴스(L15)는 스위치 신호(SW)에 응답하여 증폭회로(21)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캐패시터(C35)는 스위치 신호(SW)의 안정성을 위해 구비된 것이다.
스위치 신호(SW)가 접지전압을 유지하게 되면, 노드(A)는 보조전압(+5V)과 저항(R1,R22)에 의해 2.5V의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저항(R1,R22)은 같은 저항값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노드(B)와 노드(C)는 접지전압을 유지하고, 그로 인해 다이오드(D9,D10)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저항(R32,R33)으로 인해 다이오드(D2,D4)의 양단전압이 다이오드(D2,D4)를 활성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 입력단(IN)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제1 경로(X)를 통해 출력단(OUT)으로 전달된다.
스위치 신호(SW)가 5V 전압이 되면, 노드(A)는 보조전압(5V)과 저항(R1,R22)에 의해 2.5V의 전압이 인가된다. 노드(B)와 노드(C)는 5V의 전압레벨을 유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다이오드(D9,D10)가 활성화 상태가 된다. 다이오드(D9,D10)의 양극 쪽은 5V가 되고, 다이오드의 특성상 0.7V가 떨어진 4.3V의 전압이 다이오드(D9,D10)의 음극 쪽에 걸리게 되어, 다이오드(D2,D4)는 비활성화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입력단(IN)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제2 경로(Y)를 통해 출력 단(OUT)로 전달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신호 전달부(20)는 노드(A) 지점에 항상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만약 스위치 신호(SW)가 접지전압에서 5V 로 변화는 시점이 지연되거나 하게 되면, 예정된 경로로 데이터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즉, 신호 전달부(20)를 구성하는 다이오드 양단의 전압차이가 예정된 상태로 되지 않아, 제2 경로(Y)로 신호가 전달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1경로(X)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모드 대로 동작하지 않게 되어 튜너(30)로 제공한 신호에 노이즈 성분이 제대로 걸지지지 않게 된다.
또한, LNA 모드, 즉 제2 경로(Y)를 통해 신호를 전달시키는 모드일 때에, 다이오드(D2,D4)가 비활성화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다이오드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 특성상 600MHz ~ 800MHz 대역에서 원래 신호대비 10 ~ 15dB 수준정도의 신호가 스루 모드때의 신호 경로로 유기되어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경로(Y)로 전달되는 신호중 일부신호는 제1 경로(X)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대로 원활하게 신호가 처리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입력단(IN)에서 제1 경로(X) 방향으로 신호가 부적절하게 이동하는 경우와 다이오드(D14)의 음극 쪽에서 제1 경로(X) 방향으로 신호가 부적절하게 이동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호 전달부(20)에서 2가지 경로를 선택하여 신호를 전달시킬 때,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 이외의 경로에는 신호가 실질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회로를 제안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는 입력단(IN)에 인가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경로부(100), 입력단(IN)에 인가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경로부(200)와, 스위치 신호(SW)에 응답하여 제1 경로부(10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경로 인에이블부(300)를 구비한다. 제2 경로부(200)는 제2-1경로부(210), 증폭회로(220), 제2-2경로부(230)를 구비한다. 증폭회로(220)는 제2 경로를 통과하는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를 에정된 레벨로 증폭시키기 위한 것이다.
경로 인에이블부(300)는 스위치 신호(SW)에 응답하여 제1 경로부(100)가 비활성화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경로 인에이블부(300)에 의해, 제1 경로부(100)와, 증폭회로(220)는 스위치 신호(SW)의 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스위치 신호(SW)가 증폭회로(220)를 활성화시키는 레벨에서는 경로 인에이블부(300)가 제1 경로(100)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신호 전달회로에 경로 인에이블부(30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서, 제1 경로부(100)와 제2 경로부(200)가 서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3의 신호 전달회로를 도1의 고주파 전달회로에 적용하게 되면, 입력되는 신호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정해진 경로를 통해서만 전달이 된다. 그 고주파 전달회로를 사용한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신뢰성있게 동작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는 제1 경로부(100)와, 제2 경로부(200), 및 경로 인에이블부(300)를 구비한다. 제1 경로부(100)는 제1 신호 전달부(110), 제2 신호 전달부(120), 및 DC 전압 제공부(130)를 구비한다. 제1 신호 전달부(110)는 다이오드(D11,D15)를 포함한다. 제2 신호 전달부(120)는 다이오드(D16,D12)를 포함한다. DC 신호 제공부(130)는 저항(R25,R26)을 포함한다.
제2 경로부(200)는 제3 신호전달부(210), 증폭회로(220), 및 제4 신호전달부(220)를 구비한다. 제3 신호전달부(210)는 다이오드(D13), 캐패시터(C37), 및 저항(R27)를 구비한다. 제4 신호전달부(220)는 다이오드(D14), 캐패시터(C38), 및 저항(R28)를 구비한다. 경로 인에이블부(300)는 저항(29)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를 구비한다. 또한 제2 경로(200)는 스위치 신호(SW)를 인가받아 증폭회로(220)에 전달하기 위한 인덕터(L16)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는 입력단(IN)에 캐패시터(C36)를 구비하고, 출력단(OUT)에 캐패시터(C40)를 구비하고, DC 루프회로 형성을 위해 캐패시터(C36)와 캐패시터(C40)에 각각 연결된 저항(R30,R3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의 첫번째 특징은 제1 신호 전달부(110)와 제2 신호 전달부(120)에 각각 2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두번째 특 징은 경로 인에이블부(300)에 있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스위치 신호(SW)가 5V의 전압레벨을 가질 때 노드(A)의 전압은 접지전압을 유지하는 것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신호 전달회로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계속해서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도4의 신호 전달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통과모드(Through mode)인 경우 보조전압(+5V)은 5V를 유지하고, 스위치 신호(SW)는 접지전압을 유지한다. 따라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를 유지한다. 보조전압(+5V)에 의해 노드(A)는 2.5V를 유지한다. 여기서 저항(R25,R26)은 같은 저항값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노드(B)와 노드(C)는 접지전압을 유지하고, 그로 인해 다이오드(D13,D14)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저항(R31,R32)으로 인해 다이오드(D11,D12, D15,D16)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입력단(IN)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제1 경로(X)를 통해 출력단(OUT)으로 전달된다.
한편, LNA 모드인 경우에 스위치 신호(SW)가 5V 전압이 되면, 노드(B)와 노드(C)는 5V의 전압레벨을 유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다이오드(D13,D14)가 활성화 상태가 된다. 다이오드(D13,D14)의 양극 쪽은 5V가 되고, 다이오드의 특성상 0.7V가 떨어진 4.3V의 전압이 다이오드(D13,D14)의 음극 쪽에 걸리게 되어, 다이오드(D11,D12, D15,D16)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입력단(IN)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제2 경로(Y)를 통해 출력단(OUT)로 전달된다. 또한 스위치 신호(SW)의 전압레벨이 5V이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노드(A)의 전압을 접지전압 레벨로 유지시킨다. 다이오드(D15,D16)의 양극 쪽의 전압이 접지전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1 경로(X)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도4에 도시된 신호 전달회로의 제1 경로부(100)에는 2개의 다이오드가 각각 입력단(IN) 방향과 출력단(OUT) 방향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LNA 모드에서는 각각 직렬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D11과 D15 또는 D12와 D16)에 역방향 상태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서 제1 경로로 신호의 일부라도 전해지는 경우가 없다. 즉, 도2의 회로에서 문제가 되었던 제2 경로(Y)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 일부 신호가 제1 경로(X)로 전달되는 문제가 없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회로는 제1 경로부에 적어도 2개의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고, 제1 경로부의 활성화여부를 제어하는 경로 인에이블부(300)를 구비하여, 제2 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에는 신호가 제1 경로부를 통과하는 경우를 없앨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회로를 도1의 고주파 수신장치에 적용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의한 경로를 통과한 신호만이 튜너에 전달이 되기 때문에, 튜너의 동작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특별히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회로를 DTV에 적용하게 되면, 튜너의 동작결과 제공되는 신호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의한 경로를 통과한 신호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DTV의 동작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40MHz ~ 900MHz의 범위를 가지는 신호를 입력받고 전달하는데 적합한 회로들이다. 특히, 고주파로 분류되는 600MHz 이상의 대역에서 신호를 입력받고 전달하는데 적합한 회로들이다. 또한,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입력받 아 전달하는데 적합한 회로들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특히 도6은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를 다른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한 블럭도이다. 참고로, 도6에 있는 각 블럭은 도4의 회로도에 있는 각 소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같은 블럭은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는 제1 회로(110), 제2 회로(120), 제3 회로(210), 제4 회로(230), 및 증폭회로(2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는 제1 연결부(410), 제2 연결부(420), 제1 DC 전압 연결부(130), 제2 DC 전압 연결부(240,250), 및 경로 인에이블부(300)를 포함한다.
제1 회로(110)는 입력단(IN)에 연결되며, 적어도 2개의 직렬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제2 회로(120)는 출력단과 제1 회로(110)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직렬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제3 회로(210)는 입력단(IN)에 연결되며, 적어도 1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제4 회로(230)는 출력단(OUT)에 연결되며, 적어도 1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증폭회로(220)는 제3 회로(210)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제4 회로(230)로 전달한다. 제1 연결부(410)는 입력단(IN)과 접지전압 공급단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4의 경우처럼 하나의 저항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420)는 출력단(OUT)과 접지전압 공급단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4의 경우처럼 하나의 저항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1 DC 전압 제공부(130)는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12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1 DC 전압을 제공한다. 제1 DC 전압 제공부(130)는 도4의 경우처럼 일정한 전압레벨을 유지하는 구동전압(+5V)을 분배하여 제1 DC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직렬연결된 적어도 2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2 DC 전압 제공부(240,250)는 증폭회로(220)를 활성화시키고, 제3 회로(210)와 제4 회로(23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DC 전압을 제공한다. 제2 DC 전압 제공부(240,25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경로 인에이블부(300)는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120)에 디스에이블 전압을 제공한다. 경로 인에이블부(300)는 제2 DC 전압을 인가받아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120)의 공통노드에 디스에이블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는 도4에서처럼 바이폴라 NPN 타입의 트랜지스터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에이블 전압은 도4의 경우처럼 접지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2 DC 전압은 제어전압(SW)이 입력되어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압된 상태의 전압을 말한다.
도6이 회로는 모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이며, 특히 40MHz ~ 900MHz의 범위를 가지는 신호를 입력받고 전달하는데 적합한 회로들이다. 특히, 고주파로 분류되는 600MHz 이상의 대역에서 신호를 입력받고 전달하는데 적합한 회로들이다. 또한,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입력받아 전달하는데 적합한 회로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첫번째 경로에 배치된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120)에는 각각 두개의 다이오드를 배치하고, 증폭회로가 있는 두번째 경로에 배치된 제3 회로(210)와 제4 회로(230)는 하나의 다이오드를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LNA 모드에서 증폭회로(220)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경우에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120)로 신호의 일부가 전달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120)에 각각 2개의 다이오드를 직렬연결한 형태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제1 DC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LNA 모드에서는 입력단에서 제1 회로로(110) 또는 출력단에서 제2 회로(120)로 신호가 통과되는 경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LNA 모드에서 증폭회로(220)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LNA 모드에서 입력단에 입력된 신호는 모두 증폭회로(220)를 통과하여 출력단으로 출력이 된다. 그러므로, LNA 모드에서 제1 회로(110) 또는 제2 회로(120)로 신호가 누수되는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2는 도1의 신호 전달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신호 전달회로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표.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주파 필터부 20: 신호 전달회로
30: 튜너

Claims (18)

  1. 입력단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출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신호 전달경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 전달경로의 신호전달을 중지시키기 위한 경로 인에이블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증폭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입력단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출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신호 전달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전달경로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DC 전압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1신호 전달경로;
    상기 제2-1 신호 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상기 증폭회로 및
    상기 DC 전압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증폭회로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2 신호 전달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신호 전달경로는
    상기 증폭회로와 상기 입력단 사이에 배치된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증폭회로 사이에 배치된 제1 캐패시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캐패시터 사이 노드에 전달하기 위한 제1 저항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40MHz ~ 900MHz의 범위인 신호 전달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과 접지전압 공급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저항; 및
    상기 출력단과 상기 접지전압 공급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저항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전달경로는
    상기 입력단에 인가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1 신호 전달부;
    상기 제1-1 신호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2 신호 전달부; 및
    상기 제1-1 신호 전달부와 상기 제1-2 신호 전달부 사이에 배치되며, 구동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제1-1 신호 전달부 및 상기 제1-2 신호 전달부에 DC 전압을 제공하는 DC 전압 제공부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압 제공부는 상기 구동전압의 공급단과 접지전압 공급단 사이에 배치된 직렬연결된 적어도 2개의 저항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인에이블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베이스단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1 경로상의 노드에 디스에이블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신호 전달경로는
    상기 증폭회로와 상기 출력단 사이에 배치된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증폭회로 사이에 배치된 제2 캐패시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제2 캐패시터 사이 노드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저항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신호 전달부는
    직렬연결된 적어도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신호 전달부는
    직렬연결된 적어도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13. 입력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2개의 직렬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1 회로;
    출력단과 상기 제1 회로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직렬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2 회로;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에 디스에이블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로 인에이블부;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1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3 회로;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1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4 회로;
    상기 제3 회로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4 회로로 전달하기 위한 증폭회로 ;
    상기 입력단과 접지전압 공급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
    상기 출력단과 상기 접지전압 공급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로와 제2 회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1 DC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1 DC 전압 제공부;
    상기 증폭회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3 회로와 상기 제4 회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DC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2 DC 전압 제공부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전압 제공부는
    일정한 전압레벨을 유지하는 구동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제1 DC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직렬연결된 적어도 2개의 저항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17. 삭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인에이블부는
    상기 제2 DC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의 공통노드에 상기 디스에이블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회로.
KR1020090045617A 2009-05-25 2009-05-25 신호 전달회로 KR10103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617A KR101033742B1 (ko) 2009-05-25 2009-05-25 신호 전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617A KR101033742B1 (ko) 2009-05-25 2009-05-25 신호 전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96A KR20100127096A (ko) 2010-12-03
KR101033742B1 true KR101033742B1 (ko) 2011-05-09

Family

ID=4350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617A KR101033742B1 (ko) 2009-05-25 2009-05-25 신호 전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7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7886A1 (en) * 2004-12-15 2006-06-15 Kaylor Rosann M Sample-efficient lateral flow immunoassay
JP2009010805A (ja) 2007-06-29 2009-01-15 New Japan Radio Co Ltd 利得可変型増幅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7886A1 (en) * 2004-12-15 2006-06-15 Kaylor Rosann M Sample-efficient lateral flow immunoassay
JP2009010805A (ja) 2007-06-29 2009-01-15 New Japan Radio Co Ltd 利得可変型増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96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67017A (ja) 電力増幅・検波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送信器、送受信器
US8610495B2 (en) Adaptive filtering of blocker signals in demodulators
JP2009290411A (ja) 低雑音受信装置
US11799511B2 (en) Transceiver having radio-frequency front-end circuit, dedicated radio-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switchable matching circuit integrated in same chip
JP2008124783A (ja) フィルタ回路とこれを用いた受信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2138769A (ja) 電子チュー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033742B1 (ko) 신호 전달회로
KR10169142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장치
WO2007049934A1 (en) Tuner
KR100374571B1 (ko) 무선 단말기의 통화 신호 및 텔레비전 방송 신호 안테나공용 장치
JP2002171185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2006019885A (ja) 多段電力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信機、受信機ならびに送受信機
US6606488B1 (en) Communications receiver with intermodulation reduction, and method
JP2008035203A (ja) 電力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信機ならびに送受信機
KR20090009854A (ko) 주파수 변환 모듈 데이터 클램프
JP2004297277A (ja) 高周波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信機、受信機ならびに送受信機
KR101625673B1 (ko) Rf 신호처리 회로
JP2509493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前置増幅器
KR20110064254A (ko) Rf 신호처리 회로
KR20050048326A (ko) 증폭회로를 갖는 능동 안테나
KR20080106278A (ko) Fsk 수신기의 주파수 제한 증폭기
CN108270415B (zh) 利用baw谐振器的并联谐振的带通滤波器
JP2010004304A (ja) 電力増幅回路及び送信機並びに送受信機
US7382196B2 (en) UHF active antenna amplifier for digital video broadcast (DVB) receiver and related DVB device
JP2008512922A (ja) 複合チューナのための切換可能バンドトラッキング入力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