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598B1 -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598B1
KR101033598B1 KR20090001812A KR20090001812A KR101033598B1 KR 101033598 B1 KR101033598 B1 KR 101033598B1 KR 20090001812 A KR20090001812 A KR 20090001812A KR 20090001812 A KR20090001812 A KR 20090001812A KR 101033598 B1 KR101033598 B1 KR 10103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sing
rinsing water
tub
cours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485A (ko
Inventor
손영복
채애경
진용철
엄윤섭
김상훈
예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0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598B1/ko
Priority to CN2009102086260A priority patent/CN101705596B/zh
Priority to EP20100729347 priority patent/EP2388364B1/en
Priority to CN201080010233XA priority patent/CN103038411A/zh
Priority to PCT/KR2010/000161 priority patent/WO2010080005A2/ko
Priority to US13/144,045 priority patent/US9121122B2/en
Publication of KR2010008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6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최초헹굼코스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를 여과하여 추가헹굼코스에 필요한 헹굼수로 공급함으로써 전체 헹굼코스에 소요되는 헹굼수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 헹굼코스, 여과장치, 추가헹굼코스

Description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A Washing Machine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헹굼코스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 등을 포함하는 세탁물의 세탁, 헹굼 및 건조행정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세탁장치에는 세탁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세탁조에 다량의 세탁수를 공급한 뒤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물이 수류와 마찰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펄세이터세탁기 내지 직립형 세탁기와, 상기 캐비닛의 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상기 드럼에 세탁수를 공급한 뒤 회전 시킴으로써 세탁물의 낙차, 세탁물과 드럼의 마찰, 세탁물과 수류와의 마찰을 통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세탁기가 있다.
한편, 세탁장치는 통상 세탁물에서 오염물을 제거하는 세탁코스, 세탁행정에 사용된 세제 및 잔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헹굼코스, 세탁 또는 헹굼이 완료된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코스 및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코스을 포함한다.
상기 헹굼코스는 세탁물의 헹굼을 위한 헹굼수의 급수 및 배수를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세탁물로부터 오염물과 잔여 세제를 제거하게 된다.
헹굼수의 급수 및 배수를 반복하는 종래 세탁장치의 헹굼코스는 많은 헹굼수가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헹굼코스에서 요구되는 헹굼수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물을 헹굼하는 최초헹굼코스, 상기 헹굼코스에서 사용된 헹굼수를 여과하는 여과단계,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된 헹굼수를 급수받아 세탁물을 헹굼하는 추가헹굼코스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추가헹굼코스는 적어도 2회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초헹굼코스 및 상기 각 추가헹굼코스는 헹굼수가 터브에 공급되는 헹굼수급수단계, 상기 최초헹굼단계 및 상기 각 추가헹굼단계에 사용된 헹굼수를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헹굼수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헹굼수배출단계에 이어지고, 배출되는 헹굼수가 최종추가헹굼코스에서 배출되는 헹굼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단계는 수행된 상기 최초헹굼코스의 횟수와 수행된 추가헹굼코스 횟수의 총합을 기 설정된 헹굼코스의 총 횟수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추가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라고 판단하면 상기 여과단계를 거치지 않고 캐비닛의 외부로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최초헹굼코스에 이어서 헹굼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오염도 측정단계에 이어지고 측정된 헹굼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오염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도비교단계를 더 포함하여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기준오염도 미만인 때 상기 여과단계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오염도 이상이면 헹굼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단계에 이어서 상기 추가헹굼코스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헹굼코스는 적어도 2회의 추가헹굼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회의 추가헹굼코스 중 최종추가헹굼코스에서 배출되는 헹굼수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헹굼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를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드럼의 구동중 상기 터브의 외부로 헹굼수를 배출시켜 상기 터브의 상부로 순환공급하는 순환관, 상기 헹굼수를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터브의 내부 로 재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구비되어 헹굼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가 고정되는 캐비닛,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헹굼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공급관과 상기 순환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공급관, 상기 순환관 및 상기 배수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전체헹굼코스에서 요구되는 헹굼수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 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세탁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3), 상기 터브에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공급부(4), 상기 터브(2)에 저장된 헹굼수를 배출하는 펌프(5), 상기 펌프(5)로부터 공급되는 헹굼수의 유로를 결정하는 밸브(6), 상기 펌프(5)에 의해 공급되는 헹굼수를 여과하는 여과부(7), 상기 펌프(5)에 의해 공급되는 헹굼수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8), 상기 펌프(5)에 의해 공급되는 헹굼수를 상기 터브(2)로 재공급하는 순환관(9), 상기 밸브(6)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세탁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후술할 터브(2)가 위치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터브(2)의 고정을 위해 스프링(11)과 댐퍼(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1)은 일측이 상기 캐비닛(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2)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2)가 캐비닛(1)에 메달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댐퍼(13)는 일측이 상기 터브(2)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1)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2)를 캐비닛(1)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11)과 상기 댐퍼(13)는 세탁과정에서 유발되는 터브(2)의 진동을 흡수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2)는 상기 스프링(11)과 댐퍼(13)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세탁 및 헹굼에 필요한 헹굼수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터브(2)의 내부에는 저장되는 세탁수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21)는 세탁물의 헹굼에 사용된 헹굼수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채택하여도 무방하며, 세탁물에 존재하는 오염물에 빛이 반사되는 정도로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광센서가 그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2)에 저장된 헹굼수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터브(2)에 저장된 헹굼수가 드럼(3)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과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3)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드럼(3)의 내부에 있는 세탁물을 헹굼수와의 마찰, 드럼 내주면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헹굼수공급부(4)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2) 내부로 헹굼수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헹굼수공급부(4)는 일측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연장되어 수원으로부터 헹굼수의 유입이 가능하고, 타측은 상기 터브(2)의 상부에 연결되어 터브(2)로 헹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 다.
상기 펌프(5)는 상기 터브(2)의 내부에 있는 헹굼수를 터브(2)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일측은 상기 터브(2)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밸브(6)와 연통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세탁장치는 헹굼코스의 진행 시 헹굼수의 급수 및 배수를 반복하게 되므로 많은 헹굼수가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행굼코스에서 요구되는 헹굼수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밸브(6) 및 여과부(7)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2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밸브(6)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밸브(6)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밸브(6)는 상기 펌프(5)로부터 공급되는 헹굼수를 후술할 여과부(7) 또는 배수관(8) 또는 순환관(9)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일측은 상기 펌프(5)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여과부(7), 배수관(8) 및 순환관(9)과 연통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밸브(6)의 일례를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밸브(6)는 상기 펌프(5)에서 공급되는 헹굼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61)와 상기 유입구(61)로 유입된 헹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61)는 상기 밸브(6)가 도면상 좌우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펌프(5)에서 제공되는 헹굼수의 유입에 무리가 없도록 반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63)은 상기 유입구(61)로 유입된 헹굼수를 상기 밸브(6)의 회전에 따 라 여과부(7) 또는 배수관(8) 또는 순환관(9)과 이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61)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어부(C)가 상기 밸브(6)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여과부(7), 배수관(8), 순환관(9)으로 각각 헹굼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술한 밸브(6)의 구조는 일례일 뿐 본 발명의 밸브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므로,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당업자는 다양한 구조의 밸브를 채택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세탁장치의 여과부(7)를 설명하면, 상기 여과부(7)는 적어도 2회 이상의 헹굼코스, 즉 최초헹굼코스와 추가헹굼코스를 구비한 세탁장치에서 최초헹굼코스를 마친 뒤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헹굼수를 여과하여 이어지는 추가헹굼코스의 헹굼수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여과부(7)는 상기 밸브(6)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2)의 측면 내지 저면에 연결되는 공급관(73)과, 상기 공급관(73)에 구비되어 헹굼수를 여과하는 필터(7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 세탁장치는 최초헹굼코스에 공급되는 헹굼수를 추가헹굼코스의 헹굼수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헹굼코스에서 많은 양의 헹굼수가 사용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부의 공급관(73)은 후술할 순환관(9)과 일응 유사한 구성으로 볼 수 있으나, 후술할 순환관(9)은 헹굼코스의 진행 중에 세탁물의 상부에서 헹굼수를 공급함으로써 세탁장치의 헹굼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헹굼코스의 진행 중에는 헹굼수가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순환관(9)에 상기 필터를 구비시키게 되면 헹굼코스의 진행 중에 필터를 거친 헹굼수를 계속해서 세 탁물의 상부에 공급하게 되어 불필요한 필터링을 하게 된다는 점, 불필요한 필터링때문에 필터를 자주 갈아주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기 공급관(73)과 구별된다.
즉, 상기 공급관(73)은 최초헹굼코스에서 배출되어 추가헹굼코스에 공급되어야 하는 헹굼수만을 여과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필터링이 발생하지 않고, 불필요한 필터링에 의한 필터의 오염가능성이 없다는 점에서 후술할 순환관과 구별된다.
이하에서는 도1을 참고하여 배수관(8)과 순환관(9)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배수관(8)은 상기 밸브(6)에 의해 유입되는 헹굼수를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로가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일측은 상기 밸브(6)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관(9)은 상기 밸브(6)에 의해 유입되어 헹굼수를 상기 터브(2)의 내부로 재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순환관(9)은 헹굼코스이 진행되는 과정에 상기 터브내부에 저장된 헹굼수를 상기 드럼(3) 내부에 있는 세탁물의 상부에 공급해주는 구성이다. 이는 세탁물을 때려 빠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어 세탁장치의 헹굼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9)의 일측은 상기 밸브(6)에 헹굼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드럼(3)의 상부에서 헹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터브(2)의 상측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급관(73)과 순환관(9)의 차이는 상기 공급관(73)은 최초헹굼코스가 완료된 뒤 추가헹굼코스의 진행 전에 헹굼수가 유동하게 되는 유도인 반면, 상기 순환관(9)은 헹굼코스의 진행중 헹굼수를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상기 순환관(9)이 그 목적 상 상기 터브(2)의 상측에 연결되어 세탁물의 상부에서 헹굼수를 공급해야하는 반면, 상기 공급관(73)은 위치의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도3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도3을 참고하여 제어부를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C)는 헹굼코스가 개시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헹굼코스를 개시하라는 신호가 제어부(C)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C)는 헹굼코스에 필요한 헹굼수를 상기 헹굼수공급부(4)를 통해 상기 터브(2)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헹굼수공급부(4)를 통해 헹굼수가 터브(2)에 공급되고 나면 최초 헹굼코스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밸브(C)는 터브(2) 내부에 저장된 헹굼수가 터브(2)에서 배출되어 펌프(5), 순환관(9)을 거쳐 상기 드럼(3)의 상부에서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밸브(6)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최초헹굼코스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C)는 최초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가 상기 여과부(7)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펌프(5)와 상기 밸브(6)를 제어하게 되고, 최초헹굼코스에 이어지는 추가헹굼코스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C)는 터브(2)에 저장된 헹굼수를 상기 배수관(8)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밸브(6)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21)를 통해 최초헹굼코스의 종료 후 터브(2)에 저장된 헹굼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도4는 본 발명 세탁장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본 발명 세탁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2회 이상의 헹굼코스를 포함하고 각각 그 순서에 따라 최초헹굼코스와 최종헹굼코스로 구분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2회의 헹굼코스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최초헹굼코스의 개시를 알리는 신호가 제어부(C, 도3참고)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헹굼수공급부(4, 도1참고)를 제어하여 최초헹굼코스(S10)에 사용될 헹굼수를 상기 터브(2, 도1참고) 내부로 공급하는 헹굼수급수단계(S11)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헹굼수급수단계(S11)가 완료되면 상기 터브에 공급된 헹굼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드럼을 회전 또는 교반시키는 드럼구동단계(미도시)가 진행된다.
상기 드럼구동단계가 완료되면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를 배출하는 헹굼수배출단계(S13)가 이어진다.
상기 헹굼수배출단계(S13)가 종료되면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20)가 이어진다. 이는 최초헹굼코스에 곧바로 이어지는 추가헹굼코스에는 최초헹굼코스에서 배출되어 여과된 헹굼수를 공급하여야 하지만, 2회 이상의 추가헹굼코스를 구비한 경우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는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되는 헹굼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판단단계(S20)에서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여과단계(S30)가 이어지게 된다. 상기 여과단계(S30)은 최초헹굼코스를 비롯한 최종헹굼코스를 제외한 추가헹굼코스에서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헹굼수를 상기 필터(71)를 통해 여과하는 단계이다.
상기 여과단계(S30)에서 여과된 헹굼수는 추가헹굼코스(S40)의 헹굼수급수단계(S41)를 통해 세탁물에 공급되고, 이후 상술한 바 있는 드럼구동단계를 거치게 되며, 상기 드럼구동단계가 종료되면 추가헹굼코스에서 사용된 헹굼수를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헹굼수배출단계(S43)가 이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헹굼수배출단계(S43)에서 헹굼수가 배출되면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판단단계(S20)를 통해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
앞서 전제한 바와 같이 2회의 추가헹굼코스만을 구비한 경우라면, 상기 판단단계(S20)는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된 헹굼수가 아니라고 판단할 것이므로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한번더 추가헹굼코스를 진행하여 세탁물을 헹굼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판단단계(S20)에서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라고 판단하게 되면, 캐비닛의 외부로 헹굼수를 배출하여 버리는 배수단계(S50)가 이어진 뒤 세탁장치의 제어가 종료된다.
도5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본 발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비해 오염도측정단계(S200)와 오염도비교단계(S300)를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이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각 코스 및 각 단계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는 코스 및 단계는 그 역할이나 효과가 동 일하다.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최초헹굼코스(S100)의 헹굼수배출단계(S130)에 이어서 상기 센서(21)를 통해 헹굼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단계(S2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오염도측정단계(S200)는 세탁물의 오염정도가 심하여 후술할 여과단계(S700)를 통해 여과하더라도 추가헹굼코스(S500)에서 헹굼수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세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단계이다.
즉, 상기 오염도측정단계(S200)는 상기 터브(2)에 저장된 헹굼수의 오염도를 센서(21)를 통해 측정하고, 상기 오염도측정단계(S200)에 이어지는 오염도비교단계(S300)에서 측정된 오염도와 기 설정된 기준오염도를 비교하게 된다.
만약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오염도 미만인 경우에는 여과단계(S700)가 이어지고, 상기 여과단계(S700)에서 여과된 헹굼수가 추가헹굼코스(S500)의 헹굼수급수단계(S510)를 통해 상기 터브(2)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오염도비교단계(S300)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 이상이라고 판단하게 되면,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배수관(8, 도1참고)을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S400)가 이어지게 된다. 추가헹굼코스(S500)에 사용될 헹굼수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배수단계(S400) 이후에는 추가헹굼코스(S500)가 진행되게 되는데, 추가헹굼코스에 필요한 헹굼수는 헹굼수공급부(4, 도1참고)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에서 공급되어 헹굼수급수단계(S510)가 진행되게 된다.
상기 추가헹굼코스(S500)의 헹굼수급수단계(S510)가 완료되면 드럼구동(미도시)을 통해 세탁물을 헹굼하고, 이후 추가헹굼코스에서 사용된 헹굼수가 배출되는 헹굼수배출단계(S530)가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헹굼수배출단계(S530) 이후에는 배출되는 헹굼수가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되는 헹굼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가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앞서 설명한바 있듯이 2회 이상의 추가헹굼코스를 포함하는 경우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는 여과단계(S700)를 거치지 않고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최종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가 아닌 경우에는 여과단계(S700)를 거쳐 최종헹굼코스에 사용될 헹굼수가 공급되는 헹굼수급수단계(S510)에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최초헹굼코스(S100)에서 배출된 헹굼수를 여과부(7)의 필터(71)를 통해 여과시킨 뒤 이어지는 추가헹굼코스(S500)에서 요구되는 헹굼수로 재활용함으로써 헹굼코스에 사용되는 헹굼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최초헹굼코스에 사용된 헹굼수의 오염도가 기준오염도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헹굼수로 재활용하지 않도록 하여 헹굼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개념도이다.
도2는 제어밸브 일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3은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도5는 본 발명 세탁장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차도 이다.

Claims (15)

  1. 헹굼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를 여과한 뒤 상기 터브에 재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를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킨 뒤 상기 터브에 재공급하는 순환관을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물을 헹굼하는 최초헹굼코스;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최초헹굼코스에서 사용된 헹굼수를 여과하는 여과단계;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된 헹굼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헹굼하는 추가헹굼코스;
    상기 최초헹굼코스 또는 상기 추가헹굼코스의 실행 중 진행되고,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터브 내부의 헹굼수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헹굼코스는 적어도 2회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헹굼코스 및 상기 각 추가헹굼코스는 헹굼수가 터브에 공급되는 헹굼수급수단계;
    상기 최초헹굼코스 및 상기 각 추가헹굼코스에 사용된 헹굼수를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헹굼수배출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배출단계에 이어지고, 배출되는 헹굼수가 최종추가헹굼코스에서 배출되는 헹굼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최초헹굼코스와 상기 추가헹굼코스의 실행횟수의 총합을 기 설정된 헹굼횟수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추가헹굼코스에서 배출된 헹굼수라고 판단하면 상기 여과단계를 거치지 않고 캐비닛의 외부로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헹굼코스에 이어서 헹굼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측정단계에 이어지고 측정된 헹굼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오염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도비교단계;를 더 포함하여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기준오염도 미만인 때 상기 여과단계로 이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오염도 이상이면 헹굼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단계에 이어서 상기 추가헹굼코스가 진행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헹굼코스는 적어도 2회의 추가헹굼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회의 추가헹굼코스 중 최종추가헹굼코스에서 배출되는 헹굼수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1. 헹굼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를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드럼의 구동중 상기 터브의 외부로 헹굼수를 배출시켜 상기 터브의 상부로 순환공급하는 순환관;
    상기 헹굼수를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터브의 내부로 재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구비되어 헹굼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가 고정되는 캐비닛;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헹굼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과 상기 순환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상기 순환관 및 상기 배수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
KR20090001812A 2009-01-09 2009-01-09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3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1812A KR101033598B1 (ko) 2009-01-09 2009-01-09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09102086260A CN101705596B (zh) 2009-01-09 2009-10-19 洗衣装置及其控制方法
EP20100729347 EP2388364B1 (en) 2009-01-09 2010-01-11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080010233XA CN103038411A (zh) 2009-01-09 2010-01-11 洗衣机及其控制方法
PCT/KR2010/000161 WO2010080005A2 (ko) 2009-01-09 2010-01-11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144,045 US9121122B2 (en) 2009-01-09 2010-01-11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1812A KR101033598B1 (ko) 2009-01-09 2009-01-09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485A KR20100082485A (ko) 2010-07-19
KR101033598B1 true KR101033598B1 (ko) 2011-05-11

Family

ID=4231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1812A KR101033598B1 (ko) 2009-01-09 2009-01-09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21122B2 (ko)
EP (1) EP2388364B1 (ko)
KR (1) KR101033598B1 (ko)
CN (2) CN101705596B (ko)
WO (1) WO20100800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98B1 (ko) 2009-01-09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8554A (ko) * 2010-07-17 2012-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및 세탁기
CN104060435B (zh) * 2013-03-18 2017-09-29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洗衣控制方法和洗衣机
CN104294530B (zh) * 2013-06-28 2018-06-08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洗衣控制方法和洗衣机
WO2015035607A1 (en) * 2013-09-13 2015-03-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Washing machine including integral filter module
CN104862922A (zh) * 2014-02-25 2015-08-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4975460B (zh) * 2014-04-03 2017-01-25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具有过滤水循环系统的洗衣机的控制方法
JP2016073416A (ja) * 2014-10-06 2016-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683A (ja) * 1995-05-12 1996-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機
JPH09173689A (ja) * 1995-12-06 1997-07-08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stici Spa 洗濯機
KR19980084162A (ko) * 1997-05-21 1998-12-05 윤종용 세탁기의 활성탄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00200778B1 (ko) * 1996-01-11 1999-06-15 윤종용 절수형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26019A (en) * 1934-01-18 1935-03-26 Edmund Struckma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aundry washing machines
US3170314A (en) * 1963-08-12 1965-02-23 Gen Electric Washing system for economizing on water usage
GB1401426A (en) * 1971-07-08 1975-07-16 Wira & Mather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n a rinsing or washing process should be terminated
CN85101972A (zh) * 1985-04-01 1986-09-03 郭科林 多功能清洗机
DE4023024A1 (de) * 1990-07-19 1992-01-23 Gut Ges Umweltschonende Tech Waschverfahren und waschmaschine mit mehrfachverwendung von wasch- und spuelflotten
US5285665A (en) * 1992-12-18 1994-02-15 Hetrick Jr Carl L Washing machine water recycling apparatus
KR200149370Y1 (ko) * 1995-03-31 1999-06-15 전주범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DE19710078C2 (de) * 1996-05-08 2003-04-10 Miele & Cie Verfahren zum Spülen von Wäsche, insbesondere in einer Haushaltswaschmaschine
JP2001113080A (ja) * 1999-10-15 2001-04-24 Mitsubishi Heavy Ind Ltd 水洗機の給水方法
US20030213069A1 (en) * 2002-05-20 2003-11-20 Tortorici Paul Lee System and method of surfactant dosing
JP2008154656A (ja) * 2006-12-21 2008-07-10 Sanyo Electric Co Ltd 洗浄装置における水再利用方法及び洗濯機
KR101033598B1 (ko) * 2009-01-09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683A (ja) * 1995-05-12 1996-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機
JPH09173689A (ja) * 1995-12-06 1997-07-08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stici Spa 洗濯機
KR100200778B1 (ko) * 1996-01-11 1999-06-15 윤종용 절수형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84162A (ko) * 1997-05-21 1998-12-05 윤종용 세탁기의 활성탄재생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485A (ko) 2010-07-19
US20120011660A1 (en) 2012-01-19
EP2388364B1 (en) 2015-03-04
US9121122B2 (en) 2015-09-01
WO2010080005A3 (ko) 2013-01-17
EP2388364A4 (en) 2013-12-25
CN101705596A (zh) 2010-05-12
WO2010080005A2 (ko) 2010-07-15
EP2388364A2 (en) 2011-11-23
CN101705596B (zh) 2011-12-14
CN103038411A (zh)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598B1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312582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340715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EP233905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irculating cleaning water for drum washing machine
US20100122421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534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17338583C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240262B1 (ko)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TWI601865B (zh) Drum washing machine
KR10148753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AU201733858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JP2017006574A (ja) 洗濯機
JP451078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7407986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40084952A (ko) 히팅 세탁 제어 방법
KR10117741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32089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120575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59878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JP2017055926A (ja) 洗濯機
KR20060100608A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 방법
KR20130077988A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 방법
KR20060036742A (ko) 세탁기의 탈수방법
KR20100078394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087362A (ko)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