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322B1 -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322B1
KR101031322B1 KR1020090044661A KR20090044661A KR101031322B1 KR 101031322 B1 KR101031322 B1 KR 101031322B1 KR 1020090044661 A KR1020090044661 A KR 1020090044661A KR 20090044661 A KR20090044661 A KR 20090044661A KR 101031322 B1 KR101031322 B1 KR 10103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pan
coating
coating solution
foreign materia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788A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4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3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39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ntrol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2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 B05C1/08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being passed between the coating roller and one or more backing roller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강판 후처리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립팬 내부에 픽업롤 축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코팅용액이 공급되는 코팅롤 드립팬과; 상기 코팅롤 드립팬으로부터 흘러나온 코팅용액의 상부측 수지이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드립팬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수지이물 배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드립팬 내부에는 다수의 경사구배를 갖는 겔컬렉트 드립팬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겔컬렉트 드립팬의 경사구배 저점부위에 관통되어 형성된 컬렉트홀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가 삽입 설치되어 겔컬렉트 드립팬상에 침전된 겔이물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44661
도금강판, 수지코팅, 수지픽업, 드립팬, 픽업롤

Description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resin foreigner in coating solution of strip}
본 발명은 수지이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판 도금공정의 후처리 공정인 수지코팅시 발생되는 수지이물로 인한 강판 품질 결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수지이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이루어지는 강판 도금공정은 후처리 공정으로 내지문 수지코팅, 유기 수지코팅, 금속성 수지용액인 연료탱크용 수지코팅 등의 강판 수지코팅 공정이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연료탱크 금속성수지 피복강판은 아연-니켈(Zn-Ni) 전기도금강판에 주재료 CrO3, 경화재 실레인(Sillane), 기타 인산, 실리카(Silica) 등으로 된 도포형 1차 코팅용액을 코팅하고 건조한 후, 그 상층에 주재료 페녹시(Phenoxy), 경화재 멜라민(Melamine), 기타 실리카(Silica), 금속 파우더(Powder) 등으로 된 2차 금속성 수지를 코팅하고 있다.
이와 같은 1, 2차 코팅용액으로 코팅된 강판은 Pb-Sn 합금 도금의 대용강판 으로 납 성분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내식성을 갖추고, 특히 가공 후의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으로 제조된다.
도 1은 종래의 수지용액 코팅 장치의 개략도로서, 도 1의 도시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지용액 코팅 공정은 예컨대, 수지용액(코팅용액)이 채워진 드립팬(10)에 일부 침지된 픽업롤(14), 상기 픽업롤(14)에 맞닿게 배치된 트랜스퍼롤(13), 실질적으로 코팅용액을 강판(1)에 코팅하는 어플리케이터롤(11) 및 코팅되는 강판(1)을 지지 이송시키는 백킹롤(2)로 이루어진 코팅 장치를 통하여 도금처리 강판(1)을 원하는 성질의 수지로 코팅 처리하고, 코팅된 강판(1)을 오븐, 수냉대 및 건조기 등으로 차례로 통과시키는 과정을 통해 수행되고 있으며, 강판의 코팅 작업시 코팅롤의 주속비와 닙(NIP)압에 의해 통상 800~2000mg/m2의 양으로 코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지코팅 작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드립팬(10)과 순환탱크(8) 내부의 수지용액에는 용액 특유의 금속성 성분에 따라 금속성 성분의 침전 및 응고 등에 의해 미세 겔(Gel; 덩어리)이물(12)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지용액에서 생성되는 겔이물(12)은 수지용액의 순환 과정에서 드립팬(10)의 가장자리에 누적되어 층을 이루게 되며, 강판 코팅롤 즉, 픽업롤(14)과 트랜스퍼롤(13) 및 어플리케이터롤(11)에 부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강판(1)의 표면에는 겔이물(12)이 부착되며, 강판(1)에 부착된 겔이물(12)은 여러 공정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지픽업(5)으로 발생되어 강판의 표 면에 덴트(Dent)와 같은 표면 결함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드립팬(10)의 수지코팅용액에서 생성되는 겔이물(12)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순환탱크(8)로 리턴되는 드립팬 리턴배관(7) 말단부에 간이필터(미도시)를 설치하여 겔이물(12) 발생을 억제하고자 하였으나, 이는 매시간마다 필터를 교환해주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간이필터 소모에 따른 비용과 폐필터 처리비용이 소모되며, 필터 교환 작업중 일부가 순환탱크(8)로 유입되어 완전하게 겔이물(12)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금강판 코팅시 코팅용액에서 발생되는 이물 특히, 코팅용액 상부층에서 생성되는 수지이물과 하부층에 침적되는 겔이물의 생성 억제 및 용이 배출을 통해 코팅용액의 청정성을 유지함으로서 코팅 강판의 표면 결함 발생을 예방하고, 코팅용액은 물론 코팅롤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수지이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지이물 처리장치는 드립팬 내부에 픽업롤 축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코팅용액이 공급되는 코팅롤 드립팬과; 상기 코팅롤 드립팬으로부터 흘러나온 코팅용액의 상부측 수지이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드립팬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수지이물 배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드립팬 내부에는 다수의 경사구배를 갖는 겔컬렉트 드립팬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겔컬렉트 드립팬의 경사구배 저점부위에 관통되어 형성된 컬렉트홀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가 삽입 설치되어 겔컬렉트 드립팬상에 침전된 겔이물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코팅롤 드립팬은 단면이 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측에는 코팅용액이 공급되는 공급플로우 배관이 삽입되는 공급플로우홀이 형성된 하부드립팬과, 상기 하부드립팬의 측면에 체결되어 코팅용액이 공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드립팬과, 상기 하부드립팬의 양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유량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이물 배출부는 상부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의 오버플로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단부는 상기 코팅롤 드립팬의 상단부보다 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드립팬 내부에는 상기 코팅롤 드립팬으로부터 흘러나온 코팅용액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수지이물 배출부와 코팅롤 드립팬의 사이에 유량가이드 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드립팬에는 메쉬플레이트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메쉬플레이트홈에는 코팅용액의 압력차에 따라 드립팬의 코팅용액을 흡입하여 코팅롤 드립팬으로 공급하도록 된 메쉬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지이물 처리장치는 코팅롤 드립팬과 겔컬렉트 드립팬에 의해 3중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3중의 구조로 인하여 코팅롤 드립팬에 직접 공급되는 적정량의 청정 코팅용액으로 도금강판 코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코팅용액의 순환 흐름을 통하여 도금강판 코팅 과정에서 드립팬 내부의 코팅용액에서 발생되는 이물 특히, 코팅용액 상부층에서 생성되는 수지이물과 코팅용액 하부층에 침적되는 겔이물의 생성을 최소화하고 생성된 수지이물 및 겔이물은 용이하게 수집 및 배출시킴으로서 코팅용액의 청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지픽업으로 인한 강판 표면 품질결함 발생을 방지하고, 코팅용액은 물론 코팅롤의 오염 또 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립팬 등 코팅설비 수리나 교체 작업시에도 코팅롤 드립팬에 채워진 코팅용액을 통해 코팅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업 중단을 최소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금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겔컬렉트 드립팬에 관통 삽입되어 설치된 스크류의 회전과 드립팬 최하층부로 수집된 겔이물을 고농도폐수저장탱크로 배출하는 겔드레인배관의 설치로 세척 작업을 간편하게 짧은 시간내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설비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100)는 어플리케이터롤(11), 트랜스퍼롤(13), 픽업롤(14)로 이루어지는 코팅롤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드립팬 리턴배관(7)을 통해 순환탱크(8)로 순환되고 공급펌프(P) 가동시 드립팬 공급배관(6)을 통해 공급되는 코팅용액(9)이 유입되어지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100)는 3중의 구조에 의해 코팅용액(9)의 순환 흐름을 제어함으로서 코팅용액(9) 상부층의 수지이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 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것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100)는 코팅롤 드립팬(20)과 수지이물 배출부(18)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코팅롤 드립팬(20)은 드립팬(15) 내부에 픽업롤(14) 축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드립팬(15)은 이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드립팬 브래킷(15b)과 상기 하부드립팬 브래킷(15b)의 좌,우,전,후 측단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측면부를 이루는 메인드립팬 브래킷(15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드립팬 브래킷(15b) 하부의 전,후,좌,우 네 개소에 고정 설치된 고정프레임(21)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드립팬 브래킷(15b)은 그 중심부가 관통되어 겔드레인홀(33)이 형성되며, 상기 겔드레인홀(33)에는 겔드레인배관(34)이 나사 결합되면서 삽입되어 체결되어진다. 상기 하부드립팬 브래킷(15b)은 겔드레인홀(33)을 향하여 하향지도록 경사구배를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팅용액의 겔이물(46)이 겔드레인홀(33)에 연결 설치된 겔드레인배관(34)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드립팬(15) 내부에는 코팅롤 드립팬(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코팅롤 드립팬(20)은 일 예로 도 3의 도시와 같이 픽업롤(14) 하부에서 적정량의 코팅용액(9)을 담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져 코팅롤 드립팬(20)의 중심부에 연통되어 고정 설치된 공급플로우배관(31)을 통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코팅롤 드립팬(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코팅롤 드립팬(20)은 하부드립팬(23a) 과 측면드립팬(23b), 유량가이드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드립팬(23a)은 그 단면이 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 하부측에는 코팅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플로우배관(31)이 삽입되어질 수 있는 공급플로우홀(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펌프(P) 가동시 밸브b(32) 개방 상태에서 드립팬 공급배관(6)과 공급플로우배관(31)을 통해 공급되는 필터링된 코팅용액(9)은 우선적으로 코팅롤 드립팬(20)에 충만되도록 채워지게 된다.
상기 하부드립팬(23a)의 좌,우,전,후측 상단부에는 코팅롤 드립팬(20)에 공급되는 코팅용액(9)이 코팅롤 드립팬(20)에 가득 채워져 넘쳐 흐르게 되는 경우 코팅용액(9)이 드립팬(15) 내부를 향하는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량가이드판(22)이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유량가이드판(22)은 코팅용액(9)이 코팅롤 드립팬(20)에서 외부로 오버플로우되어 드립팬(15) 내부로 흘러가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층에 수지이물이 다량 함유된 드립팬(15) 내부의 코팅용액(9)은 코팅롤 드립팬(20)으로 흘러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드립팬(20)의 내부에는 다수의 경사구배를 갖는 겔컬렉트 드립팬(17)이 드립팬(20)의 좌,우 측면부를 이루는 메인드립팬 브래킷(15a)의 내측면 중간부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며, 일예로 겔컬렉트 드립팬(17)은 도 3과 도 4의 도시와 같이 겔컬렉트 드립팬(17)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네 방향으로 구배를 이루는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겔컬렉트 드립팬(17)은 공급플로우배관(31)이 밀폐 유지되는 상태로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또한 겔컬렉트 드립팬(17)의 경사구배 저점부위(17a)에는 겔컬렉트 드립팬(17)이 관통되 어 컬렉트홀(44)이 형성된다. 상기 컬렉트홀(44)에는 스크류(45)가 삽입 설치되어 구동부(40)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컬렉트홀(44)에 삽입 설치된 스크류(45)의 회전에 의해 겔컬렉트 드립팬(17)상에 침전된 겔이물(46)은 용이하게 하부측으로 배출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수지이물 배출부(18)는 코팅롤 드립팬(20)으로부터 흘러나온 코팅용액의 상부측 수지이물을 배출하도록 드립팬(15)과 겔컬렉트 드립팬(17)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립팬(15)을 구성하는 하부드립팬 브래킷(15b)과 상기 겔컬렉트 드립팬(17)에는 상기 수지이물 배출부(18)가 삽입되는 위치에 홀(Hole)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은 밀폐 유지를 위해 상기 수지이물 배출부(18)의 외경에 대응되는 형상의 동일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이물 배출부(18)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부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의 오버플로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드립팬(15) 내부의 코팅용액 상부층 수지이물을 흡입하도록 하부로 테이퍼진 경사구조를 갖는 오버플로우흡입관(18a)과, 상기 오버플로우흡입관(18a)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오버플로우흡입관(18a)으로 유입되는 코팅용액의 수지이물을 하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배관(18b)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버플로우배관(18b)은 드립팬 리턴배관(7)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오버플로우배관(18b)과 드립팬 리턴배관(7) 사이에 개재된 밸브a(19)의 개방시 코팅용액(9)은 오버플로우 배관(18b)을 거쳐 드립팬 리턴배관(7)으로 배출되게 된다. 드립팬 리턴배관(7)을 따라 배출되는 코팅용액(9)은 필터(미도시)를 통해 거른후 순환탱크(8)측으로 리턴되 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단부(H1)는 코팅롤 드립팬(20)의 상단부(H2)보다 낮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팅롤 드립팬(20)에 충만되어 넘쳐 흐르는 코팅용액(9)이 드립팬(15) 내부에 채워져 오버플로우관의 상단부(H1) 높이에 이르게 되면, 코팅용액(9) 상부층의 수지이물이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드립팬(15) 내부에는 상기 코팅롤 드립팬(20)으로부터 흘러나온 코팅용액(9)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량가이드 플레이트(48)가 드립팬(15) 전,후 측면을 이루는 메인드립팬 브래킷(15a)에 고정되어 수지이물 배출부(18)와 코팅롤 드립팬(20)의 사이에 설치된다.
유량가이드 플레이트(48)의 상부에는 각각 내부로 방향 설정된 컬렉트 유량가이드판(49)이 볼트 체결되며, 하부 중간부에는 유량플로우홀(47)이 형성된다. 코팅롤 드립팬(20)에서 흘러나온 코팅용액(9) 상층부 수지이물은 유량플로우홀(47) 을 통과하여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되고,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된 코팅용액(9)은 필터장치(미도시)에 의해 걸러져 순환탱크(8)로 리턴된다.
한편, 상기 하부드립팬(23a)에는 메쉬플레이트홈(5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메쉬플레이트홈(50)에는 코팅용액(9)의 압력차에 따라 드립팬(15)의 코팅용액(9)을 흡입하여 코팅롤 드립팬(20)으로 공급하도록 된 메쉬플레이트(36)가 삽입된다. 상기 메쉬플레이트(36)는 드립팬(15) 내부의 코팅용액(9)이 압력차에 따라 코팅롤 드립팬(20)으로 투과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메쉬(Stainless Mesh; SUS- Mesh)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45)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부(40)의 구조를 설명하면, 하부드립팬 브래킷(15b)의 하부면에는 모터고정 브래킷(43)이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모터고정 브래킷(43)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모터(42)의 회전축에는 모터풀리(4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크류(45)는 스크류축(24)과 풀리축(25)으로 축연결되는데, 상기 스크류축(24)과 풀리축(25)은 스크류(45)와 인접한 하부드립팬 브래킷(15b)의 하부면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진 각각의 베어링블록(28)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어링블록커버(27)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풀리축(25)의 단부에는 풀리(26)가 형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풀리(26)는 연결벨트(2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풀리(26)들중 어느 하나의 풀리(26)는 모터벨트(40b)를 통해 모터풀리(40a)와 연결되어 모터(42)의 구동시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코팅롤 드립팬(20) 외부와 유량가이드 플레이트(48) 내부의 코팅용액(9) 상층부에 발생되는 수지이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부로 침적되어 겔이물(46)로 겔컬렉트 드립팬(17)상에 쌓이는데, 이와 같이 침적되는 겔이물(46)은 모터(42)에 의한 구동으로 스크류(45)를 주기적으로 회전시켜 컬렉트홀(44)을 통해 하부드립팬 브래킷(15b)상으로 수집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집되는 겔이물(46)은 일정시간 경과시마다 주기적으로 밸브c(35)를 개방함으로서 겔드레인배관(34)을 통해 배출되게 되며, 배출된 겔이물(46)은 고농도폐수저장탱크(미도시)로 보내짐으로서 자동으로 겔이물 제거작업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코팅용액(9) 내의 겔이물(46)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서 코팅용액을 청정하게 유지하고, 겔이물(46)에 의한 수지픽업(5)과 같은 결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100)에 의해 수행되어지는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코팅작업 개시전 픽업롤(14), 트랜스퍼롤(13), 어플리케이터롤(11)은 닙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 즉 롤간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코팅작업이 시작되면 공급펌프(P)의 가동으로 순환탱크(8)로부터 코팅용액(9)이 드립팬 공급배관(6)을 따라 공급되며, 밸브b(32)는 오픈(Open)되므로 코팅용액(9)은 공급플로우배관(31)을 통해 코팅롤 드립팬(20)으로 공급된다.
코팅롤 드립팬(20)에 코팅용액(9)이 가득 챠지(Charge)되면, 코팅롤 드립팬(20)에 충만된 코팅용액(9)은 도 3에 도시된 "A" 와 같이 유량가이드판(22)의 상부로 오버플로우(Over Flow)되며, 이때, 밸브a(19)와 밸브c(35)는 클로즈(Close) 상태로 설정된다.
코팅롤 드립팬(20)에 충만된 코팅용액(9)에 담구어진 픽업롤(14)은 닙압이 걸려 트랜스퍼롤(13)과 붙게 조정되고, 트랜스퍼롤(13) 역시 어플리케이터롤(11)과 닙압이 발생하여 붙게 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롤(11)과 강판(1) 간에도 닙압이 주어져 붙도록 구동되므로, 강판(1) 표면에 코팅용액(9)을 코팅하는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이때, 코팅롤 드립팬(20)에는 코팅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코팅용액이 적정량으로 충만되어 있고, 필터 처리되어 순환탱크(8)로부터 공급되는 수지이물이 없는 청정 코팅용액이 지속적으로 코팅롤 드립팬(20)으로 직접 공급되며, 특히 코팅롤 드립팬(20)은 단면이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코팅에 필요한 최소한의 적정량만이 코팅롤 드립팬(20)에 충만되므로, 강판(1)상에 수지이물이 묻게 되어 발생되는 덴트와 같은 결함발생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코팅롤 드립팬(20)에 넘쳐 흐르는 코팅용액(9)은 유량가이드판(22)을 통해 드립팬(15)으로 배출되며, 작업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드립팬(15)으로 배출된 코팅용액(9)의 상부층에 수지이물이 발생하더라도 드립팬(15)으로 배출된 코팅용액(9)이 코팅롤 드립팬(20)으로는 유입되지 않으므로, 항상 청정 코팅용액(9)으로 강판(1)을 코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오버플로우된 코팅용액(9)은 드립팬(15)에 채워지게 되며, 수지이물 배출부(18)의 상단부(H1)까지 챠지되면, 도 3에 도시된 "B" 와 같이 수지이물 배출부(18)로 코팅용액(9)이 오버플로우된다. 수지이물 배출부(18)로 유입된 코팅용액(9)은 도 3에 도시된 "C" 와 같이 오버플로우배관(18b)을 따라 이동되어 드립팬 리턴배관(7)으로 배출되며, 필터장치(미도시)를 거친후 순환탱크(8)로 리턴(Return)되게 된다.
또한 코팅 작업이 장시간 이루어짐에 따라 코팅롤 드립팬(20) 외부와 유량가이드 플레이트(48) 내측의 코팅용액(9) 상부층 수지이물은 하부로 가라앉아 침적되어 모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침적된 겔이물(46)을 배출하도록 스크류(45)를 회전시킨다. 즉, 일정시간 이상 코팅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모터(42)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벨트(40b) 및 연결벨트(29)를 통해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류(45)에 의해 겔이물(46)은 컬렉트홀(44)을 통해 드립팬 최하층부 즉, 하부드립팬 브래 킷(15b)상으로 수집(Collect)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겔컬렉트 드립팬(17)은 다수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있으므로 스크류(45) 회전시 겔이물(46)이 경사구배의 저점부위(17a)에 형성된 컬렉트홀(44)을 통해 용이하게 드립팬(15)의 최하부층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경과시마다 주기적으로 밸브c(35)가 개방되어 드립팬(15)의 최하부층으로 수집된 겔이물(46)을 고농도폐수저장탱크(미도시)로 배출함으로서 자동으로 겔이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드립팬 브래킷(15b)은 겔드레인홀(33)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므로 겔이물(46)은 겔드레인홀(33)측으로 수집되어 겔드레인배관(34)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100)는 3중의 구조를 갖도록 드립팬(15) 내부를 구획함으로서 코팅용액(9)의 청정도를 보다 개선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드립팬(15) 내부에 코팅용액(9)이 채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코팅롤 드립팬(20)에는 코팅용액(9)이 공급되어 충만되므로 코팅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팅롤 드립팬(20)에 일시적으로 코팅용액(9)을 공급할 수 없고 드립팬(15)에만 코팅용액(9)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드립팬(15) 내부의 코팅용액(9)의 수압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D" 와 같이 코팅용액(9)이 메쉬플레이트(36)를 통해 코팅롤 드립팬(20)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일정 시간동안 문제해결을 위한 조치를 취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강판(1)에 코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코팅 작업이 모두 종료된후, 밸브c(35)를 오픈하고, 모터(42) 작동으로 스크류(45)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코팅롤 상부에 세척수를 자동 분사하면 소량의 세척수 분사에 의한 짧은 시간내에 수지이물 처리장치의 세척 작업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100)는 코팅롤 드립팬(20)과 겔컬렉트 드립팬(17)에 의해 3중의 구조를 갖도록 드립팬(15)의 내부가 구획되어 있으며, 이러한 3중 구조에 의해 코팅용액(9)의 상부측 수지이물과 하부측에 침전되는 겔이물(46)을 용이하게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수지픽업으로 인한 도금강판 표면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코팅 공정 중단의 최소화로 도금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팅설비의 유지 및 관리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지이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물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코팅롤 드립팬(20)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강판 2: 백킹롤 3: 보텀코터설비
4: 톱코터설비 5: 수지픽업 6: 드립팬 공급배관
7: 드립팬 리턴배관 8: 순환탱크 9: 코팅용액
10: 드립팬 11: 어플리케이터롤 12: 겔(Gel; 덩어리)
13: 트랜스퍼롤 14: 픽업롤 15: 드립팬
15a: 메인드립팬 브래킷 15b: 하부드립팬 브래킷 17: 겔컬렉트 드립팬 18: 수지이물 배출부 18a: 오버플로우흡입관 18b: 오버플로우배관
19: 밸브a 20: 코팅롤 드립팬 21: 고정프레임
22: 유량가이드판 23a: 하부드립팬 23b: 측면드립팬
24: 스크류축 25: 풀리축 26: 풀리
27: 베어링블록커버 28: 베어링블록 29: 연결벨트
30: 공급플로우홀 31: 공급플로우배관 32: 밸브b
33: 겔드레인홀 34: 겔드레인배관 35: 밸브c
36: 메쉬플레이트 40: 구동부 40a: 모터풀리
40b: 모터벨트 42: 모터 43: 모터고정브래킷
44: 컬렉트홀 45: 스크류 46: 겔이물
47: 유량플로우홀 48: 유량가이드 플레이트
49: 컬렉트 유량가이드판 50: 메쉬플레이트홈 100: 수지이물 처리장치

Claims (6)

  1. 드립팬 내부에 픽업롤 축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코팅용액이 공급되는 코팅롤 드립팬과; 상기 코팅롤 드립팬으로부터 흘러나온 코팅용액의 상부측 수지이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드립팬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수지이물 배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드립팬 내부에는 다수의 경사구배를 갖는 겔컬렉트 드립팬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겔컬렉트 드립팬의 경사구배 저점부위에 관통되어 형성된 컬렉트홀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가 삽입 설치되어 겔컬렉트 드립팬상에 침전된 겔이물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롤 드립팬은
    단면이 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측에는 코팅용액이 공급되는 공급플로우 배관이 삽입되는 공급플로우홀이 형성된 하부드립팬과, 상기 하부드립팬의 측면에 체결되어 코팅용액이 공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드립팬과, 상기 하부드립팬의 양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유량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이물 배출부는 상부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의 오버플로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단부는 상기 코팅롤 드립팬의 상단부보다 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팬 내부에는 상기 코팅롤 드립팬으로부터 흘러나온 코팅용액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수지이물 배출부와 코팅롤 드립팬의 사이에 유량가이드 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드립팬에는 메쉬플레이트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메쉬플레이트홈에는 코팅용액의 압력차에 따라 드립팬의 코팅용액을 흡입하여 코팅롤 드립팬으로 공급하도록 된 메쉬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KR1020090044661A 2009-05-21 2009-05-21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KR10103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661A KR101031322B1 (ko) 2009-05-21 2009-05-21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661A KR101031322B1 (ko) 2009-05-21 2009-05-21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788A KR20100125788A (ko) 2010-12-01
KR101031322B1 true KR101031322B1 (ko) 2011-04-29

Family

ID=4350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661A KR101031322B1 (ko) 2009-05-21 2009-05-21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13B1 (ko) * 2013-11-08 2015-05-07 주식회사 포스코 이중구조의 드립팬 장치 및 롤 코팅장치
KR101520827B1 (ko) * 2014-02-18 2015-05-1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코팅장치
KR102180264B1 (ko) * 2019-08-22 2020-11-24 주식회사 제이앤피산업 수분공급 롤러의 수분공급 안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983U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코터의 코팅액 저장수조 이물질 제거장치
KR100355869B1 (ko) * 1999-12-31 2002-10-12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세정장치의 역세척장치
KR100865298B1 (ko) 2002-05-17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절연 코팅롤 표면의 부착물 제거 및 코팅용액 침전방지 장치
KR20090006326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코팅용액의 이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983U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코터의 코팅액 저장수조 이물질 제거장치
KR100355869B1 (ko) * 1999-12-31 2002-10-12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세정장치의 역세척장치
KR100865298B1 (ko) 2002-05-17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절연 코팅롤 표면의 부착물 제거 및 코팅용액 침전방지 장치
KR20090006326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코팅용액의 이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788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22B1 (ko)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KR20090006326A (ko) 강판 코팅용액의 이물 처리장치
CN110757337B (zh) 一种具有水循环功能的铝合金生产用冷却装置
KR101629761B1 (ko) 이물질 제거장치
JP3339483B2 (ja) 堰部材、液槽及び物品処理装置
US3468783A (en) Electroplating apparatus
KR102173304B1 (ko) 강판 코팅롤 클리닝장치
CN211637167U (zh) 一种减少涂液沉积的积液盘、装置及辊涂机
JP3554696B2 (ja) 液体による物品処理装置
CN220224285U (zh) 一种自动循环的热镀锌水洗池
JP3178604B1 (ja) 液 槽
CN209836000U (zh) 一种玻璃纤维拉丝涂油装置
CN211921729U (zh) 一种便于更换电镀溶液的电镀槽
KR101602856B1 (ko) 필터장치 및 강판 도금 장치
CN219586230U (zh) 一种电镀处理除油装置
CN220724302U (zh) 镀锌带钢管加工用冷却装置
CN215628230U (zh) 一种高速公路护栏用热镀锌装置
CN220618711U (zh) 一种防止污泥淤积的排泥水调节池挡板
CN216986547U (zh) 一种热浸镀锌助镀剂循环装置
CN220695935U (zh) 高效排泥的平流沉淀池
CN219150957U (zh) 一种钢板预脱脂循环槽
CN212356837U (zh) 一种有机废水处理用废水循环池
CN219174663U (zh) 一种电镀生产线用的电解除油槽
CN214088671U (zh) 一种螺母清洗钝化处理装置
CN212533172U (zh) 一种电镀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