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699B1 -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699B1
KR101030699B1 KR1020100068523A KR20100068523A KR101030699B1 KR 101030699 B1 KR101030699 B1 KR 101030699B1 KR 1020100068523 A KR1020100068523 A KR 1020100068523A KR 20100068523 A KR20100068523 A KR 20100068523A KR 101030699 B1 KR101030699 B1 KR 10103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astening bar
housing
button
bel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혁
정태진
이창민
안성철
Original Assignee
(주)엠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2200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25040A/ko
Application filed by (주)엠비아이 filed Critical (주)엠비아이
Priority to CN201180011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781735A/zh
Priority to US13/583,618 priority patent/US20120326486A1/en
Priority to PCT/KR2011/001732 priority patent/WO2011112047A2/ko
Priority to EP11753651.6A priority patent/EP2546113A4/en
Priority to JP2012556991A priority patent/JP2013521193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4Passive restraint systems, i.e. systems both applied and removed automatically, e.g. by movement of the vehicle door
    • B60R22/06Passive restraint systems, i.e. systems both applied and removed automatically, e.g. by movement of the vehicle door having the belt or harness connected to a member slid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석과 보조석의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체결하거나 해제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도어측 상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1하우징(10)의 한쪽 단과 연결되며 도어측의 측면 공간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20)과; 상기 제1,2하우징(10, 20)의 연결부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30)와; 상기 힌지부(30)에 한쪽 단이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제1,2하우징(10, 20)간을 회동하여 왕복하는 벨트체결바(4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45)와; 상기 가이드레일부(45)상에서 흉부보호벨트의 구속견인과 해제를 이루는 이동블록(61)과; 상기 시트(1) 측면에 설치되어 벨트가 인출될 때에 이를 탄력적으로 되감아주는 리트렉터(50)와; 상기 리트렉터(50)에 한쪽 단이 연결되고 다른쪽 단은 벨트체결바(40)에 연결되는 흉부보호벨트(60) 및 복부보호벨트(7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회전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8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자동차에 탑승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도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체결되고, 이에 의해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사망사고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AUTO SAFETY BELT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설치되는 안전벨트의 자동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승객이 탑승한 후,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체결되고, 반대로 시동이 꺼지거나 별도로 탑승자가 해제조작하면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착용 해제되도록 구성된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주행 중에 접촉사고로 인해 갑작스런 충격이 가해질 때, 운전자 또는 보조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차량에 부딪히면서 큰 부상을 입게 되는데, 이때 차량의 충돌 속도에 비례하여 탑승자는 경미한 부상에 그치거나 사망에 이르는 중상을 입기도 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갑작스런 충돌 충격에 의해 큰 부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통상적으로 시트에 탑승자의 신체를 탄력적으로 구속하는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종래의 안전벨트는 차량의 도어측 측면에 안전벨트가 설치되고, 이 안전벨트의 후크가 결합되는 버클이 좌석 시트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좌석에 앉은 후, 측면의 안전벨트 후크를 잡아당겨 신체를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후크를 버클에 결합하는 것으로 안전벨트가 체결된다.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신체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면서 안전벨트의 탄력적인 인출/인입에 의해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장치로, 안전상의 이유로 안전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탑승자의 안전 불감증에 의해 안전벨트의 착용률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하에서 안전벨트의 착용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실용신안 제1998-031305호(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경고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도 1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쿠션(100)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유무를 확인하는 압력센서(110)와, 이 압력센서(110)의 신호를 받아 연산하는 컨트롤러(120)와, 이 컨트롤러(1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도록 버클(130)에 구비된 접점스위치(140)와, 탑승자에게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150) 및 경고용 스피커(160)로 구성된다.
상기 기술은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시동을 걸면 일정시간 동안 안전벨트 미착용에 의한 경고음이나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탑승자에게 주의를 주고 있지만, 이 또한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강제성을 띄지 않으므로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상태에서도 자동차의 주행이 가능한 문제가 있고, 더욱이 감시 대상이 운전자의 안전벨트에 한정되므로 보조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에 대한 주의를 주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여 시동을 걸면, 자동으로 안전벨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률을 증가시켜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사망사고를 대폭 감소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체결될 때에 이를 탑승자에게 미리 안내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동 중에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맞닿게 되면 동작을 멈추고, 그 위치를 일시 멈추거나 자동 복귀하도록 제어하여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차량 내의 운전석과 보조석 시트에 각각 설치되는 안전벨트에 있어서, 도어측 상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한쪽 단과 연결되며 도어측의 측면 공간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2하우징의 연결부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한쪽 단이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제1,2하우징간을 회동하여 왕복하는 벨트체결바와; 상기 벨트체결바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시트 측면에 설치되며 벨트가 인출될 때에 이를 탄력적으로 되감아주어 장력을 조절하는 리트렉터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블록에 의해 한쪽 단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연결되며 다른쪽 단은 리트렉터에 의해 권취되도록 연결되는 흉부보호벨트와; 상기 벨트체결바의 자유단 측에 한쪽 단이 고정되고 다른쪽 단은 리트렉터에 의해 권취되도록 연결되는 복부보호벨트와; 상기 벨트체결바의 회전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벨트체결바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사용으로 차량에 탑승한 승객 내지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시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심한 부상과 사망사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저출산 사회에서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반대급부로 출산증가와 같은 인구증가정책에 기여하며, 사회적 및 국가적으로도 소중한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자동차 분야의 안전시스템으로서 그 기술수준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안전장치의 기술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경고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하우징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버튼과 잠금버튼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체결바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체결바의 작동예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및 구동모터와 반원형 톱니기어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블록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측 측면공간에 설치되는 안전벨트의 기본구조를 대신하여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차량 내의 운전석과 보조석 시트(1)에 각각 설치되는 안전벨트에 있어서, 도어측 상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1하우징(10)의 한쪽 단과 연결되며 도어측의 측면 공간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20)과; 상기 제1,2하우징(10, 20)의 연결부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30)와; 상기 힌지부(30)에 한쪽 단이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제1,2하우징(10, 20)간을 회동하여 왕복하는 벨트체결바(4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45)와; 상기 시트(1) 측면에 설치되며 벨트가 인출될 때에 이를 탄력적으로 되감아주는 리트렉터(5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45)를 따라 한쪽 단이 이동블록(6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연결되며 다른쪽 단은 리트렉터(50)에 의해 권취되도록 연결되는 흉부보호벨트(6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자유단 측에 한쪽 단이 고정되고 다른쪽 단은 프리텐선블록(50)에 의해 권취되도록 연결되는 복부보호벨트(7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회전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8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제1, 2하우징(10, 20)은 각각 도어의 상부공간과 측면공간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벨트체결바(40)가 회동하여 고정되는 안착부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제1,2하우징(10, 20)은 벨트체결바(4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80)와 고정버튼(11) 및 잠금버튼(21)이 각각 설치되고, 제1,2하우징(10, 20)의 한쪽 끝단은 서로 접하여 그 중심에 힌지부(30)가 설치되며, 벨트체결바(40)를 감싸기 위해 "ㄷ"자형 단면의 구조로 실시된다.
이때 제1,2하우징(10, 20)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버튼(11)과 잠금버튼(21)은 도 4에서와 같이 버튼(B)이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힌지(P)로 고정되고, 힌지(P)를 중심으로 버튼(B)이 회동될 때에 이를 탄성력에 의해 위치를 복원시키기 위해 버튼(B)의 하부면에 스프링(S)이 설치되며, 버튼(B)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B)의 자유단에는 상승방지턱(R)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버튼(11)과 잠금버튼(21)은 제1, 2하우징(10, 20)간을 회동하여 왕복이송되는 벨트체결바(40)가 하우징 내로 이동할 때에 버튼(B)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므로 버튼(B)을 자연스럽게 누르면서 통과하고, 벨트체결바(40)가 통과한 이후에는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B)이 상승하여 역방향으로 벨트체결바(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벨트체결바(40)를 고정버튼(11)과 잠금버튼(21)을 이용해 구속하는 것은, 제1하우징(10)에 위치된 벨트체결바(40)가 임의로 하강하거나,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이 급정거할 때에 안전벨트에 큰 힘이 가해지더라도 벨트체결바(40)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안전벨트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다.
한편, 잠긴 고정버튼(11)과 잠금버튼(21)은 별도의 전기적 장치로 인해 자동으로 버튼(B)이 눌려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제1,2하우징(10, 20)으로 이동한 벨트체결바(40)가 사용자가 도어 개방버튼을 누르거나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벨트체결바(40)의 고정을 해제하여 다른 쪽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속이 자동 해제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버튼(11)과 잠금버튼(21)의 후면으로 전자석을 설치하고, 이 전자석에 의해 버튼(B)이 부착되면 벨트체결바(40)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2하우징(10, 20) 내로 이동된 벨트체결바(40)의 정확한 동작을 위해, 체결완료버튼(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체결완료버튼(미도시)은 벨트체결바(40)가 회동하여 체결완료버튼(미도시)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벨트체결바(40)가 제1,2하우징(10, 20)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벨트체결바(40)는 후술하는 흉부 및 복부보호벨트(60, 70)의 한쪽 끝단이 고정되어 탑승자에게 안전벨트를 착용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장치로서, 이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2하우징(10, 20)의 한쪽 끝단이 접하는 중심에 힌지부(30)에 의해 회동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부(4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45)는 벨트체결바(40)를 따라 장홈이 형성되거나 단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레일부(45)에 흉부보호벨트(60)가 고정되는 이동블록(61)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벨트체결바(40)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2하우징(10, 20)과 힌지부(30)를 통해 결합되어 제1,2하우징(10, 20) 사이를 왕복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제1하우징(10)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해제된 상태가 되고, 제2하우징(20)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안전벨트가 착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벨트체결바(40)가 회동되기 위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2하우징(10,20)에는 반원형의 톱니기어(12)가 구비되고, 이 반원형 톱니기어(12)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42)가 설치된 구동모터(41)가 벨트체결바(40)측에 설치된다.
즉, 구동모터(41)의 정역회전에 따라 피니언기어(42)가 회전하면, 반원형 톱니기어(12)와의 맞물림에 의해 벨트체결바(40)가 회동하게 되고, 제1,2하우징(10 20)중 일측으로 벨트체결바(40)가 회동되어 구속되면 구동모터(41)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때 벨트체결바(40)의 구속 여부와 구동모터(41)의 정지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1,2하우징(10, 20)에는 각각 접점센서(81)와 작동감지센서(82)로 이루어진 센서부(80)가 설치되어 벨트체결바(40)가 센서부(80)와의 접점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한다.
리트렉터(50, Retractor)는 도 2에서와 같이 시트(1)의 측면 공간에 설치되어 흉부 및 복부보호벨트(60, 70)의 한쪽 끝단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리트렉터(50)의 내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벨트를 자동으로 감아주어 벨트가 항상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리트렉터(50)는 흉부 및 복부보호벨트(60, 70)가 각각 권취될 수 있도록 2개의 리트렉터(50)가 개별로 설치되고, 각각의 리트렉터(50)에 흉부 및 복부 보호벨트(60, 70)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벨트체결바(40)가 회전하여 제1하우징(10)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이에 맞춰 흉부 및 복부보호벨트(60, 70)가 리트렉터(50)에서 인출되면서 늘어났다가, 제2하우징(20)으로 벨트체결바(40)가 회전 이동되면, 이에 맞춰 흉부 및 복부보호벨트(60, 70)가 리트렉터(50)에 의해 감기면서 벨트는 팽팽하게 유지되고, 또한 흉부 및 복부보호벨트(60, 70)가 각각 대각선 및 수평으로 시트(1)를 횡단하면서, 이 시트(1)에 착선한 탑승자의 신체를 탄력적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리트렉터(50)는 차량용 안전벨트 기술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리트렉터(5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흉부보호벨트(60)와 복부보호벨트(70)는 벨트체결바(40)의 하강으로 탑승자의 흉부와 복부를 가로질러 밀착되는 안전벨트로서, 흉부보호벨트(60)의 한쪽 끝단은 벨트체결바(40)의 가이드레일부(45)의 힌지쪽에 가깝게 체결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동블록(61)은 벨트체결바(40)의 승하강 동작시 가이드레일부(45)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흉부보호벨트를 견인구속과 구속해제를 함으로써 벨트체결과 벨트체결해제를 이룸과 동시에 벨트정렬성을 이루어 승하차시 공간확보를 이룬다.
또한 복부보호벨트(70)는 벨트체결바(4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흉부보호벨트(60) 및 복부보호벨트(70)의 자유단은 리트렉터(50)에 감겨져 벨트가 탄력적으로 팽팽함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이동블록(6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서와 같이 벨트체결바(4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45)에는 길이방향으로 톱니기어부(43)가 형성되고, 이 톱니기어부(43)와 맞물리는 구동톱니바퀴(63)가 이동블록(61)의 저면에 구비되며, 구동톱니바퀴(63)는 서브모터(62)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블록(61)의 슬라이딩을 제어한다.
이동블록(61)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벨트체결바(40)의 승하강에 의해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브모터(62)의 구동을 통해 구동톱니바퀴(63)가 톱니기어부(43)와 맞물려 이송되어 이동블록(61)의 이송량을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으로 실시된다.
이때 이동블록(61)과 가이드레일부(45)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결합부의 예로는 도 8에서와 같이 이동블록(61)의 하단양측에 장착돌기(61A)를 구비하고, 가이드레일부(45)에 장착돌기(61A)에 의해 고정되는 삽입홈(46)이 형성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체결바(40)가 제1,2하우징(10,20)의 한쪽으로 회동하여 이동할 때에 제1,2하우징(10, 20)에 구속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접점센서(81)와 작동감지센서(82)가 있고, 이러한 센서부(80)는 벨트체결바(40)가 접점되는 여부를 기준으로 구속 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인지장치(90)는 벨트체결바(40)의 회동에 따라 벨트의 체결 또는 해제를 탑승자에게 인지시키는 장치로서, 이는 도 6에서와 같이 센서부(80)의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41)를 제어하는 제어부(100)에서 벨트체결바(40)의 위치에 따라 LED램프를 이용한 신호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이용해 비프음이나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것으로, 탑승자가 이를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인지장치(90)를 구비함으로 인해 벨트체결바(40)의 동작시 탑승자가 움직여 안전벨트의 체결이 불확실하게 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탑승자의 승하차여부와 안전벨트의 착용 및 해제 여부 및 돌발적인 오작동 상황을 감지하여 벨트체결바(40)의 위치를 복귀 또는 고정하거나, 사용자가 작동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인지수단(90)을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벨트체결바(40)의 동작 중에 탑승자의 신체 등에 부딪침으로써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부하가 발생하면, 이를 즉각 감지하여 벨트체결바(40)의 위치를 동작하기 이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안전 제어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이하의 사용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안전벨트 착용시>
탑승자가 도어를 여닫고 운전석 내지 보조석에 탑승하고 시동을 걸면, 인지장치(90)를 통해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안내 멘트와 신호를 출력하고, 제1하우징(10)의 고정버튼(11)이 전자석에 의해 눌리면서 벨트체결바(40)의 고정을 해제한다.
벨트체결바(4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구동모터(41)가 구동되면, 피니언기어(42)가 회전하면서 벨트체결바(40)를 하강시키게 되고, 벨트체결바(40)가 하강되는 회전량에 비례하여 가이드레일부(45)를 따라 이동블록(61)이 상단으로 이송되면서 되면서 구속견인했던 흉부보호벨트를 최초의 벨트고정단 좌측에서 동작을 멈추면서 구속을 해제시킨다.
이렇게 벨트체결바(40)가 회동하여 제2하우징(20)으로 이동하면, 잠금버튼(21)에 의해 벨트체결바(40)가 고정되며, 벨트체결바(40)가 체결완료버튼을 터치하거나 센서부(80)에 의해 이송완료가 감지되면, 인지장치(90)를 통해 체결완료 멘트 및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탑승자에게 안전벨트의 착용시작과 착용완료 여부를 알 수 있게 한다.
벨트체결바(40)가 완전히 하강하여 고정되면, 흉부보호벨트(60)와 복부보호벨트(70)가 탑승자의 신체를 탄성력에 의해 구속하고, 이러한 구속력이 인위적 해제조건 없이는 해제되지 않도록 잠금버튼(21)과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통해 고정유지된다.
<안전벨트 해제시>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거나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해 도어개방버튼을 동작하면, 인지수단(90)을 통해 안전벨트 해제 맨트와 신호가 출력되고, 이와 동시에 제2하우징(20)의 잠금버튼(21)이 전자석에 의해 하강하여 벨트체결바(40)의 구속을 해제하고, 제어부(100)가 구동모터(41)를 작동하여 벨트체결바(40)가 제1하우징(10)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벨트체결바(40)의 회동에 비례하여 가이드레일부(45)를 따라 이동블록(61)이 하단으로 이송되면서 흉부보호벨트를 구속견인해 하차공간을 넓혀주고, 벨트체결바(40)가 제1하우징(10) 내로 삽입되면서 고정버튼(11)에 의해 구속되고, 체결완료버튼을 터치하거나 센서부(80)의 접점감지를 통해 벨트체결바(40)의 구속 여부가 확인되면, 제어부(100)는 구동모터(41)의 작동을 정지하고, 인지장치(90)를 통해 안전벨트의 해제완료 멘트와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탑승자에게 안전벨트 해제 여부를 인지시킨다.
<오작동 발생시>
안전벨트의 착용 또는 해제 동작시에 탑승자의 신체에 벨트체결바(40)가 부딪치거나 동작이 방해되는 요인이 발생하면, 제어부(100)는 인지장치(90)를 통해 해당 사항을 인지시키고, 벨트체결바(40)를 작동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안전 작동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일예로는 벨트체결바(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1)에 일정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구동모터(41)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하여 벨트체결바(40)가 동작되기 이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벨트체결바의 양측면에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벨트체결바의 회전 동작시 감지센서가 벨트체결바의 이동 경로 상에 탑승자의 신체와 같은 장해 요소가 있는지를 미리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장해물이 감지되면 벨트체결바의 작동을 중지하거나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작동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벨트체결바(40)의 자동 동작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탑승자의 승하차시 자동으로 착용 또는 해제되므로, 안전벨트 미착용에 의한 사망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다.
1: 시트 10: 제1하우징
11: 고정버튼 12: 반원형 톱니기어
20: 제2하우징 21: 잠금버튼
30: 힌지부 40: 벨트체결바
41: 구동모터 42: 피니언기어
43: 톱니기어부 45: 가이드레일부
46: 삽입홈 50: 리트렉터
60: 흉부보호벨트 61: 이동블록
61A: 장착돌기 62: 서브모터
63: 구동톱니바퀴 70: 복부보호벨트
80: 센서부 81: 접점센서
82: 작동감지센서 90: 인지장치
100: 제어부 B: 버튼
P: 힌지 R: 상승방지턱
S: 스프링

Claims (8)

  1. 차량 내의 시트(1)에 설치되는 안전벨트에 있어서,
    도어측 상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1하우징(10)의 한쪽 단과 연결되며 도어측의 측면 공간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20)과;
    상기 제1,2하우징(10, 20)의 연결부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30)와;
    상기 힌지부(30)에 한쪽 단이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제1,2하우징(10, 20)간을 회동하여 왕복하는 벨트체결바(4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45)와;
    상기 시트(1) 측면에 설치되며 벨트가 인출될 때에 이를 탄력적으로 되감아주는 리트렉터(5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45)를 따라 한쪽 단이 이동블록(6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연결되며 다른쪽 단은 리트렉터(50)에 의해 권취되도록 연결되는 흉부보호벨트(6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자유단 측에 한쪽 단이 고정되고 다른쪽 단은 리트렉터(50)에 의해 권취되도록 연결되는 복부보호벨트(7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회전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80)와;
    상기 벨트체결바(4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0)은 벨트체결바(40)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는 고정버튼(11)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80)는 고정버튼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접점센서(81)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버튼(11)은 제1하우징(10)의 바닥면 진입부에 설치되는 경사형 버튼(B)과;
    상기 경사형 버튼(B)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P)와;
    상기 힌지(P)측 하단에 위치되어 버튼(B)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S)과;
    상기 버튼(B)의 자유단측에 구비되어 돌출 형성되는 상승방지턱(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80)는 제2하우징(20)에 구비되는 작동감지센서(8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20)은 상기 작동감지센서(82)에 의해 벨트체결바(40)를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버튼(21)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잠금버튼(21)은 제2하우징(20)의 바닥면 진입부에 설치되는 경사형 버튼(B)과;
    상기 경사형 버튼(B)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H)와;
    상기 힌지(H)측 하단에 위치되어 버튼(B)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S)과;
    상기 버튼(B)의 자유단측에 구비되어 돌출 형성되는 상승방지턱(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면 제1하우징(10)에서 제2하우징(20)으로 벨트체결바(40)가 이동되고, 시동이 꺼지면 제2하우징(40)에서 제1하우징(10)으로 벨트체결바(40)가 이동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벨트체결바(40)의 벨트 체결 동작 도중에 이송 저항이 발생하면 동작 전의 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결바(40)의 작동시 착석자에게 음성 또는 화면으로 안내하는 인지장치(90)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KR1020100068523A 2010-03-11 2010-07-15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KR10103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116854A CN102781735A (zh) 2010-03-11 2011-03-11 汽车安全带的自动锁定及解锁装置
US13/583,618 US20120326486A1 (en) 2010-03-11 2011-03-11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unlocking a vehicle seat belt
PCT/KR2011/001732 WO2011112047A2 (ko) 2010-03-11 2011-03-11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 및 해제장치
EP11753651.6A EP2546113A4 (en) 2010-03-11 2011-03-11 APPARATUS FOR BLOCKING AND AUTOMATICALLY RELEASING A VEHICLE SAFETY BELT
JP2012556991A JP2013521193A (ja) 2010-03-11 2011-03-11 自動車シートベルトの自動締結及び解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000 2010-03-11
KR1020100022000A KR20110025040A (ko) 2009-09-02 2010-03-11 자동차안전벨트 자동체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699B1 true KR101030699B1 (ko) 2011-04-26

Family

ID=4406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523A KR101030699B1 (ko) 2010-03-11 2010-07-15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546113A4 (ko)
KR (1) KR101030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042A (ko) *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55A (ja) * 1993-06-21 1995-01-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セーフティバー
EP1721648A1 (en) 2005-05-13 2006-11-15 Vekoma Rides Engineering B.V. Amusement device seat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55A (ja) * 1993-06-21 1995-01-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セーフティバー
EP1721648A1 (en) 2005-05-13 2006-11-15 Vekoma Rides Engineering B.V. Amusement device seat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042A (ko) *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
KR102657539B1 (ko) * 2022-03-25 2024-04-16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6113A2 (en) 2013-01-16
EP2546113A4 (en)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703B2 (en) Re-settable vehicle seat belt buckle pre-tensioner presen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ES2928453T3 (es) Silla de seguridad para niños con tensor motorizado de cinturón de arnés
EP1847423A2 (en) Seatbelt device and vehicle
CN1970353A (zh) 安全带卷收器、安全带装置、带安全带装置的车辆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KR100602555B1 (ko) 유아용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시스템
JP2013521193A (ja) 自動車シートベルトの自動締結及び解除装置
US74586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ably positioning a restraint system in a motor vehicle
KR1010306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체결장치
KR10030592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JPS5918925Y2 (ja) 移動アンカ−式パツシブベルト装置
JP2007196881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610082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713717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255445B1 (ko)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
KR20016223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풀림 장치
KR0178660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KR100622421B1 (ko) 차량의 시트벨트
KR960009355Y1 (ko) 자동차 시트밸트의 풀림량 제어장치
JP3136784U (ja) シートベルトキーパー
KR101130620B1 (ko) 자동차 안전벨트 체결장치
KR100717966B1 (ko) 안전벨트교육용 시뮬레이션장치
KR100981768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KR20020047411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이용한 과속방지장치
JP2013047098A (ja) 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