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964B1 -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964B1
KR101029964B1 KR1020090110439A KR20090110439A KR101029964B1 KR 101029964 B1 KR101029964 B1 KR 101029964B1 KR 1020090110439 A KR1020090110439 A KR 1020090110439A KR 20090110439 A KR20090110439 A KR 20090110439A KR 101029964 B1 KR101029964 B1 KR 10102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unique identification
rfi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효
양승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나인
Priority to KR102009011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G06K7/104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 G06K7/1043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 G06K7/104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the record carriers being fixed to further objects, e.g. RFIDs fixed to packages, luggage, mail-pieces or work-pieces transported on a conveyor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에 RFID 테크를 형성하고, 이 RFID 테그에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기록하여, 추후 유통과정에서 RFID 테그에 기록된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의 판독을 통해 정품여부를 판독함으로써, 추후 출처가 불분명한 유사품이 시장에서 유통되어 소비자의 오인 혼동을 초래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 RFID, 테그, 고유 식별정보, RFID 입력부, RFID 리더부

Description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Device for managing glasses with a function of unique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에 RFID 테크를 형성하고, 이 RFID 테그에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기록하여, 추후 유통과정에서 RFID 테그에 기록된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의 판독을 통해 정품여부를 판독함으로써, 추후 출처가 불분명한 유사품이 시장에서 유통되어 소비자의 오인 혼동을 초래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사용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하고, 이를 생산·판매하고 유지·보수하는 안경 관련업체의 규모 또한 폭 넓게 증가함에 따라, 각 안경 관련업체들에 의해 전국적으로 유통·관리되는 안경산업의 전체적인 물량 규모 또한 가파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안경 관련업체에서는, 생산관리, 재고관리, 물류관리, 안경 구매고객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 중에 있으나, 종래에는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또는 장치의 보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관계로, 당업 분야에서는 안경의 관리에 따른 큰 어려움을 격고 있다.
특히, 안경은 기본적으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전통적인 오프라인형(Off-line type) 제품으로, 관리자가 안경의 생산과 재고와 유통계수를 관리하므로, 관리에 따른 번거로움과 부정확성이 발생되는 한계성을 갖고 있고, 또 시장에서 유사품이 범람하여 시장의 유통질서를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안경의 생산과 재고 및 유통에 따른 관리를 전산적으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관리장치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에 RFID 테크를 형성하고, 이 RFID 테그에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기록하여, 추후 유통과정에서 RFID 테그에 기록된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의 판독을 통해 정품여부를 판독함으로써, 추후 출처가 불분명한 유사품이 시장에서 유통되어 소비자의 오인 혼동을 초래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는,
안경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안경에 접합된 RFID 테그에 식별정보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기록부를 통해 RFID 테그에 기록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판독하고, 이 판독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관리서버의 재고DB에 저장하는 판독부; 및 이송 컨베이어와 접착부와 기록부 및 판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독부는 제어부에 형성된 발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안경을 일렬로 정렬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 기록부는 메모리부에 사전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안경에 접합된 RFID 테그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이후 판독부는 제어부에 형성된 발판 스위치의 조작에 의 해 기록부에 의해 각 안경의 RFID 테그에 기록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판독한 다음, 이 판독된 정보를 관리서버의 재고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부의 전방에는 이송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의 표면에 RFID 테그를 접합하여 형성하는 접착부가 부가하여 형성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기록부에 투입되는 안경은 접착부를 통해 시트에 접합된 RFID 테그가 낱장식 접합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는, RFID 테그가 일렬로 정렬하여 형성된 시트를 견착하는 견착드럼과; 상기 견착드럼에 견착된 시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재 권취하는 회수드럼과; 상기 견착드럼과 회수드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견착드럼과 회수드럼 사이에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시트를 가압하여 이송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의 표면에 밀착시켜, 시트에 접합된 낱개의 RFID 테그를 안경의 표면에 접합하는 접합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ID 테그의 표면에는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가용되는 가용 피막층이 형성되며, 상기 접합드럼에는 상기 RFID 테그의 표면에 형성된 가용 피막층을 6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RFID 테그는 용융된 가용 피막층을 통해 안경의 표면에 접착된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의 외측에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의 표면에 열기를 제공하여 안경을 예열하는 예열터널을 형성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안치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은 예열터널을 통과하면서 예열되고, 이후 접합드럼에 의해 가용 피막층이 용융된 RFID 테그가 표면에 접착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안경에 RFID 테크를 형성하고 이 RFID 테그에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기록하여, 추후 유통과정에서 RFID 테그에 기록된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의 판독을 통해 정품여부를 판독함으로써, 추후 출처가 불분명한 유사품이 시장에서 유통되어 소비자의 오인 혼동을 초래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안경 관리장치가 상용화되어 안경의 제작 시스템에 활용되면,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재고의 관리가 전산적으로 이룩되어 재고관리에 따른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및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안경을 각 영업매장에 비치된 판독 단말기를 통해 RFID 테크를 통한 안경의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의 열람이 가능하므로, 제품에 따른 설명의 편리성과 함께 신뢰성의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경에 RFID 테그를 안경의 표면에 접합을 통해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기존 대부분의 안경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에 있어, 안경의 관리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10)를 통해 일렬로 정렬하여 이송되는 안경(100)의 표면에 RFID 테그(111)를 접합하여 형성하고, 이 접합된 RFID 테그(111)에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를 기록시켜 추후 유통과정에서 RFID 테그(111)에 기록된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의 판독을 통해 정품여부를 판독함으로써, 추후 출처가 불분명한 유사품이 시장에서 유통되어 소비자의 오인 혼동을 초래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상기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1)는, 안경(10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1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10)에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의 표면에 RFID 테그(111)를 접합하여 형성하는 접착부(20)와; 상기 각 안경의 RFID 테그(111)에 식별정보 메모리(31)에 사전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기록하는 기록부(30); 및 상기 기록부(30)를 통해 RFID 테그(111)에 기록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판독하는 판독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독부(40)는 제어부(50)에 형성된 발판 스위치(52)의 조작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판 스위치(52)는 물리적인 가압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도통시키는 공지의 물품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컨베이어(10)에는, 접착부(20)를 통해 안경의 표면에 RFID 테그(111)를 접합하여 형성하는 접합구간과; 기록부(30)를 통해 각 안 경에 접합된 RFID 테그(111)에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기록구간; 및 판독부를 통해 상기 RFID 테그(111)에 기록된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를 판독하여, 이 판독된 고유식별 정보와 일련번호를 관리서버(60)의 재고DB(61)에 기록하는 판독구간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10)의 상부에는 안경(100)을 낱개씩 안착하여 고정하는 거치대(11)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안경(100)은 거치대(11)를 통해 이송 컨베이어(10)를 통해 낱개씩 일렬로 정렬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접착부(20)는, 기본적으로 RFID 테그(111)가 일렬로 정렬하여 형성된 시트(110)를 접합드럼(22)이 이송 컨베이어(10)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100)의 표면에 밀착시켜, 시트(110)에 접합된 낱개의 RFID 테그(111)를 안경(100)의 표면에 접합하는 형태이다. 상기 RFID 테그(111)가 접합되는 안경(100)의 부위는, 안경 프레임 또는 안경 프레임에 설치된 데모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20)는 롤형태로 권취된 시트(110)를 견착하는 견착드럼(21)과, 상기 견착드럼(21)에 권취되어 접합드럼(22)을 통한 이송과정에 전개된 시트(110)를 롤 형태로 재 권취하는 회수드럼(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FID 테그(111)의 표면에는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가용 피막층(111a)이 형성되며, 상기 접합드럼(22)에는 상기 RFID 테그(111)의 표면에 형성된 가용 피막층(111a)을 6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부재(22a)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용 피막층은 일종의 합성수지로, 온도휴즈 등에서 가용체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공지의 물질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합구간에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10)의 외측에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100)의 표면에 열기를 제공하여 안경을 예열하는 예열터널(24)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예열터널은 안경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터널의 내부에 열을 발산하는 히터(24a)가 설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10)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100)은 예열터널(24)을 통과하면서 40℃ 내지 50℃로 예열되고, 이후 접합드럼(22)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용 피막층(111a)이 용융된 RFID 테그(111)를 예열된 안경(100)의 표면에 밀착시켜 안경(100)의 표면에 RFID 테그(111)를 안정되게 접합하게 된다.
이때, RFID 테그(111)는 안경(100)의 프레임 또는 이 프레임에 설치된 데모렌즈에 택일하여 접합되거나, 이들 양자 모두에 접합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표면에 RFID 테그(111)가 형성된 안경(100)은, 이송 컨베이어(10)를 통해 기록부(30)에 공급되고, 기록부(30)는 식별정보 메모리(31)에 사전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송신 안테너(32)를 통해 안경(100)에 접합된 RFID 테그(111)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기록하게 되며,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안경의 제품명과, 원산지, 제조일자 등을 포함한다.
이후, RFID 테그(111)에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가 기록된 안경(100)은 이송 컨베이어(10)를 통해 판독부(40)에 투입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어부(50)에 형성된 발판 스위치(52)를 가압하면, 판 독부(40)는 상기 각 안경에 접합된 RFID 테그(110)에 기록되어진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판독하는 한편, 이 판독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관리서버(60)의 재고DB(61)에 전송 및 기록하여, 관리자는 상기 관리서버(60)의 재고DB(61)에 기록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추후 안경의 재고 관리에 활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중에, 판독부(40)에 의해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가 판독되지 아니하면, 제어부(50)는 경고모듈(51)을 통해 경고음을 생성시켜 관리자를 호출하여 오류를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에 있어, 안경의 관리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안경 관리장치
10. 이송 컨베이어 11. 예열 거치대
20. 접착부 21. 견착드럼
22. 접착드럼 22a. 히터부재
23. 회수드럼 24. 예열터널
30. 기록부 31. 식별정보 메모리
32. 송신 안테너 40. 판독부
50. 제어부 51. 경고모듈
52. 발판 스위치
60. 관리서버 61. 재고DB
100. 시트 110. RFID 테그

Claims (3)

  1. 안경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안경에 접합된 RFID 테그에 식별정보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기록부를 통해 RFID 테그에 기록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판독하고, 이 판독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관리서버의 재고DB에 저장하는 판독부; 및 이송 컨베이어와 접착부와 기록부 및 판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독부는 제어부에 형성된 발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안경을 일렬로 정렬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 기록부는 메모리부에 사전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안경에 접합된 RFID 테그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이후 판독부는 제어부에 형성된 발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기록부에 의해 각 안경의 RFID 테그에 기록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련번호를 판독한 다음, 이 판독된 정보를 관리서버의 재고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의 전방에는 이송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의 표면에 RFID 테그를 접합하여 형성하는 접착부가 부가하여 형성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기록부에 투입되는 안경은 접착부를 통해 시트에 접합된 RFID 테그가 낱장씩 접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는, RFID 테그가 일렬로 정렬하여 형성된 시트를 견착하는 견착드럼과; 상기 견착드럼에 견착된 시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재 권취하는 회수드럼과; 상기 견착드럼과 회수드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견착드럼과 회수드럼 사이에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시트를 가압하여 이송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안경의 표면에 밀착시켜, 시트에 접합된 낱개의 RFID 테그를 안경의 표면에 접합하는 접합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테그의 표면에는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가용되는 가용 피막층이 형성되며, 상기 접합드럼에는 상기 RFID 테그의 표면에 형성된 가용 피막층을 6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RFID 테그는 용융된 가용 피막층을 통해 안경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KR1020090110439A 2009-11-16 2009-11-16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KR10102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439A KR101029964B1 (ko) 2009-11-16 2009-11-16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439A KR101029964B1 (ko) 2009-11-16 2009-11-16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964B1 true KR101029964B1 (ko) 2011-04-19

Family

ID=4405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439A KR101029964B1 (ko) 2009-11-16 2009-11-16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9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472A (ja) 2002-11-19 2004-06-17 Denso Wave Inc Rfタグ読取機付きコンベア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472A (ja) 2002-11-19 2004-06-17 Denso Wave Inc Rfタグ読取機付きコンベ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06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beling consumer items with unique identifiers
US7178727B2 (en) Remote controlled separable electronic price tag
JP2021121964A (ja) オープンループサプライまたはバリューチェーンにおける製品の追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899491B2 (en)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managing commercial items
BR112018008982B1 (pt) Sistema de etiqueta de informações ou etiqueta de cuidados e sistema que permite que objetos se tornem um sistema de informação
JP2009163713A (ja) レーザで記録可能で、粘着力のあるスマートラベルの製造方法
US20200342487A1 (en) Reusable container use incentivizing
CA28402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orders and processing return items
CA2784834A1 (en) System for packaging, processing, and activating a bundled greeting and gift card
KR101029964B1 (ko) 고유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관리장치
ITMI20130823A1 (it) Sistema di controllo di contraffazione
CN110503499B (zh) 一种用于确认产品信息的方法及系统
JP5688650B2 (ja) 小売店における表示価格設定を維持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036295A (ja) 流通物の製造管理方法および製造管理装置、流通物、並びに製造管理プログラム
JP2006327720A (ja) 納品管理システム
JP2002002916A (ja) 物流管理システム
WO2019164308A1 (ko)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판매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의약품 정보 시트
JP7274539B2 (ja) ベルト管理システム
ITTO20100016A1 (it) Sistema e metodo per uno stabilimento di lavorazione di pietre naturali
JP2013086949A (ja) 物品管理システム
CN102842011B (zh) 一种rfid标签的批量写码方法
US20200012262A1 (en) Method for handling a coating material and use thereof
TWI652640B (zh) 換貨系統及其方法
KR102452398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KR20060017282A (ko) 공산품 추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