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830B1 -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830B1
KR101028830B1 KR1020100008523A KR20100008523A KR101028830B1 KR 101028830 B1 KR101028830 B1 KR 101028830B1 KR 1020100008523 A KR1020100008523 A KR 1020100008523A KR 20100008523 A KR20100008523 A KR 20100008523A KR 101028830 B1 KR101028830 B1 KR 10102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internal power
linear actuator
housing
mo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훈
Original Assignee
에너지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지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너지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25J5/04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wherein the guideway is also moved, e.g. travelling crane bridg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5Machines characterised by cable windings, e.g. high-voltage cables, ribbon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왕복운동에 따른 주변 장치나 대상물과 동력케이블 간의 장애 간섭을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이 하우징에 축설되고,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이동블록을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한쪽 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접속부와 연결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다른쪽 단이 상기 이동블록과 결합되는 내부 동력케이블; 및 상기 이동블록에는 내부 동력케이블과 연결되는 입구와, 하우징외부로 개방된 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관통로를 포함하여 구성한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 with internal power cable}
본 발명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매개로 연결되는 작동툴의 구동제어를 위한 동력케이블을 내부에 일체로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자동화의 트랜스퍼, 이송 공급장치 및 조립, 반송라인 분야, 산업용 직교 좌표형 로봇, 운반기계 및 리프트장치, CNC 공작기계의 자동도어 및 이송장치, 산업용 자동도어분야, 포장, 용접, 도장기계의 직선운동장치 등과 같은 각종 산업용 기계장치에는 대상물을 직선 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에는 랙과 피니언, 유압/공압 실린더, 스크류 타입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스크류 타입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기본적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나사산으로 맞물려 있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블록(피동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크류 타입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구동축과 맞물림 상태를 이루는 이동블록의 지지(베어링접촉)방식에 따라 리드 스크류 타입, 볼 스크류 타입, 롤러 스크류 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출력부인 이동블록에는 직교하는 또 다른 액추에이터가 설치되거나 혹은 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대상물을 가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작동툴이 설치 구성되는 형태를 취하며 자동화 로봇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과 같이,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이동블록 상에 작동툴을 설치 구성하는 경우에는 작동 툴의 작동 즉, 유압 혹은 공압실린더와 연결되는 기계적인 배관이나, 전동모터나 각종 센서와 연결되는 전기적인 배선(이하 '동력케이블'이라고 칭한다.)들이 복잡하게 연결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 이러한 동력케이블들은 작동툴과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주위에 그대로 늘어진 상태를 취하게 됨으로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왕복운동이나 작동툴의 작동 시 연동하는 동력케이블의 과도한 흔들림이나 꼬임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비록 종래에는 다수의 동력케이블은 트랩(trap) 등을 이용하여 동력케이블을 견고히 묶음 처리하여 주변장치와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하고 있으나,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왕복운동 및 해당 작동툴의 가동범위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동력케이블의 여유길이를 확보하고 그에 따른 상호 간섭이 배제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작동툴의 작동에 따른 동력케이블의 세밀한 설계 및 장착 방법이 제시되어야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출력부인 이동블록에 설치되는 작동툴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동력케이블을 일체로 함으로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왕복운동에 따른 주변 장치 혹은 대상물과 동력케이블 간의 장애 간섭을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동툴에 대응하여 유연한 동력케이블의 탈 장착을 구현할 수 있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동력케이블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서, 콤팩트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장치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협소한 공간에서 정밀작업을 수행하는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이 하우징에 축설되고,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이동블록을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한쪽 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접속부와 연결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다른쪽 단이 상기 이동블록과 결합되는 내부 동력케이블; 및
상기 이동블록에는 내부 동력케이블과 연결되는 입구와, 하우징외부로 개방된 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관통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부 동력케이블은, 구동축이 축설되는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접속부와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 벽면에 형성되어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장착구에 끼워져 이어지며, 이동블록을 지나 반대방향으로 굴곡 연장되어, 다른쪽 단이 대향하는 이동블록의 일면에 형성된 관통로의 입구와 결합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동력케이블은, 하우징의 전후 및 좌우에 대하여 대칭구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과 각각 연결되게 입구와 출구를 각각 형성하는 제1 및 제2관통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출력부인 이동블록에 설치되는 작동툴과 연결되는 동력케이블을 액추에이터의 하우징 내부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서, 작동툴의 왕복 이동 시 주변 동력케이블의 과도한 흔들림이나 꼬임, 파손을 예방하는 등 장치의 구동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작동영역 내에서 회피설계를 필요로 하는 외부 동력케이블에 대한 설계고려를 완전히 배제시킴으로서,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응용한 산업현장에서의 설계 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출력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동툴에 대응하여 동력케이블의 유연한 탈 장착을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한 호환성이 우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평면 예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
도 8은 도 5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작동툴이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평면 예시도를,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를,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1)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11)을 일체로 하는 스크류 타입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시한다.
즉, 하우징(10)의 일측에 모터를 포함한 구동원(11)이 일체로 고정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12)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축설된다.
상기 구동축(12)과 결합되어 구동축(1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블록(13)이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블록(13)은 스크류 타입의 구동축(12)과 나사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132)와 이 슬라이더본체(13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툴 설치용 마운트(131)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케이블 일체형 리니어 액추에이터(1)는, 이상과 같은 종래 리니어 액추에이터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된 접속부(105)와 이동블록(13)을 연결하는 내부 동력케이블(20)을 하우징(10)내부에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동력케이블(20)은 이동블록(13)의 왕복운동 시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축(12)과 이동블록(13)으로부터 항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구동축(12) 혹은 이동블록(13)의 회전 및 왕복이동 시 접촉에 의한 내부 동력케이블(20)의 손상을 방지하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13)과 연동하여 유연한 가동범위를 만족하여야 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접속부(105)와 이동블록(13)을 연결하는 내부 동력케이블(20)은 기본적으로 하우징(10)내부의 협소공간에서 이동블록(13)의 왕복운동과 연동할 수 있게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주름관 형태를 취하는 유연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접속부(105)는 구동축(12)이 축설되는 하우징(10)의 전방 혹은 후방 끝단에 설치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동력케이블(20)이 하우징(10)의 후단에 형성된 접속부(105)와 연결되는 경우, 내부 동력케이블(20)은 하우징(10)의 우측 내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축(12)과 나란하게 이어지다가 이동블록(13)을 지나친 후 이동블록(13)의 전면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동블록(13)의 슬라이더본체(132) 전면에 형성된 관통로(30) 입구(301)와 연결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 동력케이블(20)이 하우징(10)의 전단에 형성된 접속구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내부 동력케이블은 하우징(10)의 좌측 내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축(12)과 나란하게 이어지다가 이동블록(13)을 지나친 후 이동블록(13)의 후면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동블록(13)의 슬라이더본체(132) 후면에 형성된 관통로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내부 동력케이블(20)이 밀착되는 하우징(10)의 좌측 혹은 우측 내 벽면에는 내부 동력케이블(20)이 끼워지는 가이드 장착구(101)가 구동축(12)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결국 이동블록(13)의 전, 후 왕복이동 시 연동하는 내부 동력케이블(20)이 항상 가이드 장착구(101)에 끼워져 가이드 됨으로서 하우징(10)의 중앙부에 배치된 구동축(12)과 이동블록(13)의 왕복 이동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 동력케이블(20)이 설치되는 하우징(10)의 접속부(105), 가이드 장착구(101) 및 관통로(30)의 입구(301)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내부 동력케이블(20)의 굴곡 형성부가 이동블록(13)의 왕복 이동방향에 대하여 항상 직교한 수평방향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구동축(12)으로부터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한쪽 단에 구성되는 접속부(10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동력케이블(20)과 외부 동력케이블(9,9" : 도 9참조)이 연결되게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 접속부(105)의 외부에는 외부 동력케이블(9,9" : 도 9참조)이 탈 장착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별도의 접속포트(10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동력케이블(20)이 연결되는 이동블록(13)에는 그 상부에 설치되는 작동툴과 하우징(10)내의 내부 동력케이블(20)을 연결하는 내부 관통로(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이동블록(13)은 구동축(12)과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132)와 작동툴이 설치되는 툴 설치용 마운트(131)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본체(132)의 전면 혹은 후면에는 내부 동력케이블(20)과 연결되는 관통로(30) 입구(301)가 형성되고, 상기 툴 설치용 마운트(131)의 일측에는 관통로(30) 출구(302)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로(30)는 이동블록(13)의 제작 시 일체로 가공된다.
상기 관통로(30) 출구(302)는 툴 설치용 마운트(131)에 설치되는 작동툴의 구동부와 연결되는 연장 동력케이블(4,4" : 도 9참조)이 탈 장착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별도의 연결포트(303)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이동블록(13)에 형성되는 관통로(30)는 내부 동력케이블(20)의 종류별 즉, 작동 압유를 제공하는 관통유로가 될 수 있으며, 전선을 관통시키는 배선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로(30)는 구동축(12)과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132) 및 작동툴과 결합되는 툴 설치용 마운트(131)의 설치구조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직경 및 길이를 가지도록 가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관통로(30)의 가공 직경 및 내부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치는 특별히 제시하지 않는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 예시도를,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를,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를, 도 8은 도 5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예시도를,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작동툴이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1")는 2개의 내부 동력케이블(20)(20")을 구비하는 스크류 타입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13)에 설치되는 작동툴(2)로서 공압실린더(3)에 의하여 작동하는 대상물 파지용 그리퍼(5)가 구비되는 경우, 이러한 그리퍼(5)는 하나의 고정클램프(6)에 대하여 공압실린더(3)에 연결된 이동클램프(7)의 작동으로 그 사이에 대상물을 파지하게 형태를 취하게 된다. 즉, 이러한 작동툴(2)의 구동원인 공압실린더(3)의 인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공압 배관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20)(20")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이를 위하여 리니어 액추에이터(2")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20)(20")이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20)(20")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관통로(30)(30")를 이동블록(13)에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내부 동력케이블(20)은 하우징(10)의 후단에 형성된 접속부(105)와 연결되어, 하우징(10)의 우측 내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축(12)과 나란하게 이어지다가 이동블록(13)을 지나친 후 이동블록(13)의 전면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동블록(13)의 슬라이더본체(132) 전면에 형성된 제1관통로(30) 입구(301)와 연결되고,
제2내부 동력케이블(20")은 하우징(10)의 전단에 형성된 접속부(105")와 연결되어, 하우징(10)의 좌측 내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축(12)과 나란하게 이어지다가 이동블록(13)을 지나친 후 이동블록(13)의 후면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동블록(13)의 슬라이더본체(132) 후면에 형성된 제2관통로(30") 입구(301")와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20)(20")은 평면상에서 하우징(10)의 전후, 좌우에 대하여 대칭구조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일실시예와 마찬가지 상기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20)(20")이 밀착되는 하우징(10)의 좌측 및 우측 내 벽면에는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20)(20")이 끼워지는 가이드 장착구(101)(101")가 구동축(12)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동축(12)을 중심으로 하우징(10)의 전후, 좌우에 대하여 대칭구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20)(20")을 구성함으로서, 이동블록(13)의 왕복 이동 시 연동하는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20)(20")을 하우징(10)의 좌우 벽면에 항상 고정된 위치에 머무르게 하고, 또한 이동블록(13)과 결합되는 부위와 굴곡부위를 이동블록(13)의 전후 면에 대칭되게 위치시킴으로서, 협소한 하우징(10)의 내부 영역에서 동력케이블(20)(20")과 구동축(12) 및 이동블록(13)의 왕복 이동 시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내부 동력케이블(20)(20")이 연결되는 하우징(10)의 접속포트(106)(106")와, 이동블록(13)의 연결포트(303)(303")를 구비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작동툴(3)에 대응하여 동력케이블의 연결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 호환성이 우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액추에이터(1)(1")는 동력케이블(20)(20")이 하나 혹은 두개의 설치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동력케이블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설치되는 작동툴(2)의 구동제어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수개의 동력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동력케이블(유압 혹은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관, 전동모터 혹은 각종 센서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선 등)을 미리 구비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작동툴(2)의 종류별 사용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구비된 접속포트(106)(106")와 연결포트(303)(303")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 리니어 액추에이터 (2) : 작동툴
(10) : 하우징 (101)(101") : 가이드 장착구
(105)(105") : 접속부 (106)(106") : 접속포트
(11) : 구동원 (12) : 구동축
(13) : 이동블록 (131) : 툴 설치용 마운트
(132) : 슬라이더본체 (20)(20") : 내부 동력케이블
(30)(30") : 관통로 (303)(303") : 연결포트

Claims (8)

  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12)이 하우징(10)에 축설되고, 상기 구동축(12)과 결합된 이동블록(13)을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한쪽 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 형성된 접속부(105)와 연결되고,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다른쪽 단이 상기 이동블록(13)과 결합되는 내부 동력케이블(20); 및
    상기 이동블록(13)에는 내부 동력케이블(20)과 연결되는 입구(301)와, 하우징(10)외부로 개방된 출구(302)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301)와 출구(302)를 연결하는 관통로(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동력케이블(20)은, 구동축(12)이 축설되는 하우징(10)의 일단에 형성된 접속부(105)와 연결되어, 하우징(10)의 내 벽면에 형성되어 구동축(1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장착구(101)에 끼워져 이어지며, 이동블록(13)을 지나 반대방향으로 굴곡 연장되어, 다른쪽 단이 대향하는 이동블록(13)의 일면에 형성된 관통로(30)의 입구(301)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동력케이블(20)은,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과 각각 연결되게 입구와 출구를 각각 형성하는 제1 및 제2관통로를 이동블록에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내부 동력케이블은, 하우징의 전후 및 좌우에 대하여 대칭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13)은, 구동축과 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더본체(132)와, 상기 슬라이더본체(132)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개방되어 상면에 작동 툴이 탑재되는 툴 설치용 마운트(1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더본체(132)의 일측에 관통로(30) 입구(301)가 형성되며, 툴 설치용 마운트(131)의 일측에 관통로(30) 출구(3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툴 설치용 마운트(131)에 형성된 관통로 출구(302)에는 작동툴과 연결되는 연결포트(30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동력케이블(20)이 연결되는 하우징의 접속부(105)에는 외부 동력케이블이 결합되는 접속포트(10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동력케이블(20)은, 유압 혹은 공압용 배관이거나 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KR1020100008523A 2010-01-29 2010-01-29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KR10102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23A KR101028830B1 (ko) 2010-01-29 2010-01-29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23A KR101028830B1 (ko) 2010-01-29 2010-01-29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830B1 true KR101028830B1 (ko) 2011-04-12

Family

ID=4405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523A KR101028830B1 (ko) 2010-01-29 2010-01-29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783A (ko) 2019-12-27 2021-07-08 포테닛 주식회사 다중 대변위 리니어 액추에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22A (ja) * 1994-06-20 1996-01-12 Nippon Thompson Co Ltd リニア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具備した駆動ユニット
KR200332554Y1 (ko) 2003-08-01 2003-11-10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 스테이지의 배선 구조
KR20030091800A (ko) * 2002-05-27 2003-12-03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전동액츄에이터
JP2005269846A (ja) 2004-03-22 2005-09-29 Thk Co Ltd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22A (ja) * 1994-06-20 1996-01-12 Nippon Thompson Co Ltd リニア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具備した駆動ユニット
KR20030091800A (ko) * 2002-05-27 2003-12-03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전동액츄에이터
KR200332554Y1 (ko) 2003-08-01 2003-11-10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 스테이지의 배선 구조
JP2005269846A (ja) 2004-03-22 2005-09-29 Thk Co Ltd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783A (ko) 2019-12-27 2021-07-08 포테닛 주식회사 다중 대변위 리니어 액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0831B2 (en) Industrial robot
US10562196B2 (en) Robot, control device, and robot system
JP7050668B2 (ja) 統合された制御器を備えた把持装置
US20160046019A1 (en) Hydraulic rotary actuator
EP2977152A2 (en) Robot
CN100358685C (zh) 工业用机器人的管线处理构造
KR101842371B1 (ko) 사출성형기용 취출 로봇장치
JP5907900B2 (ja) 回転式複数部品把持具
US11117252B2 (en) Robot
EP2977153A2 (en) Robot joint mechanism and robot
HU191326B (en) Linear moving unit operated by pressure-medium first for production and assembly lines
EP3822051A1 (en) Cable guide device of articulated robot
JPS59166484A (ja) つかみ装置
KR101028830B1 (ko) 내부 동력케이블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JP2018140456A (ja) スカラロボット
CN104942801A (zh) 一种齿轮马达驱动式机械手
EP2977151A2 (en) Robot
CN108942978B (zh) 一种柔性机器人驱动控制面板与驱动控制箱
JP6022914B2 (ja) 直交ロボット
CN112514550A (zh) 致动器
CN108908319B (zh) 一种轻量化柔性机器人
US20130266387A1 (en) Automatic threading machine
WO2020188659A1 (ja) 産業用ロボット
JP7069757B2 (ja) 水平多関節ロボット
KR102029843B1 (ko) 다축 이송장치용 구동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