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174B1 -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174B1
KR101028174B1 KR1020087006126A KR20087006126A KR101028174B1 KR 101028174 B1 KR101028174 B1 KR 101028174B1 KR 1020087006126 A KR1020087006126 A KR 1020087006126A KR 20087006126 A KR20087006126 A KR 20087006126A KR 101028174 B1 KR101028174 B1 KR 10102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fluid
extinguishing
compression source
containers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403A (ko
Inventor
나오키 이타노
고이치로 미조구치
Original Assignee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5/00Extinguishers essentially of the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7/00Hand fire-extinguishers essentially in the form of pistols or rif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화된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반송 가능한 소화장치로서, 소화장치(1)는 압축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와, 소화제를 저장할 수 있는 소화제용 용기(3,4)와, 압축원 유체용 용기(2)와 소화제용 용기(3,4)에 접속되어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저장되는 압축공기를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하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과,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밸브(6)와,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수단(7)과, 소화제용 용기(3,4)와 방출수단(7)에 접속되어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방출수단(7)으로 유도하는 소화제용 도관(8)과, 소화제용 도관(8)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가 소화제용 도관(8)을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유하방지수단(1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소화장치{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압축 유체를 이용하여 용기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토출시켜 방출하고, 이 소화제에 의해서 소화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 1 기술은 일본국 특개 2000-140143호 공보에 개시된다.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에는 압축공기가 충전된 공기 봄베와 소화액이 충전된 액체 탱크가 포함되며, 이들 공기 봄베와 액체 탱크가 서로 연통한다. 소화장치에는 소화액을 미스트(mist) 상태로 분무하기 위한 제트 건이 더 포함된다. 이 제트 건은 분사용 호스에 의해서 액체 탱크에 접속되며, 액체 탱크의 내압에 따라서 소화액이 유도된다. 제트 건은 개폐밸브 및 토출 노즐을 구비하며, 개폐밸브를 개방상태로 함으로써 유도된 소화액을 토출 노즐에서 미스트 상태로 분무할 수 있다. 또, 소화장치에는 호흡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소화장치는 공기 봄베에 충전되는 5MPa 이상 30MPa 이하의 압축공기를 액체탱크 내로 유도하고, 이 압축공기에 의해서 소화액을 제트 건으로 압송하고, 제트 건에서 미스트 상태로 분무시킨다.
종래의 제 2 기술은 일본국 특개 2003-190314호 공보에 개시된다. 종래의 제 2 기술의 2유체 소화장치는 압축공기가 충전된 공기 봄베와, 압축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액체 공급원과, 압축공기와 압축액체를 혼합하여 안개 상태로 분무하는 2유체 노즐과, 공기 봄베 및 2유체 노즐에 접속되며 압축공기를 2유체 노즐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 호스와, 액체 공급원 및 2유체 노즐에 접속되며 압축액을 2유체 노즐로 유도하기 위한 액체 호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2유체 소화장치는 공기 봄베에서 유도되는 압축공기와 액체 공급원에서 유도되는 압축액체를 2유체 노즐에서 혼합하여 안개 상태로 분사시킨다.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는 공기 봄베에서 액체 탱크로 그 압력이 5MPa 이상 30MPa 이하의 압축공기를 유도함으로써 토출 노즐에서 미스트 상태로 물을 분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5MPa 이상 30MPa 이하의 압축공기를 유도하기 때문에, 액체 탱크는 이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내압성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내압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액체 탱크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액체 탱크의 중량이 커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소화장치의 중량의 증가로 이어진다.
액체 탱크를 얇게 하기 위해서 압축공기의 압력을 종래의 제 1 기술에서 개시되는 범위 이하로 하면, 소화액의 분사량이 저하되어 고농도의 미스트를 분사할 수 없게 되므로, 소화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므로, 압축공기의 압력을 낮추는 것에 의한 박육화(薄肉化)를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에서 도모하는 것은 곤란하다.
종래의 제 2 기술의 2유체 소화장치는 공기 봄베에 충전되는 압축공기와 액체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2유체 노즐에서 혼합시켜서 안개 상태의 물로 하 고, 소화 대상물에 분사한다. 이와 같이 안개 상태의 물을 분사함으로써 소화 대상물을 소화한다. 2유체 소화장치에서는 압축공기와 액체를 혼합하여 안개 상태의 물로 하기 때문에, 대량의 압축공기를 필요로 한다. 공기 봄베에 충전되는 압축공기가 소량이면, 분사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충분한 소화를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사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공기 봄베의 용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공기 봄베의 용량이 커지게 되면, 당연히 그 중량이 커지게 되고, 그 결과 소화장치의 중량이 커지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화된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되는 압축원 유체(pressure-source fluid)를 저장할 수 있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와, 소화제를 저장할 수 있는 소화제용 용기와, 압축원 유체용 용기와 소화제용 용기에 접속되어 압축원 유체용 용기에 저장되는 압축원 유체를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하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과, 압축원 유체용 도관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압축원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수단과, 소화제용 용기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수단과, 소화제용 용기와 방출수단에 접속되어 소화제용 용기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방출수단으로 유도하는 소화제용 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원 유체용 용기에 저장되는 압축원 유체는 그 압력이 감압수단에 의해서 감압되어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통해서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된다. 소화제용 용기에 저장되는 소화제는 이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되는 압축원 유체에 의해서 압력을 받게 됨으로써 소화제용 용기에서 소화제용 도관으로 토출된다. 토출되는 소화제는 소화제용 도관을 통해서 방출수단으로 유도된다. 장착자는 방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유도되는 소화제를 방출시켜서 소화한다.
또, 본 발명은, 감압수단은 압축원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제어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제어밸브에 의해서 그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 압축원 유체를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에서 소화제용 도관으로 토출되는 소화제의 유량을 압축원 유체의 잔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감압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감압수단에 의해서 감압된 압축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급기수단(給氣手段)을 더 포함하고, 압축원 유체용 용기에 저장되는 압축원 유체는 적어도 산소를 포함하는 혼합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산소를 포함하는 혼합기체를 감압수단으로 감압하여 급기수단에 의해서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는 급기수단에 의해서 공급되는 혼합기체를 흡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압축원 유체용 도관에 개재되어 소화제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소화제용 용기에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를 향해서 역류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이 감압수단보다 압축원 유체의 흐름방향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류방지수단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에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를 향하는 소화제의 역류를 감압수단보다 흐름방향 하류측의 위치에서 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가 역류하여 감압수단에 이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소화제용 도관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가 소화제용 도관을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유하(流下)방지수단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하방지수단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가 소화제용 도관을 흐르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방출수단으로 유도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가 방출수단에서 방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압축원 유체용 도관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압축원 유체의 유량이 미리 정해지는 설정유량 이상이 되면, 압축원 유체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과류(過流)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원 유체용 도관에는 과류방지수단이 개재된다. 과류방지수단은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압축원 유체의 유량이 미리 정해지는 설정유량 이상이 되면, 압축원 유체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소화제는 난연성(難燃性)을 가지며,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제로서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이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를 소화 대상물을 향해서 방출하면, 방출되는 소화제는 그 온도가 상승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된다. 점도가 높아지게 된 소화제는 물에 비해서 유동하기 어렵게 되므로, 소화 대상물에 부착된 소화제가 흘러내리는 등에 의해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소화제용 도관을 흐르는 경우는, 방출 후보다도 소화제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그 점도가 낮고, 따라서 소화제를 소화제용 도관을 통해서 방출수단까지 압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압축원 유체용 용기 및 소화제용 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틀체를 더 포함하며, 틀체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 및 소화제용 용기가 직립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원 유체용 용기 및 소화제용 용기가 설치되는 틀체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 및 소화제용 용기를 직립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는 소화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소화장치(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감압밸브(6)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절단선으로 절단하여 감압밸브(6)를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방출수단(7)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방출수단(7)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집합배관(2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지면 하측에서 본 집합배관(21)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지면 상측에서 본 집합배관(21)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분사노즐(29)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개폐밸브(9)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C 절단선으로 절단하여 본 개폐밸브(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D-D 절단선으로 절단하여 본 개폐밸브(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호흡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호흡기(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호흡기(10)에 포함되는 폐력밸브(35) 및 호기밸브(36)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역지밸브(1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유하방지밸브(1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커버체(46,47)가 개방된 상태의 용기 유지구(1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지면 좌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지면 상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용기 유지구(1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용기 유지구(13)에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노즐 하우징부(70)를 방출수단(7)의 하우징 본체(25a)에 대해서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소화제를 소화제용 용기(3,4)에 공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유하방지수단(12A)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C)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9는 소화장치(1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0은 역지밸브(11A)와 과류방지수단(20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용기 유지구(13A)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지면 좌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A)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지면 상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A)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5는 용기 유지구(13A)에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용기 유지구(13B)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지면 좌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B)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지면 하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B)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9는 도 36의 T-T 절단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방출수단(7)의 분사노즐(29C)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감압밸브(6E)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N-N 절단선으로 감압밸브(6E)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42의 P-P 절단선으로 감압밸브(6E)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Q-Q 절단선으로 감압밸브(6E)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42의 R-R 절단선으로 감압밸브(6E)를 절단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소화제용 용기(3,4)의 덮개체(20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S-S 절단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E)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형태에서 선행하는 형태로 설명하고 있는 사항에 대응하고 있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구성의 다른 부분은 선행하여 설명하고 있는 형태와 같은 것으로 한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부분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실시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는 소화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소화장치(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소화장치(1)는 가옥, 가구 및 전자기기 등의 소화 대상물을 소화할 때에 이용되는 반송 가능한 소화장치이다. 소화장치(1)는 예를 들면, 장착자가 신체에 장착하여 또는 차량 등에 적재하여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화장치(1)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소화제를 토출시키되, 이 소화제를 소화 대상물에 방출하여 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소화장치(1)는 장착자가 등에 짊어지고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화장치(1)에는 압축원(壓縮源) 유체용 용기(2)와,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와, 압축원 유체용 도관(5)과, 감압밸브(6)와, 소화제용 도관(8)과, 방출수단(7)과, 개폐밸브(9)와, 호흡기(10)와, 역지밸브(11)와, 유하(流下)방지밸브(12)와, 용기 유지구(13)와, 경보기(190)와, 압력 지시계(191)가 포함된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는 압축되는 압축원 유체(pressure-source fluid)인 압축공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있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는 29.4MPa 또는 14.7MPa의 압축원 유체가 충전된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는, 예를 들면, 유리섬유제 FRP-알루미늄 합금 또는 카본섬유제 FRP(섬유강화플라스틱)-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는 단지 상기한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선방향의 일단부가 폐색되어 있고, 타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 에는 개폐밸브(9)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는 소화제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다. 소화제용 용기(3,4)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다. 소화제용 용기(3,4)는 단지 상기한 재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지이어도 된다.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선방향의 양단부가 개구되어 있되 일단부의 개구부가 덮개체(20)에 의해서 밀봉되고 타단부의 개구부에는 집합배관(21)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는 형상 및 구성이 동일하다.
소화제는 난연성을 가지며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이다. 상기 수지는, 예를 들면, 수용성 아크릴아미드계 수지이고, 구체적으로는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이다. 상기 수지는 단지 상기한 수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난연성을 가지며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이면 된다.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은, 예를 들면, NBR(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계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며, 압축원 유체용 용기(2)와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에 접속되어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내의 압축공기를 각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은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개폐밸브(9)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은 단지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압축공기가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서 소화제용 용기(3,4)로 흐르는 방향을 Al방향(또는 흐름방향)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은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와 제 2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b)를 가진다.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는 그 일단부가 개폐밸브(9)에 접속되고, 그 타단부가 제 2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b)의 중간부에 연속된다. 제 2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b)는 그 일단부가 일방의 소화제용 용기(3)에 연속되고, 그 타단부가 타방의 소화제용 용기(4)에 연속된다.
도 4는 감압밸브(6)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절단선으로 절단하여 감압밸브(6)를 본 단면도이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감압수단이고 압력제어밸브인 감압밸브(6)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감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감압밸브(6)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예를 들면, 0.7MPa로 감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제어밸브이다. 다만 감압밸브(6)는 0.7MPa로 감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감압밸브(6)는 알루미늄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압밸브(6)는 압축공기 도통로 형성부(110)와 압력제어밸브부(111)와 안전밸브부(112)를 가지며, 이것들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축공기 도통로 형성부(110)에는 압축공기 도통로(148)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공기 도통로(148)에는 이 압축공기 도통로(148)를 흐르는 압축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113)가 개재되어 있다. 압력제어밸브부(111)는 하우징 부분(114)과 1차측 포트 형성부(115)와 수압체(受壓體)(116)와 밸브체(117)와 폐색부재(118)와 밸브체 조정부재(119)와 제 1 스프링부재(120)와 제 2 스프링부재(121)와 덮개부(122)가 포함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114)은 축선(L4)을 가지며, 축선(L4) 둘레에 제 1 공간(123)과 제 2 공간(12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공간(123)은 제 2 공간(124)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공간(123)과 제 2 공간(124)은 연속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114)은, 그 축선방향 일단측에 제 1 공간(123)이 형성되고 타단측에 제 2 공간(12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114)은 제 1 공간(123)이 압축공기 도통로(148)에 연속되고 그 축선방향 타단부가 상기 축선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114)에는 제 1 공간(123)이 제 2 공간(124)에 면하는 개구부를 에워싸는 원환형상의 돌기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1차측 포트 형성부(115)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선방향 일단부에 외주부 전 둘레에 걸쳐서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향 플랜지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1차측 포트 형성부(115)의 축선은 축선(L4)과 일치하고 있다. 1차측 포트 형성부(115)의 원통형상 부분의 내주부에 의해서 1차측 포트(126)가 형성된다. 외향 플랜지부(125)에는 축선(L4) 둘레에 복수의 연통로(127)가 형성되어 있다. 1차측 포트 형성부(115)는 외향 플랜지부(125)를 제외하는 잔여 부분이 제 1 공간(123)에 수납되며, 하우징 부분(114)에 밀봉을 달성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압체(116)는 외향 플랜지부 수용부(116a)와 밸브체 수용부(116b)를 가진 다. 외향 플랜지부 수용부(116a)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부에 외향 플랜지부(125)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외향 플랜지부 수용부(116a)는 하우징 부분(114)에 밀봉을 달성하고 있는 상태로 제 2 공간(124)에 수납되어 있다. 외향 플랜지부(125)는 축선(L4)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며, 밀봉을 달성한 상태로 하우징 부분(114)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수용부(116b)는 외향 플랜지부 수용부(116a)보다 외경 및 내경이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이다. 외향 플랜지부 수용부(116a) 및 밸브체 수용부(116b)는 그 축선이 축선(L4)과 일치하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수용부(116b)의 외향 플랜지부 수용부(116a)에 연속되는 단부의 외주부에는 그 둘레방향 전 둘레에 걸쳐서 플랜지형상의 제 1 스프링부재 지지부(116c)가 형성된다. 제 1 스프링부재 지지부(116c)는 그 외경이 외향 플랜지부 수용부(116a)의 외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밸브체(117)는 시트 유지부(117a)와 시트부(117b)를 가진다. 시트 유지부(117a)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선방향 일단부에 시트부(117b)가 끼워 맞춰져 있다. 시트부(117b)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117)는 밸브체 수용부(116b)에 밀봉을 달성하는 상태로 그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시트 유지부(117a) 및 시트부(117b)의 축선은 축선(L4)과 일치하고 있다. 1차측 포트 형성부(115)에는 1차측 포트(126)의 시트부(117b)에 면하는 개구부를 에워싸도록 원환형상의 밸브 시트(128)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117b)는 이 밸브 시트(128)와 오리피스(129)를 형성한다.
하우징 부분(114)은 그 개구되는 부분에 폐색부재(118)가 나사결합되어 폐색되어 있다. 폐색부재(118)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부에 밸브체 조정부재(119)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밸브체 조정부재(119)는 대략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시트 유지부(117a)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맞닿음 가능하게 폐색부재(118)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밸브체 조정부재(119)의 축선은 축선(L4)과 일치하고 있다. 시트 유지부(117a)의 축선방향 타단부는 밸브체 조정부재(119)의 편측 맞닿음을 억제하기 위해서 부분 구면(球面) 상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조정부재(119)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회동시킴에 의해서 축선(L4)에 평행한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밸브체(117)의 가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스프링부재(12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밸브체 수용부(116b)에 외장되되 밸브체 수용부(116b)와 하우징 부분(114)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환형상의 스프링 수용공간(130)에 배치된다. 제 1 스프링부재(120)의 일단부는 제 1 스프링부재 지지부(116c)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폐색부재(118)에 지지되어 있다. 제 2 스프링부재(121)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제 1 스프링부재(120)에 외장되되 스프링 수용공간(130)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스프링부재(121)의 일단부는 외향 플랜지부 수용부(116a)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폐색부재(118)에 지지되어 있다. 폐색부재(118)에는 스프링 수용공간(130)을 대기(大氣)에 개방하는 대기개방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 폐색부재(118)에는 밸브체 조정부재(119)를 덮기 위한 덮개부(122)가 끼워 맞춰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리피스(129)보다 반지름방향 내측에 1차 압력실(133) 이 형성되고, 오리피스(129)보다 반지름방향 외측에 제 1의 2차 압력실(134)이 형성된다. 하우징의 돌기부(132)보다 반지름방향 내측에 원환형상의 제 2의 2차 압력실(135)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의 2차 압력실(134,135)은 연통로(127)에 의해서 연통되며, 이것들에 의해서 2차 압력실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114)에는 제 2의 2차 압력실(135)에 연속하는 2차측 포트(136)가 형성되어 있다.
1차측 포트(126)에서 1차 압력실(133)로 흐르는 압축 유체가 오리피스(129)를 통과하여 제 1의 2차 압력실(134)로 유입된다. 제 1의 2차 압력실(134)의 압축 유체는 연통로(127)를 통해서 제 2의 2차 압력실(135)로 흐른다. 수압체(116)는 제 1 및 제 2의 2차 압력실(134,135)의 압축공기의 압력을 받는다. 제 1 및 제 2 스프링부재(120,121)는 상기한 압력에 대향하는 탄성력을 수압체(116)에 부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압체(116)는 상기한 압력, 즉 2차측의 압축공기의 압력에 대응하여 하우징 부분(114)을 슬라이드 변위함으로써 오리피스(129)의 개방정도를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공기를 감압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여 2차측 포트(136)로 배출한다.
안전밸브부(112)는 축선(L5)을 가지며, 하우징 부분(140)과 스프링 유지부재(141)와 안전밸브체(142)와 안전밸브 스프링부재(143)를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140)은 축선(L5) 둘레에 밸브구멍(144) 및 안전밸브 수용구멍(145)이 형성된다. 밸브구멍(144)은 2차측 포트(136) 및 안전밸브 수용구멍(145)에 연속되며, 안전밸브 수용구멍(145)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140)에는 밸브구멍(144)의 안전밸브 수용구멍(145)에 면하는 개구부를 에워싸는 원환형상의 안전밸 브 시트(146)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140)은 축선방향 일방측, 구체적으로는 2차측 포트(136)의 반대측 부분이 개구되며, 이 개구되는 부분에 스프링 유지부재(141)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안전밸브 수용구멍(145)에는 안전밸브체(142)가 축선(L5)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안전밸브체(142)는 슬라이드 변위함에 의해서 안전밸브 시트(146)에 안착되고, 안전밸브 시트(146)에서 이반(離反)된다. 안전밸브 스프링부재(143)는 안전밸브체(142)와 스프링 유지부재(141)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안전밸브체(142)에 이것을 안착시키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하우징 부분(140)에는 안전밸브 수용구멍(145)을 대기에 개방하는 대기개방구멍(147)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밸브부(112)는 2차측 포트(136) 내의 압력이 미리 정해지는 압력 이상이 되면, 안전밸브 시트(146)에서 이반되어 압축공기를 대기에 개방하여 감압한다.
감압밸브(6)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 개재되며, 압축공기 도통로(148) 및 2차측 포트(136)가 압축원 유체 유로(30)에 연속되고, 압축공기 도통로(148)에서 2차측 포트(136)를 향해서 압축공기가 흐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방출수단(7)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방출수단(7)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설명의 편의상 도 6에 나타내는 방출수단(7)의 단면과 다르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방출수단(7)은 이른바 핸드 건이며,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소화제용 도관(8)은, 예를 들면 NBR계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며,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와 방출수단(7)에 접속되어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 화제를 방출수단(7)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소화제용 도관(8)은 단지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화제용 도관(8)에는 제 1 소화제용 도관부(8a)와 제 2 소화제용 도관부(8b)가 포함된다. 제 1 소화제용 도관부(8a)는 그 일단부가 일방의 소화제용 용기(3)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타방의 소화제용 용기(4)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소화제용 도관부(8b)는 그 일단부가 방출수단(7)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 1 소화제용 도관부(8a)의 중간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 8은 집합배관(2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지면 하측에서 본 집합배관(21)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지면 상측에서 본 집합배관(21)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의 축선방향 타단부의 개구부에는 집합배관(21)이 설치되며, 이 집합배관(21)에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 및 소화제용 도관(8)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집합배관(21)에는 소화제용 도관(8)의 일부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서 방출수단(7)으로 흐르는 소화제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의 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유로(21a,21b)가 형성되어 있다. 소화제용 도관(8)의 잔여 부분에서는 1개의 유로에 의해서 소화제의 유량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집합배관(21)에 압축원 유체용 도관(5) 및 소화제용 도관(8)의 일부를 형성함으로써, 압축원 유체용 도관(5) 또는 소화제용 도관(8)을 접속하기 위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 새롭게 가공을 할 필요가 없으며,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제 2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b)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소화제용 용기(3,4)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근방까지 상기 소화제용 용기(3,4)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를 가진 원통형상의 사이펀관(22)이 설치되어 있다. 사이펀관(22)은 그 축선방향 일단부가 개구되어 제 2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b)에 접속되고, 축선방향 타단부에 반지름방향 내외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소화제용 용기(3,4)가 세워진 직립상태에서 이 사이펀관(22)의 연통구멍(23)이 소화제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양의 소화제가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연통구멍(23)은, 소화제용 용기(3,4)가 세워진 직립상태에서는 저장되는 소화제가 연통구멍(23)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방출수단(7)은 방출수단 하우징(25)과 개폐밸브부(26)와 공급관(27)과 레버(28)와 분사노즐(29)이 포함된다. 방출수단 하우징(25)은, 예를 들면 검정색으로 도장되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방출수단 하우징(25)은 단지 상기한 검정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색, 청색, 황색 및 초록색이어도 되고, 재료도 알루미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지이어도 된다. 방출수단 하우징(25)은 하우징 본체(25a)와 파지부(25b)를 가진다. 하우징 본체(25a)는 대략적으로 길이가 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길이방향 일단부의 원통부분의 축선을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하우징 본체(25a)의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타단부 근방에 걸쳐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25a)의 일측 표면부는 그 길이방향 타단부 근방이 개구되어 있다. 또, 하우징 본체(25a)의 길이방향 타단부 근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일측 표면부에 인접하는 2개의 표면부에 돌기부(159)가 형성된다. 돌기 부(159)는 그 표면부에서 이반되는 방향으로 돌기되어 있다. 이 돌기부(159)는 방출수단(7)의 이것을 제외한 잔여 부분과 색채가 다르다. 예를 들면 적색, 청색, 황색 및 녹색 등의 도장이 실시된다. 하우징 본체(25a)는 단지 색채가 다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색으로 하여도 된다. 파지부(25b)는 대략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부(160a)가 하우징 본체(25a)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그 타단부(160b)가 하우징 본체(25a)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폐밸브부(26)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통로 형성부(26a)와 밸브체(26b)를 가진다. 밸브통로 형성부(26a)는 그 축선이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하우징 본체(25a) 내의 길이방향 일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통로 형성부(26a)는 그 축선방향 일단부의 개구부가 하우징 본체(25a)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개구부에 연이어 통하도록 배치되며, 그 내측에 밸브통로(26c)가 형성된다. 밸브체(26b)는 봉(棒)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통로 형성부(26a)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밀봉을 달성하는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밸브체(26b)는 밸브통로 형성부(26a)를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며,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함으로써 밸브통로(26c)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밸브통로 형성부(26a)는 공급관(27)이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며, 접속되는 공급관(27) 내와 밸브통로(26c)가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급관(27)은 그 일단부가 소화제용 도관(8)에 접속되고, 그 타단부가 밸브통로 형성부(26a)에 접속되어 있다. 공급관(27)은 소화제용 도관(8)을 흐르는 소화 제를 밸브통로(26c)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공급관(27)은 파지부(25b)에 끼워 맞춰서 설치된다. 레버(28)는 그 일부가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방향 타단부 근방의 내측에 설치되고, 잔여 부분이 하우징 본체(25a)의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레버(28)는 그 잔여 부분이 파지부(25b)와 함께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며, 파지되는 상태에서 변위 가능, 구체적으로는 각도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26b)는 레버(28)에 걸어 맞춰지며, 레버(28)의 변위에 연동하여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레버(28)를 각도 변위시킴으로써 밸브체(26b)를 밸브통로 형성부(26a)의 축선방향, 즉 하우징 본체(25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밸브통로(26c)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분사노즐(29)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방향 일단부에는 분사노즐(29)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노즐(29)은 소화제를 확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사노즐(29)은 노즐 하우징부(70)와 노즐 축체(71)를 가진다. 노즐 하우징부(7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선방향 중간부의 내주부에 둘레방향 전 둘레에 걸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향 플랜지부(72)가 형성된다. 내향 플랜지부(72)의 내주부는, 그 일부가 노즐 하우징부(70)의 축선방향 타단부에서 일단부를 향해서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다. 노즐 하우징부(70)는 그 축선방향 일단부가 방출수단(7)의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의 내주부가 축선방향 타단부에서 일단부를 향해서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 하우징부(70)는 하우징 본체(25a)에 나사결합되며, 축 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노즐 하우징부(70) 및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은 일치하고 있다.
노즐 축체(71)는 축 베이스부(73)와 축봉부(74)와 도류부(道流部)(75)를 가진다. 축 베이스부(73)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 베이스부(73)는 그 축선 둘레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그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유하(流下)구멍(76)이 형성된다. 축봉부(74)는 대략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선방향 일단부가 축 베이스부(73)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축봉부(74)의 축선방향 타단부에는 도류부(75)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류부(75)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도류부분(75a)과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도류부분(75b)과, 제 1 도류부분(75a)과 제 2 도류부분(75b)을 연결하는 제 3 도류부분(75c)을 가진다. 제 1 도류부분(75a)은 제 2 도류부분(75b)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축봉부(74)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도류부분(75a)은 내향 플랜지부(72)의 내주부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도류부분(75c)은 제 2 도류부분(75b)에서 제 1 도류부분(75a)을 행해서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제 3 도류부분(75a∼75c)의 축선은 일치하고 있으며, 축 베이스부(73), 축봉부(74) 및 도류부(75)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노즐 축체(71)는 축봉부(74)가 내향 플랜지부(7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축봉부(74)는 내향 플랜지부(72)에 대해서 반지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관통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방향 일단부의 내주부에는 둘레방향 전 둘레에 걸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분(77)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축체(71)의 축 베이 스부(73)는 상기 플랜지부분(77)에 맞닿는 상태로 하우징 본체(25a) 내에 설치되어 있다. 축 베이스부(73)의 축선과 방출수단(7)의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은 일치되어 있다.
도 12는 개폐밸브(9)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C 절단선으로 절단하여 본 개폐밸브(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D-D 절단선으로 절단하여 본 개폐밸브(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폐밸브(9)에는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가 접속되며,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다. 개폐밸브(9)는, 압축원 유체 유로(30)와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내측에 연속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개폐밸브(9)는 기본적으로 핸들(31)과 개폐밸브체(32)를 포함하며, 핸들(31)을 조작함으로써 개폐밸브체(32)가 상기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개폐밸브(9)에는 제 1 유로형성부(91)와 개폐밸브부(92)와 제 2 유로형성부(93)가 포함되며, 이것들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 1 유로형성부(91)에는 압축 유체가 흐르는 제 1 유로(9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로형성부(91)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개구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유로형성부(91)는 축선(Ll)을 가지며, 이 축선 둘레에 제 1 유로(94)가 형성된다. 제 1 유로(94)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저장되는 압축공기가 흐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밸브부(92)는 하우징 부분(95)과 핸들(31)과 개폐밸브체(32)와 스템(97)과 스프링부재(98)와 스프링 누름부재(99)가 포함된다.
하우징 부분(95)은 축선(L2)을 가지며, 이 축선(L2) 둘레에 개폐밸브 1차측 포트(100) 및 개폐밸브체 수용구멍(10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95)은 그 축선방향 일단측에 개폐밸브 1차측 포트(100)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개폐밸브체 수용구멍(101)이 형성되며, 이것들이 서로 연속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95)은 개폐밸브 1차측 포트(100)가 제 1 유로(94)에 연속되고, 그 축선방향 타단부가 상기 축선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개폐밸브 1차측 포트(100)는 개폐밸브체 수용구멍(101)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95)에는 개폐밸브 1차측 포트(100)가 개폐밸브체 수용구멍(101)을 향하는 개구부를 에워싸도록 원환형상의 개폐밸브 시트(102)가 형성된다.
개폐밸브체(32)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부에 그 축선방향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개폐밸브 홈(103)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밸브체(32)는 개폐밸브체 수용구멍(101)에 수납되며, 축선(L2)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 부분(95)에 설치되어 있다. 개폐밸브체(32)는 개폐밸브 시트(102)에 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개폐밸브체(32)가 축선(L2)에 평행한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안착 및 이반(離反)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템(97)은 대략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선방향 일단부가 개폐밸브체(32)에 맞닿음 가능한 상태로 축선(L2)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개폐밸브체 수용구멍(101)에 수납되어 있다. 스템(97)의 축선방향 일단부는 하우징 부분(95)에 밀봉을 달성한 상태로 축선(L2)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템(97)은 그 축선방향 타단부가 하우징 부분(95)의 개구부에서 축선(L2)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개폐밸브체(32) 및 스 템(97)의 축선은 축선(L2)에 일치하고 있다.
핸들(31)은 대략적으로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템(97)이 축선(L2)에 평행한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축선(L2) 둘레로의 회동이 저지되게 관통되어 있다. 핸들(31)은 하우징 부분(95)의 축선방향 타단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템(97)의 축선방향 타단부에는 스프링 누름부재(99)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핸들(31)은 그 관통되는 스템(97)의 축선방향 타단부의 둘레에 원환형상의 스프링부재 수용공간(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재 수용공간(104)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스프링부재(98)가 수용되며, 그 축선방향 일단부가 스프링 누름부재(99)에 맞닿고, 타단부가 핸들(31)에 맞닿아 있다. 핸들(31) 및 스프링부재(98)의 축선은 축선(L2)에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스프링부재(98)에 의해서 핸들(31)에는 축선(L2)에 평행하고 또한 하우징 부분(95)을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된다.
제 2 유로형성부(93)는 축선(L3)을 가지며, 축선(L3) 둘레에 제 2 유로(105)가 형성된다. 제 2 유로형성부(93)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이 접속되어 있다. 제 2 유로 형성부(93)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유로(105)를 흐르는 압축 유체를 압축원 유체용 도관(5)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밸브부(92)와 제 2 유로형성부(93)에 걸쳐서 개폐밸브체 수용구멍(101)과 제 2 유로(105)를 연이어 통하는 연통로(106)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106)는 개폐밸브체(32)가 개폐밸브 시트(102)에서 떨어지면, 개폐밸브 1차측 포트(100)를 흘러서 개폐밸브 홈(103)을 통과하여 유도되는 압축공기를 제 2 유로(105)로 유도하 도록 형성된다.
도 15는 호흡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호흡기(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호흡기(10)에 포함되는 폐력(肺力)밸브(35) 및 호기(呼氣)밸브(36)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급기수단(給氣手段)인 호흡기(10)는 감압밸브(6)에서 감압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호흡기(10)에는 안면 커버(37)와 급기도관(給氣導管)(38)과 폐력밸브(35)와 호기밸브(36)가 포함된다. 안면 커버(37)는 장착자의 얼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자의 눈, 코 및 입을 덮도록 형성된다. 급기도관(38)은 안면 커버(37)와 감압밸브(6)를 접속하고 있다. 폐력밸브(35)는 급기도관(38)에 개재되어 급기도관(38) 내에 형성되는 급기통로(39)의 개방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폐력밸브(35)는 안면 커버(37) 내의 공기의 압력에 의거하여 급기통로(39)의 개방정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면 커버(37) 내의 공기의 압력이 미리 정해지는 압력인 양압(positive pressure) 미만이 되면 급기통로(39)를 개방하고, 양압 이상이 되면 급기통로(39)를 폐쇄한다. 호기밸브(36)는 안면 커버(37) 내의 공기의 압력에 의거하여 안면 커버(37)에 형성되는 호기통로(40)의 개방정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안면 커버(37) 내의 공기의 압력이 양압을 넘으면 호기통로(40)를 개방하고, 안면 커버(37) 내의 공기의 압력이 양압 이하이면 호기통로(40)를 폐쇄한다.
도 18은 역지밸브(1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역류방지수단인 역지밸브(11)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 개재되어 소화제가 소화제용 용기(3,4)에 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를 향해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역류하는 것을 저지 하도록 구성된다. 역지밸브(11)는 감압밸브(6)보다 Al방향 하류측에 설치된다. 역지밸브(11)는 역지밸브체(41)와 역지밸브 스프링부재(42)가 포함된다. 역지밸브체(41)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 설치되어 압축원 유체 유로(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역지밸브 스프링부재(42)는 역지밸브체(41)에 Al방향 상류측을 향하는 탄성력을 부여하여, 역지밸브체(41)가 압축원 유체 유로(3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역지밸브체(41)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는 압축공기의 압력 및 역류하는 소화제의 압력을 받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역지밸브체(41)에 대해서 Al방향 하류측 및 상류측이 동일한 압력이 되어도 역지밸브체(41)가 압축원 유체 유로(30)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적어도 소화제로부터 받는 압력보다 압축공기로부터 받는 압력이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이 높다.
도 19는 유하(流下)방지밸브(1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하방지수단인 유하방지밸브(12)는 압축공기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다. 유하방지밸브(12)는 제 1 소화제용 도관부(8a)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설치되며,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화제의 양에 의거하여 제 1 소화제용 도관부(8a)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된 소화제가 다 떨어지면, 소화제보다 밀도가 작은 부자(浮子)(43)가 제 1 소화제용 도관부(8a)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개구부를 폐쇄하여{도 19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부자(43)}, 압축공기가 소화제용 도 관(8)을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도 20은 커버체(46,47)가 개방된 상태의 용기 유지구(1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지면 좌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지면 상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용기 유지구(1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용기 유지구(13)에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용기 유지구(13)는 도 20의 지면에 있어서 좌우 대칭구조이므로, 도 20의 지면 우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는 도 20의 지면 좌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에 대해서 대칭이 된다.
용기 유지구(13)는 틀체(45)와 2개의 커버체(46,47)와 백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틀체(45)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를 직립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틀체(45)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가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되 그 축선이 평행하게 되도록 병설된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는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 사이에 설치되되 그 축선이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의 축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는 이들 축선이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도 23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은 위치에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를 설치할 수 있도록 틀체(45)가 구성된다. 따라서, 도 24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축선(L7)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가 설치된다.
틀체(45)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며,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를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틀체(45)는 단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틀체(45)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가 직립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가 세워진 직립상태에서 틀체(45)가 자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 유지구(13)가 자립한 상태에서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의 축선은 연직방향이 된다.
틀체(45)는 세워진 직립상태에서 마루 등의 수평면에 맞닿는 다리부분(45a)과 이 다리부분(45a)에 연속하며 각 용기(2,3,4)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몸통부분(4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용기(2,3,4)가 몸통부분(45b)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틀체(45)의 다리부분(45a)과 각 용기(2,3,4)가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며, 세워진 직립상태에서는 각 용기(2,3,4)가 다리부분(45a)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서 상측에 배치된다.
세워진 직립상태에서는 개폐밸브(9) 및 감압밸브(6)가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하측에 배치되되 틀체(45)의 다리부분(45a)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 압축원 유체용 도관(5) 및 압축원 유체용 도관(5), 감압밸브(6), 개폐밸브(9) 및 역지밸브(11)에 대해서도 다리부분(45a)보다도 상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각 용기(2,3,4), 압축원 유체용 도관(5), 소화제용 도관(8), 감압밸브(6), 개폐밸브(9) 및 역지밸브(11)가 마루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이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틀체(45)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과 감압밸브(6)와 소화제용 도관(8)과 개폐밸브(9)와 역지밸브(11)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플레이트(150)를 통해서 이들 각 구성(5,6,8,9,11)을 지지한다. 백 플레이트(15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소화장치(1)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에 대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백 플레이트(150)는 소화제용 용기(3,4)의 2개의 축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축선의 반대측에 배치되되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된다. 백 플레이트(150)는 세워진 직립상태의 틀체(45)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장착됨으로써 틀체(45)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틀체(45)에는 소화장치(1)를 사용자가 짊어지기 위한 어깨 벨트(48)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는 사용자가 소화장치(1)를 짊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소화장치(1)의 횡폭(橫幅)이 어깨 폭보다 좁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횡폭방향이란 소화제용 용기(3,4)가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방향이고,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3개의 용기(2,3,4)의 축선을 연결한 이등변 삼각형의 저변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2개의 커버체(46,47)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틀체(4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반원통형상이란 원통을 그 축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으로 절단한 것과 같은 뜻이다. 커버체(46,47)는, 예를 들면 FRP로 이루어지며, 적색, 회색 또는 흑색 등에 의해서 그 표면이 도장되어 있다. 커버체(46,47)는 단지 이러한 재료 및 색채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버체(46,47)는 재료 자체가 적색 또는 흑색 등의 색채를 가지는 아크릴 변성 고충격 염화비닐(acrylic modified high-impact vinyl chloride)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된다. 2개의 커버체(46,47)는 틀체(45)에 장착되는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를 각각 피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방의 커버체(46)를 회동시킴에 의해서 일방의 소화제용 용기(3)의 피복 및 노출을 전환할 수 있고, 타방의 커버체(47)를 회동시킴에 의해서 타방의 소화제용 용기(4)의 피복 및 노출을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체(46,47)는 대략적으로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46,47)는 소화제용 용기(3,4)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방향 일단부가 틀체(45)의 몸통부분(45b)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화제용 용기(3,4)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체(46,47)는 이들을 각각 회동시킴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를 피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경보기(190)는 개폐밸브(9)와 감압밸브(6)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서 분기하여 설치된다. 경보기(190)는 개폐밸브(9)에서 감압밸브(6)로 흐르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미리 정해지는 압력 이하가 되면, 장착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보기(190)는, 예를 들면 경적 등에 의해서 장착자에게 알린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내의 압축공기의 압력, 즉 잔량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중에 장착자가 호흡 곤란에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압력 지시계(191)는 개폐밸브(9)와 감압밸브(6)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서 분기하여 설치된다. 압력 지시계(191)는 개폐밸브(9)에서 감압 밸브(6)로 흐르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계측하여 그 압력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내의 압축공기의 압력, 즉 잔량을 알 수 있어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는 잔여 시간 및 호흡할 수 있는 시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소화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밸브(9)의 핸들(31)을 조작함에 의해서 개폐밸브(9) 내의 유로가 개방되면, 압축공기가 압축원 유체 유로(30)를 흐른다. 구체적으로는 핸들(31)을 회동시키면, 스템(97)이 변위함으로써 개폐밸브체(32)가 개폐밸브 시트(102)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유로(94)와 제 2 유로(105)가 연이어 통하게 됨으로써,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내의 압축공기가 개폐밸브(9)를 통해서 압축원 유체 유로(30)로 흐른다. 압축공기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며, 그 압력이 감압밸브(6)에 의해서 감압된다. 감압 후, 압축공기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고, 사이펀관(22)을 통해서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된다.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화제는 유도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압력을 받게 되며, 소화제용 용기(3,4)에서 소화제용 도관(8)으로 토출된다. 토출되는 소화제는 소화제용 도관(8)을 통해서 방출수단(7)으로 유도된다. 장착자는 방출수단(7)을 이용하여 상기 유도되는 소화제를 방출하여 소화한다.
개폐밸브(9)는, 핸들(31)을 축선(L2) 둘레의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스템(97)이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개폐밸브체(32)를 개폐밸브 시트(102)에서 떨어뜨리는 이반방향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서 개폐밸브 1차측 포트(100)와 제 2 유로(105) 가 연이어 통하게 됨으로써 압축공기가 흐르게 된다. 핸들(31)을 축선(L2) 둘레의 타측으로 회동시키면, 스템(97)이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개폐밸브체(32)를 개폐밸브 시트(102)에 안착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변위시켜서 개폐밸브체(32)를 개폐밸브 시트(102)에 안착시키면, 개폐밸브 1차측 포트(100)와 제 2 유로(105)가 차단됨으로써 압축공기의 공급이 정지되게 된다.
감압밸브(6)에 의해서 그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 압축원 유체를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서 소화제용 도관(8)으로 토출되는 소화제의 토출량을 압축공기의 잔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함으로써, 방출수단(7)에서 방출되는 소화제의 방출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력제어밸브부(111)에 의해서 감압된다. 수압체(116)가 2차측의 압축공기의 압력을 받고, 이 압력에 의거하여 오리피스(129)의 개방정도를 조정함으로써, 2차측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감압된다.
적어도 산소를 포함하는 혼합기인 압축기체를 감압밸브(6)로 감압하여 급기도관(38)을 통해서 안면 커버(37)에 공급할 수 있다. 장착자는 이 안면 커버(37)를 장착함에 의해서 공급되는 미리 정해진 압력(양압)의 공기를 흡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는 호흡할 수 있다.
역지밸브(11)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로 향하는 소화제의 역류를 감압수단보다 Al방향 하류측의 위치에서 저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소화제가 소화제용 용기(3,4)에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를 향해서 역류하면, 역지밸브(11)가 압축원 유체 유로(30)를 폐쇄함으로써 소화제의 역류를 저지한 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가 역류하여 감압밸브(6)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유하방지밸브(12)에 의해서 압축공기가 소화제용 도관(8)을 흐르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방출수단(7)으로 유도되어 방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된 소화제가 다 떨어지면, 유하방지밸브(12)에 의해서 소화제용 도관(8)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개구부를 폐색함으로써, 압축공기가 소화제용 도관(8)을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공기가 방출수단(7)에서 방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소화장치(1)에서는, 소화제로서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이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를 불을 향해서 방출하면, 방출되는 소화제는 그 온도가 상승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된다. 점도가 높아지게 된 소화제는 물에 비해서 유동하기 어렵게 되므로, 소화 대상물에 부착된 소화제가 흘러내리는 등에 의해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소화제용 도관(8)을 흐르는 경우는, 방출 후보다도 소화제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그 점도가 낮고, 따라서 소화제를 소화제용 도관(8)을 통해서 방출수단(7)까지 압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설치되는 틀체(45)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를 직립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틀체(45)에 설치되는 커버체(46,47)를 회동시킴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를 피복하여 보호하는 상태와 소화제용 용기(3,4)를 노출시켜서 이탈 가능하게 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5는 노즐 하우징부(70)를 방출수단(7)의 하우징 본체(25a)에 대해서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방출수단(7)은, 레버(28)를 각도 변위시키면, 밸브체(26b)가 축선방향으로 변위함에 의해서 밸브통로(26c)가 개방된다. 개폐밸브(9)의 핸들(31)이 조작되어 압축원 유체 유로(30)로 압축공기가 유도되는 상태에서 상기한 동작을 하면, 소화제용 도관(8) 및 공급관(27)을 통해서 밸브통로(26c)로 유도되는 소화제가 밸브통로(26c)를 통해서 분사노즐(29)에 도달하고, 분사노즐(29)에 의해서 확산되게 분사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5a)의 축선방향 일단부와 내향 플랜지부(72)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소화제는 유하구멍(76) 및 내향 플랜지부(72)를 통과하여 제 1 도류부분(75a)의 일단부에 맞닿음으로써 확산되면서 외측으로 방출된다. 또,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하우징부(70)를 변위시켜서 제 1 도류부분(75a)이 내향 플랜지부(72)에 관통되게 끼워지면, 소화제는 제 3 도류부분(75c)에 의해서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완만하게 확산된다. 이와 같이 노즐 하우징부(70)를 변위시킴에 의해서 소화제를 확산시키는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6은 소화제를 소화제용 용기(3,4)에 공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소화제용 용기(3,4)의 덮개체(20)를 개방하면, 소화제의 공급처리가 개시되어 스텝 sl으로 이행한다. 스텝 s1에서는 소화제용 용기(3,4)에 소화제의 농축액을 공급한다. 공급이 종료되면 스텝 s2로 이행한다. 스텝 s2에서는 물을 공급하여 소화제의 농축액을 희석한다. 물의 공급은, 예를 들면 호스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물 을 공급할 때, 호스의 공급구를 소화제의 농축액에 잠기게 하여 기포가 소화제의 농축액에 개재되지 않도록 공급한다. 소화제의 농축액이 희석되면, 스텝 s2에서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소화제용 용기(3,4)를 덮개체(20)로 밀봉되게 폐쇄한다. 밀봉되게 폐쇄되면, 소화제의 공급처리가 종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소화장치(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압축공기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제 2 기술의 2유체 소화장치와 같이 물을 분무하기 위해서 대량의 공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소량의 압축공기에 의해서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저장해야 할 압축공기의 용량을 종래의 제 2 기술의 2유체 소화장치보다 저감할 수 있어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같은 용량의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경우, 그 압축공기의 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내압 성능을 높일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종래의 제 2 기술의 2유체 소화장치보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를 얇게, 즉 박육화(薄肉化)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중량을 저감함에 의해서 소화장치(1)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소화장치(1)에서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감압밸브(6)에 의해서 감압하고, 이 감압된 압축공기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통해서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되는 압축공기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방출수단(7)에서 방출되는 소화제의 방출량이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를 그 압력을 감압하여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함에 의해서 소화제의 방출량의 변동을 억제함으로써, 방출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안정한 소화제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압축공기의 압력을 감압하여 유도함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의 내압 성능을 높일 필요가 없으며, 따라사 소화제용 용기(3,4)의 종래의 제 1 및 제 2 기술의 소화장치보다 박육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장치(1)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감압밸브(6)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서 소화제용 도관(8)으로 토출되는 소화제의 유량을 압축공기의 잔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도관(8)을 통해서 방출수단(7)에서 방출되는 소화제의 방출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제 1 및 제 2 기술의 소화장치에서는 소화제용 용기(3,4)의 내압에 의거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방출량이 소화제의 저장량에 의존한다, 환언하면, 방출시간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소화제가 토출되기 때문에, 방출시간에 의존하는 일 없이 소화제를 일정한 방출량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제의 방출량을 일정하게 함에 의해서, 소화제의 방출량이 방출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안정한 소화능력을 가지는 소화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호흡기(10)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저장되는 압축공기가 미리 정해진 압력(양압)으로 감압된 공기를 안면 커버(37)에 공급함으로써, 이 안면 커버(37)를 장착하고 있는 장착자가 흡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는 공급된 공기에 의해서 호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제를 소화제용 용기(3,4)에서 토출시키기 위한 압축공기를 장착자가 호흡하는 공기로 이용함으로써, 장착자에게만 공급하기 위해서 새롭게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 및 공기공급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중량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소화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감압하여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서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하기 때문에,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에 비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서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되는 압축공기가 소량이다. 따라서,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보다 많은 압축공기를 호흡기(10)에 의해서 장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는 산소결핍을 걱정하는 일 없이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보다 더 오랫동안 화재현장 등에 체재하면서 소화활동을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역지밸브(11)에 의해서 소화제가 역류하여 감압밸브(6)에 이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가 호흡기로 유도되어 폐력밸브(35)를 통해서 안면 커버(37)에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가 호흡기(10)를 이용하여 안심하고 흡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저장되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장착자가 안심하고 흡기할 수 있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방출수단(7)에서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는 소화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유하방지밸브(12)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서 토출 가능한 소화제가 다 떨어진 경우에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되는 압축공기가 소화제용 도관(8)을 통해서 방출수단(7)에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화제가 다 떨어진 후에도 압축공기가 계속해서 방출됨으로써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내의 압축공기가 낭비된다. 유하방지밸브(12)를 이용하여 압축공기의 방출을 방지함으로써, 이러한 압축공기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호흡기(10)를 가지는 경우, 소화제가 다 떨어진 후에 있어서 압축공기의 낭비를 억제함으로써, 유하방지밸브(12)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급기수단에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유하방지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더 오랫동안 화재현장에 체재할 수 있다. 화재현장에서는 호흡기(10)를 이용하여 호흡하면서 소화 대상물을 수색하고 소화활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소화 대상물을 수색하면서 소화하기 때문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는 것은 급기기능을 가지는 소화장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소화제로서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이 이용됨으로써, 소화 대상물에 부착된 소화제가 흘러내리는 등에 의해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물보다 많은 양의 소화제를 소화 대상물 부근에 정류시킬 수 있다. 다량의 소화제가 정류됨에 의해서 열 흡수량이 증가함으로써 소화 대상물에 대한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의 제 1 및 제 2 기술의 소화장치보다 소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화성능의 향상에 의해서 소량의 소화제로 소화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해야 할 소화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어 소화장치(1)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소화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소화제용 도관(8)을 통해서 소화제를 토출시키기 위한 필요한 압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해야 할 압축공기의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의 내압성능을 높일 필요가 없어 박육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틀체(45)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를 직립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지면에 눕혀지는 등에 의해서 그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용기(2,3,4)가 파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사이펀관(22)의 연통구멍(23)은 소화제용 용기(3,4)가 세워진 직립상태에서 소화제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공기가 소화제 내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압축공기가 소화제 내로 침입하게 되면 소화제용 도관(8)을 흐르는 소화제에 기포가 개재되게 되어 소화제가 방출되기 어렵게 된다. 압축공기가 소화제 내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함에 의해서 상기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며, 안정한 소화제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연통구멍(23)을 형성함에 의해서 소화제가 사이펀관(22)으로 들어가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5)으로 유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축선을 포함하는 횡폭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대해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자가 소화장치(1)를 짊어진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중심이 기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활동시의 피로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3개의 용기(2,3,4)의 축선을 연결한 이등변 삼각형의 저변을 다른 2개의 변보다 길게 되도록 이들 3개의 용기(2,3,4)를 설치함에 의해서, 장착자가 짊어졌을 때에 중심이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화활동시의 피로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소화제로서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의 소화제를 소화 대상물에 분사함에 의해서, 점도가 높아져서 겔화되는 소화제에 의해서 소화 대상물을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 대상물을 덮음으로써, 이 소화 대상물 부근의 산소농도 및 온도를 저하시켜 소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소화제를 소화제용 용기(3,4)에 봉입할 때, 기포가 개재되지 않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에 기포가 개재됨에 의해서 소화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의하면, 소화제용 용기(3,4)가 커버체(46,47)에 의해서 피복되고 압축원 유체용 용기(2)가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축원 유체용 용기(2)가 노출됨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를 주의 깊게 취급해야 하는 것을 환기시킬 수 있다.
또, 감압밸브(6)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스프링부재(120,121)에 의해서 수압체(116)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수압체(116)에 안정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어 수압체(116)의 돌발적인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분사노즐(29)에 의하면, 원환형상으로 소화제를 분무함으로써 소화 대상물에 광범위하게 소화제를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29)을 그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변위시킴에 의해서 소화제가 분무되는 축선에 대한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소화 대상물에 적절한 분사각도로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를 이용함으로써, 물을 확보하기 곤란한 장소에서 소량의 소화제 및 압축공기로 효과적인 초기 소화활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속도로에서 차량화재, 산림화재, 차량이 진입하기 곤란한 밀집 민가에서의 화재, 대규모 재해지역에서의 화재, 도로가 끊긴 지역에서의 화재, 및 공장 및 빌딩에서의 화재에 대한 소화에 특히 유효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소화제를 이용함으로써, 소화 대상물에 부착하여 재연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소화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공기를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내에 저장하여 두고, 소화활동시에는 소화제용 도관(8)에 소화제만이 흐르도록 함에 의해서 소망하지 않는 압축공기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착자가 흡인할 수 있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내의 공기 잔량을 가급적 늘릴 수 있다. 또, 감압밸브(6)에 의해서 감압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화제를 분사시킴으로써, 방사시의 반동력이 작 아 한 손으로 방출수단(7)인 핸드 건을 파지한 상태에서의 소화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소화제의 분출에 의한 소화 대상물의 비산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소화제를 이용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소화장치(1)를 짊어질 수 있는 중량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소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화활동시에는 소화제용 도관(8)에 소화제만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자급식 호흡장치와 압축원 유체용 용기(2)를 겸용하였다 하더라도 대용량화를 방지함과 아울러 가반성(可搬性)을 높일 수 있다. 또, 감압밸브(6)를 이용함으로써, 소화제용 용기(3,4)는 압력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유하방지수단(12A)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와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에서는 상기한 유하방지밸브(12) 대신에 다음과 같은 유하방지밸브(12A)가 이용된다.
유하방지밸브(12A)는 제 2 소화제용 도관부(8b)에 개재되어 있다. 유하방지밸브(12A)는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에서 흘러나오는 압축공기가 방출수단(7)까지 흘러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하방지밸브(12A)는 부자(浮子)(43)와 제 2 소화제용 도관부(8b)에 형성되는 플랜지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자(43)는 소화제용 도관(8) 내에 설치된다. 플랜지부(51)는 제 2 소화제용 도관부(8b)의 내주면의 전 둘레에 걸쳐서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플랜지 부(51)의 내주부는 제 2 소화제용 도관부(8b)의 내주부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부자(43)는, 예를 들면 구상(球狀)으로 형성되며, 소화제보다 밀도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부자(43)는 플랜지부(51)의 내경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되, 소화제용 도관(8)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자(43)는 저장된 소화제가 다 떨어지면, 압축공기에 의해서 플랜지부(51)를 향해서 소화제용 도관(8) 내를 이동한다. 플랜지부(51)에 도달하면, 부자(43)는 플랜지부(51)에 안착되어 소화제용 도관(8)에 형성되는 유로를 폐쇄함으로써(도 27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부자), 압축공기가 제 2 소화제용 도관부(8b)를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에 의하면, 유하방지밸브(12A)를 각 소화제용 용기(3,4)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화장치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또,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이 분기되는 분기점보다 Al방향 상류측에 유하방지밸브(12A)를 설치하면, 소화제용 용기(3,4)로 압축공기가 유도되는 것을 한번에 저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유지한 상태로 보전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C)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9는 소화장치(1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C)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와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C)에서는 상기한 유하방지밸브(12) 대신에 다음과 같은 과류방지수단(201)이 이용되고, 또 상기한 역지밸브(11) 대신에 다음과 같은 역지밸브(11A)가 이용된다.
과류방지수단(201)은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에 개재된다. 과류방지수단(201)은 감압밸브(6)보다 Al방향 하류측, 또한 역지밸브(11A)보다 Al방향 상류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과류방지수단(201)은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를 흐르는 압축공기의 유량이 미리 정해지는 설정유량 이상이 되면, 압축공기가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를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도 30은 역지밸브(11A)와 과류방지수단(20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역지밸브(11A)와 과류방지수단(201)이 1개의 밸브복합체(202)로 조립된다. 이 밸브복합체(202)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 있어서의 감압밸브(6)보다 Al방향 하류측 부분에 개재된다. 밸브복합체(202)에는 입구포트(203)와 출구포트(204)가 형성되며, 하우징부분(205)이 백 플레이트(150)에 고정된다.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은 감압밸브(6)에 의해서 감압되는 압축공기를 밸브복합체(202)의 입구포트(203)로 유도함과 아울러, 밸브복합체(202)의 출구포트(204)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를 각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한다.
과류방지수단(201)은 소화개시시에 있어서의 압축공기의 흐름 속도를 억제하는 억제구조(206)와 압축공기의 흐름 속도가 과잉되면 도관을 폐색하는 과류방지구조(2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억제구조(206)는 입구포트 형성부(211)와 억제체(212)와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와 억제용 스프링부재(214)와 제 1 수용공간 폐색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억제구조(206)는 밸브복합체(202)의 일부에 형성되며, 제 1 축선(Lll)이 설정된다.
입구포트 형성부(211)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으로부터 압축공기가 유도되 는 공간인 입구포트(203)를 형성한다.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는 입구포트(203)에 연속하며, 제 1 축선(Lll)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단차부를 가지는 원기둥형상의 제 1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 1 수용공간은 제 1 축선방향의 일측 영역의 지름이 제 1 축선방향의 타측 영역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또,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제 1 축선방향의 일단부는 제 1 축선방향의 일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면이 형성된다.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제 1 축선방향의 타단부는 제 1 수용공간을 제 1 축선방향의 타측으로 개방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 1 수용공간에는 억제체(212)와 억제용 스프링부재(214)가 수용되며, 그 개구부가 제 1 수용공간 폐색부(215)에 의해서 폐색된다.
억제체(212)는 원기둥형상의 베이스부(220)와, 이 베이스부(220)에서 둘레방향 전 둘레에 걸쳐서 반지름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제 3 돌출부(221,222,223)가 형성된다. 제 1 돌출부(221)는 베이스부(220)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연속하며, 외형형상이 대략 원추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돌출부(222)는 베이스부(220)의 축선방향 중간부에 연속하며, 외형형상이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3 돌출부(223)는 베이스부(220)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연속하며, 외형형상이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돌출부(221)와 제 2 돌출부(222)는 베이스부(220)의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또, 제 2 돌출부(222)와 제 3 돌출부(223)는 베이스부(220)의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제 3 돌출부(223)는 제 2 돌출부(222)보다도 큰 지름을 가진다.
억제체(212)는 제 1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1 수용공간과 같은 축에 배치되며, 제 1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제 1 돌출부(221) 및 제 2 돌출부(222)가 제 1 수용공간의 제 1 축선방향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 3 돌출부(223)가 제 1 수용공간의 제 1 축선방향의 타측 영역에 배치된다. 제 2 돌출부(222) 및 제 3 돌출부(223)의 외주면에는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내주면의 전 둘레에 걸쳐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밀봉부재(222a,223a)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수용공간 내에 있어서의 각 돌출부(222,223)에 의해서 칸막이된 공간에서의 압축공기의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억제체(212)의 베이스부(220)에는 축선방향의 일단면에서 제 2 돌출부(222)보다도 축선방향의 일측에 있는 영역까지 중심축선에 따라서 관통되는 관통구멍(224)과, 이 관통구멍(224)에 연속하며 제 1 돌출부(221)와 제 2 돌출부(222)와의 사이의 영역을 반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225)이 형성된다. 관통구멍(224) 및 관통구멍(225)은 제 1 수용공간의 지름에 비해서 매우 작은 구멍으로 형성된다.
또, 제 1 돌출부(221)의 원추면에는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제 1 축선방향의 일측 단면의 전 둘레에 걸쳐서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밀봉부재(221a)가 설치된다. 억제체(212)가 제 1 축선방향의 일측으로 눌려짐에 의해서,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원추면과 억제체(212)의 제 1 돌출부(221)의 밀봉부재(221a)가 맞닿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원추면과 억제체(212)의 제 1 돌출부(221)와의 사이로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때 입구포트(203) 내의 압축공기는 베이스부(220)의 관통구멍(224) 및 관통구멍(225)이 형성하는 제 1 경로를 통과하여 제 1 돌출부(221)와 제 2 돌출부(222)와의 사이의 공간 으로 이동한다.
또, 억제체(212)가 제 1 축선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원추면과 억제체(212)의 제 1 돌출부(221)의 밀봉부재(221a)가 이간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원추면과 억제체(212)의 제 1 돌출부(221)와의 사이로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때 입구포트(203) 내의 압축공기는 베이스부(220)의 관통구멍(224) 및 관통구멍(225)이 형성하는 제 1 경로를 통과함과 동시에,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원추면과 억제체(212)의 제 1 돌출부(22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경로를 통과하여 제 1 돌출부(221)와 제 2 돌출부(222)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제 2 경로는 제 1 경로에 비해서 유로 단면적이 크므로, 대부분의 압축공기가 제 2 경로를 통과한다.
억제용 스프링부재(214)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제 1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1 수용공간과 같은 축에 배치되며, 제 1 수용공간 폐색부(215)에 지지된다. 억제용 스프링부재(214)는 제 1 수용공간의 제 1 축선방향의 타측 영역에 배치되며, 제 1 축선방향의 일단부가 억제체(212)에 접촉하고, 제 1 축선방향의 타단부가 제 1 수용공간 폐색부(215)에 접촉한다. 억제용 스프링부재(214)는 억제체(212)를 제 1 축선방향의 일측을 향해서 탄성적으로 밀어붙인다. 제 1 수용공간이 억제체(212)의 제 3 돌출부(223)에 의해서 칸막이됨으로써, 제 3 돌출부(223)의 축선방향의 일측과 타측에서 밀봉이 실현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돌출부(223)보다도 제 1 축선방향의 타측에 있으며 억제용 스프링부재(214)가 배치되는 공간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억제체(212)는, 제 3 돌출부(223)보다도 제 1 축선방향의 일측 공간에 있는 압력이 미리 정해지는 제 1 설정치를 넘으면, 제 3 돌출부(223)의 양측의 압력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서 억제용 스프링부재(214)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제 1 축선방향의 타측으로 변위한다.
과류방지구조(207)는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와 과류방지밸브체(232)와 과류방지용 스프링부재(233)와 제 2 수용공간 폐색부(234)와 도입공간 형성부(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과류방지구조(207)는 밸브복합체(202)의 일부에 형성되며, 제 2 축선(L12)이 설정된다.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는 제 1 수용공간에 연속하며, 제 2 축선(L12)을 중심 축선으로 하고, 단차부를 가지는 원기둥형상의 제 2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 2 수용공간은 제 1 수용공간에 있어서의 억제체(212)의 제 1 돌출부(221)와 제 2 돌출부(22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연속한다. 또, 제 2 수용공간은 제 2 축선방향의 일측 영역의 지름이 제 2 축선방향의 중간 영역보다도 크게 형성된다. 또,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의 축선방향 타단부는 제 2 수용공간을 축선방향의 타측으로 개방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 2 수용공간에는 과류방지밸브체(232)와 과류방지용 스프링부재(233)가 수용되며, 그 개구부가 제 2 수용공간 폐색부(234)에 의해서 폐색된다.
과류방지밸브체(232)는 밸브 본체(241)와 위치결정편(242)과 스프링 지지편(2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 본체(241)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위치결정편(242)은 밸브 본체(241)를 위치결정하기 위해서 형성되며, 밸브 본체(241)에서 두께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또, 스프링 지지편(243)은 과류방지용 스프링부 재(233)를 지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며, 밸브 본체(241)에서 두께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밸브 본체(241)는 제 2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2 축선(L12)과 같은 축에 배치되며, 제 2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밸브 본체(241)는 제 2 수용공간에 있어서의 제 2 축선방향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며, 제 2 수용공간에 있어서의 제 2 축선방향의 중간 영역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위치결정편(242)은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의 제 2 축선방향의 일단면에 맞닿음으로써, 밸브 본체(241)와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의 단면 및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 본체(241)와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틈새는 제 2 수용공간의 단면적에 비해서 매우 작게 형성된다.
과류방지용 스프링부재(233)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제 2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2 수용공간과 같은 축에 배치되며,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에 지지된다. 과류방지용 스프링부재(233)는 제 2 수용공간의 제 2 축선방향의 타측 영역에 배치되며, 제 2 축선방향의 일단부가 스프링 지지편(243)에 접촉하고, 제 2 축선방향의 타단부가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에 접촉한다. 과류방지용 스프링부재(233)는 과류방지밸브체(232)를 제 2 축선방향의 일측을 향해서 탄성적으로 밀어붙인다. 이때 과류방지밸브체(232)의 위치결정편(242)이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의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밸브 본체(241)는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의 단면 및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수용공간에서 제 2 수용공간의 중간 영역으로의 압축공기의 통과가 허용된다.
또, 밸브 본체(241)는, 제 2 수용공간의 축선방향의 일측 영역보다도 중간 영역의 압력이 미리 정해지는 제 2 설정치 미만이 되면, 밸브 본체(241)의 양측의 압력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서 과류방지용 스프링부재(233)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제 2 축선방향의 타측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의 단차부에 형성되는 밸브 시트에 밸브 본체(241)가 안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밸브 본체(241)가 제 2 수용공간의 축선방향의 일측 영역과 중간 영역과의 사이를 봉쇄함으로써, 제 2 수용공간으로 압축공기가 흐르는 것이 저지된다.
또, 제 2 수용공간의 중간 영역은 제 2 수용공간의 제 2 축선방향의 타측 영역에 연속한다. 제 2 수용공간의 중간 영역을 통과한 압축공기는 필터부재(245)를 통과하여 제 2 수용공간의 제 2 축선방향의 타측 영역으로 이동한다. 또, 도입공간 형성부(235)는 도입공간을 형성한다. 도입공간은 제 2 수용공간의 제 2 축선방향의 타측 영역과 제 1 수용공간에 있어서의 억제체(212)의 제 2 돌출부(222)와 제 3 돌출부(22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연속한다.
역지밸브(11A)는 소화제가 소화제용 용기(3,4)에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를 향해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역지밸브구조(301)에 의해서 실현된다. 역지밸브구조(301)는 역지밸브체(302)와 제 3 수용공간 형성부(303)와 역지밸브 스프링부재(304)와 출구포트 형성부(3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역지밸브구조(301)는 밸브복합체(202)의 일부에 형성되며, 제 3 축선(L13)이 설정된다.
제 3 수용공간 형성부(303)는 도입공간에 연속하며, 제 3 축선(L13)을 중심 축선으로 하는 제 3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 출구포트 형성부(305)는 제 3 수용 공간에 연속하며, 압축원 유체용 도관(5)으로 압축공기를 유도하는 공간인 출구포트(204)를 형성한다. 역지밸브체(302)는 제 3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도입공간과 제 3 수용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역지밸브 스프링부재(304)는 역지밸브체(302)에 의해서 연통로가 폐색되는 방향으로 역지밸브체(302)를 탄성적으로 밀어붙인다. 또, 역지밸브체(302)는 제 3 수용공간의 압력을 받는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입공간의 압력과 제 3 수용공간의 압력이 동일한 압력이 되어도 역지밸브체(302)가 연통로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 도입공간의 압력이 제 3 수용공간의 압력보다 미리 정해지는 압력만큼 높아지면, 압력차에 의해서 역지밸브 스프링부재(30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변위함으로써 연통로를 개방상태로 한다.
압축공기가 입구포트(203)에서 공급되지 않는 공급전 상태에서는 제 1∼제 3 수용공간 및 각 포트(203,204)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된다. 이 경우,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억제구조(206)에 있어서는 베이스부(220)의 제 1 돌출부(221)가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제 1 축선방향의 일단부에 맞닿게 된다. 또, 과류방지구조(207)에 있어서는 밸브 본체(241)와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의 단면 및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또, 역지밸브구조(301)에 있어서는 역지밸브체(302)가 연통로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가 입구포트(203)에 공급되면, 압축공기는 베이스부(220)의 관통구멍(224) 및 관통구멍(225)을 통과함에 의해서 흐름 속도가 약해짐으로써, 제 1 돌출부(221)와 제 2 돌출부(222)와의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완만하게 증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과류방지구조(207)에 있어서의 밸브 본체(241)의 양측의 압력차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이 방지된다. 밸브 본체(241)와 제 2 수용공간 형성부(23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유지되므로, 압축공기는 제 2 수용공간을 통과하여 도입공간으로 흐른다.
도입공간으로 압축공기가 흐름으로써 도입공간의 압력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서 역지밸브체(302)가 연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압축공기가 제 3 수용공간을 통해서 출구포트(204)로 흐른다. 또, 도입공간으로 압축공기가 흐름으로써 제 1 수용공간에 있어서의 제 2 돌출부(222)와 제 3 돌출부(223)와의 사이의 공간으로도 압축공기가 흐른다. 이 경우, 제 3 돌출부(223)의 양측 공간에서 압력차가 생김으로써 억제체(212)가 제 1 축선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공기는 베이스부(220)의 관통구멍(224) 및 관통구멍(225)이 형성하는 제 1 경로 및 제 1 수용공간 형성부(213)의 원추면과 억제체(212)의 제 1 돌출부(22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경로를 통해서 입구포트(203)에서 제 2 수용공간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의 공급 직후에는 압축공기가 제 1 경로를 통과한다. 또, 도입공간의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면, 압축공기는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를 통과한다. 제 1 경로만을 통과하는 경우, 압축공기가 급속히 제 2 수용공간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압축공기의 공급 직후에 과류방지구조(207)의 밸브 본체(241)에 의한 제 2 수납공간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압축공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공급 상태에서는 압축공기가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를 통과한다. 이 상태에서, 소화제의 잔량이 제로로 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노즐(29)에서 분출되면, 과류방지구조(207)의 밸브 본체(241)보다도 하류측의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함으로써, 압력차에 의해서 밸브 본체(241)가 제 2 수용공간을 폐색한다. 이것에 의해서 분사노즐(29)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공기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밸브복합체(202)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해제하여 입구포트(203)와 출구포트(204) 내를 대기압으로 함으로써, 특별한 조작을 할 필요도 없이 초기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화제가 분사되는 경우에 있어서, 압축공기가 도통로를 흐르는 유량이 0.06㎥/분(약 60리터/분)인 것에 대해서, 소화제의 잔량이 제로로 되고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경우에 있어서, 압축공기가 도통로를 흐르는 유량은 0.2㎥/분(약 200리터/분)이다. 이와 같이, 소화제와 압축공기의 분사에 있어서 약 3배 이상의 유량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량차가 큰 경우에 도통로를 폐색하는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압축공기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화제와 압축공기의 분사에 있어서의 압축공기의 유량차에 기인하는 압력차에 의거하여 과류방지를 하였으나, 다른 구성에 의해서 과류방지를 하여도 된다.
또, 밸브복합체(202)로서 억제구조(206)와 과류방지구조(207)와 역지밸브구조(301)를 일체로 구성함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5)과의 접속부품을 줄임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변형예로서 억제구조와 과류방지구조와 역지밸브구조가 각각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 과류방지수단은 과류방지구조 이외의 것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유량검출수단과 개폐밸브와 제어수단을 조합한 것이어도 되고, 유량검 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이 미리 정해지는 설정치를 넘은 것을 제어수단이 판단하면, 제어수단이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폐쇄하도록 개폐밸브에 제어지령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서 과류방지구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억제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압축공기의 공급개시 직후에 있어서 개폐밸브(9)에 의해서 압축공기를 천천히 흐르게 할 수 있다면, 억제구조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또,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이 분기되기 전의 부분에 과류방지구조를 형성함에 의해서 과류방지구조를 2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다. 또, 압축공기의 낭비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이 분기된 후의 부분에 과류방지구조를 각각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일방의 소화제용 용기(3)의 소화제가 다 떨어졌다 하더라도, 타방의 소화제용 용기(4)에서 소화제를 분사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류방지수단(201)을 사용하였으나, 과류방지수단(201) 대신에 다른 개폐밸브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장착자는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소화제가 다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이 개폐밸브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공기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D)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에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D)에서는 상기한 유하방지밸브(12) 대신에 다음과 같은 과류방지밸브(250)가 이용된다.
과류방지수단인 과류방지밸브(250)는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에 개재된다. 과류방지밸브(250)는 감압밸브(6)보다 Al방향 하류측, 또한 역지밸브(11A)보다 Al방향 상류측에 설치된다. 과류방지밸브(250)는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의 과류방지구조(207)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러한 과류방지밸브(250)은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를 흐르는 압축공기의 유량이 미리 정해지는 설정유량 이상이 되면, 압축공기가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를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D)는 과류방지밸브(250)를 우회하는 우회도관(251)과, 이 우회도관(251)에 개재되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우회도관 개폐밸브(252)를 더 구비한다. 우회도관(251)은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에 있어서의 감압밸브(6)와 과류방지밸브(250)와의 사이의 부분에서 분기되고,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의 있어서의 과류방지밸브(250)와 역지밸브(11)와의 사이의 부분에서 합류된다.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서 소화제용 용기(3,4)로 압축공기가 유도되기 전에는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력은 대기압이다.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력이 대기압인 경우, 소화제용 용기(3,4)에 소화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폐밸브(9)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제 1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a)에 미리 정해지는 설정유량 이상의 압축공기가 흐르는 일이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우회도관(251) 및 우회도관 개폐밸브(252)가 설치된다.
개폐밸브(9)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할 때에는 우선 우회도관 개폐밸브(252)를 개방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개폐밸브(9)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압축공기의 대부분은 우회도관(251)을 통해서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된다. 따라서, 과류방지밸브(25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력이 상승한 후, 우회도관 개폐밸브(252)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용기 유지구(13A)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이 도 32에서는 커버체(46,47)가 개방된 상태의 용기 유지구(13A)를 나타낸다. 도 33은 도 32의 지면 좌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A)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지면 상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A)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5는 용기 유지구(13A)에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용기 유지구(13A)는 도 32의 지면에 있어서 좌우 대칭구조이므로, 도 32의 지면 우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A)는 도 32의 지면 좌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A)에 대해서 대칭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와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용기 유지구(13) 대신에 다음과 같은 용기 유지구(13A)가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용기 유지구(13A)는 상기한 용기 유지구(13)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틀체(45)의 다리부분(45a)은 사용자가 소화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소화장치를 장착한 상태로 이동할 때에 틀체(45)의 다리부분(45a)과 다른 물체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틀체(45)의 몸통부분(45b)에는 이 몸통부분(45b)에 압축원 유체용 용기(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상부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25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56)가 형성됨에 의해서, 사용자는 손잡이부(256)를 파지하고서 소화장치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손잡이부(256)에는 그립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그립부재는 손잡이부(256)를 덮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립부재를 파지하게 된다. 그립부재를 파지하는 경우, 그립부재와 사용자의 손과의 접촉면적이 커지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손잡이부(256)에서 사용자의 손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파 지하기 쉬워지게 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용기 유지구(13B)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지면 좌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B)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지면 하측에서 본 용기 유지구(13B)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9는 도 36의 T-T 절단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는 상기한 제 5 실시형태의 소화장치와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용기 유지구(13A) 대신에 다음과 같은 용기 유지구(13B)가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용기 유지구(13B)는 상기한 용기 유지구(13A)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는, 틀체(45)의 다리부분(45a)은 사용자가 소화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도록 형성되며, 또 틀체(45)의 몸통부분(45b)에는 이 몸통부분(45b)에 압축원 유체용 용기(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원 유체용 용기(2)의 상부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260)가 형성된다. 손잡이부(260)에는 그립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제 5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B)는 상기한 제 1 실형태의 소화장치(1)와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B)는 이륜차(52)에 적재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륜차(52)의 뒷좌석에 압축원 유체용 용기(2)가 적재되고, 뒷좌석의 양측에 소화제용 용기(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륜차(52)에는 권취수단(53)이 설치되어 소화제용 도관(8)을 풀거나 되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화제용 도관(8)은 권취수단(53)에 감겨져 수납되고, 사용시에는 풀어서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화장치(1B)가 이륜차(52)에 적재되어 있으나, 이륜차(5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소방차, 트럭, 리어카 등의 사륜차, 삼륜차 또는 헬리콥터 및 비행기 등의 비행체이어도 되고,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이면 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방출수단(7)의 분사노즐(29C)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분사노즐(29C)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분사노즐(29)과 유사하다. 방출수단(7)의 하우징 본체(25a)는 그 플랜지부분(77)이 축선방향 일단부보다 축선방향 타단부 측에 형성되어 축선방향 일단부와 플랜지부분(77)와의 사이에 반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흡입구(81)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하우징부(70C)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사노즐(29C)에 의하면, 소화제가 플랜지부분(77)의 내측을 통과하여 분사노즐(29C)을 흐른다. 이때 소화제가 흐름에 의해서 분사노즐(29C)의 내압력이 저하됨으로써 흡입구(81)를 통해서 외측의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되는 공기와 소화제가 혼합되므로, 소화제가 발포(發泡)되면서 방출된다(도 41의 2점 쇄선).
도 4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감압밸브(6E)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N-N 절단선으로 감압밸브(6E)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42의 P-P 절단선으로 감압밸브(6E)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Q-Q 절단선으로 감압밸브(6E)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42의 R-R 절단선으로 감압밸브(6E)를 절단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감압밸브(6E)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감압밸브(6)는 외관 및 각 구성의 배치가 상이할 뿐이고 대략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감압밸브(6E)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감압밸브(6)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소화장치가 구비하는 소화제용 용기(3,4)의 덮개체(20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S-S 절단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와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덮개체(20) 대신에 다음과 같은 덮개 체(20A)가 이용된다.
덮개체(20A)는 소화제용 용기(3,4)의 축선방향 일단부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덮개체(20A)를 소화제용 용기(3,4)에서 떼어냄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는 그 개구부가 개방된다. 또, 덮개체(20A)를 소화제용 용기(3,4)에 장착함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는 그 개방부가 폐색된다. 덮개체(20A)는 외측 나사가 형성되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소화제용 용기(3,4)의 개구부에 형성되는 내측 나사에 나사결합됨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 장착된다. 덮개체(20A)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소화제용 용기(3,4)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축선방향 일단면이 소화제용 용기(3,4)의 내부 공간을 향하고, 외주면이 소화제용 용기(3,4)의 개구부에 면한다. 덮개체(20A)는 소화제용 용기(3,4)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소화제용 용기(3,4)와 덮개체(20A)와의 틈새를 밀봉하는 밀봉부재(271)가 외주부에 형성된다.
덮개체(20A)에는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력을 대기압까지 저하시키는 감압기능을 가지는 감압밸브(272)가 형성된다. 덮개체(20A)에는 덮개 본체(273)에 형성되는 연통관(274)과, 덮개 본체(273)와는 별체로 형성되는 감압용 밸브체(275)가 형성된다. 연통관(274)은 축선방향 일단면에서 덮개체(20A) 내부를 관통하여 외주면에 이르는 연통구멍을 형성한다. 연통관(274)은 축선방향 일단면에서 덮개체(20A)의 중심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세로구멍을 형성하는 제 1 부분(276)과, 제 1 부분(276)에 연속하며 감압용 밸브체(275)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부분(277)과, 제 2 부분(277)에 연속하며 덮개체(20A)의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덮개체(20A)의 외주면에서 개방되는 가로구멍을 형성하는 제 3 부분(278)을 가진다. 수용공간의 축선방향 단면적은 세로구멍에 비해서 크게 형성된다. 제 1 부분(276)과 제 2 부분(277)의 접속부분에는 감압용 밸브체(275)가 안착하는 밸브시트면(281)이 형성된다.
감압용 밸브체(275)는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며, 밸브시트면(281)에 맞닿음으로써 제 1 부분(276)에 형성되는 세로구멍을 폐색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축공기가 연통관(274) 내를 통과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 감압용 밸브체(275)가 밸브시트면(281)에서 이간됨으로써 연통관(274)의 폐색상태가 해제되어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축공기가 연통관(274) 내를 통과하는 것이 허용된다.
감압용 밸브체(275)는 탄성을 가지며 밸브시트면(281)에 맞닿는 맞닿음부재(282)와 이 맞닿음부재(282)를 유지하는 유지부재(283)에 의해서 구성된다. 유지부재(283)는 덮개 본체(273)에 형성되는 내측 나사에 나사결합된다. 유지부재(283)가 나사식 회전에 의해서 전진함으로써 밸브시트면(28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맞닿음부재(282)를 이동시키고, 나사식 회전에 의해서 후진함으로써 밸브시트면(281)에서 이반되는 방향으로 맞닿음부재(282)를 이동시킨다. 또, 유지부재(283)는 덮개 본체(273)에 설치되는 핀 부재(280)에 의해서 걸림으로써 변위범위가 제한된다.
또, 소화제용 용기(3,4)에는 감압을 위한 감압공간(284)이 형성된다. 감압공간(284)은 환형상 공간(285)과 탈출구멍(286)으로 이루어진다. 환형상 공간(285)은 덮개체(20A)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덮개체(20A)에 형성되는 가로구멍의 개구부에 면하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원환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간이다. 탈출구멍(286)은 환형상 공간(285)에 연속하며 소화제용 용기(3,4)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이다.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축공기가 대기압보다도 높은 상태에서 유지부재(283)를 나사식 회전에 의해 후퇴시켜서 맞닿음부재(282)를 밸브시트면(281)에서 이간시키면,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축공기는 대기압에 대한 압력차에 의해서 연통관(274)과 소화제용 용기(3,4)의 감압공간(284)을 순차로 통과하여 소화제용 용기(3,4) 외측으로 분출된다. 또,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되면, 소화제용 용기(3,4)에서의 공기의 분출이 가라앉는다. 또, 감압용 밸브체(275)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덮개 본체(273)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더라도 핀 부재(280)에 걸림으로써, 감압시에 덮개 본체(273)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감압밸브(272)는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소화제의 일부가 소화제용 용기(3,4)에 잔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화제를 보충할 경우에 이용된다. 이 경우, 개폐밸브(9)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이 폐쇄된 상태에서, 감압밸브(272)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축공기를 소화제용 용기(3,4) 외부로 방출시킨다. 그리고, 소화제용 용기(3,4) 내의 압력을 대기압까지 저하시킨 후에, 덮개체(20A)를 소화제용 용기(3,4)에서 떼어내고서 소화제를 재충전한다. 그리고, 덮개체(20A)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를 폐색한다. 이것에 의해서 잔류하는 소화제를 소화제용 용기(3,4)에서 배출시키는 일 없이 소화제를 재충전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E)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E)는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의 소화장치(1C)와 유사하다.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소화제용 용기(3,4)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사이펀관(22)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의 개구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화제용 용기(3,4)에 각각 설치되는 접속체(321)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의 내부 공간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도록 하였다.
접속체(321)는 소화제용 용기(3,4)의 덮개체(20) 근방에 각각 배치된다. 접속체(321)는 용접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 접속되어, 소화제용 용기(3,4)의 내부 공간과 연이어 통하는 접속구를 형성한다. 접속체(321)는 제 2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b)의 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각각 접속된다. 접속체(321)가 제 2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b)에 접속됨으로써,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는 압축공기가 접속구를 통해서 소화제용 용기(3,4) 내에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이펀관(22)이 배치되는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접속체(321)는 소화제용 용기(3,4)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압축원 유체용 용기(2)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틀체(45)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접속체(321)가 화재현장 등에서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소화제용 용기(3,4)에서 꺾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2개의 소화제용 용기(3,4)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시킬 수 있어,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이 소화제용 용기(3,4)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틀체(45)의 상단부보다도 접속체(321)의 상단부가 낮게 설정됨에 의해서도 접속체(321)가 소화제용 용기(3,4)에서 꺾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속체(321)를 설치함에 의해서, 소화제의 농축액 및 물을 호스 등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3,4)에 주입할 경우에, 장해물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호스를 용이하게 소화제용 용기(3,4) 내에 진입시킬 수 있다. 또, 사이펀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호스와 사이펀관이 접촉하여 사이펀관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펀관을 없앰으로써 사이펀관의 파손에 의한 소화장치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이펀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화제용 용기(3,4)의 개구부에 집합배관(21)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소화제용 용기(3,4)에 대한 압축공기의 입구를 소화제용 용기(3,4)의 개구부와는 별체로 형성함으로써, 집합배관(21) 대신에 범용품을 이용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접속체(321)와 제 2 압축원 유체용 도관부(5b)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소화제의 잔량이 제로로 된 소화제용 용기(3,4)를 소화장치에서 떼어내고서 소화제가 충전된 소화제용 용기(3,4)를 새로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화재현장 등에서 소화제용 용기(3,4)에 소화제를 재충전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소화작업을 단시간에 재개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압축원 유체로 서 압축공기가 이용되었으나, 호흡기(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압축공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질소 등의 기체이어도 되고 액체이어도 된다. 또, 소화제로서는 난연성을 가지는 액체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물이 이용되어도 되고, 혹은 거품 소화제 및 강화액이 이용되어도 된다.
감압수단으로서 감압밸브(6,6E)가 이용되었으나, 이러한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할 수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 오리피스를 형성하여 감압하도록 하여도 되며, 압축공기의 압력을 감압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된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역지밸브(11,11A), 유하방지밸브(12,12A), 과류방지수단(201) 및 개폐밸브(9)도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각 기능을 다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또, 방출수단(7)인 핸드 건은 1개소 이상, 예를 들면 2개소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분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서 핸드 건은 카라비너 등의 연결구를 통해서 허리 밴드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된다. 각 연결부분은 분사노즐에서 이반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핸드 건을 허리 밴드에 장착한 상태에서 분사노즐이 하측을 향하도록 연결부분이 배치된다. 제 1 연결부분은 분사방향의 반대측 방향인 분사노즐에서 이반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제 2 연결부분은 공급관(27) 근방에 배치된다.
핸드 건이 허리 밴드에 장착됨으로써, 장착자는 핸드 건을 항시 양손으로 파지할 필요가 없어 화재현장에서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핸드 건을 허리 밴드에서 떼어내었을 때에는 장착자가 핸드 건을 양손으로 지지하면서 소화 대상물에 소화제를 분사시킬 수 있다.
틀체(45)에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와 맞닿는 부분에 완충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반송시에 틀체(45)에 대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상하이동하더라도 장착자에게 주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된 압축원 유체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제 2 기술의 2유체 소화장치와 같이 물을 분무하기 위해서 대량의 공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소량의 압축원 유체에 의해서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에 저장해야 할 압축원 유체의 용량을 종래의 제 2 기술의 2유체 소화장치보다 저감할 수 있어 압축원 유체용 용기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축원 유체의 압력을 감압수단에 의해서 감압하고, 이 감압된 압축원 유체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통해서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되는 압축원 유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방출수단에서 방출되는 소화제의 방출량이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원 유체를 그 압력을 감압하여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함에 의해서 소화제의 방출량의 변동을 억제함으로써, 방출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안정한 소화제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압축원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여 유도함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의 내압 성능을 높일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종래의 제 1 및 제 2 기술의 소화장치보다 소화제용 용기의 박육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장치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제어밸브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에서 소화제용 도관으로 토출되는 소화제의 유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도관을 통해서 방출수단에서 방출되는 소화제의 방출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제 1 및 제 2 기술의 소화장치에서는 소화제용 용기의 내압에 의거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방출량이 소화제의 저장량에 의존한다, 환언하면, 방출시간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는 압축원 유체에 의해서 소화제가 토출되기 때문에, 방출시간에 의존하는 일 없이 소화제를 일정한 방출량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제의 방출량을 일정하게 함에 의해서, 소화제의 방출량이 방출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안정한 소화능력을 가지는 소화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급기수단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에 저장되는 적어도 산소를 포함하는 혼합기체를 장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는 공급된 혼합기체에 의해서 호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제를 소화제용 용기에서 토출시키기 위한 혼합기체를 장착자가 호흡하는 공기로 이용함으로써, 장 착자에게만 공급하기 위해서 새롭게 혼합기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 및 공기공급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경량화된 소화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압축원 유체를 감압하여 압축원 유체용 용기에서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하기 때문에,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에 비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에서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되는 혼합기체가 소량이다. 따라서,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보다 많은 혼합기체를 급기수단에 의해서 장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는 산소결핍을 걱정하는 일 없이 종래의 제 1 기술의 소화장치보다 더 오랫동안 화재현장 등에 체재하면서 소화활동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역류방지수단에 의해서 소화제가 역류하여 감압수단에 이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가 급기수단으로 유도되어 이 급기수단에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자가 급기수단을 이용하여 안심하고 흡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원 유체용 용기에 저장되는 압축원 유체에 의해서 장착자가 안심하고 흡기할 수 있는 혼합기체를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방출수단에서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는 소화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제용 용기에서 토출 가능한 소화제가 다 떨어진 경우에는 유하방지수단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되는 압축원 유체가 소화제용 도관을 통해서 방출수단에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화제가 다 떨어진 후에도 압축원 유체가 계속해서 방출됨으로써 압축원 유체용 용기 내의 압축원 유체가 낭비된다. 유하방지수단을 이용하여 압축원 유체의 방출을 방지함으로써, 이러한 압축원 유체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급기수단을 가지는 경우, 소화제가 다 떨어진 후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의 낭비를 억제함으로써, 유하방지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급기수단에서 혼합기체를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유하방지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더 오랫동안 화재현장에 체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제용 용기에서 토출 가능한 소화제가 다 떨어진 경우, 소화제용 용기에서 압축원 유체가 토출되며,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압축원 유체의 유량이 증가한다. 이 점을 고려하여 압축원 유체용 도관에는 과류방지수단이 개재된다. 과류방지수단은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압축원 유체의 유량이 미리 정해지는 설정유량 이상이 되면, 압축원 유체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을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급기수단을 가지는 경우, 소화제가 다 떨어진 후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의 낭비를 억제함으로써, 과류방지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급기수단에서 혼합기체를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과류방지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더 오랫동안 화재현장에 체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제로서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이 이용됨으로써, 소화 대상물에 부착된 소화제가 흘러내리는 등에 의해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물보다 많은 양의 소화제를 소화 대상물 부근에 정류시킬 수 있다. 다량의 소화제가 정류됨에 의해서 열 흡수량이 증가함으로써 소화 대상물에 대한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의 제 1 및 제 2 기술의 소화장치보다 소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화성능의 향상에 의해서 소량의 소화제로 소화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소화제용 용기에 저장해야 할 소화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어 소화장치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소화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소화제용 도관을 통해서 소화제를 토출시키기 위한 필요한 압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소화제용 용기로 유도해야 할 압축원 유체의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제용 용기의 내압성능을 높일 필요가 없어 박육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틀체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 및 소화제용 용기를 직립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 및 소화제용 용기가 지면에 눕혀지는 등에 의해서 그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압축원 유체용 용기 및 소화제용 용기가 파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7)

  1. 압축되는 압축원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와,
    소화제를 저장할 수 있는 소화제용 용기(3,4)와,
    압축원 유체용 용기(2)와 소화제용 용기(3,4)에 접속되어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저장되는 압축원 유체를 소화제용 용기(3,4)로 유도하는 압축원 유체용 도관(5)과,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는 압축원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수단(6)과,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수단(7)과,
    소화제용 용기(3,4)와 방출수단(7)에 접속되어 소화제용 용기(3,4)에 저장되는 소화제를 방출수단(7)으로 유도하는 소화제용 도관(8)과,
    소화제용 도관(8)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가 소화제용 도관(8)을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유하방지수단(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감압수단(6)은 압축원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제어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감압수단(6)에 접속되어 상기 감압수단(6)에 의해서 감압된 압축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급기수단(10)을 더 포함하고,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저장되는 압축원 유체는 적어도 산소를 포함하는 혼합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감압수단(6)에 접속되어 상기 감압수단(6)에 의해서 감압된 압축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급기수단(10)을 더 포함하고,
    압축원 유체용 용기(2)에 저장되는 압축원 유체는 적어도 산소를 포함하는 혼합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2)에 개재되어 소화제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2)을 소화제용 용기(3,4)에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를 향해서 역류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류방지수단(11)이 감압수단(6)보다 압축원 유체의 흐름방향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2)에 개재되어 소화제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소화제용 용기(3,4)에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를 향해서 역류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류방지수단(11)이 감압수단(6)보다 압축원 유체의 흐름방향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용 도관(5)에 개재되어,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는 압축원 유체의 유량이 미리 정해지는 설정유량 이상이 되면, 압축원 유체가 압축원 유체용 도관(5)을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과류방지수단(20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화제는 난연성을 가지며,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소화제는 난연성을 가지며, 온도상승에 수반하여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 수지가 용해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를 설치하기 위한 틀체(45)를 더 포함하며,
    틀체(45)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직립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3. 삭제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를 설치하기 위한 틀체(45)를 더 포함하며,
    틀체(45)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직립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를 설치하기 위한 틀체(45)를 더 포함하며,
    틀체(45)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직립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를 설치하기 위한 틀체(45)를 더 포함하며,
    틀체(45)는 압축원 유체용 용기(2) 및 소화제용 용기(3,4)가 직립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KR1020087006126A 2005-10-13 2006-10-13 소화장치 KR101028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9447 2005-10-13
JP2005299447 2005-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403A KR20080038403A (ko) 2008-05-06
KR101028174B1 true KR101028174B1 (ko) 2011-04-08

Family

ID=3794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126A KR101028174B1 (ko) 2005-10-13 2006-10-13 소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1844B2 (ko)
EP (1) EP1938868A4 (ko)
KR (1) KR101028174B1 (ko)
TW (1) TW200730212A (ko)
WO (1) WO20070436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814B1 (ko) 2012-02-08 2012-10-25 안용관 에어벤트와 시건장치가 구비된 소화전 장착용 압력기록장치
WO2012173331A1 (ko) * 2011-06-16 2012-12-20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압축공기를 이용한 포 혼합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1718B1 (en) 2006-08-16 2014-04-22 Rescue Air Systems, Inc. Emergency air system and method of a marine vessel
WO2008116460A2 (de) * 2007-03-26 2008-10-02 Tevkuer Talip Universalkanone
US8276680B2 (en) * 2009-08-19 2012-10-02 Raytheon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fire escape path
CH702640B1 (de) * 2010-02-04 2014-05-30 Hne Technologie Ag Tragbare Vorrichtung zum strahlförmigen Ausbringen von pulverförmigen und wässrigen Stoffen.
US20140076996A1 (en) * 2010-10-08 2014-03-20 Tyco Fire & Security Gmbh Spray gun and portable mist-generating apparatus
US20130112773A1 (en) * 2011-11-03 2013-05-09 Intelgard, Inc. Compressed air-driven foam generator system in a backpack form factor
CN103170080A (zh) * 2011-12-20 2013-06-26 陕西坚瑞消防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式灭火装置
EP2617467A1 (en) * 2012-01-20 2013-07-24 Kidde Technologies, Inc. Multiple discharge fire extinguishing system
US10343003B2 (en) * 2014-10-02 2019-07-09 The Boeing Company Aircraft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RU176738U1 (ru) * 2017-01-27 2018-0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ФГБОУ ВО) "Ура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рГАУ) (отдел по научной, инновационной работе и докторантуре) Универсальный модульный порошковый распылитель
CN107080911A (zh) * 2017-06-08 2017-08-22 太仓苏安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七氟丙烷灭火系统
CN107456681A (zh) * 2017-06-28 2017-12-12 无锡威奥液压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矿山失火应急自救设备
DE102018130087A1 (de) * 2018-11-28 2020-05-28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Feuerlösch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172U (ja) 1983-07-28 1985-02-23 株式会社 極東機械製作所 消火設備付給水装置
JP2000140143A (ja) * 1998-11-11 2000-05-23 Teikoku Sen I Co Ltd 携帯式ウォーターミスト消火装置
JP2001333215A (ja) 2000-05-22 2001-11-30 Makoto Kimura 火災時の緊急避難通報装置
JP2002102377A (ja) * 2000-09-27 2002-04-09 Tokyo Gas Co Ltd ガス工事現場における消火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069A (en) * 1979-10-01 1983-06-28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Trifluorobromomethane foam fire fighting system
JPS6012727A (ja) 1983-07-01 1985-01-23 Hitachi Ltd 薄膜形成装置
JPS6027172A (ja) 1983-07-25 1985-02-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装置
JPH0232217A (ja) * 1988-07-22 1990-02-02 Yamato Sangyo Kk 過流防止付流量計
US5086846A (en) * 1989-11-29 1992-02-11 Carlson Richard F Foam-dispensing apparatus
IL116964A (en) * 1995-02-03 1999-10-28 Great Lakes Chemical Corp Method for delivering a fire suppression agent to a fire
US6155351A (en) * 1995-05-24 2000-12-05 Intelagard, Inc. Foam based product solution delivery apparatus
US5623995A (en) * 1995-05-24 1997-04-29 Intelagard, Inc. Fire suppressant foam generation apparatus
DE19622940A1 (de) * 1996-06-07 1997-09-11 Steffen Jurke Mobiles Feuerlöschgerät zur Bekämpfung von Wohnungs- und Entstehungsbränden im Niederdruckbereich mit geringem Wasserbedarf
US6016874A (en) * 1998-09-22 2000-01-25 Bennett; Joseph Michael Compact affordable inert gas fire extinguishing system
DE19937755A1 (de) * 1999-08-10 2001-03-08 Anton Neumeir Leichtes Kombi-Löschgerät
JP4264482B2 (ja) 1999-10-20 2009-05-20 株式会社興人 消火剤、消火用水及び消火方法
DE10109922A1 (de) * 2000-10-10 2002-05-08 Anton Neumeir Trag- oder rollbares Schaumlöschgerät mit Druckgas-Schaumverfestigung
US6763894B2 (en) * 2001-08-01 2004-07-20 Kidde-Fenwal, Inc. Clean agent fire suppression system and rapid atomizing nozzle in the same
JP3764677B2 (ja) 2001-12-27 2006-04-12 横浜市 二流体消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172U (ja) 1983-07-28 1985-02-23 株式会社 極東機械製作所 消火設備付給水装置
JP2000140143A (ja) * 1998-11-11 2000-05-23 Teikoku Sen I Co Ltd 携帯式ウォーターミスト消火装置
JP2001333215A (ja) 2000-05-22 2001-11-30 Makoto Kimura 火災時の緊急避難通報装置
JP2002102377A (ja) * 2000-09-27 2002-04-09 Tokyo Gas Co Ltd ガス工事現場における消火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遮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31A1 (ko) * 2011-06-16 2012-12-20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압축공기를 이용한 포 혼합시스템
KR101194814B1 (ko) 2012-02-08 2012-10-25 안용관 에어벤트와 시건장치가 구비된 소화전 장착용 압력기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60839A1 (en) 2009-10-22
KR20080038403A (ko) 2008-05-06
US8261844B2 (en) 2012-09-11
EP1938868A4 (en) 2013-03-27
EP1938868A1 (en) 2008-07-02
WO2007043671A1 (ja) 2007-04-19
TW200730212A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174B1 (ko) 소화장치
ES2135407T7 (es) Equipo de lucha contra incencios.
US4409978A (en) Portable,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AU712110B2 (en) Oxygen respirator
US6305619B1 (en) Portable gun for discharging highly pressurized fluid material
US6279571B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TW201325656A (zh) N2/co2滅火系統推進劑氣體混合物
CN110251865A (zh) 一种背负式多功能安防灭火装置
KR101015188B1 (ko) 휴대용 소화기의 압력공급용 밸브
KR20130020041A (ko) 소방용 관창
JP3944236B2 (ja) 消火装置
US20160193485A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KR20090121644A (ko)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RU2717772C1 (ru) Огнетушитель
KR10129379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870114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30075366A (ko)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CN211410792U (zh) 一种背负式多功能安防灭火装置
AU2015201443A1 (en) Mine escape self-rescuer system and method
CN107754130A (zh) 一种背带式防爆照明除烟灭火装置
CN107823818A (zh) 一种背带便携式可通讯灭火装置
CN211705705U (zh) 一种推车式细水雾/泡沫灭火装置
KR20120060985A (ko) 다목적 진화기
KR20200103432A (ko) 다기능 진화기
JP2000140143A (ja) 携帯式ウォーターミスト消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