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041A - 소방용 관창 - Google Patents

소방용 관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041A
KR20130020041A KR1020110082406A KR20110082406A KR20130020041A KR 20130020041 A KR20130020041 A KR 20130020041A KR 1020110082406 A KR1020110082406 A KR 1020110082406A KR 20110082406 A KR20110082406 A KR 20110082406A KR 20130020041 A KR20130020041 A KR 20130020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upling body
fire
pickup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이
Original Assignee
중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041A/ko
Publication of KR2013002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용 관창은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 커플링 몸체, 상기 커플링 몸체를 관통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공기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커플러; 통 형상으로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소방용수의 유속에 의하여 상기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로 유도하는 공기 픽업부를 포함하는 에어 픽업 부재; 및 상기 토출부에 결합된 통 형상의 노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용 관창{FIRE FIGHTHING WATER NOZZLE}
본 발명은 소방용 관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방 호스 등에 결합 되어 소방용수를 분사 및 소방용수의 분사 길이를 한층 증가시킨 소방용 관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전, 소화함에는 소방용수를 제공하는 소화전이 배치되고, 소화전에는 소방호스가 연결되고, 소방호스에는 소화용 관창(water nozzle)이 결합 된다.
화재 발생시 소방대원은 소화전으로부터 소방호스를 화재 지점까지 이동시키고, 소방호스에 결합 된 소화용 관창을 이용하여 화재 지점에 소방용수를 제공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31614호(소화용 관창)에는 몸체 일측의 후단에 연결된 호스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아 헤드부에 형성된 노즐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는 소화용 관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소화용 관창으로부터 토출되는 소방용수의 비산 거리는 소화전 으로부터 제공되는 소방용수의 압력에 의하여 결정되어 소화전의 소방용기의 압력이 낮을 경우 소방용수의 비산 거리가 짧아져 화재 진압 성능이 감소 되거나 소방대원의 안전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소방호스를 통해 관창으로 유입되는 고압, 고속의 소방용수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관창 내로 유도하여 버블을 발생시켜 소방용수의 비산 거리를 크게 증가 시킬 수 있는 소방용 관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소방용 관창은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 커플링 몸체, 상기 커플링 몸체를 관통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공기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커플러; 통 형상으로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소방용수의 유속에 의하여 상기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로 유도하는 공기 픽업부를 포함하는 에어 픽업 부재; 및 상기 토출부에 결합된 통 형상의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픽업부의 외주면 및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갭(gap)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픽업부는 상기 커플링 몸체의 상기 내측면과 결합되는 제1 공기 픽업부 및 상기 커플링 몸체의 상기 내측면과 이격되는 제2 공기 픽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공기 픽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픽업부의 내주면은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공기 픽업부는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기 픽업부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기 픽업부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픽업부와 대응하는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공기 픽업부와 대응하는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공기 픽업부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확장홈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홈의 폭은 상기 제1 공기 픽업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기 픽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나선(spiral) 형태로 진행하도록 복수개의 나선부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과 상기 토출부 사이 및 상기 유입부에 각각 배치된 밀봉 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유입홀과 연결된 체크 밸브홈에 삽입되며 상기 공기 유입홀과 연결된 커버를 갖는 체크 밸브 몸체, 상기 체크 밸브 몸체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커버에 밀착된 체크 밸브판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입홀에는 체크 밸브 배관이 결합 되며,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체크 밸브 배관 내에 결합된다.
상기 커플링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 밸브를 덮는 금속 메쉬망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 몸체의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구의 직경은 상기 공기 픽업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일실시예로서, 소방용 관창은 파이프 형상을 갖는 커플링 몸체, 상기 커플링 몸체를 관통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공기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에어 픽업 몸체, 상기 공기 유입홀이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에어 픽업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링 형상으로 2 개가 돌출된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 픽업 몸체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홀을 포함하는 에어 픽업 부재;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픽업 부재에 직렬 방식으로 배치되어 상기 에어 픽업 몸체로 제공되는 소방용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유속 증가 부재; 및 상기 커플러에 결합 되어 상기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통 형상의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홀은 상기 에어 픽업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한 쌍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속 증가 부재는 상기 소방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소방 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유입부는 상기 토출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토출부는 유입부의 단부에 연결된 일정한 직경의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각 돌출부 및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밀봉링이 배치된다.
상기 에어 픽업 부재 및 상기 유속 증가 부재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에 의하면, 고압 및 고속으로 제공된 소방용수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 또는 화재 진압용 가스를 소방용수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유입시킴으로써 공기 또는 화재 진압용 가스와 혼합되어 버블화 된 소방용수를 보다 멀리 떨어진 화재 현장에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 및 소방대원의 안전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플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 픽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에어 픽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에어 픽업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유속 증가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플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 픽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에어 픽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소방용 관창(500)은 커플러(100), 에어 픽업 부재(200) 및 노즐(300)을 포함한다.
커플러(100)는 노즐(300) 및 고압의 소방용수가 제공되는 소방 호스(미도시)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 및 노즐(300)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커플러(100)는 커플링 몸체(110), 공기 유입홀(120) 및 체크 밸브(130)를 포함한다.
커플링 몸체(110)는 양단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플링 몸체(110)는 주물 공정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형상을 갖는 커플링 몸체(110)는 화재 진압 또는 시위 진압을 위한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2) 및 소방용수가 토출 되는 토출부(1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커플링 몸체(110)의 유입부(112) 및 토출부(114)의 내측면 직경은 후술 될 에어 픽업 부재(200)의 내측면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며, 유입부(112)는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몸체(110)의 유입부(112)와 인접한 커플링 몸체(110)의 내측면에는 후술 될 에어 픽업 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116)이 형성된다. 걸림턱(116)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홀(120)은 커플링 몸체(110)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through-hole)을 포함하며, 공기 유입홀(120)은 커플링 몸체(110)의 외부 공기를 커플링 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공기 유입홀(120)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 유입홀(120)은 커플링 몸체(110)에 하나 바람직하게 복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체크 밸브(130)는 체크 밸브 몸체(132), 코일 스프링(134) 및 체크 밸브판(136)을 포함한다.
체크 밸브 몸체(13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크 밸브 몸체(132)의 상단에는 걸림판(133)이 형성된다. 걸림판(133)은 후술될 체크 밸브판(136)과 결합되는 개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체크 밸브 몸체(132)는 공기 유입홀(120)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 되며, 체크 밸브 몸체(132)를 커플링 몸체(110)에 결합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홀(120)과 대응하는 커플링 몸체(110)에는 체크 밸브홈(131)이 형성된다. 체크 밸브홈(131)은 공기 유입홀(120)의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체크 밸브홈(131)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 및 체크 밸브 몸체(132)의 외측면에는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커플링 몸체(110) 및 체크 밸브 몸체(132)는 각각 나사부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34)은 체크 밸브 몸체(13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코일 스프링(134)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판(136)은 체크 밸브 몸체(132)의 내부에 배치되며, 체크 밸브판(136)은 체크 밸브 몸체(132)의 걸림판(133)에 걸리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크 밸브 몸체(132)는 코일 스프링(134)에 결합 된다. 체크 밸브판(136) 및 걸림판(133) 사이에는 밀봉 링이 개재될 수 있다.
체크 밸브판(136)은 공기 유입홀(120) 내의 압력이 감소 될 경우, 코일 스프링(134)이 압축되면서 체크 밸브판(136)은 걸림판(133)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로 인해 커플링 몸체(110) 외부의 공기는 체크 밸브(130) 및 공기 유입홀(120)을 통해 커플링 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공기 유입홀(120)내의 압력이 증가 될 경우, 코일 스프링(134)이 복원되면서 체크 밸브판(136)은 걸림판(133)에 밀착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어 픽업 부재(200)는 공기 픽업부(210) 및 고정부(220)를 포함한다.
공기 픽업부(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공기 픽업부(210)는 커플링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또는 유도)된 소방용수의 유속에 의하여 커플링 몸체(110)의 공기 유입홀(120)을 통해 공기가 커플링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에 삽입된 공기 픽업부(210)는 공기 유입홀(120)을 덮는 길이로 형성되며, 공기 픽업부(210)의 외주면 및 커플링 몸체(110)의 내측면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홀(120)을 통해 유도된 공기가 통과하는 갭(G)이 형성된다. 갭(G)이 공기 픽업부(210)의 외주면 및 커플링 몸체(110)의 사이에 형성되지 않을 경우 공기 유입홀(120)을 통해 공기가 커플링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공기 픽업부(210)는 제1 공기 픽업부(212) 및 제2 공기 픽업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픽업부(212)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공기 픽업부(210)의 내측면(210a)에 대하여 제1 두께로 형성되며, 제1 공기 픽업부(212)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부(212a)가 형성되고,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 중 제1 나사부(212a)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나사부(110a)가 형성되며, 제1 나사부(212a) 및 제2 나사부(110a)는 상호 체결된다.
제2 공기 픽업부(214)는 공기 유입홀(120)을 덮으며, 제2 공기 픽업부(214)는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에 대하여 지정된 갭(G)으로 이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 공기 픽업부(214)의 두께를 감소시켜 갭(G)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제2 공기 픽업부(214) 및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 사이에 갭(G)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제2 공기 픽업부(214)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공기 픽업부(210)의 내주면(210a)에 대하여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공기 픽업부(214)와 대응하는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에는 확장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홈(115)의 폭(W)은 제2 공기 픽업부(214)의 길이(L) 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 픽업부(214)에는 공기 유입홀(120)로 유입된 공기를 선회(spiral) 시키는 복수개의 나선부(215)들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부(215)는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제2 공기 픽업부(214)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나선부(215)는 제2 공기 픽업부(21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 또는 제2 공기 픽업부(214)의 표면으로부터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나선부(215)가 제2 공기 픽업부(214)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나선부(215)는 제2 공기 픽업부(214)와 마주하는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고정부(220)는 제1 공기 픽업부(212)의 단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220)는 커플링 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16)에 걸리는 사이즈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노즐(3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노즐(300)의 일측단 내주면은 커플러(100)의 외주면에 결합 된다. 예를 들어, 노즐(300)은 커플러(100)와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하여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노즐(300) 및 커플러(100) 사이에는 밀봉 링(410)이 개재되고, 커플러(100)의 유입부(112) 및 유입부(112)에 결합되는 소방 호스 사이에는 밀봉 링(420)이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커플러(100)의 커플링 몸체(110)에 형성된 체크 밸브(130)의 체크 밸브판(136) 및 걸림판(133) 사이에 소방대원의 신체 일부가 끼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 밸브판(136)과 대응하는 커플링 몸체(110)의 표면에는 금속 메쉬망(4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소방 대원은 소화전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500)이 결합된 소방 호스를 화재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소방 호스로 제공된 소방용수가 제공되어 소방용 관창(500)의 커플러(100)로 소방용수가 제공되면 소방용수는 커플러(100)의 유입부(112)를 통해 유입된 후 좁아진 에어 픽업 부재(200)를 통과한다.
소방 용수는 에어 픽업 부재(200)의 내부를 보다 고압 및 고속으로 통과하게 되고, 소방 용수가 에어 픽업 부재(200)의 내부를 고압 및 고속으로 통고함으로써 에어 픽업 부재(200)의 제2 공기 픽업부(214) 및 커플링 몸체(110) 사이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되고, 압력 감소에 의하여 체크 밸브(130)가 작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홀(120)을 통해 제2 공기 픽업부(214) 및 커플링 몸체(110) 사이로 유입된다.
제2 공기 픽업부(214) 및 커플링 몸체(110)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나선부(215)에 의하여 선회되면서 커플링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고, 공기는 소방 용수와 섞이면서 버블이 발생되고, 소방 용수의 부피가 급격히 증가되면서 소방용수는 보다 고압 상태가 되고, 공기 및 소방 용수가 혼합된 버블화된 소방용수는 노즐(300)을 통해 토출 되며, 이로 인해 소방 용수는 보다 먼 화재 현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체크 밸브(130)가 커플러(100)의 커플링 몸체(110)에 형성된 체크 밸브홈(131) 내에 형성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홈(131)에 체크 밸브 배관(139)을 형성하고 체크 밸브 배관(139) 내에 코일 스프링(134) 및 체크 밸브판(136)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판(136)이 형성되는 체크 밸브 배관(139)에는 공기 대신 이산화탄소, 질소 가스와 같은 화재 진압용 가스가 제공될 수 있고, 체크 밸브 배관(139)에 화재 진압용 가스가 제공될 경우, 노즐(300)로부터는 소방용수와 함께 화재 진압용 가스가 화재 지점에 직접 제공되어 보다 신속하게 화재 진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에어 픽업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유속 증가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소방용 관창(950)은 커플러(600), 에어 픽업 부재(700), 유속 증가 부재(800) 및 노즐(900)을 포함한다. 노즐(900)은 커플러(600)에 결합 되어 소방용수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커플러(600)는 소방 호스(미도시)와 결합 되어 소방 호스로부터 소방용수를 제공받아 노즐(9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커플러(600)는 커플링 몸체(610), 공기 유입홀(620) 및 체크 밸브(630)를 포함한다.
커플링 몸체(610)는, 예를 들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커플링 몸체(610)는 소방용수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공기 유입홀(620)은 커플링 몸체(610)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대향 하는 내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공기 유입홀(620)은 커플링 몸체(610)의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여 커플링 몸체(610) 외부의 공기가 커플링 몸체(6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커플링 몸체(610)의 내측면에는 내주면 직경을 단속적으로 증가시켜 형성된 2 개의 걸림턱(612,614)들이 형성된다.
체크 밸브(630)는 공기 유입홀(620)과 연통되며, 체크 밸브(630)는 커플링 몸체(610)의 내측면 압력이 감소될 때 선택적으로 공기 유입홀(620)을 통해 커플링 몸체(610) 외부의 공기가 커플링 몸체(6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체크 밸브(630)는 볼 체크 밸브(ball check valve)가 사용되며, 이와 다르게, 체크 밸브(630)는 판 체크 밸브(plate check balve)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에어 픽업 부재(700)는 체크 밸브(630) 및 공기 유입홀(62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소방용수와 혼합되어 소방용수의 비산 거리를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에어 픽업 부재(700)는 에어 픽업 몸체(710), 돌출부(720)들 및 에어 홀(730)을 포함한다.
에어 픽업 몸체(710)는 소방용수가 통과하기에 적합하도록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에어 픽업 몸체(710)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에어 픽업 몸체(710)의 외주면 직경은 커플링 몸체(610)의 내측면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에어 픽업 몸체(710) 및 커플링 몸체(610)의 내측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다.
돌출부(720)는 에어 픽업 몸체(710)의 외주면에, 예를 들어,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돌출부(720)는 에어 픽업 몸체(710)의 외주면으로부터 형성 또는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돌출부(720)들은 에어 픽업 몸체(710)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720)는 커플링 몸체(61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각 돌출부(720) 및 커플링 몸체(610)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링(722)이 개재될 수 있다.
에어 홀(730)은 돌출부(720)들 사이에 대응하는 에어 픽업 몸체(710)에 형성되며, 에어 홀(730)은 에어 픽업 몸체(710)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을 관통하며, 에어 홀(7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에어 홀(730)은 에어 픽업 몸체(7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이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에어 홀(730)은 에어 픽업 몸체(7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3 개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커플링 몸체(610)의 공기 유입홀(620) 및 체크 밸브(6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에어 픽업 부재(700)의 돌출부(720)들 및 에어 홀(730)을 통해 에어 픽업 몸체(7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에어 홀(730)에 의하여 선회 되면서 유입된다.
한편, 체크 밸브(630), 공기 유입홀(620), 돌출부(720) 및 에어 홀(730)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해서는 에어 픽업 부재(700)의 에어 픽업 몸체(710)의 내측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야 한다.
에어 픽업 몸체(710)의 내측의 압력을 대기압 보다 낮추기 위해서는 에어 픽업 몸체(710)를 통과하는 소방용수의 유속을 증가시켜야 한다. 에어 픽업 몸체(710)를 통과하는 소방용수의 유속이 충분히 빠르지 않을 경우, 에어 픽업 몸체(710)의 내부로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속 증가 부재(800)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810), 몸체(8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820) 및 소방용수가 토출 되는 토출부(830)를 포함한다.
유속 증가 부재(800)의 몸체(810)의 유입부(820)는 테이퍼진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입부(820)의 테이퍼진 홈의 내각은 120°의 각도로 형성되며, 토출부(820)는 유입부(820) 중 직경이 가장 작은 부분에 연결되며, 토출부(820)는, 예를 들어, 일정한 직경을 갖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유속 증가 부재(800)는 소방용수의 유속을 증가시켜 체크 밸브(630), 공기 유입홀(620), 돌출부(720) 및 에어 홀(730)을 통해 외부 공기가 에어 픽업 몸체(7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공기가 에어 픽업 몸체(710)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소방용수 및 공기가 혼합되면서 버블 형태가 되고 외부 공기에 의한 부피 증가에 의하여 소방용수의 비산 거리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비록 유속 증가 부재(800) 및 에어 픽업 부재(700)가 상호 분리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유속 증가 부재(800) 및 에어 픽업 부재(700)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고압 및 고속으로 제공된 소방용수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 또는 화재 진압용 가스를 소방용수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유입시킴으로써 공기 또는 화재 진압용 가스와 혼합되어 버블화된 소방용수를 보다 멀리 떨어진 화재 현장에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 및 소방대원의 안전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0,900...소방용 관창 100...커플러
200...에어 픽업 부재 300...노즐

Claims (19)

  1.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 커플링 몸체, 상기 커플링 몸체를 관통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공기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커플러;
    통 형상으로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소방용수의 유속에 의하여 상기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커플링 몸체 내부로 유도하는 공기 픽업부를 포함하는 에어 픽업 부재; 및
    상기 토출부에 결합된 통 형상의 노즐을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픽업부의 외주면 및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갭(gap)이 형성된 소방용 관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픽업부는 상기 커플링 몸체의 상기 내측면과 결합되는 제1 공기 픽업부 및 상기 커플링 몸체의 상기 내측면과 이격되는 제2 공기 픽업부를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픽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소방용 관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픽업부의 내주면은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공기 픽업부는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기 픽업부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 소방용 관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픽업부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픽업부와 대응하는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된 소방용 관창.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픽업부와 대응하는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공기 픽업부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확장홈이 형성된 소방용 관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홈의 폭은 상기 제1 공기 픽업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소방용 관창.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픽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나선(spiral) 형태로 진행하도록 복수개의 나선부가 형성된 소방용 관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과 상기 토출부 사이 및 상기 유입부에 각각 배치된 밀봉 링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유입홀과 연결된 체크 밸브홈에 삽입되며 상기 공기 유입홀과 연결된 커버를 갖는 체크 밸브 몸체, 상기 체크 밸브 몸체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커버에 밀착된 체크 밸브판을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홀에는 체크 밸브 배관이 결합 되며,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체크 밸브 배관 내에 결합된 소방용 관창.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 밸브를 덮는 금속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몸체의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구의 직경은 상기 공기 픽업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소방용 관창.
  15. 파이프 형상을 갖는 커플링 몸체, 상기 커플링 몸체를 관통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공기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에어 픽업 몸체, 상기 공기 유입홀이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에어 픽업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링 형상으로 2 개가 돌출된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 픽업 몸체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홀을 포함하는 에어 픽업 부재;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픽업 부재에 직렬 방식으로 배치되어 상기 에어 픽업 몸체로 제공되는 소방용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유속 증가 부재; 및
    상기 커플러에 결합 되어 상기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통 형상의 노즐을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은 상기 에어 픽업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한 쌍이 대칭되게 형성된 소방용 관창.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증가 부재는 상기 소방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소방 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유입부는 상기 토출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토출부는 유입부의 단부에 연결된 일정한 직경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부 및 상기 커플링 몸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밀봉링이 배치된 소방용 관창.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픽업 부재 및 상기 유속 증가 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소방용 관창.
KR1020110082406A 2011-08-18 2011-08-18 소방용 관창 KR20130020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406A KR20130020041A (ko) 2011-08-18 2011-08-18 소방용 관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406A KR20130020041A (ko) 2011-08-18 2011-08-18 소방용 관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041A true KR20130020041A (ko) 2013-02-27

Family

ID=4789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406A KR20130020041A (ko) 2011-08-18 2011-08-18 소방용 관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04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053B1 (ko) * 2013-08-16 2014-09-12 원승연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소화전 조립체
CN104436486A (zh) * 2014-12-17 2015-03-25 黄振波 一种喷水枪
KR20170001137A (ko) * 2015-06-25 2017-01-04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소방관창
KR101705807B1 (ko) * 2016-08-17 2017-02-10 육송(주) 옥외소화전
CN108837354A (zh) * 2018-06-22 2018-11-20 陈兴云 多向空间灭火枪
WO2022050789A1 (ko) * 2020-09-04 2022-03-10 김정규 연기, 유독가스 흡기 제거형 소방용 노즐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053B1 (ko) * 2013-08-16 2014-09-12 원승연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소화전 조립체
CN104436486A (zh) * 2014-12-17 2015-03-25 黄振波 一种喷水枪
KR20170001137A (ko) * 2015-06-25 2017-01-04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소방관창
KR101705807B1 (ko) * 2016-08-17 2017-02-10 육송(주) 옥외소화전
CN108837354A (zh) * 2018-06-22 2018-11-20 陈兴云 多向空间灭火枪
WO2022050789A1 (ko) * 2020-09-04 2022-03-10 김정규 연기, 유독가스 흡기 제거형 소방용 노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041A (ko) 소방용 관창
KR101028174B1 (ko) 소화장치
JP2016165496A5 (ja) 消火ガス噴射装置の施工方法
JP2012135460A (ja) 消火用放水ノズル装置
MY195932A (en) Jet Head Having Silencing Function for Gas-Base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Method for Storing And Assembling Same
KR101902124B1 (ko) 하이브리드 미분무 소방관창
US8919745B1 (en) High flow rate foam generating apparatus
KR101015188B1 (ko) 휴대용 소화기의 압력공급용 밸브
CA2679002C (en) Ambient mist head
CN206285390U (zh) 一种环形喷射炮
TWM513707U (zh) 可調整發泡倍率之滅火裝置
US6745847B2 (en) Fire extinguishing spray nozzle
KR101890878B1 (ko) 가스분사노즐
JP7476353B2 (ja) 圧縮空気泡消火システム用の空気混合器及び消火システム
JP2009291699A (ja) 消火用ノズル装置
JP5166625B1 (ja) 圧縮空気泡消火装置
JP3944236B2 (ja) 消火装置
KR101465191B1 (ko) 소방용 관창
KR20210114126A (ko) 소화기의 소화액 확산과 집중성이 향상되는 분사노즐
KR101239749B1 (ko) 휴대용 폼 소화 장치
CN214382543U (zh) 一种水幕喷淋降温装置及消防机器人
KR101537525B1 (ko)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CN210933538U (zh) 一种建筑用消防喷水设备
US9370675B1 (en) Foam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ed air foam systems
CN207804842U (zh) 细水雾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