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807B1 - 옥외소화전 - Google Patents

옥외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807B1
KR101705807B1 KR1020160104420A KR20160104420A KR101705807B1 KR 101705807 B1 KR101705807 B1 KR 101705807B1 KR 1020160104420 A KR1020160104420 A KR 1020160104420A KR 20160104420 A KR20160104420 A KR 20160104420A KR 101705807 B1 KR101705807 B1 KR 10170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topper
fire hydrant
pi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육송(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filed Critical 육송(주)
Priority to KR102016010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급수를 위하여 지상에 노출되어 설치되고, 외주면 둘레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소화용수가 공급되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캡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핀과, 상기 핀에 끼워져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핀과 상기 관통공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과, 상기 캡에 위치되어 상기 핀의 타측에 접촉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스토퍼가 위치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홈에 위치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에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핀의 타측에 접촉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을 가져 소화전의 내부에 소화용수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캡으로 토출구를 닫더라도 소화전 내부가 진공압 상태가 되지 않아 소화전 내부의 잔류 소화용수가 배출될 수 있는 옥외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외소화전{Outdoor fire hydrant}
본 발명은 옥외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화전의 내부에 있는 소화용수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캡으로 토출구를 닫더라도 소화전 내부가 진공압 상태가 되지 않는 옥외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화전은 지하식 소화전과 지상식 소화전이 있다.
상기 지상식 소화전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구멍(P)이 가공된 지하 물탱크의 연결관(1)과 연결하되 지하로 매설된 제 1 파이프(2A)와 지상으로 노출되는 제 2 파이프(2B)의 연결로 이루어진 스텐드파이프(2)와, 상기 스텐드파이프(2)의 지상 노출부분인 제 2 파이프(2B)의 상단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소방용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연결관(3)과, 스텐드파이프(2)의 지상 노출부분인 제 2 파이프(2B) 상단 중앙에 위치하되 그 내부에는 유동축(5)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나사산(4A)을 가공시킨 회동부(4)와, 스텐드파이프(2)의 제 1 및 제 2 파이프(2A)(2B)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되, 상기 회동부(4)의 회전에 따라 소방용수의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축(5)과, 양측으로 연결관(1)의 드레인구멍(P)과 동일한 드레인구멍을 가공하되, 상기 유동축(5)의 하단부 축상에 결합되는 유동관(6)과, 유동축(5)의 하단부와 결합하되, 상기 유동관(6)의 유동에 따라 지하 물탱크에 저장된 소방용수를 스텐드파이프(2)를 통해 지상으로 방수시키도록 개폐동작하는 개폐부(7)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8은 호스연결관(3)의 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지상식 소화전의 사용은 먼저, 작업자가 스텐드파이프(2)의 지상 노출부분인 제 2 파이프(2B)의 상단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는 호스연결관(3)의 캡(8)을 제거한다. 이후, 상기 호스연결관(3)에 소방용호스를 연결한 후, 작업자가 상기 스텐드파이프(2)의 지상 노출부분인 제 2 파이프(2B)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는 회동부(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부(4)의 내부에 가공된 나사산(4A)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면서 제 1 및 제 2 파이프(2A)(2B)에 수직으로 세워진 유동축(5)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축(5)에 결합된 유동관(6)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함과 동시에 연결관(1)의 양측에 가공된 드레인구멍(P)을 막게 되므로써, 상기 스텐드파이프(2)의 제 1 및 제 2 파이프(2A)(2B)를 통해 외부로 소방용수가 드레인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유동축(5)의 하방향 유동과 동시에 유동관(6)이 연동하게 되는 바, 상기 유동관(6)의 하방향 유동에 따라 개폐부(7)가 열림동작을 하면서 지하 물탱크에 저장된 소방용수를 스텐드파이프(2)의 제 1 및 제 2 파이프(2A)(2B)와 호스연결관(3)을 통해 지상으로 방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회동부(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부(4)의 내부에 가공된 나사산(4A)에 일측 끝단이 연결된 유동축(5)이 상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는 바, 상기 유동축(5)의 상방향 유동과 동시에 유동관(6)이 연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관(6)의 상방향 유동에 따라 개폐부(7)가 닫힘동작을 하게 되므로써, 스텐드파이프(2)의 제 1 및 제 2 파이프(2A)(2B)와 호스연결관(3)을 통한 소방용수의 지상 방수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텐드파이프(2)의 제 1 및 제 2 파이프(2A)(2B)에는 호스연결관(3)을 통해 지상으로 방수되고 남은 소방용수가 남게 되는 바, 상기 연결관(1)의 양측에 가공된 드레인구멍(P)이 개방되면서 상기 스텐드파이프(2)의 제 1 및 제 2 파이프(2A)(2B)에 남아있던 소방용수는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지상식 소화전은 캡(8)을 잠그지 않고, 회동부(4)를 먼저 잠궈 개폐부(7)가 닫히게 되면 스텐드파이프(2) 내의 공간이 진공압 상태가 되어 스텐드파이프(2) 내 공간에 잔류하고 있는 소방용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겨울처럼 기온이 낮은 경우에 동결되어 추후에 소화전 사용에 문제가 되었다.
한국실용등록 제20-020966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 물탱크의 연결관과 옥외소화전의 스텐드파이프가 연결된 통로가 폐쇄되어 소화전의 내부에 소화용수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일 때, 캡으로 토출구를 닫더라도 소화전 내부가 진공압 상태가 되지 않아 소화전 내부의 잔류 소화용수가 배출될 수 있는 옥외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은, 급수를 위하여 지상에 노출되어 설치되고, 외주면 둘레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소방용수가 공급되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몸체;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캡;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핀과, 상기 핀에 끼워져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핀과 상기 관통공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과, 상기 캡에 위치되어 상기 핀의 타측에 접촉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스토퍼가 위치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홈에 위치되는 원호부와, 상기 핀의 타측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원호부는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스토퍼의 연장부는 상기 원호부의 개방된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연장부는 상기 원호부의 일측 양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서로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캡의 일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직경이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제2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핀은 적어도 일부가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축과, 상기 축의 타측에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제1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플랜지의 타측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양측이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에 각각 연통되며, 직경이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제3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핀에는 상기 제1플랜지의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패킹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은 스토퍼가 탄성부재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밀리는 핀을 잡아주므로 핀이 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은 스토퍼의 연장부가 핀의 양측에 각각 접촉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의 스토퍼는 철사를 구부려 가공하는 것으로 가공이 쉽고 값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은 스텐드파이프에 설치된 회동부를 회전시켜 지하 물탱크의 연결관과 옥외소화전의 스텐드파이프의 연결된 통로를 폐쇄시키더라도, 공기가 유입되는 밸브에 의해 스텐드파이프와 캡 내측의 공간이 진공압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옥외소화전의 내부에 잔류된 소방용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겨울철에 소방용수가 옥외소화전의 내부에 잔류된 채로 얼어 옥외소화전의 내부 통로가 막히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은 캡에 형성된 돌출부가 사각형에 가까운 단면을 가지면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렌치를 이용해 캡을 토출구에 쉽고 확실하게 잠글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상식 소화전의 사시도.
도 2은 종래의 지상식 소화전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소화전 캡의 밸브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소화전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캡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소화전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캡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소화전의 캡(100)의 밸브(200)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소화전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캡(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소화전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캡(100)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옥외소화전은, 급수를 위하여 지상에 노출되어 설치되고, 외주면 둘레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소방용수가 공급되며 토출구와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몸체와, 토출구에 설치되는 캡(100)과,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관통공(150)에 설치되는 밸브(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밸브(200)는 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핀(210)과, 핀(210)에 끼워져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230)와, 핀(210)과 관통공(150)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250)과, 캡(100)에 위치되어 핀(210)의 타측에 접촉되는 스토퍼(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통공(150)에 삽입된 핀(210)은 도 3이나 도 4와 같이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일측이 관통공(150) 내측 또는 캡(10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230)는 코일스프링이다. 또한 개폐장치는 종래기술의 회동부, 유동축, 유동관 및 개폐부의 구성을 말한다.
캡(100)에는 관통공(150)과 연통되며, 스토퍼(270)가 위치되는 홈(112)이 형성된다.
스토퍼(270)는 홈(112)에 위치되는 원호부(272)와, 핀(210)의 타측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2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은 스토퍼(270)가 탄성부재(230)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밀리는 핀(210)을 잡아주므로 핀(210)이 홈(1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캡(100)의 관통공(150)은 캡(100)의 일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관통공(151)과, 제1관통공(151)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직경이 제1관통공(151)의 직경보다 큰 제2관통공(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관통공(150)은 양측이 제1관통공(151)과 제2관통공(152)에 각각 연통되며, 직경이 제1관통공(151)의 직경보다 크고 제2관통공(152)의 직경보다 작은 제3관통공(15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관통공(151)의 타측과 제3관통공(153)의 일측이 연통되고, 제3관통공(153)의 타측과 제2관통공(152)의 일측이 연통된다. 즉 관통공(150)은 캡(100)의 내주면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옥외소화전의 내측 공간과 외측공간을 연통시키며,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보다 자세하게 관통공(150)에는 제1관통공(151)을 둘러싼 내주면과 제3관통공(153)을 둘러싼 내주면을 연결시키는 측면(153a), 제3관통공(153)을 둘러싼 내주면과 제2관통공(152)을 둘러싼 내주면을 연결시키는 측면(152a)이 있다. 따라서 캡(100)은 각 관통공(150)을 둘러싼 내주면과 내주면 및 측면(152a, 153a)에 의해 턱이 생긴다.
한편, 핀(210)은 적어도 일부가 제1관통공(151)에 삽입되는 축(212)과, 축(212)의 타측에 형성되며 외경이 제1관통공(151)의 직경보다 큰 제1플랜지(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스토퍼(270)는 제1플랜지(214)의 타측에 접촉된다.
또한, 핀(210)에는 제1플랜지(214)의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플랜지(216)가 형성되며, 제2플랜지(216)는 제1플랜지(214)와 탄성부재(230)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탄성부재(230)의 일단은 제1관통공(151)과 제3관통공(153) 사이의 측면(153a)에 접촉되고, 탄성부재(230)의 타단은 제2플랜지(216)의 일단에 접촉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270)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스토퍼(270)의 원호부(272)는 일측이 개방되며, 스토퍼(270)의 연장부(274)는 원호부(272)의 개방된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된다. 즉 원호부(272)에 둘러싸여 형성된 내측공간과 원호부(272)의 외측공간은 개방된 일측에 의해 연통된다.
보다 자세하게, 원호부(272)는 정면으로 보았을 때, 일측이 약 90도의 각도로 잘려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연장부(274)는 원호부(272)의 잘린 부분의 단면과 연결된 일단에서 원호부(272)의 내측, 즉 타측 방향으로 곡선을 가지면서 중간부까지 연장되고, 연장부(274)의 중간부부터 끝단까지는 일직선의 형상을 가지며 연장된다.
보다 자세하게, 스토퍼(270)의 연장부(274a, 274b)는 원호부(272)의 일측 양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서로 나란하다.
도 3 또는 도 4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제1플랜지(214)를 상측과 하측으로 나누면, 연장부(274)의 중간부는 제1플랜지(214)의 상측 중앙부근에 접촉되며, 연장부(274)의 끝단은 제1플랜지(214)의 하측 중앙부근에 접촉되어 연장부(274)의 중간부부터 끝단까지가 후술할 핀(210)의 축(212)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일직선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스토퍼(270)가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타측방향의 힘을 수직으로 막아 핀(210)을 보다 효과적으로 잡아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좌측 연장부(274a)와 우측 연장부(274b) 각각은 축(2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토퍼(270)의 연장부(274)는 핀(210)의 양측에 각각 접촉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핀(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70)는 공구 등을 이용해 힘을 가하여 좌우 양측의 폭을 관통공(150)에 형성된 홈(112)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줄여 홈(112)에 집어넣은 뒤, 양측의 폭이 원상 복귀되도록 스토퍼(270)에 가해진 힘을 제거시켜 홈(112)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시켜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스토퍼(270)는 철사를 구부려 가공하는 것으로 가공이 쉽고 값이 매우 저렴하다.
한편, 원호부(272)는 곡률이 일정한 1개의 원호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3개의 원호부(272)가 홈(112)에 삽입되고, 각 원호부(272)를 이어주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패킹(250)은 제1플랜지(214)와 제2플랜지(216) 사이에 배치되므로, 핀(21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더라도 핀(2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도 4와 같이 소화용수에 의한 수압이 밸브(200)에 작용되면, 패킹(250)과 핀(210) 사이로 공기가 통하거나 패킹(250)이 핀(210)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지 않아야 하므로, 패킹(250)이 끼워지는 제1플랜지(214)와 제2플랜지(216) 사이의 핀(210)의 직경은 패킹(250)이 핀(210)에 억지 끼워맞춤이 되도록 패킹(25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내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제1플랜지(214)와 제2플랜지(216) 사이의 최단거리는 패킹(250)의 단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패킹(250)의 외경은 제3관통공(153)의 직경보다 크고, 패킹(250)의 내경은 제1플랜지(21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2플랜지(216)의 직경은 제3관통공(15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밸브(200)는 옥외소화전의 스텐드파이프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장치로, 도 3과 같이, 지하 물탱크의 연결관과 옥외소화전의 스텐드파이프의 연결된 통로가 폐쇄되었을 때,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핀(210)이 타측으로 이동해 패킹(250)이 제2관통공(152)과 제3관통공(153)의 연통된 공간을 막고 있지 않으므로, 캡(100)의 외측공간의 공기가 제1관통공(151)으로 유입되어 제3관통공(153), 제2관통공(152)을 차례대로 지나 스텐드파이프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므로, 스텐드파이프와 캡(100)의 내측공간은 진공압 상태가 되지 않는다.
반면, 도 4와 같이,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밸브(200)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작용되면, 핀(21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해 제2플랜지(216)가 제3관통공(153)의 내측에 위치되고 패킹(250)이 제2관통공(152)과 제3관통공(153)을 잇는 측면(152a)과 접촉되어 제3관통공(153)과 제2관통공(152)의 연통된 통로가 패킹(250)에 막히기 때문에 소방용수가 관통공(150)을 통해 캡(100)의 내측 공간에서 외측 공간으로 배출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은 스텐드파이프에 설치된 회동부를 회전시켜 지하 물탱크의 연결관과 옥외소화전의 스텐드파이프의 연결된 통로를 폐쇄시키더라도, 공기가 유입되는 밸브(200)에 의해 스텐드파이프와 캡(100) 내측의 공간이 진공압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옥외소화전의 내부에 잔류된 소방용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겨울철에 소방용수가 옥외소화전의 내부에 잔류된 채로 얼어 옥외소화전의 내부 통로가 막히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옥외소화전의 캡(100)은 토출구를 둘러싸는 뚜껑인 본체(110)와, 본체(1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캡(100)에 형성된 돌출부(120)는 사각형에 가까운 단면을 가지면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렌치를 이용해 캡(100)을 토출구에 쉽고 확실하게 잠글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캡 112 : 홈
120 : 돌출부 150 : 관통공
151 : 제1관통공 152 : 제2관통공
153 : 제3관통공 200 : 밸브
210 : 핀 212 : 축
214 : 제1플랜지 216 : 제2플랜지
230 : 탄성부재 250 : 패킹
270 : 스토퍼 272 : 원호부
274 : 연장부

Claims (5)

  1. 급수를 위하여 지상에 노출되어 설치되고, 외주면 둘레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소방용수가 공급되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몸체;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캡;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핀과,
    상기 핀에 끼워져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핀과 상기 관통공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과,
    상기 캡에 위치되어 상기 핀의 타측에 접촉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스토퍼가 위치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홈에 위치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핀의 타측에 접촉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는 힘이 가해지면 폭이 작아졌다가 힘이 제거되면 원상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홈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옥외소화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원호부는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스토퍼의 연장부는 상기 원호부의 개방된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소화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연장부는 상기 원호부의 일측 양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서로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소화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캡의 일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직경이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제2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핀은 적어도 일부가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축과, 상기 축의 타측에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제1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플랜지의 타측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소화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양측이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에 각각 연통되며, 직경이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제3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핀에는 상기 제1플랜지의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소화전.
KR1020160104420A 2016-08-17 2016-08-17 옥외소화전 KR101705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20A KR101705807B1 (ko) 2016-08-17 2016-08-17 옥외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20A KR101705807B1 (ko) 2016-08-17 2016-08-17 옥외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807B1 true KR101705807B1 (ko) 2017-02-10

Family

ID=5812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420A KR101705807B1 (ko) 2016-08-17 2016-08-17 옥외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8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422B1 (ko) 2021-07-13 2022-02-2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화전의 화재 발생 알림 장치
KR102396333B1 (ko) 2021-06-30 2022-05-10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자가발전형 소화전
KR102617575B1 (ko) 2022-11-17 2023-12-27 주식회사 서영금속 옥외 소화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667Y1 (ko) 1998-11-06 2001-01-15 박승옥 지하 매설식 소화전
KR200396621Y1 (ko) * 2005-07-04 2005-09-23 주식회사 육송 소화전용 소방호스 릴 장치의 드레인 밸브
KR20110001956U (ko) * 2009-08-20 2011-02-28 김태형 지하식 소화전
KR20130020041A (ko) * 2011-08-18 2013-02-27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용 관창
KR101564196B1 (ko) * 2015-05-13 2015-10-28 이석근 내부 잔류용수 배출 기능을 갖는 지상 소화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667Y1 (ko) 1998-11-06 2001-01-15 박승옥 지하 매설식 소화전
KR200396621Y1 (ko) * 2005-07-04 2005-09-23 주식회사 육송 소화전용 소방호스 릴 장치의 드레인 밸브
KR20110001956U (ko) * 2009-08-20 2011-02-28 김태형 지하식 소화전
KR20130020041A (ko) * 2011-08-18 2013-02-27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용 관창
KR101564196B1 (ko) * 2015-05-13 2015-10-28 이석근 내부 잔류용수 배출 기능을 갖는 지상 소화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333B1 (ko) 2021-06-30 2022-05-10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자가발전형 소화전
KR102365422B1 (ko) 2021-07-13 2022-02-2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화전의 화재 발생 알림 장치
KR102617575B1 (ko) 2022-11-17 2023-12-27 주식회사 서영금속 옥외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807B1 (ko) 옥외소화전
JP6143312B2 (ja) 開閉弁
US6178982B1 (en) Shut-off valve for a sprinkler head
US7243684B1 (en) Flow dividing device for gardening pipes
US20200355310A1 (en) T-joint having push-button switch
KR100709383B1 (ko) 소방 호스 연결용 요동방지 결합구
KR101556955B1 (ko) 옥외 소화전
KR20100011936U (ko) 옥내소화전 방수구
KR200396605Y1 (ko) 소화전용 소화수 분배기
JP4495170B2 (ja) 旋回可能なブロッキング部材をもつ圧力導管用の差込み式安全継手
JP6732251B2 (ja) 消火栓弁
KR102053423B1 (ko) 임의적 단수해제가 불가능한 수도앵글밸브
JP6924988B2 (ja) 流水検知装置
KR200296539Y1 (ko) 소화전
JP7274203B2 (ja) 既設分水栓の撤去方法、および既設分水栓の交換方法
JP2599462Y2 (ja) ガス栓
US7168450B2 (en) Valve adapter
US10047871B2 (en) Valve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safe pressure of pressure vessel
KR200290416Y1 (ko) 소방호스 연결밸브
JP2001259068A (ja) 配管部材接続継手
CN212131400U (zh) 高中压组合分水器
US20170067234A1 (en) Valve for purging a utilities pipe
KR20220167566A (ko) 배관용 커플러
CN212690931U (zh) 便携型消防用管阀式分水器
KR200415806Y1 (ko) 개폐식 소방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