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575B1 - 옥외 소화전 - Google Patents

옥외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75B1
KR102617575B1 KR1020220154589A KR20220154589A KR102617575B1 KR 102617575 B1 KR102617575 B1 KR 102617575B1 KR 1020220154589 A KR1020220154589 A KR 1020220154589A KR 20220154589 A KR20220154589 A KR 20220154589A KR 102617575 B1 KR102617575 B1 KR 10261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ydrant
outdoor fire
ring
module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금속
Priority to KR102022015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2009/022Hydrants with a tubular valv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바디(30)의 상부 양내측에 중심을 향하여 양측수직가이더(33)를 돌출시키고, 승강대(50)의 구성이 되는 치환어댑터(52)의 양측가이드홈(52d)이 양측수직가이더(33)에 합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류모듈(60)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51)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바디(10)의 내턱(12)으로부터 디스크모듈(40)의 정확한 탈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베이스바디(10)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용수의 흐름경로에 대한 저항요소를 최소화시켜 용수의 분출압력을 증폭시킴과 동시에 간소한 구조로서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옥외 소화전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옥외 소화전{OUTDOOR FIRE HYDRANT}
본 발명은 옥외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공간인 베이스바디에서의 간소한 용수의 흐름경로를 실현함과 동시에 디스크모듈의 승강을 위한 구조를 탑바디에 구현시켜 기능상의 향상과 더불어 제조상의 용이함 나아가 A/S의 편리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옥외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 소화전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수를 용수(소방용수)로 활용하면서 상가나 공장 또는 주택 등의 화재시 신속하게 용수를 방사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52925호)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옥외 소화전의 밸브장치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옥외 소화전의 밸브 가이드판의 평면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옥외 소화전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캡(105)과, 밸브시트(112)와 결합되며 작동캡(105)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밸브대(120)와, 밸브하우징(101)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 돌기가 없는 단순 링 형상구조를 갖는 시트링(114)과, 밸브시트(112)와 시트링(114) 사이의 기밀을 위해 설치되는 시트패킹(116)과, 밸브하우징(101)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며 밸브대(120)가 관통되며 맞물리는 관통홀(132)과 소방용수가 유동되는 개구부(133)가 형성된 밸브대 가이드판(130)을 포함한다.
이때, 밸브대(120)와 관통홀(132)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맞물리고, 밸브대(120)는 관통홀(132)에 대해 직선 이동경로가 유지되며, 밸브대(120)의 하방 직선이동에 의해 밸브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밸브하우징(101)에는 밸브대 가이드판(130)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108)에는 고정돌기(109)가 형성되며, 밸브 가이드판(130)에는 고정돌기(109)가 맞물리는 고정홈(136)이 형성된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간략하게 언급하면, 밸브대(120), 시트링(114), 시트패킹(116), 밸브하우징(101), 밸브대 가이드판(130)을 일반적인 구성으로 포함하면서, 밸브하우징(101)의 고정돌기(109) 및 밸브 가이드판(130)의 고정홈(136)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출원인은 선행기술문헌의 일반적인 구성 이외에 보다 간단 간소한 구성으로 용수의 흐름상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신속 안전한 화재진압을 가능토록 한 옥외 소화전을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529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851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058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공간인 베이스바디에서의 간소한 용수의 흐름경로를 실현함과 동시에 디스크모듈의 승강을 위한 구조를 탑바디에 구현시켜 기능상의 향상과 더불어 제조상의 용이함 나아가 A/S의 편리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옥외 소화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바디의 상부 양내측에 중심을 향하여 양측수직가이더를 돌출시키고, 승강대의 구성이 되는 치환어댑터의 양측가이드홈이 양측수직가이더에 합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류모듈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바디의 내턱으로부터 디스크모듈의 정확한 탈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베이스바디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용수의 흐름경로에 대한 저항요소를 최소화시켜 용수의 분출압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간소한 구조에 따른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옥외 소화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모듈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치환어댑터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탑바디만 분해하여 A/S를 하면 되고, 디스크모듈의 밸브체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 탑바디 및 미들바디만 분해한 후 승강대와 함께 디스크모듈에 대한 A/S를 하면 되어, 지면을 파헤치지 않고서도 사후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옥외 소화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의 흐름경로상 베이스바디의 복잡한 구조에 따른 저항요소를 없앰과 동시에 용수의 흐름경로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작용케 할 수 있도록 탑바디에 스크류모듈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양측수직가이더 및 치환어댑터를 마련하여 용수의 분출압력을 적극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옥외 소화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환어댑터를 마련함에 있어서 통형봉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나사홀을 지닌 중심체와 더불어 이 중심체로부터 양측으로 펼쳐져 양측가이드홈을 지닌 양측날개를 구비케 하여, 간단한 구조 및 간소한 조립에 의한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옥외 소화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형봉의 하단테두리의 선형접촉을 밸브체의 상단에 면상접촉으로 확산시키는 도넛형메탈플레이트를 개재시켜 화재시 용수가 입구, 베이스바디 및 미들바디를 경유할 때 디스크모듈에 부딪혀 흔들리는 현상을 도넛형메탈플레이트로 상쇄 및 최소화시켜 승강대의 흔들림을 억제함으로써 통형봉의 휨이나 스크류모듈의 변형을 적극적으로 방지케 할 수 있는 옥외 소화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수를 받아들이는 입구를 가지면서 디스크모듈이 탈착되는 내턱을 지닌 베이스바디와, 상기 베이스바디 위에 플랜지 결합된 미들바디와, 상기 미들바디 위에 플랜지 결합되어 상기 입구, 베이스바디 및 미들바디를 경유한 용수를 분출시키는 사이드출구를 지니면서 상기 디스크모듈을 승강시켜 상기 내턱에 탈착시키는 승강대를 향하는 탑홀을 지닌 탑바디와, 상기 탑홀에 끼움 결합되어 정역공회전되면서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스크류모듈과, 상기 사이드출구를 커버링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옥외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탑바디는 상부 양내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양측수직가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대는 상기 디스크모듈에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바디, 미들바디 및 탑바디의 중심에 직립된 통형봉과, 상기 통형봉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모듈에 치합되는 나사홀을 지니면서 상기 양측수직가이더에 합치되어 상기 스크류모듈의 정역공회전운동을 상기 통형봉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양측가이드홈을 지닌 치환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공간인 베이스바디에서의 간소한 용수의 흐름경로를 실현함과 동시에 디스크모듈의 승강을 위한 구조를 탑바디에 구현시켜 기능상의 향상과 더불어 제조상의 용이함 나아가 A/S의 편리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탑바디의 상부 양내측에 중심을 향하여 양측수직가이더를 돌출시키고, 승강대의 구성이 되는 치환어댑터의 양측가이드홈이 양측수직가이더에 합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류모듈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바디의 내턱으로부터 디스크모듈의 정확한 탈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베이스바디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용수의 흐름경로에 대한 저항요소를 최소화시켜 용수의 분출압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간소한 구조에 따른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수의 흐름경로상 베이스바디의 복잡한 구조에 따른 저항요소를 없앰과 동시에 용수의 흐름경로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작용케 할 수 있도록 탑바디에 스크류모듈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양측수직가이더 및 치환어댑터를 마련하여 용수의 분출압력을 적극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류모듈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치환어댑터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탑바디만 분해하여 A/S를 하면 되고, 디스크모듈의 밸브체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 탑바디 및 미들바디만 분해한 후 승강대와 함께 디스크모듈에 대한 A/S를 하면 되어, 지면을 파헤치지 않고서도 사후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용이함이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치환어댑터를 마련함에 있어서 통형봉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나사홀을 지닌 중심체와 더불어 이 중심체로부터 양측으로 펼쳐져 양측가이드홈을 지닌 양측날개를 구비케 하여, 간단한 구조 및 간소한 조립에 의한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형봉의 하단테두리의 선형접촉을 밸브체의 상단에 면상접촉으로 확산시키는 도넛형메탈플레이트를 개재시켜 화재시 용수가 입구, 베이스바디 및 미들바디를 경유할 때 디스크모듈에 부딪혀 흔들리는 현상을 도넛형메탈플레이트로 상쇄 및 최소화시켜 승강대의 흔들림을 억제함으로써 통형봉의 휨이나 스크류모듈의 변형을 적극적으로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링형패킹의 샌드위치 조립성을 보장함과 더불어 밸브체의 경사면에 탈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링형패킹이 내턱의 경사부에 상호 경사지게 밀착되어 긴밀한 실링까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재시 용수가 입구, 베이스바디 및 미들바디를 경유할 때 디스크모듈에 최소한의 저항으로 부딪히면서 상승되도록 하여 디스크모듈 및 승강대의 흔들리는 현상을 억제하여 통형봉의 휨이나 스크류모듈의 변형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모듈에 최소한의 저항으로 부딪히면서 상승되는 용수의 흐름경로에 방해되지 않도록 내측원형링과 외측원형링을 잡아주는 뾰족스포크를 상광하협으로 제작하여 용수의 원활한 흐름을 더욱 적극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옥외 소화전의 밸브장치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옥외 소화전의 밸브 가이드판의 평면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는 정면도, (나)는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를 포함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구성이 되는 탑바디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는 정단면도, (나)는 평단면도, (다)는 측단면도이며, (라)는 치환어댑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구성이 되는 스크류모듈, 승강대 및 탑바디를 나타내는 분해사진 및 분해단면도.
도 6은 도 3의 A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및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3의 B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및 가이드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는 정면도, (나)는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를 포함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를 받아들이는 입구(11)를 가지면서 디스크모듈(40)이 탈착되는 내턱(12)을 지닌 베이스바디(10)와, 베이스바디(10) 위에 플랜지 결합된 미들바디(20)와, 미들바디(20) 위에 플랜지 결합되어 입구(11), 베이스바디(10) 및 미들바디(20)를 경유한 용수를 분출시키는 사이드출구(31)를 지니면서 디스크모듈(40)을 승강시켜 내턱(12)에 탈착시키는 승강대(50)를 향하는 탑홀(32)을 지닌 탑바디(30)와, 탑홀(32)에 끼움 결합되어 정역공회전되면서 승강대(50)를 승강시키는 스크류모듈(60)과, 사이드출구(31)를 커버링하는 마개(31a)를 포함한다.
스크류모듈(60)은 탑바디(30)의 탑홀(32)에 오링(84)을 사이에 두고 끼워짐과 동시에 조임캡(61) 및 조임커버(62)를 통해 조립되고, 소방관이 휴대하고 있는 미 도시의 랜치로 스크류모듈(60)을 정역회전시킬 경우 정역공회전되면서 승강대(5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스크류모듈(60)이 정방향 공회전될 경우 승강대(50)를 디스크모듈(40)과 함께 상승시켜 용수를 입구(11), 베이스바디(10) 및 미들바디(20)를 경유하여 사이드출구(31)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스크류모듈(60)이 역방향 공회전될 경우 승강대(50)를 디스크모듈(40)과 함께 하강시켜 베이스바디(10)의 내턱(12)을 실링시켜 용수의 분출을 차단토록 한다[이때 정방향 역방향의 기준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구성이 되는 탑바디(30)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는 정단면도, (나)는 평단면도, (다)는 측단면도이며, (라)는 치환어댑터(52)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구성이 되는 스크류모듈(60), 승강대(50) 및 탑바디(30)를 나타내는 분해사진 및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바디(30)는 상부 양내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양측수직가이더(33)를 구비하고, 승강대(50)는 디스크모듈(40)에 조립되어 베이스바디(10), 미들바디(20) 및 탑바디(30)의 중심에 직립된 통형봉(51)과, 통형봉(51)의 상단에 고정되어 스크류모듈(60)에 치합되는 나사홀(52b)을 지니면서 양측수직가이더(33)에 합치되어 스크류모듈(60)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51)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양측가이드홈(52d)을 지닌 치환어댑터(52)를 포함한다.
화재시 용수의 분출압력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용수의 분출압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용수의 흐름경로에 가능한 저항요소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핵심 키가 된다.
예를 들어, 옥외 소화전에서 용수의 흐름경로의 확보는 미 도시된 호스 및 노즐을 통한 용수의 분출압력을 좌우한다는 측면에서 이슈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공간인 베이스바디(10)에서의 간소한 용수의 흐름경로를 실현함과 동시에 디스크모듈(40)의 승강을 위한 구조를 탑바디(30)에 구현시켜 기능상의 향상과 더불어 제조상의 용이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탑바디(30)의 상부 양내측에 중심을 향하여 양측수직가이더(33)를 돌출시키고, 승강대(50)의 구성이 되는 치환어댑터(52)의 양측가이드홈(52d)이 양측수직가이더(33)에 합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류모듈(60)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51)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바디(10)의 내턱(12)으로부터 디스크모듈(40)의 정확한 탈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베이스바디(10)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용수의 흐름경로에 대한 저항요소를 최소화시켜 용수의 분출압력을 증폭시킴과 동시에 간소한 구조로서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용수의 흐름경로상 베이스바디(10)의 복잡한 구조에 의한 저항요소를 없앰과 동시에 용수의 흐름경로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작용케 할 수 있도록 탑바디(30) 및 승강대(50)의 상단에 스크류모듈(60)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51)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양측수직가이더(33) 및 치환어댑터(52)를 마련하여 용수의 분출압력을 적극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치환어댑터(52)는 나사홀(52b)을 지니면서 통형봉(51)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중심체(52a)와, 이 중심체(52a)로부터 양측으로 펼쳐져 양측가이드홈(52d)을 지닌 양측날개(52c)를 구비할 수 있다.
통형봉(51)의 구조를 십분 이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치환어댑터(52)를 마련함에 있어서 통형봉(51)의 상단에 직접 끼워져 고정되는 나사홀(52b)을 지닌 중심체(52a)와 더불어 이 중심체(52a)로부터 양측으로 펼쳐져 양측가이드홈(52d)을 지닌 양측날개(52c)를 구비케 하여, 간단한 구조 및 간소한 조립에 의한 생산성까지 보장토록 한다.
도 6은 도 3의 A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통형봉(51)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에 양측핀홀(51a)을 구비하고, 디스크모듈(40)은 내턱(12)에 탈착되는 밸브체(40a)와, 이 밸브체(40a)로부터 상승되어 통형봉(51)에 끼워지면서 양측핀홀(51a)에 일치되는 중앙핀홀(40c)을 지닌 중앙키(40b)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은 통형봉(51)의 양측핀홀(51a) 및 밸브체(40a)의 중앙핀홀(40c)에 끼워지는 고정핀(71)과, 나아가 중앙키(40b)에 끼워짐과 동시에 통형봉(51)의 하단테두리의 선형접촉을 밸브체(40a)의 상단에 면상접촉으로 확산시키는 도넛형메탈플레이트(72)를 핵심구성으로 포함한다.
화재시 수압으로 인해 용수는 입구(11), 베이스바디(10) 및 미들바디(20)를 경유할 때 디스크모듈(40)에 부딪혀 승강대(50)를 심하게 흔들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할 경우 통형봉(51)의 휨과 더불어 스크류모듈(60)의 변형을 초래하여 용수의 흐름에 방해를 줄 뿐만 아니라 수명을 단축시킬 수밖에 없다.
특히, 통형봉(51)과 밸브체(40a)는 양측핀홀(51a) 및 중앙핀홀(40c)을 통해 중앙키(40b) 및 고정핀(71)으로 상호 고정되는데 통형봉(51)의 하단테두리와 밸브체(40a)의 상단이 서로 선형접촉을 이룰 경우 디스크모듈(40)의 흔들림을 통제하지 못하고 가중시켜 통형봉(51)의 휨 및 스크류모듈(6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없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형봉(51)의 하단테두리의 선형접촉을 밸브체(40a)의 상단에 면상접촉으로 확산시키는 도넛형메탈플레이트(72)를 개재시켜 화재시 용수가 입구(11), 베이스바디(10) 및 미들바디(20)를 경유할 때 디스크모듈(40)에 부딪혀 흔들리는 현상을 도넛형메탈플레이트(72)로 상쇄 및 최소화시켜 승강대(50)의 흔들림을 억제함으로써 통형봉(51)의 휨이나 스크류모듈(60)의 변형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디스크모듈(40)은 통형봉(51)에 고정되면서 승강대(50)의 상승시 내턱(12)으로부터 탈거되는 반면 승강대(50)의 하강시 내턱(12)에 밀착되는 밸브체(40a)를 포함하여, 용수의 분출시의 용이함과 용수의 실링시의 철저함을 함께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옥외 소화전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부분은 다름 아닌 디스크모듈(40)의 밸브체(40a)와 더불어 스크류모듈(60)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51)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치환어댑터(52)이다.
종래에서는 이들 두 가지의 기술사상이 모두 베이스바디(10)에 마련되어 이들의 기술적 사상에 문제가 발생(고장이 발생)될 경우 지면을 모두 걷어낸 후 탑바디(30), 미들바디(20) 및 베이스바디(10) 모두를 분해하여 A/S를 해야만 하여 그 관리가 극히 어려웠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류모듈(60)의 정역공회전운동을 통형봉(51)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치환어댑터(52)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탑바디(30)만 분해하여 A/S를 하면 되고, 디스크모듈(80)의 밸브체(40a)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 탑바디(30) 및 미들바디(20)만 분해한 후 승강대(50)와 함께 디스크모듈(40)에 대한 A/S를 하면 되어, 지면을 파헤치지 않고서도 사후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용이함이 있다.
나아가, 내턱(12)은 상광하협의 경사부(12a)를 구비하고, 밸브체(40a)는 경사부(12a)에 대향하는 상광하협의 경사면(41a)을 지닌 상부고정체(41)와, 경사면(41a)에 씌워진 링형패킹(42)과, 링형패킹(42)을 사이에 두고 상부고정체(41)에 예를 들어 볼트(44)로 고정되는 하부고정체(43)를 포함하여, 링형패킹(42)의 샌드위치 조립성을 보장함과 더불어 밸브체(40a)의 경사면(41a)에 탈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링령패킹(42)이 내턱(12)의 경사부(12a)에 상호 경사지게 밀착되어 긴밀한 실링까지 보장케 한다.
이때, 링형패킹(42)은 경사부(12a)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링형돌출라인(42a)을 더 구비하여 내턱(12)의 경사부(12a)에 밀착시 실링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고정체(43)는 하향원뿔형으로 이루어져, 화재시 용수가 입구(11), 베이스바디(10) 및 미들바디(20)를 경유할 때 디스크모듈(40)에 최소한의 저항으로 부딪히면서 상승되도록 하여 디스크모듈(40) 및 승강대(50)의 흔들리는 현상을 더욱 최소화시켜 통형봉(51)의 휨이나 스크류모듈(60)의 변형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3의 B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및 가이드링(8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바디(20) 및 탑바디(3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대(50)를 지지하는 가이드링(80)을 더 포함하고, 이 가이드링(80)은 미들바디(20) 및 탑바디(30) 사이에 개재된 외측원형링(81)과, 승강대(50)를 지지하는 내측원형링(82)과, 외측원형링(81)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원형링(82)을 잡아주는 상광하협의 뾰족스포크(Spoke; 83)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링(80)은 화재시 용수가 입구(11), 베이스바디(10) 및 미들바디(20)를 경유할 때 승강대(5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원형링(82)으로 통형봉(51)을 미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디스크모듈(40)에 최소한의 저항으로 부딪히면서 상승되는 용수의 흐름경로에 방해되지 않도록 내측원형링(82)과 외측원형링(81)을 잡아주는 뾰족스포크(83)를 상광하협으로 마련하여 용수의 원활한 흐름을 더욱 적극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화재시 용수를 공급하는 옥외 소화전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 : 베이스바디 11 : 입구
12 : 내턱 12a : 경사부
20 : 미들바디 30 : 탑바디
31 : 사이드출구 31a : 마개
32 : 탑홀 33 : 양측수직가이더
40 : 디스크모듈 40a : 밸브체
40b : 중앙키 40c : 중앙핀홀
41 : 상부고정체 41a : 경사면
42 : 링형패킹 42a : 링형돌출라인
43 : 하부고정체 44 : 볼트
50 : 승강대 51 : 통형봉
51a : 양측핀홀 52 : 치환어댑터
52a : 중심체 52b : 나사홀
52c : 양측날개 52d : 양측가이드홈
60 : 스크류모듈 61 : 조임캡
62 : 조임커버 71 : 고정핀
72 : 도넛형메탈플레이트 80 : 가이드링
81 : 외측원형링 82 : 내측원형링
83 : 뾰족스포크 84 : 오링

Claims (8)

  1. 용수를 받아들이는 입구(11)를 가지면서 디스크모듈(40)이 탈착되는 내턱(12)을 지닌 베이스바디(10)와, 상기 베이스바디(10) 위에 플랜지 결합된 미들바디(20)와, 상기 미들바디(20) 위에 플랜지 결합되어 상기 입구(11), 베이스바디(10) 및 미들바디(20)를 경유한 용수를 분출시키는 사이드출구(31)를 지니면서 상기 디스크모듈(40)을 승강시켜 상기 내턱(12)에 탈착시키는 승강대(50)를 향하는 탑홀(32)을 지닌 탑바디(30)와, 상기 탑홀(32)에 끼움 결합되어 정역공회전되면서 상기 승강대(50)를 승강시키는 스크류모듈(60)과, 상기 사이드출구(31)를 커버링하는 마개(31a)를 포함하는 옥외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50)는 상기 디스크모듈(40)에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바디(10), 미들바디(20) 및 탑바디(30)의 중심에 직립된 통형봉(51)과, 상기 스크류모듈(60)의 정역공회전운동을 상기 통형봉(51)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치환어댑터(52)를 포함하고,
    상기 통형봉(51)은 하단에 양측핀홀(51a)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모듈(40)은 상기 내턱(12)에 탈착되는 밸브체(40a)와, 상기 밸브체(40a)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통형봉(51)에 끼워지면서 상기 양측핀홀(51a)에 일치되는 중앙핀홀(40c)을 지닌 중앙키(40b)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핀홀(51a) 및 중앙핀홀(40c)에 끼워지는 고정핀(71)과, 상기 중앙키(40b)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통형봉(51)의 하단테두리의 선형접촉을 상기 밸브체(40a)의 상단에 면상접촉으로 확산시키도록 상기 통형봉(51) 및 밸브체(40a) 사이에 독립적으로 개재되어 상기 승강대(50)의 흔들림을 상쇄 및 억제시키면서 상기 통형봉(51)의 휨 및 상기 스크류모듈(60)의 변형을 방지하는 도넛형메탈플레이트(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바디(30)는 상부 양내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양측수직가이더(33)를 구비하고,
    상기 치환어댑터(52)는 상기 통형봉(51)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모듈(60)에 치합되는 나사홀(52b)을 지니면서 상기 양측수직가이더(33)에 합치되어 상기 스크류모듈(60)의 정역공회전운동을 상기 통형봉(51)의 승강운동으로 치환시키는 양측가이드홈(52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어댑터(52)는
    상기 나사홀(52b)을 지니면서 상기 통형봉(51)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중심체(52a)와,
    상기 중심체(52a)로부터 양측으로 펼쳐져 상기 양측가이드홈(52d)을 지닌 양측날개(52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모듈(40)은 상기 통형봉(51)에 고정되면서 상기 승강대(50)의 상승시 상기 내턱(12)으로부터 탈거되는 반면 상기 승강대(50)의 하강시 상기 내턱(12)에 밀착되는 밸브체(4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턱(12)은 상광하협의 경사부(12a)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40a)는 상기 경사부(12a)에 대향하는 상광하협의 경사면(41a)을 지닌 상부고정체(41)와, 상기 경사면(41a)에 씌워진 링형패킹(42)과, 상기 링형패킹(4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고정체(41)에 고정되는 하부고정체(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패킹(42)은 상기 경사부(12a)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링형돌출라인(42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체(43)는 하향원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바디(20) 및 탑바디(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대(50)를 지지하는 가이드링(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링(80)은 상기 미들바디(20) 및 탑바디(30) 사이에 개재된 외측원형링(81)과, 상기 승강대(50)를 지지하는 내측원형링(82)과, 상기 외측원형링(81)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원형링(82)을 잡아주는 상광하협의 뾰족스포크(8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KR1020220154589A 2022-11-17 2022-11-17 옥외 소화전 KR10261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589A KR102617575B1 (ko) 2022-11-17 2022-11-17 옥외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589A KR102617575B1 (ko) 2022-11-17 2022-11-17 옥외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575B1 true KR102617575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589A KR102617575B1 (ko) 2022-11-17 2022-11-17 옥외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7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746A (en) * 1979-04-30 1981-12-29 Rifat Sultan A Frost-proof fire hydrant
JP2001073418A (ja) * 1999-07-06 2001-03-21 Hokkaido Suido Kizai Kk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CN201972192U (zh) * 2011-04-08 2011-09-14 福建天广消防科技股份有限公司 地下式消火栓
KR101652925B1 (ko) 2015-05-06 2016-08-31 신영공업 주식회사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KR101705807B1 (ko) 2016-08-17 2017-02-10 육송(주) 옥외소화전
CN107965005A (zh) * 2017-11-08 2018-04-27 郴州雄建机床铸造有限公司 防撞消防栓
KR102185188B1 (ko) 2020-02-20 2020-12-01 육송(주) 회전 가능한 지상형 옥외소화전
KR20220033149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대성코어 방수성능이 향상된 지상식 소화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746A (en) * 1979-04-30 1981-12-29 Rifat Sultan A Frost-proof fire hydrant
JP2001073418A (ja) * 1999-07-06 2001-03-21 Hokkaido Suido Kizai Kk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CN201972192U (zh) * 2011-04-08 2011-09-14 福建天广消防科技股份有限公司 地下式消火栓
KR101652925B1 (ko) 2015-05-06 2016-08-31 신영공업 주식회사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KR101705807B1 (ko) 2016-08-17 2017-02-10 육송(주) 옥외소화전
CN107965005A (zh) * 2017-11-08 2018-04-27 郴州雄建机床铸造有限公司 防撞消防栓
KR102185188B1 (ko) 2020-02-20 2020-12-01 육송(주) 회전 가능한 지상형 옥외소화전
KR20220033149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대성코어 방수성능이 향상된 지상식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186Y1 (ko) 지상소화전
KR200460451Y1 (ko) 소화전 밸브
KR101652925B1 (ko)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RU265750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и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016486A (ko) 옥외소화전설비의 밸브구조
JP5908760B2 (ja) 空気弁
KR102617575B1 (ko) 옥외 소화전
KR20100013783A (ko)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2225120B1 (ko) 옥내 소화전 밸브용 방수구
KR101733997B1 (ko) 교체가 용이한 모듈식 탑 엔트리 타입 볼 밸브
CN206347148U (zh) 切换阀芯、龙头和妇洗器
KR100877927B1 (ko) 옥내 소화전 방수구
KR102570433B1 (ko) 방수성능이 향상된 지상식 소화전
CN215908844U (zh) 斜剖分组装式防护罩结构
CN213101038U (zh) 一种大流量回油过滤器自封阀
US10145092B2 (en) Device for preventing backflow
CN203892662U (zh) 倾斜控制阀
JP608763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453894B1 (ko) 가스 분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CN203730872U (zh) 一种节水装置
KR102198221B1 (ko) 액화천연가스 공급용 글로브 밸브
KR102395696B1 (ko) 회전형 옥외 지상식 소화전
KR102533629B1 (ko) 유로 저항이 감소된 지상식 소화전
CN210145648U (zh) 双级止水过滤装置
US11441691B2 (en) Check valve for use in animal drink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