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366A -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 Google Patents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366A
KR20130075366A KR1020110143709A KR20110143709A KR20130075366A KR 20130075366 A KR20130075366 A KR 20130075366A KR 1020110143709 A KR1020110143709 A KR 1020110143709A KR 20110143709 A KR20110143709 A KR 20110143709A KR 20130075366 A KR20130075366 A KR 20130075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container
auxiliary air
respirat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현
김덕기
공진우
문선호
Original Assignee
삼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5366A/ko
Publication of KR2013007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는, 면체(10)에 용기조임밴드(15)로 장착된 6.8리터 용량의 주 공기용기(12)와 주 공기용기(12)보다 적은 2리터 용량의 보조 공기용기(14)를 구비하며, 보조 공기용기(14)는 클립편(22)을 갖는 결속밴드구(16)를 이용하여 주 공기용기(12)의 용기조임밴드(15)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하여서, 사용호흡용량이 길어져 구조 활동시 호흡시간의 어려움에 도움을 주고 보조 공기용기(14)의 탈착이 용이하여 누구에게나 쉬운 사용을 제공하고 보조 공기용기(14)로 부가 호흡기능을 가능케 하고 또 등 뒤에 부착되어 있기에 일반적인 소방활동시 불편함을 최소화하며 긴급탈출 장비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TUS FOR EMERGENCY}
본 발명은 공기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급 구조활동에 이용되는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화재 등이 발생했을 때 인명 구조활동은 짧은 시간 동안에 이루어져야 하는 생사를 다투는 구조활동이라 할 수 있다. 화재 발생시 화재 건물 내부에 있는 생존자가 탈출을 시도하거나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유해가스로 인해 질식사하거나 호흡기 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화재 발생시 인명구조를 위해 투입되는 소방관과 같은 구조자는 소방용 방열복 착용과 함께 공기호흡기를 기본적으로 착용한다. 공기호흡기는 크게 고압공기용기와 그 고압공기용기와 흡기관으로 연결된 마스크로 구성하며, 현재 국내의 소방관은 화재시 상기와 같은 공급호흡기를 등에 메고 구조활동을 펼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 소방관은 6.8리터 용량의 공기호흡기(50분용)를 메고 구조활동을 펼치는데, 이러한 구조장비는 효과적인 인명구조를 어렵게 하는 등의 여러가지 개선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화재중 인명 구조활동을 할 때 구조자는 공기호흡기를 등에 메고 있으므로 혼자서 쓰러져 있는 생존자를 등에 업고 빠져나오는 구조활동은 거의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쓰러져 있는 생존자의 어깨를 잡아 끄는 등 이동 거리가 제한된 구조만이 허락되며, 쓰러진 생존자의 안전한 이송을 위해서는 2인 이상이 1조를 이루는 구조 활동을 펼쳐야만 한다. 하지만 탈출통로가 좁은 경우에는 쓰러진 생존자를 이송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만일 혼자 움직일 수 있는 생존자라면 구조자는 보조 공기호흡기용 마스크를 지급하여 주고 고압공기용기의 분기밸브에 보조용 흡기관을 연결하여서 맑은 공기를 보조 마스크를 통해 생존자에게 제공할 수 있지만, 공기호흡기는 구조자가 메고 있는 까닭에 생존자는 구조자에 붙어서 움직어야 하므로 서로의 이동에 많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고 한명이 지나갈 정도의 좁은 대피통로를 만나면 두사람중 한 사람은 마스크를 벗어야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또 소방관이 구조장비를 모두 갖추게 되면 40kg내외에 상당하고 또 긴급하게 움직여야 하므로 공기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공기호흡기의 유효 사용량이 예상 시간보다 훨씬 빠르게 줄어든다. 그러므로 50분용 공기호흡기라도 훨씬 빠르게 공기가 소진되어버릴 수 있어 구조활동중 위급상황에 처할 수 있고, 미리 경보를 확인하게 되면 본인이 현장을 탈출해야 하므로 더 이상 인명구조 활동에 참여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발생시 구조자의 효과적 구조를 도모하며 생존자의 상태에 알맞는 구조와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개선된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로서, 등받이인 면체(10)에 용기조임밴드(15)로 장착된 주 공기용기(12)와 주 공기용기(12)보다 적은 용량의 보조 공기용기(14)를 구비하며, 보조 공기용기(14)는 클립편(22)을 갖는 결속밴드구(16)를 이용하여 주 공기용기(12)의 용기조임밴드(15)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결속밴드구(16)는 상하 환테형 결속띠(18)와 상하 환테형 결속띠(18) 간을 연결하는 연결띠(20)로 형성하고, 상하 환테형 결속띠(18)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클립편(22)이 장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결속밴드구(16)의 하부 환테형 결속띠(18)는 보조 공기용기(14)의 하부를 받침가능한 받침띠(2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공기호흡기를 구성함에 있어 보조 공기용기(14) 하단의 밸브뭉치(26)에는 안전핀(28)이 연결되게 구성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 공기용기(10)와 보조 공기용기(12)는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와 에폭시 고분자물질이 포함된 복합소재로 성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 공기용기와 보조 공기용기를 함께 사용하므로 사용호흡 용량이 증가되므로 예상보다 빠르게 주 공기용기의 공기가 소진되더라도 대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보조 공기용기의 용이한 탈착을 통해 질식으로 정신을 잃은 생존자에게 별개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어 인명구조에 도움이 되며, 구조과정에 좁은 통로를 만나도 생존자와 공기를 나눠쓰지 않아도 되어 대피가 수월하다.
또 본 발명의 공기 호흡기는 등에 메고 있는 주 공기용기조차도 짐이 되는 급박한 상황에서는 주 공기용기를 벗어버리고 가벼운 보조 공기용기만을 휴대한 상태로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고 구조자가 보조 공기용기만을 휴대하게 되면 질식한 생존자를 업고 대피도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보조 공기호흡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호흡기 사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호흡기의 착용상태 사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의 사시 구성도로서, 고압 공기용기(이하 '공기용기'라 약칭함)가 주 공기용기(12)와 보조 공기용기(14)로 구분하여서 이중(dual)형으로 구비한 것이다.
긴급구조로 사용되는 공기호흡기의 유효사용시간은 용기의 용량에 따라 다르며, 대략 10~80분 정도까지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공기의 소비량은 사용자의 체력이나 작업조건(노동강도)에 따라 변한다. 그러므로 동일한 기종의 공기호흡기라하더라도 조건에 따라 유효사용시간이 변하는 것이다.
현재 긴급구조를 많이 하는 소방관이 사용하는 공기호흡기는 6.8리터의 용량이며 50분용이지만, 화재시 인명구출작업에 많은 노동과 체력이 소모되므로 그 사용시간이 훨씬 줄어드는 경우가 잦다.
현재 공기호흡기의 6.8리터의 공기용기를 본 발명에서는 주 공기용기(12)로서 사용하고, 주 공기용기(12)이외에 주 공기용기(12)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 예컨대 2리터가 되는 보조 공기용기(14)를 별도로 추가 구비한 것이다. 주 공기용기(12)가 사용시간이 50분용이라면 2리터 용량의 보조 공기용기(14)는 15분용이다. 그러므로 두개의 공기용기(14)를 모두 사용하면 사용시간이 65분으로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 공기용기(12)와 보조 공기용기(14)는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를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켜 풀랩핑(full wrapping)하여 제작한 복합소재로서, 300bar정도의 고압충전이 가능하고 경량이며 화재환경에서도 안전성이 있는 고압경량 용기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주 공기용기(12)는 구조자가 등에 메기 위한 면체(10)에 장착되며, 이때 용기조임밴드(15)를 이용하여서 주 공기용기(12)를 면체(10)에 단단하게 고정한다. 주 공기용기(12)의 용기조임밴드(15)는 하나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공기용기(14)와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하 2개나 그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공기용기(14)는 주 공기용기(12)를 두르고 있는 하나 이상 도 1 및 2에는 2개의 용기조임밴드(15)에 탈착이 용이하게 장치되며, 또 장치시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탈착 후의 사용도 아주 쉬운 구조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 공기용기(14)를 클립편(22)을 갖는 결속밴드구(16)를 이용하여서 주 공기용기(12)의 용기조임밴드(15)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며 탈착후의 보조 공기용기(14) 사용도 쉽도록 한 것이다.
결속밴드부(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환테형 결속띠(18)와 상하 환테형 결속띠(18) 간을 연결하는 연결띠(20)로 형성하고, 상하 환테형 결속띠(18)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클립편(22)이 장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하 환테형 결속띠(18)는 개방형이며 띠 양측편에는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결속수단이 넉넉히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조 공기용기(12)를 결속밴드부(16)에 체결하기가 아주 수월하다.
결속밴드부(16)에서 상하 환테형 결속띠(18) 간을 연결하는 연결띠(20)의 재봉부 좌우측편의 환테형 결속띠(18) 좌우 클립편(22)을 각기 위치 고정하는데, 좌우 클립편(22)만을 주 공기용기(12)의 용기조임밴드(15)에 클립 끼우듯이 간단히 끼우면 보조 공기용기(14)가 균형감이 있을 뿐 아니라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하 환테형 결속띠(18)를 잇는 연결띠(20)는 보조 공기용기(14)가 주 공기용기(12)에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부의 환테형 결속띠(18)가 강한 충격을 받더라도 보조 공기용기(14)로부터 벗겨져 달아나지 못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보조 공기용기(14)를 생존자에게 지급하거나 본인이 보조 공기용기(14)를 사용하기 위해서 보조 공기용기(14)를 주 공기용기(12)로부터 분리시킨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결속밴드부(16)로 보조 공기용기(14)를 결속할 때 자체중량이나 외부 충격, 밴드결속력 와해 등으로 보조 공기용기(14)가 밑으로 빠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속밴드부(16)의 하부 환테형 결속띠(18)에는 보조 공기용기(14)의 하부를 받침가능한 몇개의 받침띠(24)가 재봉으로 일체 연결된다.
보조 공기용기(14)의 하부는 깔대기와 같은 네크(neck)부가 형성되고 그 네크부에는 밸브뭉치(26)가 체결되는바, 받침띠(24)가 그 네크부를 감싸도록 꼬아주므로 결속밴드부(16)에 들어가 있는 보조 공기용기(14)는 밑으로는 전혀 빠지지 않게 되는 구조이다.
보조 공기용기(14)의 하단에 체결되는 밸브뭉치(26)에는 고리와 밴드가 있는 안전핀(28)이 연결되게 구성한다. 상기 안전핀(28)은 밸브뭉치(26)의 안전핀 역할을 담당한다. 안전핀(28)을 제거하면 보조 공기용기(14)내에 충전되어있던 공기가 조정기를 통해서 방출되면서 마스크(34)를 통해 나오면 사용자가 호흡을 할 수 있는 밸브뭉치 구조이다.
밸브뭉치(26)는 대개가 메인밸브와 고압도관 및 조정기로 구성되며, 조정기에는 압력지시계, 감압밸브, 바이패스밸브, 경보기, 폐력밸브, 중압안전밸브, 경보기 등이 있는 통상 구비된다. 조정기에서 필수 구성부품이 아니면 보조 공기용기(12)용에서는 필요에 따라 부품 일부가 제외되게 설계할 수 있다.
밸브뭉치(26)의 배기구는 마스크(34)의 호스에 선단에 구비된 퀵컨넥터(32)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마스크(34)의 호스 선단에 구비된 퀵컨넥터(32)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마스크(34)를 신속히 연결할 수 있다. 구조자는 마스크 두개를 통상 구비하는데 하나는 본인이 착용을 하고 다른 하나는 예비용으로 휴대한다. 휴대용 마스크(34)는 생존자 구출때나 사용중인 마스크가 고장이 났을 때에 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주 공기용기(12)와 보조 공기용기(14)로 구분되고 보조 공기용기(14)의 탈착이 아주 쉽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는 구조자의 사용호흡용량이 증가됨에 따른 임무 수행중 주 공기용기(12)의 소진으로 경보가 울려도 보조 공기용기(14)를 교체 이용하면 되므로 자신의 임무를 연장 수행할 수 있다.
또 보조 공기용기(14)를 클립편(22)을 이용해서 쉽게 분리해내어서 질식한 사람의 인명구조에 독립적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고, 생존자가 활동 가능한 사람이면 보조 공기용기(14)와 함께 보조 마스크(34)를 넘겨주어 별도로 움직이게 할 수 있으므로 주 공기용기(12)를 착용한 구조자의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게 된다.
평상시 구조중에는 보조 공기용기(14)가 등 뒤에 부착되어 있기에 즉 면체(10)에 장치된 주 공기용기(12)의 용기조임밴드(15)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에 불편함이 거의 없으며, 등에 메고 있는 주 공기용기(12)조차도 짐이 되는 급박한 상황에서는 주 공기용기(12)를 벗어버리고 가벼운 보조 공기용기(14)만 빼내서 휴대한 상태로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용 공급호흡기를 제작하여서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소방관과 같은 구조자가 화재 등의 긴급 구조시에 공기호흡기로서 이용될 수 있다.
(10)-- 면체 (12)-- 주 공기용기
(14)-- 보조 공기용기 (16)-- 결속밴드구
(18)-- 환테형 결속띠 (20)-- 연결띠
(22)-- 클립편 (24)-- 받침띠
(26)-- 밸브뭉치 (28)-- 안전핀
(32)-- 퀵컨넥터 (34)-- 마스크

Claims (5)

  1.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면체(10)에 용기조임밴드(15)로 장착된 주 공기용기(12)와 주 공기용기(12)보다 적은 용량의 보조 공기용기(14)를 구비하며, 보조 공기용기(14)는 클립편(22)을 갖는 결속밴드구(16)를 이용하여 주 공기용기(12)의 용기조임밴드(15)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2. 제1항에 있어서, 결속밴드구(16)는 상하 환테형 결속띠(18)와 상하 환테형 결속띠(18) 간을 연결하는 연결띠(20)로 형성하고, 상하 환테형 결속띠(18)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클립편(22)이 장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 환테형 결속띠(18)는 보조 공기용기(14)의 하부를 받침가능한 받침띠(2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공기용기(14)의 밸브뭉치(26)에는 안전핀(28)이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5. 제1항에 있어서, 주 공기용기(10)와 보조 공기용기(12)는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와 에폭시 고분자물질이 포함된 복합소재로 성형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KR1020110143709A 2011-12-27 2011-12-27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KR20130075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709A KR20130075366A (ko) 2011-12-27 2011-12-27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709A KR20130075366A (ko) 2011-12-27 2011-12-27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366A true KR20130075366A (ko) 2013-07-05

Family

ID=4898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709A KR20130075366A (ko) 2011-12-27 2011-12-27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53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953A (ko) 2014-02-17 2015-08-26 황선우 밀폐공간 작업용 공기호흡기 에어라인 등지게
KR20210056684A (ko)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보조 마스크를 갖는 호흡장치
KR20240000447U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다기능 보조 호흡기
US11931605B2 (en) * 2019-12-31 2024-03-19 Ron Covington Equipment carry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953A (ko) 2014-02-17 2015-08-26 황선우 밀폐공간 작업용 공기호흡기 에어라인 등지게
KR20210056684A (ko)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보조 마스크를 갖는 호흡장치
US11931605B2 (en) * 2019-12-31 2024-03-19 Ron Covington Equipment carrying system
KR20240000447U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다기능 보조 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6523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breathable air and bodily protection in a contaminated environment
US10441827B2 (en) Hybrid self-rescue equipment
US20140261406A1 (en) Safety vest floatation system with oxygen supply
JPH04218174A (ja) 保護フード付呼吸具
CN106943685B (zh) 一种可穿戴氧气自救呼吸器及其使用方法
JPS58500393A (ja) 救命系及び新鮮な空気を閉止域に供給する方法
US20210128850A1 (en) Rebreathing Apparatus Having Inhaled Oxygen Mixing And Exhaled Carbon Dioxide Removal Functions By Electronic Control
KR101832817B1 (ko) 비상탈출용 호흡기
KR20130075366A (ko)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US20130333704A1 (en) Wrist Worn Portable Breathing Apparatus
CA3114155A1 (en) Individual closed-circuit rebreather for underwater diving
US20160193485A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US6688309B2 (en)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U2015201443A1 (en) Mine escape self-rescuer system and method
CN107096142A (zh) 正压式空气呼吸器
CN214435915U (zh) 一种可接力型隔绝式自救器
KR20130012687A (ko) 구명동의
RU2499623C1 (ru) Защитный шлем
CN202107079U (zh) 全身安全带背心式充气救生衣
US20060096592A1 (en) Protective ensemble comprising protective garment, face mask mounting respirator, and means for conducting exhaled gases into space within protective garment
CN213131657U (zh) 一种紧急逃生呼吸装置
CN210747398U (zh) 一种装修用甲醛净化口罩
WO2012127204A2 (en) Breathing apparatus
KR20210007576A (ko) 비상탈출킷이 구성된 소방용 등지게
KR102603056B1 (ko) 수중용 호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