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644A -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644A
KR20090121644A KR1020080047639A KR20080047639A KR20090121644A KR 20090121644 A KR20090121644 A KR 20090121644A KR 1020080047639 A KR1020080047639 A KR 1020080047639A KR 20080047639 A KR20080047639 A KR 20080047639A KR 20090121644 A KR20090121644 A KR 2009012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histle
tube
passage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394B1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08004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39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62B9/022Breathing demand regu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통의 레귤레이터(2)에 연결된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1차공기 및 저압의 2차공기를 이용하여 호흡용 공기를 제공하면서 안전을 경고하는 안전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1튜브(2a)에서 배출되는 1차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통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게이지(55);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2튜브(2b)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하는 호흡기(57);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2튜브(2b)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휘슬(59) 및;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로부터 1차공기 및 2차공기를 제각기 공급받아서 상기 잔량게이지(55) 및 호흡기(57)로 제각기 분배하는 동시에, 1차공기의 공기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2차공기를 상기 휘슬(59)로 분배하여 휘슬(59)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분배기(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휘슬(59)이 분배기(60)에서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경고음을 발산하므로 오랫동안 경고음을 발산할 수 있다.
공기통, 백팩, 경고, 휘슬, 분배

Description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 SAFETY ALERTING SYSTEM FOR AIR TANK }
본 발명은 위험을 경고하는 안전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통에서 배출되는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하면서 안전을 경고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공기통을 착용한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면서 공기통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공기통의 잔량을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할 수 있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현장이나 유해가스현장과 같이 공기가 희박한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등허리의 백팩(Bcakpack, 공기통지게)에 장착된 공기통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작업자는 공기통의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는 경보기에 의하여 약 5분간 사용할 수 있는 공기의 양(경고잔량)을 인지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약 5분 동안 공기가 풍부한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기통의 경고잔량을 경고하는 경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팩(5)의 공기통(1)에 연결된 레귤레이터(2)에 의해 작동한다. 이러한 레귤레이터(2)는 도시된 바와 같이 1차튜브(2a) 및 2차튜브(2b)를 갖는다. 이때, 레귤레이 터(2)는 약 300 kgf/cm2의 압력으로 압축되어 충전된 공기통(1)의 공기를 곧바로 1차튜브(2a)에 공급하는 동시에, 공기통(1)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를 약 8 kgf/cm2의 압력으로 감압하여 2차튜브(2b)에 공급한다. 즉, 레귤레이터(2)는 고압의 1차공기(약 300 kgf/cm2의 압력)를 1차튜브(2a)로 공급하고, 저압의 2차공기(약 8 kgf/cm2의 압력)를 2차튜브(2b)로 공급한다.
여기서, 전술한 1차튜브(2a)는 1차공기를 잔량게이지(4) 및 휘슬(9)로 공급하여 잔량게이지(4)를 통해 공기통(1)의 잔량을 표시하고, 휘슬(9)을 통해 공기통(1)의 공기가 경고잔량에 도달하였음을 경고한다. 이때, 잔량게이지(4)는 공기통(1)의 공기가 소진되면서 공기통(1)의 공기압이 약 300 kgf/cm2에서 점차적으로 강하됨에 따라 공기통(1)의 공기잔량을 표시한다. 그리고, 휘슬(9)은 공기통(1)의 공기가 소진되면서 공기통(1)의 공기압이 약 300 kgf/cm2에서 약 55kgf/cm2로 강하되었을 때 약 90dB의 경고음을 발산하여 공기통(1)의 공기가 경고잔량에 도달하였음을 경고한다. 즉, 휘슬(9)은 약 55kgf/cm2의 공기압에 의해 작동한다. 따라서, 임무수행 중의 작업자는 휘슬(9)의 경보에 의해 안전지역으로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술한 2차튜브(2b)는 레귤레이터(2)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2차공기를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팩(5)의 밸브블럭(10)을 통해 호흡기(3)로 공급한다. 이 때, 호흡기(3)는 밸브블럭(10)에 연결된 연결튜브(3a)를 통해 2차공기를 공급받아서, 호흡이 가능한 압력(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약 20mmH2O의 압력)으로 변환하여 작업자에게 공급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호흡기(3)에 의해 신선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으므로 작업현장의 유해가스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밸브블럭(1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장된 스플(12)이 2차튜브(2b)에서 공급되는 2차공기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측면에 부착된 스위치모듈(20)의 스위치(미도시)를 가압한다. 따라서, 스위치모듈(20)은 백팩(5)에 장착된 점멸식 위치표시등(5a)을 점등시켜서 작업자의 현위치를 표시한다. 즉, 도시된 일반적인 공기통용 경보기는 위치표시등(5a)을 통해 작업자의 현위치를 다른 작업자에게 알린다.
이렇게, 위치표시등(5a)을 점등하는 스위치모듈(20)은 공기통(1)에서 공기가 배출될 때부터 공기가 완전하게 소진될 때까지 위치표시등(5a)을 점등시킨다. 따라서, 위치표시등(5a)은 공기통(1)의 배출밸브 열릴 때부터 공기가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현위치를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공기통용 경보기는, 1차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휘슬(9)이 약 55kgf/cm2의 압력에서 작동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1차공기의 공기압이 약 22kgf/cm2의 압력으로 변할 경우 경고음의 발산이 종료된다. 즉, 휘슬(9)은 1차공기의 공기압의 너무 빨리 55kgf/cm2에서 22kgf/cm2의 압력으로 변경됨에 따라 경고음 이 울린 후 얼마 못 가서 "삐-"하는 소리가 "쒸-"하는 소리로 변한다. 따라서, 휘슬(9)은 55kgf/cm2의 압력이 오랫동안 유지되지 않으므로 경고음을 사실상 길게 발산할 수 없다.
한편, 유럽의 경우 경고음이 약 10kgf/cm2의 압력까지 작동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일반적인 공기통용 경보기는 약 22kgf/cm2의 압력에서 작동이 종료되므로 유럽보다 안전성이 낮다.
또, 일반적인 공기통용 경보기는, 휘슬(9)이 백팩(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가슴부위에 위치하므로, 작업자의 장비나 작업도구 또는 피복등에 의해 간섭을 받을 경우 경고음을 정상적으로 발산하지 못하고 처음부터 "쒸-"하는 바람소리로 경고음을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잔량게이지와 별개를 이루면서 레귤레이터에서 공급되는 2차공기에 의해 작업자의 후방에서 경고음을 발산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작업자의 현위치와 공기통의 경고잔량을 육안으로의 확인시키는 메커니즘이 마련된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휘슬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여 휘슬로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은, 공기통의 레귤레이터에 연결된 제1튜브 및 제2튜브에서 제각각으로 배출되는 고압의 1차공기 및 저압의 2차공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위한 공기를 제공하면서 안전을 경고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1튜브에서 배출되는 1차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통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게이지;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2튜브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하는 호흡기;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2튜브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경고하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휘슬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1튜브 및 제2튜브로부터 1차공기 및 2차공기를 제각기 공급받아서 상기 잔량게이지 및 호흡기로 제각기 분배하는 동시에, 1차공기의 공기압에 따라 선택적 으로 2차공기를 상기 휘슬로 분배하여 휘슬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분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통이 뒷편에 장착된 상태로 작업자의 등허리에 착용되고, 상기 휘슬이 뒷편에 고정되어 작업자의 뒷편에서 휘슬을 통해 경고음을 제공하는 백팩;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통의 잔량을 표시하는 상기 잔량게이지가 연결된 상기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스위칭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 상기 분배기를 통해서 분배되는 2차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식 스위치가 마련되어, 스위치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한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모듈 및;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모듈의 스위치를 가압하여 스위치모듈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는 예컨대, 상기 잔량게이지에 1차공기를 분배하는 상기 분배기를 통해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공기통을 착용한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등 및; 상기 공기통의 공기가 설정량 이하로 소진되어 1차공기의 공기압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분배기를 통해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위치표시등과 함께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공기통에 공기가 소진된 것을 경고하는 소진경고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위치모듈은 예컨대, 상기 스위치가 실장되어 스위치가 가압됨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칩 및; 상기 신호발생칩과 스위치를 보호하 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은 예컨대,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되는 2차공기가 소통되는 소통공을 상기 스위치모듈의 스위치와 대향하는 상태로 분배기에 형성하고, 이 소통공의 출구를 다이어프램으로 차폐하여, 상기 소통공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팽창하면서 상기 스위치모듈의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잔량게이지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소진경고등이 표출상태로 고정되는 램프고정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기 램프고정구는 예컨대, 상기 소진경고등의 일측방을 차폐하여 소진경고등을 보호하는 보호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은, 휘슬이 분배기에서 분배되는 1차공기가 공기통의 압력이 300kgf/cm2의 압력에서 55kgf/cm2의 압력으로 강하되는 시점부터 경고음을 발산하여 2차공기의 공급이 거의 중단될 때까지 경고음을 발산하므로, 경고음을 오랫동안 발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럽의 안전규격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휘슬이 백팩의 후방에서 작동하므로 휘슬이 다른 사물에 차폐되어 미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휘슬과 함께 램프의 위치표시등 및 경고소진등이 작동하므로 작업자 의 현위치가 식별되는 동시에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공기통의 소진(경고잔량)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유량제어수단이 마련될 경우 나사밸브를 통해 휘슬로 배출되는 2차공기의 배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배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배기 및 스위치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2); 잔량게이지(55); 호흡기(57); 휘슬(59) 및; 분배기(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레귤레이터(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를 갖는다. 레귤레이터(2)는 미도시된 공기통에 연결되어 미감압된 고압의 1차공기를 제1튜브(2a)를 통해 배출하고, 감압된 저압의 2차공기를 제2튜브(2b)를 통해 배출한다. 즉, 레귤레이터(2)는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로 1차공기 및 2차공기를 제각기 공급한다. 여기서, 전술한 1차공기는 약 300kgf/cm2의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통의 공기이고, 2차공기는 약 8~10kgf/cm2로 감압된 공기통의 공기이다. 따라서, 1차튜브(2a)는 약 300kgf/cm2의 압력을 갖는 1차공기를 배출하고, 2차튜브(2b)는 약 8~10kgf/cm2의 압력을 갖는 2차공기를 배출한다.
다음, 전술한 잔량게이지(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분배기(60)에 연결되는 게이지튜브(55a)를 갖는다. 게이지튜브(55a)는 전술한 레귤레이터(2)의 1차튜브(2a)에서 배출되는 1차공기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잔량게이지(55)는 게이지튜브(55a)에 공급되는 1차공기에 의해 공기통의 잔량을 표시한다. 게이지튜브(55a)는 미도시된 클램프에 의하여 후술되는 백팩(53)에 일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전술한 호흡기(5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분배기(60)에 연결되는 호흡기튜브(57a)를 갖는다. 이러한 호흡기튜브(57a)는 전술한 레귤레이터(2)의 2차튜브(2b)를 통해 2차공기를 공급받는다. 즉, 호흡기(57)는 2차공기를 2차튜브(2b)를 통해 공급받는다. 따라서, 호흡기(57)는 호흡기튜브(57a)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호흡기(57)는 2차공기를 호흡이 가능한 압력으로 감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계속해서, 전술한 휘슬(5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분배기(60)에 연결되는 휘슬튜브(59a)을 갖는다. 이러한 휘슬튜브(59a)는 전술한 레귤레이터(2)의 2차튜브(2b)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를 공급받는다. 즉, 휘슬튜브(59a)는 감압된 2차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내부에 2차공기가 관류한다. 따라서, 휘슬(59)은 2차튜브(2b)를 통해서 공급되는 2차공기에 의해 경고음을 발산한다.
이어서, 전술한 분배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백팩(53)에 일체적 으로 고정된다. 분배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레귤레이터(2)의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가 연결되고, 상부에 게이지튜브(55a)와 호흡기튜브(57a) 및 휘슬튜브(59a)가 연결된다. 이러한 분배기(60)는 레귤레이터(2)의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로부터 1차공기 및 2차공기를 제각기 공급받아서 잔량게이지(55) 및 호흡기(57)로 제각기 분배한다. 그리고, 레귤레이터(2)의 제1튜브(2a)에서 공급되는 1차공기의 공기압에 따라 2차공기를 선택적으로 휘슬(59)에 분배한다.
여기서, 전술한 백팩(5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하니스와 허리밸트에 의해 수직상태로 작업자의 등허리에 착용된다. 이러한 백팩(53)은 레귤레이터(2)가 위치하는 일측면에 압축공기가 충전된 공기통(미도시)이 수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백팩(53)은 공기통을 작업자의 등허리에 착용시킨다.
이와 같은 백팩(5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후술되는 램프의 위치표시등(72a)이 장착된다. 위치표시등(72a)은 공기통에서 레귤레이터(2)를 통해 배출되는 2차공기에 의해 점등되며, 공기통의 공기가 완전히 소진되어 2차공기의 압력이 거의 완전하게 감쇠될 경우 소등된다. 즉, 위치표시등(72a)은 공기통의 사용시에만 점등되고, 사용이 완료되면 소등된다. 따라서, 위치표시등(72a)은 작업현장에서 작업자의 현위치를 표시해준다. 이러한 위치표시등(72a)은 표시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깜박이는 점멸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표시등(72a)의 작동은 후술되는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잔량게이지(55)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램프고정구(80)가 마련된다. 이러한 램프고정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잔량게이지(55)의 게이지튜 브(55a)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잔량게이지(55)와 일체를 이룬다. 램프고정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잔량게이지(55)의 눈금판과 동일한 방향의 표면에 후술되는 램프의 소진경고등(72b)이 표출상태로 고정된다. 즉, 램프고정구(80)는 잔량게이지(55)의 일측에 소진경고등(72b)을 설치하기 위해 마련되는 부품이다.
여기서, 전술한 램프고정구(80)는 예컨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튜브(55a)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한쌍의 케이스(81)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81)는 볼팅이나 접착에 의해 동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고정구(8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소진경고등(72b)의 일측방을 차폐하여 소진경고등(72b)을 보호하는 보호벽(8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호벽(82)은 케이스(81)의 성형시 함께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배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SC)에 의해 백팩(53)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분배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팩(53)과 마주하는 배면에 후술되는 스위치모듈(74)이 돌출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모듈(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하우징(62)의 배면에 돌출상태로 부착된다.
이렇게, 스위치모듈(74)이 돌출상태로 부착될 경우 백팩(53)은 홈이나 구멍형태의 모듈수용부(5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듈수용부(5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모듈(74)이 삽입된다. 따라서, 스위치모듈(74)은 확대 도시(결합 측면도)된 바와 같이 모듈수용부(53a)에 삽입되어 은폐된다.
분배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형태의 하우징(62)을 통해 레귤레이터의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에서 공급되는 1차공기 및 2차공기를 분배한다. 하우 징(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형태의 게이지연결유로(62a)와 호흡기연결유로(62b) 및 휘슬연결유로(62c)가 형성된다. 이러한 게이지연결유로(62a) 및 호흡기연결유로(62b)는 하우징(62)의 하부면으로 관통형성된다. 하지만, 휘슬연결유로(62c)는 하우징(62)의 하부면으로 관통되지 않는다.
여기서, 게이지연결유로(62a) 및 호흡기연결유로(6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하부에 레귤레이터의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가 제각기 연결되고, 개방된 상부에 잔량게이지의 게이지튜브(55a) 및 호흡기의 호흡기튜브(57a)가 제각기 연결된다. 그리고, 휘슬연결유로(62c)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에 휘슬의 휘슬튜브(59a)가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배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2)의 배면에 스위치모듈(74)이 나사(SC)로 고정된다. 하우징(62)은 스위치모듈(74)의 고정되는 배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통공(62d)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통공(62d)은 하우징(62)에 형성된 호흡기연결유로(62b) 및 휘슬연결유로(62c)와 제각기 연통되며, 도시된 바와 같은 신축성 다이어프램(DP)에 의해 출구가 차폐된다. 이러한 소통공(62d) 및 다이어프램(DP)은 후술되는 스위칭수단이다.
한편, 스위치모듈(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식으로 구성되어 가압력에 의해 스위칭작동하는 스위치(74a)가 마련된다. 스위치모듈(74)은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백팩(53)의 위치표시등(72a) 및 잔량게이지(55)의 램프고정구(80)에 설치된 소진경고등(72b)이 점등되도록 점등 스위칭신호를 제공한다. 즉, 스위치모듈(74)은 위치표시등(72a) 및 소진경고등(72b)으로 이루어진 램프의 작동을 실질적으로 제어 한다. 이러한 스위치모듈(74)은 스위칭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배기(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2); 캡(64); 밸브부재(66) 및; 후술되는 밸브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배기(60)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하우징(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게이지연결유로(62a), 호흡기연결유로(62b), 휘슬연결유로(62c) 및 중공유로(HP)가 형성된다. 하우징(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연결유로(62a)와 호흡기연결유로(62b) 및 휘슬연결유로(62c)가 수직상태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태의 중공유로(HP)가 수평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유로(HP)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연결유로(62a)와 호흡기연결유로(62b) 및 휘슬연결유로(62c)와 연통된다. 이때, 중공유로(HP)는 게이지연결유로(62a) 및 호흡기연결유로(62b)와 겹치면서 형성되는 관통공(62a', 62b')를 통해 게이지연결유로(62a) 및 호흡기연결유로(62b)와 연통된다. 그리고, 중공유로(HP)는 폐쇄된 타단부를 통해 절곡형성된 휘슬연결유로(62c)와 연통된다. 즉, 휘슬연결유로(62c)는 절곡된 상태로 중공유로(HP)에 연통된다.
게이지연결유로(6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레귤레이터의 제1튜브(2a) 및 잔량게이지의 게이지튜브(55a)가 제각기 연결된다. 그리고, 호흡기연결유로(6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레귤레이터의 제2튜브(2b) 및 호흡기의 호흡기튜브(57a)가 제각기 연결된다. 또, 휘슬연결유로(62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휘슬의 휘슬튜브(59a)가 연결된다. 즉, 하우징(62)은 제1튜브(2a), 게이지튜브(55a), 제2튜브(2b), 호흡기튜브(57a) 및 휘슬튜브(59a)가 모두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62)은 제1튜브(2a)에서 공급되는 1차공기를 게이지튜브(55a)를 통해 잔량게이지로 안내하고, 제2튜브(2b)에서 공급되는 2차공기를 호흡기튜브(57a)를 통해 호흡기로 안내한다. 그리고, 하우징(62)은 호흡기연결유로(62b)의 관통공(62b')에서 중공유로(HP)로 유입되는 2차공기를 휘슬튜브(59a)을 통해 휘슬로 안내한다. 결론적으로, 분배기(60)는 하우징(62)을 통해 잔량게이지에 1차공기를 분배하고, 호흡기 및 휘슬에 2차공기를 분배한다.
다음, 전술한 캡(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를 갖는다. 캡(64)은 여러개의 단차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실링을 위해 환상의 패킹이 끼워진다. 이러한 캡(64)은 밸브부재(66)를 구성하는 후술되는 밸브플런저(66b)의 일부분이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전술한 밸브부재(66)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66a) 및 밸브플런저(66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탄성체(66a)는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체(66a) 및 밸브플런저(6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하우징(62)의 중공유로(HP)에 삽입된다. 즉, 탄성체(66a) 및 밸브플런저(66b)는 중공유로(HP)에 내장된다.
여기서, 전술한 밸브플런저(6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측의 외주면에 돌출돌기(66b')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돌기(6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플런저(6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돌기(66b')를 중심으로 캡(64)을 향하는 일단부가 타단부 보다 가늘게 형성된다. 밸브플런저(66b)는 이렇게 형성된 일단부가 캡(64)에 삽입된다. 즉, 밸브플런저(66b)는 가늘게 형성된 일단부가 캡에 삽입된다. 이러한 밸브플런저(66b)의 일단부는 밸브플런저(66b)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할 경우 캡(64)에 삽입된 상태로 밸브플런저(66b)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계속해서, 전술한 밸브작동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캡(64)에 바이패스유로(64a)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유로(64a)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게이지연결유로(62a)를 통해 중공유로(HP)에 유입되는 1차공기를 바이패스하여 밸브플런저(66b)에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밸브부재(66)는 도면상의 확대도 "가"에 도시(결합 단면도)된 바와 같이 중공유로(HP)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탄성체(66a) 및 밸브플런저(66b)는 중공유로(HP)에 내장된다. 그리고, 캡(64)은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에 의해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유로(HP)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면서 중공유로(HP)의 일측을 밀폐한다. 따라서, 캡(64)은 밸브부재(66)가 중공유로(HP)의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체(66a)는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플런저(66b)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이러한 탄성체(66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밸브플런저(66b)의 돌출돌기(66b')에 걸려서 가압되고, 타단부가 중공유로(HP)의 타단에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체(66a)는 밸브플런저(66b)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체(66a)는 약 55kgf/cm2에서 원형복원되도록 설계된다.
밸브플런저(66b)는 탄성체(66a)에 탄력지지됨에 따라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게 형성된 일단부가 캡(64)에 절곡형성된 바이패스유로(64a)에 삽입된다. 이때, 밸브플런저(66b)는 돌출돌기(66b')가 캡(64)의 단부에 걸린다. 따라서, 밸브플런저(66b)는 가늘게 형성된 일단부가 바이패스유로(64a)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즉, 돌출돌기(66b')는 탄성체(66a)를 가압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토퍼 역할도 한다.
밸브플런저(66b)는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66a)에 탄력지지됨에 따라 타단이 휘슬연결유로(62c)의 단부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밸브플런저(66b)는 캡(64)의 바이패스유로(64a)를 통해 고압의 1차공기가 유입될 경우, 즉 약 300kgf/cm2의 공기가 유입될 경우,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밀리면서 이동한다. 물론, 밸브플런저(66b)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66a)를 압축시키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밸브플런저(66b)는 바이패스유로(64a)의 단부와 이격되었던 타단이 휘슬연결유로(62c)를 폐쇄한다.
이러한 밸브플런저(66b)는 바이패스유로(64a)에 1차공기의 공기압이 약 55kgf/cm2로 약화될 경우 원형으로 복원되는 탄성체(66a)에 의해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휘슬연결유로(62c)를 개방한다. 결론적으로, 밸브플런저(66b)는 바이패스유로(64a)에 유입되는 1차공기에 의해 휘슬연결유로(62c)를 개폐한다.
한편, 전술한 스위치모듈(74)은 예컨대, 확대도 "다"에 도시(하우징의 측단 면도)된 바와 같이 버튼식 스위치(74a)가 실장되어 스위치(74a)가 가압됨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칩(74b) 및; 이 신호발생칩(74b) 및 스위치(74a)를 보호하는 케이스(74c);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모듈(74)은 후술되는 스위칭수단에 의해 스위치(74a)가 스위칭된다. 따라서, 스위치모듈(74)은 전술한 램프의 위치표시등(72a) 및 소진경고등(72b)을 점등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스위칭수단은 1차튜브(2a) 및 2차튜브(2b)에 의해 분배기(60)의 하우징(62)에 공급되는 2차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스위치(74a)를 스위칭시킨다. 즉, 스위칭수단은 공기압으로 스위치(74a)를 가압하여 스위치(74a)를 스위칭한다.
이러한 스위칭수단은 예컨대, 확대도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60)의 하우징(62)에서 분배되는 2차공기가 소통되는 소통공(62d)을 스위치모듈(74)의 스위치(74a)와 대향하는 상태로 분배기(60)에 형성하고, 이 소통공(62d)의 출구를 다이어프램(DP)으로 차폐하여,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통공(62d)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DP)이 팽창하면서 스위치모듈(74)의 스위치(74a)를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스위칭수단은 소통공(62d) 및 다이어프램(DP)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위칭수단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소통공(62d)은 확대도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2)의 중공유로(HP)와 연통된 상태로 중공유로(HP)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형성된다. 따라서, 소통공(62d)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모듈(74)이 부착되는 하우 징(62)의 배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소통공(62d)은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전술한 도 4 참조 ) 이때, 하나의 소통공(62d)은 확대도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유로(HP)와 연통된 휘슬연결유로(62c)에 연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하나는 호흡기연결유로(62b)에 연통형성하는 바람직하다. 즉, 소통공(62d)들은 휘슬연결유로(62c) 및 호흡기연결유로(62b)에 공급되는 2차공기를 제각기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소통공(62d)들은 어느 하나가 중공유로(HP)에 직결되어 중공유로(HP)에 관류하는 1차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1차공기는 너무 고압이어서 전술한 스위치(74a)의 작동에 부적합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2차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 전술한 다이어프램(DP)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형태로 형성된 테두리가 소통공(62d)에 끼워져서 압입고정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DP)은 소통공(62d)에서 2차공기가 배출될 경우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변형하면서 스위치모듈(74)의 스위치(74a)를 가압한다. 따라서, 스위치(74a)는 스위칭된다.
한편, 하우징(62)은 휘슬연결유로(62c)의 내경을 조절하여 휘슬연결유로(62c)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의 배출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즉, 휘슬연결유로(62c)는 배출되는 2차공기의 배출량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량제어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휘슬연결유로(62c)와 연통되는 암나사공(62e)을 분배기(60)의 하우징(62)에 형성하고, 이 암나사공(62e)에 수나사형태의 나사밸브(SV)를 체결하여, 나사밸브(SV)가 암나사공(62e)에 나사결합 되면서 휘슬연결유로(62c)의 내경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유량제어수단은 암나사공(62e) 및 나사밸브(SV)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암나사공(62e)은 나사밸브(SV)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밸브(SV)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공(62e)의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가 하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밸브(SV)는 암나사공(62e)을 따라 승강하면서 단부가 휘슬연결유로(62c)에 삽입되거나 휘슬연결유로(62c)에서 이탈된다. 이때, 나사밸브(SV)는 상승에 의해 휘슬연결유로(62c)에 삽입되면서 휘슬연결유로(62c)의 내경을 축소시키고, 하강에 의해 휘슬연결유로(62c)에서 이탈되면서 휘슬연결유로(62c)의 내경을 확장시킨다. 물론, 휘슬연결유로(62c)는 내경이 축소될 경우 2차공기의 소통량이 감소하고, 내경이 확장될 경우 2차공기의 소통량이 증가한다.
전술한 구성의 분배기(60)는 레귤레이터가 작동할 경우 고압의 1차공기(약 300kgf/cm2의 압력)가 1차튜브(2a)를 통해서 게이지연결유로(62a)로 유입된다. 그리고, 2차튜브(2b)를 통해서 저압의 2차공기가 호흡기연결유로(62b)로 유입된다. 이때, 고압의 1차공기 및 저압의 2차공기는 공기량측정 및 호흡에 사용되도록 대부분 게이지튜브(55a) 및 호흡기튜브(57a)를 통해 잔량게이지 및 호흡기로 공급된다. 하지만, 일부가 게이지연결유로(62a) 및 호흡기연결유로(62b)에 형성된 형성된 관통공(62a', 62b')을 통해 중공유로(HP)에 유입된다.
이렇게, 중공유로(HP)에 유입되는 고압의 1차공기는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4)의 바이패스유로(64a)로 일부가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기연결유로(62b)와 연통된 소통공(62d)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바이패스유로(64a)에 공급되는 1차공기는 약 300kgf/cm2의 공기압을 통해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플런저(66b)를 이동시킨다. 물론, 밸브플런저(66b)는 바이패스유로(64a)에 공급되는 1차공기에 의해 이동해서, 휘슬이 미작동하도록 탄성체(66a)를 압축시키면서 휘슬연결유로(62c)를 폐쇄한다. 그리고, 호흡기연결유로(62b)의 소통공(62d)으로 공급되는 2차공기는 공기압을 통해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DP)을 볼록하게 팽창시킨다. 물론, 다이어프램(DP)은 2차공기에 의해 볼록하게 팽창되면서 스위치모듈(74)이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도록 스위치모듈(74)의 스위치(74a)를 온(ON)시킨다. 이때, 전술한 백팩(53)의 위치표시등(72a)은 스위치모듈(74)의 작동신호에 의해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현위치를 표시한다. 이러한 위치표시등(72a)은 스위치모듈(74)에 의해 공기통의 공기가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점등되면서 작업자의 현위치를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현위치가 다른 작업자에게 지속적으로 확인된다.
한편, 분배기(60)는 공기통의 공기가 소진되어 레귤레이터의 제1튜브(2a)에서 배출되는 1차공기의 압력이 약 55kgf/cm2로 하강이 시작될 경우,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었던 탄성체(66a)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밸브플런저(66b)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탄성체(66a)는 공기통의 공기소진에 의해 캡(64)의 바이패스유로(64a)에서 배출되는 1차공기의 압력이 강하됨에 따라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형복원된다. 이때, 밸브플런저(66b)는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슬연결유로(62c)를 개방한다. 따라서, 호흡기연결유로(62b)의 관통공(62b')를 통해서 중공유로(HP)에 유입되는 저압의 2차공기(약 8~10kgf/cm2의 압력)는 휘슬연결유로(62c)로 유입된다.
여기서, 전술한 휘슬연결유로(62c)는 유입되는 2차공기의 일부를 휘슬튜브(59a)를 통해 휘슬로 공급하고, 나머지 일부를 일측에 연통된 소통공(62d)을 통해서 다이어프램(DP)으로 공급한다. 이때, 휘슬은 공기통의 공기가 경고잔량에 도달하였음을 경고하는 경고음을 발산하고, 다이어프램(DP)은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면서 스위치(74a)를 온(ON)시킨다. 물론, 스위치모듈(74)은 전술한 잔량게이지(55)의 일측에 마련된 램프고정구(80)의 소진경고등(72b)을 점등시킨다.(전술한 도 2 참조) 따라서, 작업자는 휘슬의 경고음 및 소진경고등(72b)의 발광을 통해 공기통의 공기가 경고잔량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한다. 결론적으로, 휘슬 및 소진경고등(72b)은 동시에 함께 작동한다.
한편, 휘슬은 휘슬연결유로(62c)에서 공급되는 2차공기에 의해 백팩의 후방에서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러한 휘슬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부재(60)가 약 55kgf/cm2의 압력에서 휘슬연결유로(62c)를 개방함에 따라 약 55kgf/cm2의 압력으로 강하되기 시잘할 때부터 경고음을 발산하기 시작하며, 휘슬연결유로(62c)에서 공급되는 약 8~10kgf/cm2의 압력을 갖는 2차공기에 의해서도 계속해서 경고음을 발산한 다. 즉, 휘슬(59)은 휘슬연결유로(62c)를 개방된 후부터 공기통의 공기가 거의 소진되어 2차공기의 공급이 중단될 정도로 2차공기의 공기압이 저하될 때까지(휘슬을 울릴 수 없을 정도의 압력으로 변할 때까지) 경고음을 발산한다. 따러서, 휘슬(59)은 오랫동안 경고음을 발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휘슬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백팩의 후방에 위치함에 따라 작업자의 장비나 작업도구 또는 피복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다. 즉, 휘슬은 다른 사물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다. 따라서, 휘슬은 원활하게 경고음을 발산한다.
다른 한편, 분배기(60)는 휘슬을 작동시키는 2차공기가 휘슬연결유로(62c)를 통해 과도하거나 미흡하게 배출될 경우, 나사밸브(SV)에 의해 2차공기의 배출량을 원하는 양만큼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나사밸브(SV)는 승강되면서 휘슬연결유로(62c)의 내경을 조절하여 2차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휘슬(59)이 분배기(60)에서 분배되는 1차공기가 55kgf/cm2의 압력으로 감압될 때부터 경고음을 발산하여 2차공기의 공급이 거의 중단되는 약 8~10kgf/cm2의 압력까지 경고음을 발산하므로, 경고음을 오랫동안 발산할 수 있다.
특히, 약 10kgf/cm2의 압력에서도 경고음을 발산하므로 반드시 10kgf/cm2에서도 경고음을 발산하여야 하는 유럽의 규격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 휘슬(59)이 백팩(53)의 후방에서 작동하므로 휘슬(59)이 다른 사물에 차폐되어 미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게다가, 휘슬(59)과 함께 경고소진등(72b)이 작동하므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공기통의 소진(경고잔량)을 인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나사밸브(SV)가 마련될 경우 휘슬(59)을 통해 배출되는 2차공기의 배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배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배기 및 스위치모듈의 분해사시도;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배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2 : 레귤레이터
53 : 백팩
55 : 잔량게이지
57 : 호흡기
59 : 휘슬
60 : 분배기

Claims (11)

  1. 공기통의 레귤레이터(2)에 연결된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에서 제각각으로 배출되는 고압의 1차공기 및 저압의 2차공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위한 공기를 제공하면서 안전을 경고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1튜브(2a)에서 배출되는 1차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통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게이지(55);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2튜브(2b)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하는 호흡기(57);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2튜브(2b)에서 배출되는 2차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휘슬(59); 및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1튜브(2a) 및 제2튜브(2b)로부터 1차공기 및 2차공기를 제각기 공급받아서 상기 잔량게이지(55) 및 호흡기(57)로 제각기 분배하는 동시에, 1차공기의 공기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2차공기를 상기 휘슬(59)로 분배하여 휘슬(59)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분배기(60);를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60)는,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1튜브(2a)에서 공급되는 1차공기를 상기 잔량게이지(55)로 안내하는 게이지연결유로(62a)와, 상기 레귤레이터(2)의 제2튜브(2b)에서 공급되는 2차공기를 상기 호흡기(57)로 안내하는 호흡기연결유로(62b) 및, 상기 게이지연결유로(62a) 및 호흡기연결유로(62b)와 연통되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태의 중공유로(HP)가 형성되고, 이 중공유로(HP)와 연통되어 중공유로(HP)에 관류하는 상기 호흡기연결유로(62b)의 2차공기를 상기 휘슬튜브(59a)을 통해 상기 휘슬(59)에 공급하는 휘슬연결유로(62c)를 갖는 하우징(62);
    상기 하우징(62)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유로(HP)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는 캡(64);
    상기 캡(64)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중공유로(HP)에 내장되어 중공유로(HP)에 공급되는 상기 게이지연결유로(62a)의 1차공기에 의해 상기 휘슬연결유로(62c)를 개폐하는 밸브부재(66);
    상기 밸브부재(66)에 상기 1차공기를 제공하여 1차공기의 공기압을 통해 밸브부재(66)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66)는,
    상기 중공유로(HP)에 내장되는 탄성체(66a); 및
    상기 탄성체(66a)를 가압하는 돌출돌기(66b')가 일단부측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돌출돌기(66b')를 통해 탄성체(66a)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밸브작동수단에서 제공되는 1차공기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62)의 휘슬연결유로(62c)를 개폐하여 상기 휘슬(59)의 작동을 제어하는 밸브플런저(66b);를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수단은,
    상기 게이지연결유로(62a)를 통해 상기 중공유로(HP)에 유입되는 1차공기를 바이패스해서 상기 밸브플런저(66b)에 제공하는 바이패스유로(64a)를 상기 캡(64)에 형성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64a)에 의해 제공되는 1차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밸브플런저(66b)가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이 뒷편에 장착된 상태로 작업자의 등허리에 착용되고, 상기 휘슬(59)이 뒷편에 고정되어 작업자의 뒷편에서 휘슬(59)을 통해 경고음을 제공하는 백팩(53);을 더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의 잔량을 표시하는 상기 잔량게이지(55)에 1차공기를 분배하는 상기 분배기(60)로부터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스위칭신호에 의하여 점등되는 램프;
    상기 분배기(60)를 통해서 분배되는 2차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식 스위치(74a)가 마련되어, 스위치(74a)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한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모듈(74); 및
    상기 분배기(60)에서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모듈(74)의 스위치(74a)를 가압하여 스위치모듈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잔량게이지(55)에 1차공기를 분배하는 상기 분배기(60)를 통해서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공기통을 착용한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등(72a); 및
    상기 공기통의 공기가 설정량 이하로 소진되어 1차공기의 공기압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분배기(60)를 통해 분배되는 2차공기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위치표시등(72a)과 함께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공기통에 공기가 소진된 것을 경고하는 소진경고등(72b);을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게이지(55)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소진경고등(72b)이 표출상태로 고정되는 램프고정구(80);를 더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정구(80)는,
    상기 소진경고등(72b)의 일측방을 차폐하여 소진경고등(72b)을 보호하는 보호벽(82);을 더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모듈(74)은,
    상기 스위치(74a)가 실장되어 스위치(74a)가 가압됨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칩(74b); 및
    상기 신호발생칩(74b) 및 스위치(74a)를 보호하는 케이스(74c);를 포함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분배기(60)에서 분배되는 2차공기가 소통되는 소통공(62d)을 상기 스위치모듈(74)의 스위치(74a)와 대향하는 상태로 분배기(60)에 형성하고, 이 소통공(62d)의 출구를 다이어프램(DP)으로 차폐하여, 상기 소통공(62d)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DP)이 팽창하면서 상기 스위치모듈(74)의 스위치(74a)를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KR1020080047639A 2008-05-22 2008-05-22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KR10095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639A KR100951394B1 (ko) 2008-05-22 2008-05-22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639A KR100951394B1 (ko) 2008-05-22 2008-05-22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44A true KR20090121644A (ko) 2009-11-26
KR100951394B1 KR100951394B1 (ko) 2010-04-08

Family

ID=4160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639A KR100951394B1 (ko) 2008-05-22 2008-05-22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3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838A2 (ko) * 2010-05-17 2011-11-24 주식회사 산청 공기호흡장치용 안전경보시스템
WO2012111899A1 (ko) * 2011-02-14 2012-08-23 주식회사 산청 공기통용 레귤레이터
KR20150096953A (ko) * 2014-02-17 2015-08-26 황선우 밀폐공간 작업용 공기호흡기 에어라인 등지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64B1 (ko) 2017-09-01 2018-09-06 주식회사 산청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공기통 장착형 휴대식 공기공급장치
KR101887163B1 (ko) 2017-09-01 2018-09-06 주식회사 산청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공기통 장착형 휴대식 공기공급장치
KR101887165B1 (ko) 2017-11-02 2018-09-06 주식회사 산청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공기통 장착형 휴대식 공기공급장치
KR101919768B1 (ko) * 2018-04-19 2019-02-08 주식회사 산청 공기통 백마운트용 백팩의 램프 스위치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52A (en) 1980-06-04 1982-01-06 Kawajiyuu Bousai Kogyo Kk Alarm device for respiratory organ
KR200186566Y1 (ko) 1998-02-03 2000-07-01 이건 공기호흡기의 잔량경보장치
JP2002085576A (ja) 2000-09-11 2002-03-26 Koken Ltd 呼吸用保護具
DE10201250C1 (de) 2002-01-11 2003-05-28 Msa Auer Gmbh Druckluftversorgungssystem für ein Preßluftatemgerä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838A2 (ko) * 2010-05-17 2011-11-24 주식회사 산청 공기호흡장치용 안전경보시스템
WO2011145838A3 (ko) * 2010-05-17 2012-04-12 주식회사 산청 공기호흡장치용 안전경보시스템
WO2012111899A1 (ko) * 2011-02-14 2012-08-23 주식회사 산청 공기통용 레귤레이터
KR20150096953A (ko) * 2014-02-17 2015-08-26 황선우 밀폐공간 작업용 공기호흡기 에어라인 등지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394B1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394B1 (ko)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JP4969300B2 (ja) 消火ガス噴射器
KR101028174B1 (ko) 소화장치
KR101753062B1 (ko) 위치 알림 소화기
US5781118A (en)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having a personal alert safety system integrated therewith
JP2009148585A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KR101887163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공기통 장착형 휴대식 공기공급장치
US5640148A (en) Dual activation alarm system
KR101047905B1 (ko) 공기통용 레귤레이터
US8651195B2 (en)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JP2007330765A (ja) 消火ガス噴射器
KR101887165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공기통 장착형 휴대식 공기공급장치
KR101887164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공기통 장착형 휴대식 공기공급장치
KR20110008408A (ko) 비상 조명등이 구비된 화재용 산소 호흡기
KR200186566Y1 (ko) 공기호흡기의 잔량경보장치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200314946Y1 (ko) 공기호흡기용 개인안전 경보시스템
KR101916780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공기통 장착형 휴대식 공기공급장치
EP3074094B9 (en) Breathing apparatus with illuminated connection
US7066172B2 (en) Warning device for a respirator product
US20220249880A1 (en) Low Pressure Alarm for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KR102001383B1 (ko) 이상압력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소화기
KR101980853B1 (ko)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