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791B1 - 유가증권 이서장치 - Google Patents

유가증권 이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791B1
KR101026791B1 KR1020080082654A KR20080082654A KR101026791B1 KR 101026791 B1 KR101026791 B1 KR 101026791B1 KR 1020080082654 A KR1020080082654 A KR 1020080082654A KR 20080082654 A KR20080082654 A KR 20080082654A KR 101026791 B1 KR101026791 B1 KR 10102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curities
user identification
unit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007A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김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환 filed Critical 김수환
Priority to KR1020080082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7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Abstract

본 발명은 유가증권 이서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가증권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정보인식부와;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식별정보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식별정보가 인쇄된 상기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수표와 같은 유가증권에 자동으로 사용자식별정보를 이서할 수 있다.
수표, 이서, 인쇄

Description

유가증권 이서장치{CHECK ENDORSEME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가증권 이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표와 같은 유가증권에 자동으로 이서를 할 수 있는 유가증권 이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가증권은 재산적인 권리를 나타내는 법적인 증권으로서 수표, 어음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유가증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이서가 수반되어야 한다. 일례로 수표의 경우 수표의 뒷면에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을 이서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수표를 사용할 때 필기구가 없거나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이서가 용이하지 않아 수표 사용을 포기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다.
특히,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서는 수표의 이서가 자주 행하여지고 있는 바, 여러 매의 수표를 동시에 이서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든 수표에 일일이 이서를 해야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이서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식별정보를 자동으로 유가증권에 이서할 수 있는 유가증권 이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제공한 사용자식별태그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자동으로 유가증권에 이서할 수 있는 유가증권 이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식별정보를 저장하여 복수매의 수표에 동시에 이서하여 이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가증권 이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유가증권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정보인식부와;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식별정보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상기 사용자식별정보가 인쇄된 상기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인식부는, 복수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식별태그로부터 상기 유가증권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식별태그는 통장, 직불카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및 여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가증권이 수표인 경우,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는 이름,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이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가증권을 투입받는 단계와;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는 단계와; 인쇄된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이서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이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가증권을 투입받는 단계와; 사용자인식태그를 유입받는 단계와; 상기 유입된 사용자인식태그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는 단계와; 인쇄된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이서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가증권 이서장치에 의하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할 경우 자동으로 수표에 사용자식별정보가 인쇄되므로 사용자가 수기로 수표에 사용자식별정보를 이서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사용자식별태그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식별태그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수표에 인쇄가 되므로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해야하는 수고 스러움 마저 없앨 수 있다.
그리고, 복수매의 수표에 이서를 해야하는 경우 자동으로 수표에 사용자식별정보가 순차적으로 인쇄되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이서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이서장치(1)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이서장치(1)는 수표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이서장치(1)는 수표가 투입되는 투입부(100)와,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인식 부(200)와, 사용자식별정보와 수표매수 및 기타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00)와, 사용자식별정보 및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400)와, 사용자식별정보를 수표에 인쇄하는 인쇄부(500)와, 사용자식별정보가 인쇄된 수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600)와, 식별정보인식부(200)에서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수표에 인쇄하도록 식별정보인식부(200)와 인쇄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투입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수표를 투입받는다. 투입부(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표를 투입받는 투입구(110)와, 투입구(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표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와, 투입된 수표를 인쇄부(500)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부(미도시)는 투입구(110)를 통해 복수매의 수표가 동시에 투입된 경우 한 장씩 분리하여 인쇄부(50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부(미도시)의 구성은 프린터의 급지부에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감지부(미도시)는 수표가 투입구(110)로 투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알려주고 이송부(미도시)가 수표를 이송하도록 한다. 감지부(미도시)는 접촉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식별정보인식부(200)는 수표사용을 위한 이서시 필요한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한다. 사용자식별정보는 이름,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인식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식별정보인식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을 구비한다. 입력부(210)은 케이싱(10)의 전면부에 구비된다. 입력부(210)은 이름과 연락처 및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글자와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입력부(210)은 글자패널과 숫자패널이 각기 마련되거나, 한 개의 입력부을 통해 글자패널과 숫자패널이 동시에 입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부(210)의 입력방식은 공지된 여타 형식이 모두 구현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입력부(210)는 공지된 천지인 방식의 입력방식이다.
입력부(210)의 일측에는 입력부(210)로 입력된 정보가 틀렸을 경우 이를 확인, 취소 및 정정 할 수 있는 진행키(22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식별정보인식부(200)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하게 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키보드(20)를 케이싱(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키보드(20)는 케이싱(10)의 일측에 마련된 USB커넥터(1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인식부(200)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식별태그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식별태그는 통장, 직불카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및 여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식별정보인식부(2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식별태그의 형태에 따라 자기테잎형태 식별정보인식부(230)와 이미지추출형태 식별정보인식부(250)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테입형태 식별정보인식부(230)는 통장과 직불카드와 같이 자기 테잎에 사용자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식별태그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한다. 자기테입형태 식별정보인식부(2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식별태그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231)와, 제1유입구(231)로부터 유입된 사용자식별태그의 자기테잎을 독취하여 사용자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자기테잎독취부(233)를 포함한다. 자기테잎독취부(233)는 현금자동인출기 등에서 통장과 직불카드의 자기테잎을 인식하는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인식부(200)는 제1유입구(231)를 통해 사용자식별태그가 케이싱(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자기테잎독취부(233)에서 사용자식별정보를 취득한 후 사용자식별태그를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제1유입구(231)가 생략되고 자기테잎독취부(233)가 케이싱(10)의 외부로 직접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통장 또는 직불카드를 직접 자기테잎독취부(233)에 긁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추출형태 식별정보인식부(250)는 사용자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식별태그의 특정 페이지를 스캔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이미지추출형태 식별정보인식부(250)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이미지의 형태로 포함하고 있는 어떠한 형태의 사용자식별태그도 인식할 수 있다.
이미지추출형태 식별정보인식부(250)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와 같은 사용자식별태그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251)와, 제2유입구(251)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식별태그의 사용자식별정보가 포함된 특정면 또는 특정페이지를 스캐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캐닝부(253)와, 스캐닝부(253)에서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인식하 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255)과, OCR(255)에서 인식된 문자들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257)를 포함한다.
스캐닝부(253)는 일반적인 스캐너 또는 복합기 등에 사용되는 공지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OCR(255)도 공지된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추출부(257)는 OCR(255)에서 인식된 문자들 중 특정 위치의 문자 또는 숫자만을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주민등록번호와 운전면허증의 경우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주소가 기재되어 있는 위치가 동일하므로 이러한 위치에 해당하는 문자와 숫자의 개수만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인식부(200)는 자기테잎형태 식별정보인식부(230)와 이미지추출형태 식별정보인식부(250)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이들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300)는 식별정보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사용자식별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된 사용자식별정보가 정확한 경우 사용자는 진행키(220) 중 확인키를 선택하여 계속진행하고, 부정확한 경우 취소키 또는 정정키를 선택하여 식별정보인식부(200)에서 다시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300)는 복수매의 수표에 이서를 해야하는 경우 사용자식별정보가 인쇄되어 배출되는 수표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300)는 터치패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입력부(210)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터치패널 형태로 구현될 경우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터치펜이 표시부(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식별정보인식부(200)에서 인식한 사용자식별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저장부(400)는 자기테잎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일반적인 ROM 또는 RAM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쇄부(500)는 식별정보인식부(200)에서 인식한 사용자식별정보를 수표에 인쇄한다. 여기서, 인쇄부(500)는 수표의 경우 수표 뒷면의 정해진 위치에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쇄하도록 초기설정된다. 인쇄부(50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인쇄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트 매트릭스 방식, 잉크젯 방식, 염료승화형 방식, 전자사진방식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배출부(600)는 인쇄부(500)에서 사용자식별정보가 인쇄된 수표를 외부로 배출한다. 인쇄부(500)와 배출부(600) 사이에는 수표를 이송하는 이송롤러(미도시)가 적어도 한 개 이상 마련된다. 배출부(600)는 수표를 배출하는 배출롤러(미도시)와, 수표가 배출되는 배출구(610)를 포함한다. 배출구(6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어부(700)는 투입구(110)를 통해 수표가 투입되면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쇄하여 배출구(610)를 통해 수표가 배출되도록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제어부(700)는 투입구(110)를 통해 수표가 투입된 것을 감지부(미도시)에서 알려오면 표시부(300)가 입력부(210)로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식별태그를 제1유입구(231) 또는 제2유입구(251)로 입력할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입력부(210)을 통해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사용자식별 정보를 표시부(300)에 표시하여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진행키(220)를 선택할 경우 인쇄부(500)가 사용자식별정보를 수표의 뒷면에 인쇄하도록 인쇄부(50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700)는 사용자가 제1유입구(231) 또는 제2유입구(251) 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식별태그를 투입할 경우 각 유입구()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인식부(200)가 사용자식별태그를 인식하여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해내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추출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수표의 뒷면에 인쇄하도록 인쇄부(50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이서장치(1)의 이서방법을 도2와 도4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투입구(110)에 사용자가 수표(P)를 투입한다(S110). 수표(P)가 투입되면 표시부(300)에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식별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식별태그를 유입구(231, 351)를 통해 입력할 것이 표시된다(S120).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S130).
한편, 사용자가 제1유입구(231)를 통해 통장 또는 직불카드를 유입할 경우(S114), 자기테잎독취부(233)에서 통장 또는 직불카드의 자기테잎을 독취하여 자기테잎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복수의 정보 중에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만 추출한다(S115).
또한, 사용자가 제2유입구(251)를 통해 주민등록증 또는 여권 등을 유입할 경우(S114), 스캐닝부(253)에서는 주민등록증의 앞면 또는 여권의 특정 페이지를 스캔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OCR(255)에서는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읽어들이고 추출부(257)에서는 읽어들인 문자들 중에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추출해낸다(S115).
추출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S)는 인쇄부(500)에서 수표(P)의 뒷면에 인쇄된다(S116). 인쇄된 수표는 배출구(6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매의 수표를 투입한 경우 추출부(257)에서 읽어들인 사용자식별정보 즉,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는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복수매의 수표에 반복적으로 인쇄된다.
여기서, 도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수표(P)의 방향과 배출구(610)를 통해 배출되는 수표의 방향(P)이 상반되게 표시되었다. 그러나, 실제 수표의 투입방향과 배출방향은 인쇄부(500)의 위치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이서장치(1)는 수표의 뒷면에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인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주식, 채권, 어음 등 기타 유가증권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외에도 사용자식별태그로서 지문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에 주민등록상의 지문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거나 소정의 서버와 연결되어 사용자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1의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식별정보인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수표이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가증권 이서장치 10 : 케이싱
100 : 투입부 200 : 식별정보인식부
300 : 표시부 400 : 저장부
500 : 인쇄부 600 : 배출부
700 : 제어부

Claims (7)

  1. 유가증권 이서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가증권을 투입받는 투입부와;
    외부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정보인식부와;
    상기 식별정보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투입부로부터 전달되는 유가증권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식별정보가 인쇄된 유가증권을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및
    상기 투입부, 상기 식별정보인식부, 상기 인쇄부 및 상기 배출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투입된 유가증권이 상기 입력 및 인식된 사용자식별정보가 인쇄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인식부는,
    복수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식별태그로부터 상기 유가증권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식별태그는 통장, 직불카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및 여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증권이 수표인 경우,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는 이름,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
  6.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이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가증권을 투입받는 단계와;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는 단계와;
    인쇄된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이서방법.
  7.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이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가증권을 투입받는 단계와;
    사용자인식태그를 유입받는 단계와;
    상기 유입된 사용자인식태그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는 단계와;
    인쇄된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이서장치의 이서방법.
KR1020080082654A 2008-08-25 2008-08-25 유가증권 이서장치 KR10102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654A KR101026791B1 (ko) 2008-08-25 2008-08-25 유가증권 이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654A KR101026791B1 (ko) 2008-08-25 2008-08-25 유가증권 이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007A KR20100024007A (ko) 2010-03-05
KR101026791B1 true KR101026791B1 (ko) 2011-04-04

Family

ID=4217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654A KR101026791B1 (ko) 2008-08-25 2008-08-25 유가증권 이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7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894B1 (ko) 1996-05-07 1999-11-01 윤종용 이서 기능을 갖는 금전등록기 및 그 방법
KR20020031692A (ko) * 2000-10-23 2002-05-03 김시윤 자동 이서 장치
JP2002326439A (ja) 2002-01-31 2002-11-12 Birukon Kk 自動チェックライ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894B1 (ko) 1996-05-07 1999-11-01 윤종용 이서 기능을 갖는 금전등록기 및 그 방법
KR20020031692A (ko) * 2000-10-23 2002-05-03 김시윤 자동 이서 장치
JP2002326439A (ja) 2002-01-31 2002-11-12 Birukon Kk 自動チェックライ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007A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8387B2 (ja) 磁気インク文字読取装置
EP00113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ocuments
US10268932B2 (en) Modular print engines and modular print engine components
JP2005056333A (ja) 小切手処理装置、プログラム、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小切手処理制御方法
US20030035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secure documents
CN101934646A (zh) 打印控制方法及打印机
JP2004334402A (ja) 小切手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pos端末並びにposシステム
KR100846688B1 (ko)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문서 처리의 결합
KR100663875B1 (ko) 수표 발행 및 수납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시스템
KR101026791B1 (ko) 유가증권 이서장치
KR20120087765A (ko) 통장 취급 장치 및 통장 취급 방법
JP6878955B2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プログラム
JP5200822B2 (ja) 窓口取引処理システム
CN103514635A (zh) 物品验证
JP3785549B2 (ja) 通帳処理システム
KR20080062800A (ko) 통장 발급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578669B1 (ko) 입금수표 처리 방법
JP3805580B2 (ja) 本人確認装置
KR20130121314A (ko)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JP3932629B2 (ja) 証券発行装置
US7522320B1 (en) Document character box dropout
JP2014043034A (ja) プリンターおよび記録媒体への印字方法
EP3373191B1 (en) Magnet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416272B2 (ja) 現金自動取扱装置
JP2006260146A (ja) 媒体処理装置および媒体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