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714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714B1
KR101026714B1 KR1020090019215A KR20090019215A KR101026714B1 KR 101026714 B1 KR101026714 B1 KR 101026714B1 KR 1020090019215 A KR1020090019215 A KR 1020090019215A KR 20090019215 A KR20090019215 A KR 20090019215A KR 101026714 B1 KR101026714 B1 KR 101026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shielding plate
cooling fan
dust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549A (ko
Inventor
야스시 후지타
요시타카 우에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1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71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과제) 방진망을 통과하는 냉각용의 흡입풍량을 확보해서 엔진의 오버히트를 방지하여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높인다.
(해결 수단) 방진망(30)을 통과하는 흡입풍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흡입풍 차폐판(35)을 상기 방진망(30)의 내측면에 접근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흡입풍 차폐판(35)을 방진망(30)의 내측면을 따라 직선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장치(49)를 설치한다. 또한 방진망(30)의 외면 상의 진애를 흡인하는 진애 흡인구(55)를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설치한다. 또한 진애 흡인구(55)부터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부흡인풍로(58)를 방진망(30)으로부터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해서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주흡인풍로(59)로부터 분리해서 설치한다.
콤바인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바인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에 구비한 냉각용 팬의 외측에 라디에이터를 설치하고, 라디에이터의 외측에 방진망을 설치하며, 방진망의 내측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흡입풍 차폐판을 설치하고, 상기 흡입풍 차폐판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설치한 구성의 것이 있다.
냉각용 팬의 흡입풍에 의해, 짚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방진망의 외면에 흡착되지만, 흡입풍 차폐판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방진망을 통과하는 흡입풍을 부분적으로 순차 차폐하여 방진망으로의 진애의 흡착력을 잃게 해서 낙하시켜, 방진망의 막힘을 방지하여 엔진의 오버히트(overheat)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59748호 공보
통상, 방진망은 라디에이터의 형상 또는 엔진 룸의 형상을 따라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행 기술에서는, 직사각형의 방진망의 중앙 부분을 축심으로 해서 흡입풍 차폐판을 회전 구동하여 방진망을 통과하는 흡인풍을 부분적으로 순차 차폐하고, 방진망으로의 진애의 흡착력을 잃게 해서 낙하시키는 구성이다. 즉, 직사각형의 방진망에 대하여 흡입풍 차폐판을 원형의 궤적을 그리도록 회전시키기 때문에 방진망의 귀퉁이에 흡착된 진애는 제거할 수 없고, 방진망을 통과하는 흡입풍량이 감소하여 라디에이터 및 엔진의 냉각효율이 저하되어 엔진이 오버히트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주행장치(2)를 기체 프레임(1)의 하측에 설치하고, 예취장치(4)를 기체 프레임(1) 앞측에 설치하며, 탈곡장치(3)와 곡립 저류장치(5)와 엔진(12)을 상기 기체 프레임(1)의 상측에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12)에 의해 구동되는 냉각용 팬(13)을 상기 엔진(12)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엔진(12)을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4)를 냉각용 팬(13)의 외측에 설치하며, 상기 냉각용 팬(13)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풍을 여과해서 진애의 침입을 막는 방진망(30)을 라디에이터(14)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방진망(30)을 통과하는 흡입풍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흡입풍 차폐판(35)을 방진망(30)의 내측면에 접근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흡입풍 차폐판(35)을 방진망(30)의 내측면을 따라 직선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장치(49)를 설치하고, 상기 냉각용 팬(13)에 의한 흡입풍으로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의 진애를 흡인하는 진애 흡인구(55)를 상기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흡입풍 차폐판(35)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흡입풍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이 흡입풍 차폐판(35)에 면한 방진망(30)의 외측면의 부위에서 진애의 흡착력이 저하되어 이 진애가 탈락되기 쉬워진다. 또한 흡입풍 차폐판(35)이 직선상으로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흡입풍 차폐판(35)을 원형의 궤적을 그려서 회전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방진망(30)의 귀퉁이부에 부착된 진애까지 탈락시키기기 쉬워진다.
삭제
방진망(30)의 외측으로부터 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우회해서 방진망(30)의 내측으로 흡인되는 흡입풍은, 흡입풍 차폐판(35)에 면하고 있지 않은 방진망(30)의 다른 부위를 통과하는 흡입풍보다 유속이 빠르게 되고, 이 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 가장자리부 부근 부위의 진애가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을 흡입풍 차폐판(35)과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이 흡입풍 차폐판(35)과 함께 이동해 온 진애는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형성한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진애 흡인구(55)로부터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부흡인풍로(58)를 방진망(30)으로부터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해서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주흡인풍로(59)로부터 분리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방진망(3)의 외측으로부터 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우회해서 방진망(30)의 내측으로 흡인되는 흡입풍은, 흡입풍 차폐판(35)에 면하고 있지 않은 방진망(30)의 다른 부위를 통과하는 흡입풍보다 유속이 빠르게 되고, 이 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 가장자리부 부근 부위의 진애가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을 흡입풍 차폐판(35)과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이 흡입풍 차폐판(35)과 함께 이동해 온 진애는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형성한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된다.
이 때, 진애 흡인구(55)부터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부흡인풍로(58)가 방진망(30)으로부터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해서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주흡인풍로(59)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된 진애가 라디에이터(14)에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흡입풍 차폐판(35)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흡입풍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이 흡입풍 차폐판(35)에 면한 방진망(30)의 외측면의 부위에서 진애의 흡착력이 저하되고, 이 진애가 탈락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방진망(30)의 막힘에 의한 흡인풍량의 감소를 초래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인풍 차폐판(35)이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흡인풍 차폐판을 원형의 궤적을 그려서 회전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방진망(30)의 귀퉁이부에 흡착된 진애까지 탈락시키기 쉬워져서 여과 면적의 감소가 억제되고, 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냉각용의 흡입풍량을 확보해서 엔진(12)의 오버히트를 방지하여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에서 흡착력이 약해진 진애를 흡입풍 차폐판(35)과 함께 이동시키고,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형성한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해서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방진망(30) 상의 진애를 보다 적극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냉각용의 흡입풍량을 확보해서 엔진(12)의 오버히트를 방지하여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에서 흡착력이 약해진 진애를 흡입풍 차폐판(35)과 함께 이동시키고,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형성한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해서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방진망(30) 상의 진애를 보다 적극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냉각용의 흡입풍량을 확보해서 엔진(12)의 오버히트를 방지하여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진애 흡인구(55)로부터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부흡인풍로(58)를 방진망(30)으로부터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해서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주흡인풍로(59)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된 진애가 라디에이터(14)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라디에이터(14)의 냉각 효율의 저하를 적게 해 서 엔진(12)의 오버히트를 방지하여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콤바인의 기체는 기체 프레임(1)의 하측에 크롤러식의 주행장치(2)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상측에는 탈곡장치(3)와 곡립 배출 오거(6)를 구비한 곡립 저류장치(5)를 좌우에 나란히 탑재하고, 상기 곡립 저류장치(5) 앞측에 조종부(7)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 앞측에 예취장치(4)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해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종부(7)의 운전 좌석(10) 하방의 기체 프레임(1) 상측에 엔진(12)을 탑재하고, 이 엔진(12)을 격벽으로 포위해서 엔진 룸(11)을 형성한다. 엔진(12)보다 기체 외측방의 기체 프레임(1) 상의 부위에는 엔진(12)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 냉각용 팬(13)을 설치한다. 이 엔진 냉각용 팬(13)보다 기체 외측방의 기체 프레임(1) 상의 부위에는 엔진(12) 냉각용의 라디에이터(14)를 설치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14)의 상방에는 오일쿨러(15) 및 인터쿨러(16)를 전후에 나란히 설치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14)보다 기체 외측방의 기체 프레임(1) 상의 부위에는 라디에이터 커버(20)를 설치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커버(20)의 프레임체(21)는 전방 프레임(22) 및 후방 프레임(23)과, 전방 프레임(22)과 후방 프레임(23)을 연결하는 상부 횡프레임(24) 및 하부 횡프레임(25)과, 상부 횡프레임(24) 및 하부 횡프레임(25) 사이의 중간 상부 횡프레임(26) 및 중간 하부 횡프레임(27)으로 틀을 짜서 구성된다. 전방 프레임(22)의 상 부에는 앞부분이 처진 경사 자세의 경사 프레임(33)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 프레임 사이에 공간부가 되는 개구부(28)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8)에 구멍이 뚫린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진망(30)을 펼쳐서 설치한다. 방진망(30)은 철선을 짠 구성의 것이어도 좋다.
이 방진망(30)은 상기 냉각용 팬(13)의 흡인 작용에 의해 흡입되는 외기를 여과하고, 진애의 침입을 막으면서 엔진 룸(11) 내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방진망(30)으로부터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해서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주흡인풍로(59)가 형성된다.
프레임체(21)는 기체 프레임(1)측의 고정부에 세로축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14)를 지지하는 종프레임(31)을 기체 프레임(1) 상에 고정하고, 이 종프레임(31)으로부터 기체 외측 방향으로 연장시킨 상하 2개의 스테이(31a, 31a)의 선단부 구멍에, 후방 프레임(23)에 고정한 세로 방향의 설치축(32, 32)을 회동 가능하게 삽입해서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라디에이터 커버(20)는 개폐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방진망(30)의 내측면에 접근한 위치에는 140㎜∼150㎜ 정도의 폭을 갖고, 800㎜∼850㎜ 정도의 높이를 가진 흡입풍 차폐판(35)을 배치하고, 이 흡입풍 차폐판(35)을 방진망(30)의 내측면을 따라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450㎜∼500㎜ 정도의 스트로크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풍 차폐판(35)과 프레임체(21) 사이에 이 흡입풍 차폐판(35)을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 드 기구(36)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체(21)의 상부 횡프레임(24) 및 중간 하부 횡프레임(27)에 각각 상측 안내 레일(37u) 및 하측 안내 레일(37d)을 설치하고, 이 상측 안내 레일(37u) 및 하측 안내 레일(37d)에 흡입풍 차폐판(35)의 상단부와 하부에 축(39)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안내 롤러(38)를 지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흡입풍 차폐판(35)은 방진망(30)의 내측면에 접근해서 설치된다. 방진망(30)의 내측면과 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면 사이에는 간극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지 않도록 1㎜ 정도의 간극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흡입풍 차폐판(35)의 하측 플레이트(40B)의 하단은 프레임체(21)측에 설치한 안내체(51)로 끼운 상태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흡입풍 차폐판(35)은 상측 플레이트(40A)와 하측 플레이트(40B)의 둘로 분할되고, 상측 플레이트(40A)의 하부에 형성한 긴 구멍(41)에 하측 플레이트(40B)의 상단부에 고정한 핀(42)을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춘다. 즉, 흡입풍 차폐판(35)은 긴 구멍(41)의 부분에서 신축 가능하고 또한 굴곡 가능하게 상측 플레이트(40A)와 하측 플레이트(40B)를 연결시킨 구성으로 한다.
따라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안내 레일(37u)의 전단 위치에 상측 플레이트(40A)의 상단부의 안내 롤러(38)가 도달하면, 상측 플레이트(40A)가 경사 프레임(33)을 따르도록 회전해서 경사지고, 이 경사 프레임(33)의 부근에서도 흡입풍을 차폐한다.
또한, 흡입풍 차폐판(35)의 상측 플레이트(40A)와 하측 플레이트(40B) 사이에 인장 스프링(44)을 설치하고, 이 하측 플레이트(40B)와 상측 플레이트(40A)가 직선상으로 되도록(상측 플레이트(40A)가 기립하도록) 항상 바이어싱한다. 따라서, 흡입풍 차폐판(35)이 경사 프레임(33)으로부터 멀어지는 후방으로의 이동 행정에서는 흡입풍 차폐판(35)은 직선상으로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21)의 중간 상부 횡프레임(26)의 내측방에는 리드 캠축으로 형성한 전동축(4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전동축(45)에 상기 전동축(45)의 회전에 의해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46)를 설치하고, 이 이동 부재(46)를 흡입풍 차폐판(35)의 하측 플레이트(40B)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전동축(45)의 후단부에 종동 기어(48)를 고착하고, 이 종동 기어(48)에 전동 모터식의 구동장치(49)로 구동되는 구동 기어(50)를 맞물리게 한다. 전동축(45)은 리드 캠축이기 때문에 구동장치(49)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만으로 흡입풍 차폐판(35)은 전방 및 후방으로의 왕복 이동을 반복한다.
이 구성에서는, 전동축(45)의 외측방에 방진망(3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전동축(45)이 냉각용 팬(13)에 의한 흡입풍의 저항으로 되지 않아 엔진 룸(11) 내의 냉각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흡입풍 차폐판(35)이 앞측으로 이동할 때에 하측 플레이트(40B)의 이동에 따라 상측 플레이트(40A)도 앞측으로 이동하면서 경사 프레임(33)을 따르도록 자세 변경되므로, 이 상측 플레이트(40A)와 하측 플레이트(40B)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독립해서 설치할 필요가 없어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의 구성에 의해, 엔진(12)을 시동하면 냉각용 팬(13)이 회전해서 라디에이터 커버(20)의 방진망(30)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는 주흡인풍로(59)로부터 라디에이터(14)의 내부의 코어를 통과해서 엔진(12)의 냉각용의 냉각수를 냉각함과 아울러 엔진(12)의 외주를 냉각하면서 지나간다.
이 때, 예취 탈곡 작업에 의해 발생하여 콤바인의 주위에 부유하고 있는 짚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냉각용 팬(13)에 의한 흡입풍에 의해 방진망(30)의 외측면에 흡착되기 쉬워진다. 그러나, 흡입풍 차폐판(35)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흡입풍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이 흡입풍 차폐판(35)에 면한 방진망(30)의 외측면의 부위에서 진애의 흡착력이 저하되어 이 진애가 탈락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기체의 주행에 의한 바람의 영향이나 진동의 영향으로 이 진애를 탈락시켜, 방진망(30)의 막힘에 의한 흡인풍량의 감소를 초래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인풍 차폐판(35)이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흡인풍 차폐판을 원형의 궤적을 그려서 회전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방진망(30)의 귀퉁이부에 흡착된 진애까지 탈락시키기 쉬워져서 여과 면적의 감소가 억제되고, 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냉각용의 흡입풍량을 확보해서 엔진(12)의 오버히트를 방지하여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풍 차폐판(35)에 면한 방진망(30)의 외측면의 부위에서는 냉각용 팬(13)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풍의 흐름이, 도면 중의 화살표 L, 화살표 R과 같이, 흡입풍 차폐판(35)의 정면으로부터 이 흡입풍 차폐판(35)의 좌우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우회해서 방진망(30)을 통과하게 된다. 즉, 흡입풍 차폐판(35)의 정면에서 일단 가로막힌 다량의 흡입풍(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면에 닿는 흡입풍)이 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 가장자리부에서 합류하면서 방진망(30) 내에 끌어들여지게 되어 이 흡입풍의 유속이 빨라진다.
그리고, 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면한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의 부위에서는 통과하는 흡입풍의 유속이 빨라지는 것에 의해 진애를 흡인하는 힘이 증가하고,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의 진애가 이 흡입풍 차폐판(35)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연동되어서 이 흡입풍 차폐판(35)과 함께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을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에 있어서의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궤적 상의 진애가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방향 아래쪽에 모아진다.
또한,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양단부에는 진애 흡인구(55)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21)의 전방 프레임(22) 및 후방 프레임(23)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측에 풍동 커버(56)를 설치하고, 이 풍동 커버(56)의 내측면과 방진망(30)의 외측면 사이에 10㎜ 정도의 간극을 형성해서 진애 흡인구(55)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을 흡입풍 차폐판(35)과 함께 이동하고, 이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단부에 모아진 진애를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있어서의 방진망(30)의 외측 부위에 형성한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해서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방진망(30) 상의 진애를 적극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냉각용의 흡입풍량을 확보해서 엔진(12)의 오버히트를 방지하여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입풍 차폐판(35)의 전후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프레임체(21)의 전방 프레임(22) 또는 후방 프레임(23)과 기체 측면으로 볼 때 겹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흡입풍 차폐판(35)이 방진망(30)을 통과하는 외기를 확실하게 차폐하여 진애 흡인구(55)에 의한 진애의 흡인 효율이 향상된다.
즉, 가령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방향 위쪽이 되는 외측 가장자리부가 프레임체(21)의 전방 프레임(22) 또는 후방 프레임(23)과 기체 측면으로 볼 때에 겹치는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방향 위쪽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전방 프레임(22) 또는 후방 프레임(23) 사이에 냉각용 팬(13)에 의한 흡입풍이 통과하고, 이 흡인풍에 의해 진애를 방진망(30)의 외측면에 흡착시켜 진애 흡인구(55)에 의한 진애의 흡인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진애 흡인구(55) 부근에서의 냉각용 팬(13)의 흡인풍을 확실하게 차폐하여 진애 흡인구(55)에 의한 진애의 흡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애 흡인구(55)에 계속되는 흡인용 풍로(F)는 프레임체(21)의 내부에 설치한다.
이 경우, 흡인용 풍로(F) 중 풍동 커버(56) 내를 지나는 부흡인풍로(58)는 라디에이터(14)와 오일쿨러(15)와 인터쿨러(16) 등을 냉각하는 주흡인풍로(59)와는 분리하고, 상기 라디에이터(14)와 오일쿨러(15)와 인터쿨러(16)를 우회해서 형성한다. 즉 부흡인풍로(58)는 평면으로 볼 때에 프레임체(21)의 전방 프레임(22) 내측판(60)과 풍동 커버(56)에 의해 포위된 공간이며, 내측판(60)의 내단측이 종프레임(31)과 밀착하고, 내측판(60)이 격벽으로 되어서 부흡인풍로(58)와 주흡인풍 로(59)를 분리하여 양 풍로의 사이를 차폐한다.
이 구성에 의해, 진애 흡인구(55)로부터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부흡인풍로(58)를 방진망(30)으로부터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해서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주흡인풍로(59)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된 진애가 라디에이터(14)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라디에이터(14)의 냉각효율의 저하를 적게 해서 엔진(12)의 오버히트를 방지하여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인용 풍로(F)는 부흡인풍로(58)의 안쪽에 종프레임(31)의 외부 프레임(31A)과 내부 프레임(31B) 사이에 형성한 고정측 흡인풍로(61)를 접속해서 형성한다. 62는 부흡인풍로(58)의 출구, 63은 고정측 흡인풍로(61)의 입구이다.
즉, 흡인용 풍로(F)는 고정측의 고정측 흡인풍로(61)와 이동측의 부흡인풍로(58)로 분할 형성하고, 고정측 흡인풍로(61)는 냉각용 팬(13) 및 엔진(12)을 포위하는 쉬라우드(shroud)(64) 내에 연통하고, 이 쉬라우드(64) 후단의 개구부를 엔진 룸(11)과 연통시켜서 부흡인풍로(58)로부터의 흡입풍을 고정측 흡인풍로(61)를통과시켜서 엔진 룸(11)에 흡입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흡인용 풍로(F)는 라디에이터 커버(20)를 폐쇄함으로써 부흡인풍로(58)와 고정측 흡인풍로(61)가 연통하고, 쉬라우드(64) 내측의 엔진 룸(11)에 흡인풍이 통하도록 구성한다.
즉, 프레임체(21)측에 시일 부재(65)를 설치하고, 라디에이터 커버(20)를 설치축(32)을 중심으로 내측방으로 회전시켜서 폐쇄하면, 이 시일 부재(65)가 종프레 임(31)에 밀착되어 부흡인풍로(58)와 고정측 흡인풍로(61)가 연통하여 흡인용 풍로(F)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도 5,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진애 흡인구(55)를 앞측과 뒷측에 형성하고, 시일 부재(65)를 앞측과 뒷측에서 각 2개소에 설치하고 있지만,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진애 흡인구(55)를 앞측에만 형성하고, 시일 부재(65)는 앞측 2개소와 뒷측 1개소만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냉각용 팬(13)의 회전에 의해 쉬라우드(64) 내에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진애 흡인구(55)로부터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의 진애를 흡인하므로 방진망(30)의 진애 제거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진애 흡인구(55)로부터 흡인되는 흡인풍의 유속은 방진망(30)을 통과하는 주흡인풍로(59)의 흡인풍의 유속보다 빠르게 되도록 각 풍로의 단면적 등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진애 흡인구(55)를 프레임체(21)의 앞측 또는 뒷측 중 어느 한쪽에 형성할 경우에는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속도를 진애 흡인구(55)측에 접근할 때의 이동 속도보다, 진애 흡인구(5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도록 설정해도 좋다.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속도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49)의 구동 회전 속도를 변속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다.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70)를 설치하고, 이 리미트 스위치(70)에 의해 흡입풍 차폐판(35)이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구동장치(49)의 회전 속도가 자동적으로 변속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속도를 라디에이터(14)의 수온에 따라 변속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14)의 수온을 검출하는 수온 센서(71)를 설치하고, 라디에이터(14)의 수온이 낮을 때에는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속도를 감속한다. 한편, 라디에이터(14)의 수온이 상승했을 경우에는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 속도를 증속한다.
또한, 탈곡장치(3) 및 예취장치(4)를 구동하는 작업 클러치(72)를 접속으로 한 경우에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이 자동적으로 개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엔진(12)의 회전을 엔진 회전 센서(73)로 검출했을 경우에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이 자동적으로 개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는, 엔진 회전 센서(73)로 엔진(12)의 회전을 검출하고, 또한 작업 클러치(72)를 접속으로 했을 경우에 흡입풍 차폐판(35)의 이동이 자동적으로 개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전동축(45)은 리드 캠축으로 형성하고, 구동장치(49)를 일정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전동축(45)을 일방향의 나사홈을 형성한 나사축으로 하고, 구동장치(49)를 정역전시킴으로써 흡입풍 차폐판(35)을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장치(49)의 구동 회전 방향을 타이머에 의해 제어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 구동장치(49)의 구동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스위칭하고, 이것에 의해 흡인풍 차폐판(35)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전동축(45)의 전후 양단부에는 이 전동축(45)의 나사홈과 이동 부재(46)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전동축(45)이 동일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해도 파손을 초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술의 흡입풍 차폐판(35)은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흡입풍 차폐판(35)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운전 좌석(10)으로의 타고 내림을 용이화하기 위해서, 프레임체(21)의 앞측 상부에는 경사 프레임(33)을 형성하고 있고, 이것에 따라 라디에이터 커버(20)의 개구부(28)에는 경사 부분이 존재한다. 그러나, 흡입풍 차폐판(35)은 상하로 분할 형성되고, 상측 플레이트(40A)가 그 상부를 지점으로 회동하고, 하측 플레이트(40B)에 대하여 굴절하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경사 프레임(33)의 내측의 방진망(30)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3은 엔진 부근의 설명용 평면도.
도 4는 라디에이터 커버의 좌측면도.
도 5는 라디에이터 주변의 설명용 평면도.
도 6은 라디에이터 커버의 프레임체의 우측면도.
도 7은 라디에이터 커버의 프레임체의 배면도.
도 8은 흡입풍 차폐판의 이동기구의 설명용 우측면도.
도 9는 흡입풍 차폐판의 이동기구의 설명용 배면도.
도 10은 흡입풍 차폐판의 이동기구의 설명용 배면도.
도 11은 라디에이터 커버 앞측의 진애 흡인구 부분의 설명용 평단면도.
도 12는 라디에이터 커버의 뒷측의 진애 흡인구 부분의 설명용 평단면도.
도 13은 라디에이터 커버 앞측에만 진애 흡인구를 형성한 실시예의 설명용 평단면도.
도 14는 라디에이터 커버 앞측에만 진애 흡인구를 형성한 실시예의 프레임체의 우측면도.
도 15는 라디에이터 커버 앞측에만 진애 흡인구를 형성한 실시예의 프레임체의 정면도.
도 16은 라디에이터 커버의 좌측면도.
도 17은 흡입풍 차폐판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
도 18은 블록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체 프레임 3 : 탈곡장치
4 : 예취장치 5 : 곡립 저류장치
7 : 조종부 10 : 운전 좌석
12 : 엔진 13 : 냉각용 팬
14 : 라디에이터 30 : 방진망
35 : 흡입풍 차폐판 49 : 구동장치
55 : 진애 흡인구 58 : 부흡인풍로
59 : 주흡인풍로

Claims (3)

  1. 주행장치(2)를 기체 프레임(1)의 하측에 설치하고, 예취장치(4)를 기체 프레임(1) 앞측에 설치하며, 탈곡장치(3)와 곡립 저류장치(5)와 엔진(12)을 상기 기체 프레임(1)의 상측에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12)에 의해 구동되는 냉각용 팬(13)을 상기 엔진(12)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엔진(12)을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4)를 냉각용 팬(13)의 외측에 설치하며, 상기 냉각용 팬(13)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풍을 여과해서 진애의 침입을 막는 방진망(30)을 라디에이터(14)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방진망(30)을 통과하는 흡입풍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흡입풍 차폐판(35)을 방진망(30)의 내측면에 접근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흡입풍 차폐판(35)을 방진망(30)의 내측면을 따라 직선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장치(49)를 설치하고,
    상기 냉각용 팬(13)에 의한 흡입풍으로 방진망(30)의 외측면 상의 진애를 흡인하는 진애 흡인구(55)를 상기 흡입풍 차폐판(35)의 왕복 이동경로의 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애 흡인구(55)부터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부흡인풍로(58)를 방진망(30)으로부터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해서 냉각용 팬(13)에 이르는 주흡인풍로(59)로부터 분리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90019215A 2008-04-24 2009-03-06 콤바인 KR101026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215A KR101026714B1 (ko) 2008-04-24 2009-03-06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4206 2008-04-24
JPJP-P-2009-045988 2009-02-27
KR1020090019215A KR101026714B1 (ko) 2008-04-24 2009-03-06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49A KR20090112549A (ko) 2009-10-28
KR101026714B1 true KR101026714B1 (ko) 2011-04-08

Family

ID=4155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215A KR101026714B1 (ko) 2008-04-24 2009-03-06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0618B2 (ja) * 2017-08-01 2022-01-26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748A (ja) * 2000-08-22 2002-02-2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防塵装置
KR100336695B1 (ko) * 1999-10-12 2002-05-13 이규건 방진망 청소기가 부착된 공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695B1 (ko) * 1999-10-12 2002-05-13 이규건 방진망 청소기가 부착된 공조기
JP2002059748A (ja) * 2000-08-22 2002-02-2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防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49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759B1 (ko) 건설 기계
JP6016341B2 (ja) コンバイン
CN101563974B (zh) 联合收割机
KR101026714B1 (ko) 콤바인
JP2007009825A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5217461B2 (ja)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4775458B2 (ja) コンバイン
KR102603418B1 (ko)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JP6669232B2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CN111852699A (zh) 发动机空气预清洁系统
JP5672561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5640756B2 (ja) ラジエータの防塵装置
TWI361658B (ko)
JP4863019B2 (ja) コンバイン
JP4863018B2 (ja) コンバイン
JP2013226970A5 (ko)
JP4863020B2 (ja) コンバイン
JP2014008839A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2016030569A (ja) コンバインの原動室冷却装置
JP2012116230A (ja) コンバイン
JP5445314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2009195211A5 (ko)
JP2016160755A (ja) 作業車輌の原動部
JP2012111453A (ja) コンバイン
JP2012096581A (ja) 作業車輌の原動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