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454B1 -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454B1
KR101026454B1 KR1020080102387A KR20080102387A KR101026454B1 KR 101026454 B1 KR101026454 B1 KR 101026454B1 KR 1020080102387 A KR1020080102387 A KR 1020080102387A KR 20080102387 A KR20080102387 A KR 20080102387A KR 101026454 B1 KR101026454 B1 KR 101026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ed
conductor
conductive material
film
cor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374A (ko
Inventor
함원상
서수찬
김효수
배지훈
Original Assignee
함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원상 filed Critical 함원상
Priority to KR102008010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4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접착에 의해 상부 및 하부필름 사이에 다수의 도체가 구비되며, 양단에는 상기 상부필름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도체가 노출되고, 노출된 도체를 접속부재에 접속시 도체를 지지하도록 보강필름이 부착됨과 아울러 도체를 길이방향으로 전체 다수개 노출시킴과 아울러 노출된 다수의 도체를 도통가능하도록 도전성물질로 코팅시켜 연성 다심케이블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연성 다심케이블에서 직접 접지시킬 수 있으므로 연성 다심케이블을 사용함에 따른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상부 및 하부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은 노출되도록 열접착 고정되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길이방향 전체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도체모듈부를 갖는 도체와, 상기 도체의 노출도체모듈부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코팅되어 형성된 도전성물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연성 다심케이블, 접지, 도체, 도통, 도전성물질

Description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ground connection the flexible flat cable which is possib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성 다심케이블을 접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 접지는 주로 전기 및 전력 분야에서 송.배전 설비 및 낙뢰에 의한 인명과 설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들어 전기, 전자, 통신 그리고 반조체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거의 모든 설비의 소형화, 고 집적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초고속 종합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각종의 데이터, 음성, 화상에 이르는 모든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컴퓨터를 통하여 모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고도의 정보화 시대를 맞 이하고 있다.
이러한 소자 및 장비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전자회로의 고 기능화와 고 밀집화를 이룩하였으며 이로 인한 전자파의 간섭과 장해는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고도화된 정보 통신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안정한 운용 및 우수한 통화 품질의 확보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 신뢰성의 우수한 접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열접착에 의해 상부 및 하부필름 사이에 다수의 도체가 구비되며, 양단에는 상기 상부필름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도체가 노출되고, 노출된 도체를 접속부재에 접속시 도체를 지지하도록 보강필름이 부착됨과 아울러 도체를 길이방향으로 전체 다수개 노출시킴과 아울러 노출된 다수의 도체를 도통가능하도록 도전성물질로 코팅시켜 연성 다심케이블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연성 다심케이블에서 직접 접지시킬 수 있으므로 연성 다심케이블을 사용함에 따른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접 접지가 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은 노출되도록 열접착 고정되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길이방향 전체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도체모듈부를 갖는 도체와, 상기 도체의 노출도체모듈부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코팅되어 형성된 도전성물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하부필름의 양단 저면에는 노출된 도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필름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보강필름이 부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도전성물질층의 외주면에는 노출도체모듈부간 도통을 보다 확실하게 시킴과 아울러 상기 도전성물질층을 보호가능하도록 통전가능한 재질의 보호필름이 더 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도체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도체를 중첩시킨 하나 이상의 노출도체모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도체모듈부를 형성한 도체를 상부 및 하부필름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를 연속적으로 열접착하여 연성 다심케이블로 형성시키기 위한 단계와, 상기 연성 다심케이블의 상부필름을 일정 간격 일부 제거하여 도체를 일부 노출시키기 위한 도체 노출단계와, 상기 노출된 도체가 양측단에 형성되도록 커팅시키기 위한 커팅단계와, 상기 커팅됨에 따른 도체와 함께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의 양측에 칼집을 낸 후, 도체로부터 노출도체모듈부를 분리시키기 위한 단계와, 상기 도체로부터 노출도체모듈부를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상부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와, 상기 상부필름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도전성물질층을 형성하도록 코팅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체노출단계와 커팅단계 사이에 커팅됨에 따른 노출된 도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양측단을 보강하도록 보강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한 보강필름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도전성물질을 코 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전성물질층이 벗겨지는 것을 보호가능하도록 보호필름이 더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열접착에 의해 상부 및 하부필름 사이에 다수의 도체가 구비되며, 양단에는 상기 상부필름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도체가 노출되고, 노출된 도체를 접속부재에 접속시 도체를 지지하도록 보강필름이 부착됨과 아울러 도체를 길이방향으로 전체 다수개 노출시킴과 아울러 노출된 다수의 도체를 도통가능하도록 도전성물질로 코팅시켜 연성 다심케이블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연성 다심케이블에서 직접 접지시킬 수 있으므로 연성 다심케이블을 사용함에 따른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은, 기기 장치에 배선됨에 따른 상기 케이블에서 직접 접지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100)은, 상부 및 하부필름(110,120)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은 노출되도록 열접착 고정되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길이방향 전체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갖는 도체(140)와, 상기 도체(140)의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코팅되어 형성된 도전성물질층(1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하부필름(120)의 양단 저면에는 노출된 도체(14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필름(12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보강필름(160)이 부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100)은 도전성물질층(150)을 보호함과 아울러 노출도체모듈부(130,130')간 보다 확실한 도통을 위해 통전가능한 재질의 보호필름(170)이 더 부착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100)의 도체(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필름(120)과 상부필름(110) 사이에 개재되어 그 양단이 노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도체(140)는, 접지를 위해 5개가 전체적으로 길이방향 노출된 2개의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개와 7개의 도체를 노출시켜 2개의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갖도록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기기장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능할 것이다.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은,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예컨대 카본블랙으로 상기 상부필름(110) 상면에 코팅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도전성물질층(150)의 코팅은 상기 상부필름(110) 상면에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안정되게 도통시키도록 적어도 한 줄 이상의 띠형태 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단일의 배드형태 그리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코팅된 그물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코팅된다.
물론 상기한 도전성물질층(150)의 코팅은 상기 상부필름(110) 상면 전체에 대하여 코틸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도전성물질층(150)을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호필름(17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도통시키기 위해 코팅된 도전성물질층(150)을 감싸는 것에 의해 보호 즉,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에 이물질이 직접 부착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출도체모듈부(130,130')가 더 확실한 도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통전가능한 박판의 동판 또는 알루미늄판으로 구비된다.
이하,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의 제조방법은, 도 1내지 도 4에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도체(140)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도체를 중첩시킨 하나 이상의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형성한 도체(140)를 상부 및 하부필름(110,1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를 연속적으로 열접착하여 연성 다심케이블로 형성시키기 위한 단계(S200)와, 상기 연성 다심케이블의 상부필름(110)을 일정 간격 일부 제거하여 도체(140)를 일부 노출시키기 위한 도체 노출단계(S300)와, 상기 노출된 도체(140)가 양측단에 형성되도록 커팅시키기 위한 커팅단계(S400)와, 상기 커팅됨에 따른 도체(140)와 함께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의 양측에 칼집을 낸 후, 도체(140)로부터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분리시키기 위한 단계(S500)와, 상기 도체(140)로부터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상부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S600)와, 상기 상부필름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도전성물질층(150)을 형성하도록 코팅시키기 위한 단계(S7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체노출단계(S300)와 커팅단계 사이에 커팅됨에 따른 노출된 도체(140)를 지지함과 아울러 양측단을 보강하도록 보강필름(160)을 부착시키기 위 한 보강필름부착단계(S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도전성물질을 코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이 벗겨지는 것을 보호가능하도록 보호필름(170)이 더 부착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도체(140)에 또 다른 도체를 서로 이격시켜 6개와 10로 2부분으로 구획되게 중첩시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형성시킨다(S100).
상기와 같이 노출도체모듈부(130,130')가 형성된 도체(140)를 상부 및 하부필름(110,1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킨 후, 이를 연속적으로 열접착시켜 연성 다심케이블로 형성시킨다(S200).
상기 연성 다심케이블로 형성되면, 상부필름(110)을 일정 간격 일부 제거하여 도체(140)를 일부 노출시킨다(S300).
상기와 같이 노출된 도체(140)의 저면 즉, 하부필름(120) 양측단 저면에 상기 노출된 도체(140)를 지지함과 아울러 양측단을 보강하도록 보강필름(160)을 부착시킨다(S800).
상기 노출된 도체(140)가 양측단에 형성되도록 일정 길이로 커팅시킨다(S400).
상기와 같이 커팅되면, 상기 도체(140)와 함께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의 양측에 칼집을 낸다.
노출도체모듈부(130,130')의 양측에 칼집을 낸 후, 상기 도체(140)에 중첩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분리시킨다(S500).
노출도체모듈부(130,130')가 도체(140)로부터 분리되면,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연성 다심케이블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필름을 제거시킨다(S600).
상기 상부필름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카본블랙의 도전성물질을 코팅시켜 도전성물질층(150)을 형성시킨다(S700).
상기와 같이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도전성물질을 코팅시켜 도전성물질층(150)이 형성되며, 이의 도전성물질층(150)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노출도체모듈부(130,130')간 보다 확실한 도통을 위해 박판의 동판(또는 알루미늄판)을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을 감싸면서 부착시킨다(S9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이 직접 외부에서 접지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을 기기장치에 사용함에 따른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성 다심케이블
110 ; 상부필름
120 ; 하부필름
130,130' ; 노출도체모듈부
140 ; 도체
150 ; 도전성물질층
160 ; 보강필름
170 ; 보호필름

Claims (8)

  1. 직접 접지가 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필름(110,120)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은 노출되도록 열접착 고정되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길이방향 전체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갖는 도체(140)와,
    상기 도체(140)의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코팅되어 형성된 도전성물질층(15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필름(120)의 양단 저면에는 노출된 도체(14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필름(12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보강필름(160)이 부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의 코팅은, 상기 상부필름(110) 상면에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안정되게 도통시키도록 적어도 한 줄 이상의 띠형태 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단일의 배드형태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코팅된 그물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코팅되며,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의 외주면에는 노출도체모듈부(130,130')간 도통을 보다 확실하게 시킴과 아울러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을 보호가능하도록 통전가능한 박판의 알루미늄판 또는 동판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성형되어 구비되는 보호필름(1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도체(140)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도체를 중첩시킨 하나 이상의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형성한 도체(140)를 상부 및 하부필름(110,1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를 연속적으로 열접착하여 연성 다심케이블로 형성시키기 위한 단계(S200)와,
    상기 연성 다심케이블의 상부필름(110)을 일정 간격 일부 제거하여 도체(140)를 일부 노출시키기 위한 도체 노출단계(S300)와,
    상기 노출된 도체(140)가 양측단에 형성되도록 커팅시키기 위한 커팅단계(S400)와,
    상기 커팅됨에 따른 도체(140)와 함께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의 양측에 칼집을 낸 후, 도체(140)로부터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분리시키기 위한 단계(S500)와,
    상기 도체(140)로부터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상부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S600)와,
    상기 상부필름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도전성물질층(150)을 형성하도록 코팅시키기 위한 단계(S700)를 포함하되,
    상기 도체노출단계(S300)와 커팅단계 사이에 커팅됨에 따른 노출된 도체(140)를 지지함과 아울러 양측단을 보강하도록 보강필름(160)을 부착시키기 위한 보강필름부착단계(S800)와,
    상기 노출된 노출도체모듈부(130,130')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도전성물질을 코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전성물질층(150)이 벗겨지는 것을 보호가능하도록 보호필름(170)이 더 부착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제작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80102387A 2008-10-20 2008-10-20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101026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87A KR101026454B1 (ko) 2008-10-20 2008-10-20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87A KR101026454B1 (ko) 2008-10-20 2008-10-20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74A KR20100043374A (ko) 2010-04-29
KR101026454B1 true KR101026454B1 (ko) 2011-04-07

Family

ID=4221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387A KR101026454B1 (ko) 2008-10-20 2008-10-20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4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041A (ja) * 1994-04-20 1995-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2279831A (ja) * 2001-03-19 2002-09-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シールド材及び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3022713A (ja) 2001-07-06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状配線ケーブル及び電子機器
JP2004031141A (ja) 2002-06-26 2004-01-29 Hitachi Cable Ltd シールド材被覆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041A (ja) * 1994-04-20 1995-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2279831A (ja) * 2001-03-19 2002-09-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シールド材及び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3022713A (ja) 2001-07-06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状配線ケーブル及び電子機器
JP2004031141A (ja) 2002-06-26 2004-01-29 Hitachi Cable Ltd シールド材被覆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74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7534B (zh) Flat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10760B2 (en) Rigid-flex assembly for high-speed sensor module comprising a flexible wiring section with dual flexible strips stacked and attached together
JP2009123563A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46150A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WO2011024333A1 (ja) 基板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101026454B1 (ko)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US11217918B2 (en) Electrical cable
JP585400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CN112764588A (zh) 显示模组及制造方法与触控显示模组、显示器、电子设备
KR101054671B1 (ko) 연성 다심 케이블
JP5239133B2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1751B1 (ko) 접지가능한 연성 다심케이블
JPWO2020012952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5135823A (ja) フラットハーネスの分岐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9095B1 (ko)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337463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6179192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8324505B2 (en) Temperature tolerant cover layer construction
JP2002184485A (ja) 接続部体付き多心配線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14934A (ja) 同軸線ハーネス、そのモジュール、その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71778B2 (ja) シールド付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00156A (ja) ケーブル及び電子機器
JP5446742B2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0822718A (ja) シート電線の絶縁構造および絶縁方法
CN111048239A (zh) 组合线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