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987B1 -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987B1
KR101024987B1 KR1020090044452A KR20090044452A KR101024987B1 KR 101024987 B1 KR101024987 B1 KR 101024987B1 KR 1020090044452 A KR1020090044452 A KR 1020090044452A KR 20090044452 A KR20090044452 A KR 20090044452A KR 101024987 B1 KR101024987 B1 KR 10102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ctuator
locking lever
shaf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643A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와 래치 모듈을 일체의 단일 구성으로 하는 통합형으로 조립하되, 액츄에이터를 래치모듈의 백플레이트에 견고하게 조립하는 동시에, 록킹 레버의 록킹 레버축과 액츄에이터의 구동축을 일체 결합함으로써, 종래의 록킹 레버와 액츄에이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인 액츄에이터 로드, 로드 홀더 및 액츄에이터 레버를 삭제 가능하므로 조립 공정의 공수 절감 및 구성 부품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테일게이트, 래치모듈, 파울 레버, 백 플레이트, 록킹 레버, 암 커넥터, 아웃핸들 레버, 액츄에이터, 수 커넥터

Description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Tailgate latch assembl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실린더 이외에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 래치의 전기적인 개폐 시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를 래치 모듈에 통합하여 사용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도어는 승객이 출입하기 위한 개폐기능과 함께 승객 및 차량 내부를 외부의 비 또는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도어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해 아웃핸들과 연결 설치된 래치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모듈은 다수의 레버 및 암들에 의해 구성되어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V차량이나 승합차량과 같이 후방의 넓은 개방면적이 요구되는 차량에는 테일게이트(tail gate)가 설치되며, 상기 테일 게이트의 하부에는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폐 작동을 도모하게 된다.
운전자가 테일게이트를 오픈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액츄에이터(100)의 전기적인 힘으로 오픈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키를 사용하여 래치모듈(200)을 언록킹 상태로 전환한 다음 아웃핸들을 당겨서 테일게이트를 오픈시키게 된다.
즉, 운전자가 테일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킬 경우, 액츄에이터(100)에 의해 액츄에이터 로드(110)가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록킹 레버(210)가 회전하면서 파울 레버(220)를 언록킹으로 절환시키게 되며, 사용자가 차량의 밖에서 아웃핸들을 당기게 될 경우, 아웃핸들 로드(300)와 연결된 아웃핸들 레버(230)에 의해 테일게이트가 개방된다.
그런데, 종래의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서 액츄에이터(100)와 래치모듈(200)이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구동축 및 래치모듈(200)의 파울 레버(2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로드(110) 및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110)의 단부에 연결되는 로드 홀더(120) 및 액츄에이터 레버(130) 등의 구성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와 래치 모듈을 통합형으로 구성하되, 록킹 레버의 록킹 레버축과 액츄에이터의 구동축을 일체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백플레이트에 견고하게 조립함으로써, 액츄에이터 로드, 로드 홀더 및 액츄에이터 레버를 삭제 가능하므로 조립 공정의 공수 절감 및 구성부품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의 진입 경로인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래치 레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부를 통해 진입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 레버를 포함하는 래치모듈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 레버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도록 연결된 파울 레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편과 상기 수평편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수직편이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백 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파울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은 키 로드와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에 고정된 록킹 레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 레버와; 일측은 아웃핸들 로드가 연결되고, 타측은 파울 레버에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의 수직편에 설치된 아웃핸들 레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웃핸들 레버와; 구동축이 록킹 레버의 록킹 레버축과 결합되어 그 구동축의 회전력이 록킹 레버축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그 체결조립부가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을 갖는 백 플레이트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와 록킹 레버는 그 구동축 및 록킹 레버축에 구비된 암,수 커넥터를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액츄에이터의 구동축 및 록킹 레버의 록킹 레버축에 형성된 암,수 커넥터를 가이드하면서 지지하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와 래치 모듈을 통합형으로 구성하므로 조립 공정의 공수 절감 및 구성부품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및 래치모듈의 결합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보스부 및 돌기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의 진입 경로인 개구부(11a)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설치된 래치 레버축(미도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부(11a)를 통해 진입한 스트라이커(미도시)를 구속하는 래치 레버(12)를 포함하는 래치모듈(1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 레버(12)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도록 연결된 파울 레버(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편(31)과 상기 수평편(31)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수직편(32)이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백 플레이트(BACK PLATE,30)와, 일측은 상기 파울 레버(20)와 핀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키 로드(45)와 슬롯홀(42)을 통해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30)에 고정된 록킹 레버축(4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 레버(40)와, 일측은 아웃핸들 로드(55)가 연결되고, 타측은 파울 레버(20)에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30)의 수직편(32)에 설치된 아웃핸들 레버축(미도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아웃핸들 로드(55)의 당김 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절환되어 파울 레버(20)를 동일방향으로 절환시키는 아웃핸들 레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가능하게 축고정된 래치 레버(12), 파울 레버(20), 록킹 레버(40) 및 아웃핸들 레버(50) 등은 모두 각각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 고정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회동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 액츄에이터(60)가 일체화되도록 구성되어지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플레이트(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체결홀(34)과 액츄에이터(6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체결조립부(63)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이때, 기존에 액츄에이터 로드(110)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기 액츄에이터(60)와 록킹 레버(40)의 상호 연결은, 록킹 레버(40)의 록킹 레버축(41)과 액츄에이터(60)의 구동축(61)에 구비된 암,수 커넥터(43,62)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암 커넥터(43)는 록킹 레버축(41)에 형성되는 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43a)을 갖는 기둥 형상의 보스(BOSS)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 커넥터(62)는 구동축(61)에 형성되는 바, 상기 끼움홈(43a)에 꼭맞게 밀착되면서 결합되어 보스부에 삽입되는 기둥 형상의 돌기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 커넥터(62)의 돌기부는 상기 암 커넥터(43)의 보스부의 끼움홈(43a)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보스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60)의 구동축(61)의 회전 시, 상기 록킹 레 버(40)도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액츄에이터(60)의 구동축(61)과 록킹 레버(40)의 록킹 레버축(41)이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액츄에이터(60)의 구동력이 록킹 레버(4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파울 레버(20) 및 래치 레버(12)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커넥터(43)에 구비된 보스부의 끼움홈(43a) 및 수 커넥터(62)에 구비된 돌기부는 각각의 둘레면에 날개부(43b,62a)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바, 돌기부가 보스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60)의 구동축(61)이 회전할 경우, 미끄러짐 발생없이 그 회전력이 록킹 레버(4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백 플레이트(30)에는 상기 액츄에이터(60)의 구동축(61) 및 록킹 레버(40)의 록킹 레버축(41)에 형성된 암,수 커넥터(43,62)를 가이드하면서 지지하는 가이드홀(33a)을 갖는 가이드부(33)가 견고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을 통해 키 로드(45)가 동작할 경우, 록킹 레버(40)에 그 작동력이 전달되어 래치 레버(12)가 절환되고, 사용자에 의한 아웃핸들 조작을 통해 아웃핸들 로드(55)가 동작할 경우, 아웃핸들 레버(50)에 그 작동력이 전달되어 래치 레버(12)가 절환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 조작을 통해 액츄에이터(60)가 동작할 경우에 액츄에이터 로드(110)없이 록킹 레버(40)에 그 작동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액츄에이터 로드(110), 로드 홀더(120) 및 액츄에이터 레버(130)와 같은 구성부품을 삭제 가능하므로 조립 공정의 공수 절감 및 구성부품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및 래치모듈의 결합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보스부 및 돌기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치모듈 11 : 베이스 플레이트
11a : 개구부 12 : 래치 레버
20 : 파울 레버 30 : 백 플레이트
31 : 수평편 32 : 수직편
33 : 가이드부 33a : 가이드홀
34 : 체결홀 40 : 록킹 레버
41 : 록킹 레버축 42 : 슬롯홀
43 : 암 커넥터 43a : 끼움홈
43b : 날개부 45 : 키 로드
50 : 아웃핸들 레버 55 : 아웃핸들 로드
60 : 액츄에이터 61 : 구동축
62 : 수 커넥터 62a : 날개부
63 : 체결조립부

Claims (6)

  1.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의 진입 경로인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래치 레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부를 통해 진입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 레버를 포함하는 래치모듈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 레버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도록 연결된 파울 레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편과 상기 수평편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수직편이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백 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파울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은 키 로드와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에 고정된 록킹 레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 레버와;
    일측은 아웃핸들 로드가 연결되고, 타측은 파울 레버에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의 수직편에 설치된 아웃핸들 레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웃핸들 레버와;
    구동축이 록킹 레버의 록킹 레버축과 결합되어 그 구동축의 회전력이 록킹 레버축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액츄에이터는 그 체결조립부가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을 갖는 백 플레이트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록킹 레버는 그 구동축 및 록킹 레버축에 구비된 암,수 커넥터를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액츄에이터의 구동축 및 록킹 레버의 록킹 레버축에 형성된 암,수 커넥터를 가이드하면서 지지하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끼움홈을 갖는 기둥 형상의 보스부이며,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기둥 형상의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 및 돌기부는 각각의 둘레면에 날개부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KR1020090044452A 2009-05-21 2009-05-21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KR10102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52A KR101024987B1 (ko) 2009-05-21 2009-05-21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52A KR101024987B1 (ko) 2009-05-21 2009-05-21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43A KR20100125643A (ko) 2010-12-01
KR101024987B1 true KR101024987B1 (ko) 2011-03-25

Family

ID=4350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452A KR101024987B1 (ko) 2009-05-21 2009-05-21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095B1 (ko) * 2000-11-24 2002-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100749607B1 (ko) * 2006-02-27 2007-08-14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
KR100767969B1 (ko) * 2006-03-08 2007-10-18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에 설치되는 래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095B1 (ko) * 2000-11-24 2002-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100749607B1 (ko) * 2006-02-27 2007-08-14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
KR100767969B1 (ko) * 2006-03-08 2007-10-18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에 설치되는 래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43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085B2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US6530251B1 (en) Modular vehicle door lock and latch system and method
JP6726460B2 (ja) 自動車ドア用電子式ラッチリリース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US6722714B2 (en) Vehicul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20110308172A1 (en) Door module for a vehicle door, and mounting method
KR20070046918A (ko) 파워 해제 이중 잠금 래치
EP2620569B1 (en) Latch releasing system for vehicle door
CN104806089A (zh) 用于机动车辆的门闩锁组件
KR20190008963A (ko) 자동차 로킹 장치
WO2016103353A1 (ja) ロック装置
US8950225B2 (en) Handle device comprising a shell-shaped bearing
US10352069B2 (en) Locking leve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04353328A (ja) 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モジュール
US20110121600A1 (en) Circuit for the electrical actuation of the two-part tailgate for motor vehicles
CN111356815A (zh) 具有操作模块的机动车门把手装置
US11365567B2 (en) Power child lock system for vehicle
KR10102498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WO2017130362A1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22538316A (ja) 自動車ドア用ロック
JP6163939B2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システム用スイッチモジュール
EP3783173B1 (en) A vehicle door comprising a power child lock device
TWI777047B (zh) 車輛用門鎖裝置
KR19990078921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EP1803877B1 (en) Door handle structure requiring a smaller space for arranging a mechanism for releasing a door latch
JP4578403B2 (ja) ドアハンド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