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782B1 - Glass substrate cleaning unit and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lass substrate cleaning unit and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2782B1 KR101022782B1 KR1020090038132A KR20090038132A KR101022782B1 KR 101022782 B1 KR101022782 B1 KR 101022782B1 KR 1020090038132 A KR1020090038132 A KR 1020090038132A KR 20090038132 A KR20090038132 A KR 20090038132A KR 101022782 B1 KR101022782 B1 KR 1010227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substrate
- cleaning
- holder
- polish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5201 scrubb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642 ultra pure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98 ultrapur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46—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crubbing means, e.g. brus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글라스 기판을 세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글라스 기판을 수평 반송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글라스 기판의 이송 경로상에 설치되며, 글라스 기판의 표면상의 이물질을 원형의 궤적을 그리는 회전하는 스크러빙 힘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스크러빙 부재를 갖는 세정 유닛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러빙 부재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개별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마바들을 포함한다.
글라스,세정,이물
A system for cleaning a glass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or unit for horizontally conveying a glass substrate; And cleaning units installed on a conveying path of the glass substrate conveyed by the conveyor unit, the cleaning units having a scrubbing memb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by applying a rotating scrubbing force drawing a circular trajectory; The scrubbing member is a shaft rotated by a drive motor; A holder connected to the shaft; And polishing bars individually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lder.
Glass, washing, foreign objec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패널용 글라스 기판을 세정하기 위한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for cleaning a glass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최근, TFT-LCD는 소형/경량화, 넓은 시야 각, 저 소비 전력 등과 같은 그것의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각종의 표시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TFT-LCDs have been spotlighted as various display devices due to their various advantages such as miniaturization / light weight, wide viewing angle, low power consumption, and the like.
TFT-LCD의 제조 공정은 크게 TFT 공정, 컬러 필터(이하 CF) 공정, 셀(Cell) 공정, 모듈 공정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이중에서 셀 공정은 TFT공정과, CF공정을 거친 두개의 글라스를 합착하고 절단한 후 그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여 TFT-LCD 셀(Cell)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셀 공정을 거치게 되면 실제 사용되는 패널 크기 수준으로 만들어지게 되고, 이후 모듈 공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모듈 공정은 완제품 패널을 만들기 위한 마지막 공정으로 셀 공정으로 만들어진 TFT-LCD 셀(Cell)에 편광판과 PCB, 백라이트유닛등을 부착하게 되며, 그러한 상태의 것을 TFT-LCD 모듈이라고 한다. 즉, TFT-LCD 모듈이란 TFT-LCD 패널과 PCB가 TCP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도전될 수 있는 상태의 단위 세트라 할 수 있다.The TFT-LCD manufacturing process is largely divided into a TFT process, a color fil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F) process, a cell process, and a module process. Among them, the cell process i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TFT-LCD cell (Cell) by bonding and cutting two glasses that have undergone the TFT process and the CF process, and then injecting a liquid crystal therebetween. After the cell process, it is made to the actual panel size level and then moved to the module process. The module process is a final process for making a finished product panel. The polarizer, PCB, and backlight unit are attached to a TFT-LCD cell made of a cell process, and such a state is called a TFT-LCD module. In other words, the TFT-LCD module is a unit set in a state in which the TFT-LCD panel and the PCB can be electrically conductive to each other by TCP.
여기서, TFT-LCD 패널의 양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은 선택적으로 일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이 입사되고 외부로 투과되도록 하여 TFT-LCD가 양호한 표시 기능을 발휘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편광판이 부착되고 나서 TFT-LCD 모듈로서 완성된 제품 중에는 TFT-LCD셀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먼지,파티클, 고착성 이물 등)로 인한 불량품이 발생된다. 특히, TFT-LCD셀이 셀 공정에서 모듈 공정으로 운반(대기)되는 과정에서 셀 표면에 파티클 뿐만 아니라 고착성 이물이 달라붙으며, 고착성 이물은 일반적인 세정 방식으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Here, the polarizing plates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TFT-LCD panel selectively serve to allow only the light oscillating in a certain direction to be incident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reby assisting the TFT-LCD to exhibit a good display function. However, defective products due to foreign matter (dust, particles, adherent foreign matters, etc.) on the surface of the TFT-LCD cell are generated in the finished product as the TFT-LCD module after the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waiting) the TFT-LCD cell from the cell process to the module process, not only particles but also adherent foreign matters adhere to the cell surface, and the adherent foreign matters are not easily removed by a general cleaning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TFT-LCD셀(이하 글라스 기판이라고 함) 표면상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정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unit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a TFT-LCD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lass substrate) and a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 패드를 막대 형상으로 중앙에서 가장자리까지 영점 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세정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unit capable of improving the zeroing accuracy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polishing pad in the shape of a rod, and a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 면적을 줄여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정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unit capable of minimizing vibration and noise by reducing a contact area and a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세정 유닛 및 그것을 사 용한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cleaning power and a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using the cleaning uni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글라스 기판을 세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글라스 기판을 수평 반송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글라스 기판의 이송 경로상에 설치되며, 글라스 기판의 표면상의 이물질을 원형의 궤적을 그리는 회전하는 스크러빙 힘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스크러빙 부재를 갖는 세정 유닛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러빙 부재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개별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마바들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ystem for cleaning the glass substrate is a conveyor unit for horizontal conveying the glass substrate; And cleaning units installed on a conveying path of the glass substrate conveyed by the conveyor unit, the cleaning units having a scrubbing memb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by applying a rotating scrubbing force drawing a circular trajectory; The scrubbing member is a shaft rotated by a drive motor; A holder connected to the shaft; And polishing bars individually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바들은 상기 홀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olishing bars are arrang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바들 각각은 일직선으로 곧은 막대형상 또는 회전 방향으로 라운드진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olishing bars has a rod shape that is straight in a straight line or roun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바들 각각은 글라스 기판과 접촉하는 아래면이 상기 홀더에 부착되는 윗면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olishing bars preferably has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lass substrate than the upper surface attached to the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상기 연마바를 자력으로 고정하기 위한 자석; 및 상기 연마바에 형성된 삽입홈들에 삽입되는 고정핀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may include a magnet for magnetically fixing the polishing bar; And fixing pins inserted into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polishing b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바들 각각은 금속 재질의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제공되는 완충 작용을 위한 쿠션패드; 상기 쿠션패드의 저면에 제공되고 글라스 기판과 면 접촉하는 저면을 갖는 원판 형상의 클리닝 패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olishing bars is a metal upper plate; A cushion pad for a cushioning action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a disk-shaped cleaning pad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ad and having a bottom surfac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lass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 유닛들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글라스 기판의 상면을 세정하는 제1 세정 유닛들; 및 상기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글라스 기판의 저면을 세정하는 제2 세정 유닛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units include: first cleaning units for cleaning an uppe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moved by the conveyor unit; And second cleaning units for cleaning a bottom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moved by the conveyo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세정 유닛들과 상기 제2세정 유닛들은 글라스 기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leaning units and the second cleaning unit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a glass substrate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기판의 표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유닛은 글라스 기판의 표면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면서 글라스 기판의 표면을 원형의 궤적을 그리는 회전하는 스크러빙 힘을 작용시켜 글라스 기판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러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러빙 부재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이 흐르는 제1유로를 갖는 샤프트;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는 제2유로를 갖는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저면에 다수의 자석을 갖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마바들을 포함한다.The cleaning unit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rotating scrubbing force to draw a circular trajectory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while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scrubbing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glass substrate Including a member; The scrubbing member is rotated by a drive motor, the shaft having a first flow path for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A holder having a second flow passag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low passage and connected to the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magnets at a bottom thereof; And polishing bar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lder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바들은 상기 홀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olishing bars are arrang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바들 각각은 일직선으로 곧은 막대형상 또는 회전 방향으로 라운드진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olishing bars has a rod shape that is straight in a straight line or roun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바들 각각은 상기 홀더로부터 탈착될 때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olishing bars further includes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an operator when detached from the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상기 연마바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ncludes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polishing b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바는 금속 패드; 상기 금속패드의 저면에 제공되는 완충 작용을 위한 쿠션패드; 상기 쿠션패드의 저면에 제공되고 글라스 기판과 면접하는 저면을 갖는 원판 형상의 클리닝 패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shing bar comprises a metal pad; A cushion pad for a cushioning action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etal pad; It includes a disk-shaped cleaning pad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ad and having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lass substrate.
본 발명에 의하면, TFT-LCD셀(이하 글라스 기판이라고 함) 표면상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a TFT-LCD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lass substrate) can be effectively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막대 형상의 연마 패드들을 사용함으로써 중앙에서 가장자리까지 영점 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zero adjustment accuracy from the center to the edge by using rod-shaped polishing pad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면적을 줄여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ibration and noise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마바들의 개수를 늘이거나 줄여서 세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leaning powe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polishing ba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본 실시예에서 글라스 기판은 TFT공정과, CF공정을 거친 두개의 글라스를 합착하고 절단한 후 그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TFT-LCD 셀(Cell)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은 유리 기판과 같은 평판형 기판에 대한 세정 공정, 특히 모듈 공정에서 글라스 기판의 양면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직전에 행해지는 세정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lass substrate may be a TFT-LCD cell in which a liquid crystal is injected therebetween after bonding and cutting two glasses through a TFT process and a CF process, and the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preferably used to perform a cleaning process for a flat substrate such as a glass substrate, in particular, a module process in order to perform the cleaning process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to both surfaces of the glass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기판을 세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cleaning a glass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1)은 전처리 세정부(10), 메인 세정부(20), 세척부(30), 건조부(40) 그리고 세정액 공급부(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glass
본 발명의 기판 세정 시스템(1)은 세정부(10), 메인 세정부(20), 세척부(30) 그리고 건조부(40)가 일렬로 배치되며, 글라스 기판(2)이 세정부(10), 메인 세정부(20), 세척부(30) 그리고 건조부(40)를 통과하는 동안 전처리 세정, 메인 세정, 세척 그리고 건조 공정 등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전처리 세정부(10)에서는 글라스 기판(2)이 메인 세정부(20)로 유입되기 전에 글라스 기판 표면 상의 이물(특히 입자가 큰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세정 공정이 진행된다. 전처리 세정부(10)는 글라스 기판(2)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유 닛(12), 반송되는 글라스 기판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4)들 그리고 반송되는 글라스 기판(2)의 상면과 저면을 밀착 회전하면서 입자가 큰 이물을 제거하는 롤 브러쉬 유닛(16)들을 포함한다. In the
메인 세정부(20)에서는 전처리 세정부(10)에서 1차 세정 처리된 글라스 기판의 표면상에 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스크러빙 부재들을 사용하여 고착성 이물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이 진행된다. 메인 세정부(20)는 아래위 한쌍으로 이루어진 반송롤러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과, 스크러빙 부재를 갖는 세정 유닛들 그리고 노즐드를 포함하며, 메인 세정부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세척부(30)에서는 메인 세정부(20)에서 세정이 완료된 글라스 기판을 초순수로 세척하는 세척 공정이 진행된다. 세척부(30)는 글라스 기판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유닛(32)과 글라스 기판의 상면과 저면으로 초순수를 분사하는 초순수 분사 노즐(34)들을 포함한다. In the
건조부(40)에서는 세척부(30)에서 세척된 글라스 기판상에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 공정이 진행된다. 건조부(40)는 글라스 기판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유닛(42)과 글라스 기판에 물기를 에어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에어 나이프 노즐(44)들을 포함한다. In the
세정액 공급부(50)는 세정액이 저장되어 있는 탱크(52), 탱크(52)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액을 전처리 세정부(10)의 노즐(14)들과 메인 세정부(20)의 노즐들 그리고 세정 유닛들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54) 및 공급라인(54)에 설치된 펌 프(56) 그리고 필터(58) 등을 포함한다. 전처리 세정부 및 메인 세정부에서 사용된 세정액은 회수라인(59)을 통해 다시 탱크(52)로 회수된다. The cleaning
본 발명의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1)은 전처리 세정 공정부터 건조 공정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판 세정 시스템에는 편광판 부착을 위한 설비가 인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glass
참고로, 세척부(30)와 건조부(40)에서는 글라스 기판으로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기판의 저면만을 지지하면서 반송하는 회전롤러들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컨베이어 유닛(32,42)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전처리 세정부(10)와 메인 세정부(20)에서는 글라스 기판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전처리 세정부(10)와 메인 세정부(20)에서 글라스 기판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유닛은 글라스 기판의 상면과 저면을 모두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일군의 제1,2회전롤러들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in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세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세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세정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main cleaning unit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of the main cleaning unit sho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unit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세정부(20)는 컨베이어 유닛(100), 세정 유닛(200)들 그리고 세정액 분사 노즐(500)들을 포함한다.2 to 4, the
컨베이어 유닛(100)은 일군의 제1,2회전롤러(110,120)들과, 일군의 제1,2회전롤러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2회전롤러(110,120)들은 일방향으로, 예를 들면 글라스 기판(2)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제1회전롤러(110)는 글라스 기판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되며, 제2회전롤러(120)는 제1회전롤러(110)와 대향되게 글라스 기판의 상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1회전롤러(110)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회전롤러(110)와 제2회전롤러(120) 사이에 있는 글라스 기판은 이들 롤러들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구동부(1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132)과, 동력원(132)의 회전력을 제1,2회전롤러(110,120)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132)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전기력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 또는 화학에너지를 기계적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엔진을 포함할 수있다. 동력 전달부(134)는 동력원(132)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제1,2회전롤러(110,120)들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력 전달부(134)는 기어들의 조합이나, 타이밍 벨트와 다수의 풀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동력 전달이 정확한 기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좋다.The
세정 유닛(200)은 컨베이어 유닛(100)에 의해 반송되는 글라스 기판의 이송 경로상에 설치되며, 스크러빙 부재(210)와 승강부재인 실린더(250) 그리고 공압 공급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세정 유닛(200)들은 컨베이어 유닛(100)에 의해 이동되는 글라스 기판의 상면을 세정하는 상면 세정용 세정 유닛(제1세정 유닛)들과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글라스 기판의 저면을 세정하는 저면 세정용 세정 유닛(제1세정 유닛)들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세정 유닛들과 제2세정 유닛들은 글라스 기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0에서와 같이, 제1세정 유닛들과 제2세정 유닛들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ing
도 3에서와 같이, 세정 유닛(200)들은 글라스 기판이 이송되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2열로 배치된다. 물론, 글라스 기판의 크기 등에 따라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열에는 3개의 세정 유닛들이 배치되고 제2열에는 제1열의 세정 유닛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2개의 세정유닛들이 배치된다. 제1열의 세정 유닛들 사이의 간격(D1)은 제2열의 세정 유닛들의 클리닝 패드의 지름(D2)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열의 세정 유닛들과 제2열의 세정유닛들은 세정 영역이 오버랩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3, the cleaning
한편, 제1열의 3개의 세정 유닛들 중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세정 유닛들은 글라스 기판(2)의 폭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열의 양측 세정 유닛들에는 폭 방향 이동을 위한 직선구동부(290)(도 2에 표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직선 구동부(290)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볼스크류 방식, 리니어 모터 또는 벨트 풀리 방식과 같은 다양한 직선 구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among the three cleaning units in the first row, the cleaning units disposed at both edges thereof ar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그리고,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세정 유닛들은 글라스 기판의 측면을 걸친 상태에서 세정을 하게 되면 클리닝 패드(226)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연마바(220)들이 글라스 기판(2)의 측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에서 글라스 기판을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leaning units disposed at both edges are positioned so that the polishing bars 220 do not leave the side of the
본 발명의 세정 시스템(1)은 글라스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세정 유닛들의 세 정 폭을 조정할 수 있다. The
스크러빙 부재(210)는 글라스 기판의 표면상에서 원형의 궤적을 그리는 회전하는 스크러빙 힘을 작용시켜 글라스 기판(2)의 이물을 제거한다. 스크러빙 부재(210)는 구동모터(212), 샤프트(214), 홀더(216) 그리고 연마바(220)들을 포함한다. The scrubbing
도 5는 연마바들이 설치된 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연마바들이 설치된 홀더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holder in which polishing bars are installed. 6 is a view of the holder with the polishing bars installed from the bottom.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샤프트(214)는 구동모터(212)에 의해 회전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이 흐르는 제1유로(214a)를 갖는다. 5 to 7, the
홀더(216)는 샤프트(214)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1유로(214a)와 연통되는 제2유로(216a)를 갖는다. 홀더(216)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홀더(216)는 연마바(220)들을 자력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자석(217)들과 연마바(220)에 형성된 삽입홈(221)들에 삽입되는 고정핀(2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218)은 원심력에 의해 연마바(220)들이 홀더(21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과 홀더(216)와 연마바(220)들의 위치정렬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홀더(216)의 자석(217)들과 고정핀(218)은 연마바(220)들의 탈부착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The
연마바(220)들은 홀더(216)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마바(220)들은 홀더(216)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연마바(220)는 일직선으로 곧은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8에서와 같이, 연마바(220)는 회전 방향으 로 라운드진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한편, 연마바(220)는 글라스 기판과 접촉하는 아래면이 홀더에 부착되는 윗면보다 좁을 수 있다. 연마바(220)들은 소모품으로써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는 새로운 연마바들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연마바(220)들은 홀더(216)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해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자력을 이용한 탈부착 방식이 적용된다. The polishing bars 220 are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도 7에서와 같이, 연마바(220)는 3개의 서로 다른 재질의 층으로 구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마바(220)는 상부층에 해당되는 금속(steel) 재질의 상판(222), 하부층에 해당되고 글라스 기판(2)과 면접촉하는 저면을 갖는 클리닝 패드(226) 그리고 중간층에 해당되는 완충을 위한 쿠션 패드(224)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패드(226)는 글라스 기판(2)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글라스 기판 상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소프트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 패드(224)는 글라스 기판을 세정하는 과정에서 글라스 기판으로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As shown in FIG. 7, the polishing
연마바(220)들은 클리닝 패드(226)의 저면(226a) 중심(회전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세정액을 흐르게 함으로써 세정시 글라스 기판으로부터 떨어져나온 이물제거가 용이하고 제거된 이물이 원활하게 클리닝 패드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The polishing bars 220 allow the cleaning liquid to flow from the center (rotational center) of the
도 9는 실린더와 공압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ylinder and the pneumatic supply.
도 9를 참조하면, 실린더(250)는 연마바(220)들이 글라스 기판(2)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스크러빙 부재(210)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로써, 실린더(250)는 외부 공기와 충분히 밀폐되어 있는 실린더 몸체(251)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 톤(252), 피스톤(252)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피스톤 로드(253)를 포함하고 있으며 실린더 몸체(251)의 상방과 하방에는 각각 공기의 입출입을 위한 공기 입출포트(254.256)가 구비된다. 공기 입출포트(254,256)에는 공압 공급부(26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라인(262,263)이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52)의 일단에는 연결브라켓(259)을 통해 스크러빙 부재(210)와 연결된다. 실린더(250)는 피스톤(252)에 의해 격리된 두 공간을 제 1 공기실(257)과 제 2 공기실(258)이라고 부르고 제 1 공기실(257)과 제 2공기실(258)의 공기 압력의 차가 피스톤(252)의 운동을 유발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공압 공급부(260)는 연마바(220)들이 일정한 압력으로 글라스 기판을 가압하도록 실린더(250)에 작동압력을 제공한다. 즉, 세정 유닛(200)들 각각의 연마바(220)들이 모두 동일한 면압력으로 글라스 기판(2)을 가압해야만 동일한 세정이 가능하다. 만약, 글라스 기판(2)의 특정 구역에 굴곡이 있거나 또는 두꺼운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그 해당 구역을 세정하는 세정 유닛의 연마바(220)들에는 기설정된 면압력보다 높은 압력 변화가 생기게 됨으로써 동일한 세정이 불가능해진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 공급부(260)는 이러한 실린더(250) 내부의 작동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글라스 기판을 세정할 수 있는 구성들을 포함한다. The
공압 공급부(260)는 에어 공급원(261)과, 에어 공급원(261)으로부터 제1공기실(257)과 제2공기실(258)로 에어를 제공하는 제1,2에어라인(262,263), 제1에어라인(262) 상에 설치되는 전공 레귤레이터(270)와 밸브(264) 그리고 제2에어라 인(263)상에 설치되는 정압 레귤레이터(266)를 포함한다. The
제2공기실(258)에는 제2에어라인(263)을 통해 항상 일정한 제1에어 압력이 제공된다. 그리고 글라스 기판의 세정 공정이 진행될 시점에서는 제1공기실(257)로 제1에어라인(262)을 통해 제1에어 압력보다 큰 제2에어 압력이 제공됨으로써, 제 1 공기실(257)과 제 2공기실(258)의 공기 압력의 차로 인해 피스톤(252)이 이동하여 연마바(220)가 글라스 기판(2)의 표면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The
한편, 제1에어 라인(262)에 설치되는 전공 레귤레이터(270)는 실린더(250)에 제공되는 작동압력(제2에어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작동압력을 조절한다. 전공 레귤레이터(270)는 실린더의 제1공기실(257)로 제공된 작동압력(제2에어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272)와, 센서(272)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기설정된 압력값보다 올라가는 경우 기설정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작동 압력을 외부로 배기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74)를 포함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연마바(220)들이 글라스 기판(2)의 표면에 면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글라스 기판에 이물로 인해 실린더(250)의 제1공기실(257)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센서(272)가 이를 감지하고 솔레노이드 밸브(274)는 이러한 센서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제1공기실(257)과 전공 레귤레이터(270) 사이의 에어라인의 에어 일부를 배출하여 자동으로 일정 압력으로 조절시켜준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실린더에 에어를 제공하는 공압 공급부에 전공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공압을 컨트롤 함으로써 세정 유닛들의 각각의 연마바들의 면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기판을 세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cleaning a glass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세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main cleaning unit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세정부의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of the main cleaning unit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세정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unit shown in FIG.
도 5는 연마바들이 설치된 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holder in which polishing bars are installed.
도 6은 연마바들이 설치된 홀더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6 is a view of the holder with the polishing bars installed from the bottom.
도 7은 도 6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8은 라운드진 막대형상의 연마바들이 설치된 홀더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of the holder provided with rounded bar-shaped polishing bars from the bottom.
도 9는 실린더와 공압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ylinder and the pneumatic supply.
도 10은 세정 유닛들의 다른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0 shows another arrangement of cleaning unit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처리 세정부10: pretreatment cleaning unit
20 : 메인 세정부20: main cleaning unit
30 : 세척부30: cleaning unit
40 : 건조부40: drying unit
100 : 컨베이어 유닛100: conveyor unit
200 : 세정 유닛200: cleaning unit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8132A KR101022782B1 (en) | 2009-04-30 | 2009-04-30 | Glass substrate cleaning unit and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8132A KR101022782B1 (en) | 2009-04-30 | 2009-04-30 | Glass substrate cleaning unit and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9169A KR20100119169A (en) | 2010-11-09 |
KR101022782B1 true KR101022782B1 (en) | 2011-03-17 |
Family
ID=4340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8132A KR101022782B1 (en) | 2009-04-30 | 2009-04-30 | Glass substrate cleaning unit and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27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6042B1 (en) * | 2017-08-25 | 2019-05-07 | 최충호 | Apparatus for removing burr |
JP7564693B2 (en) * | 2020-11-26 | 2024-10-09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Underside brush, brush unit and substrate cleaning device |
CN115712210B (en) * | 2022-11-10 | 2024-05-28 | 江西夺胜电子科技有限公司 | LCD automatic paster production lin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4674A (en) | 1996-11-25 | 1998-06-09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and scrub cleaning member |
JP2003067918A (en) | 2001-08-27 | 2003-03-07 | Nippon Sheet Glass Co Ltd | Cleaning disk, scrub cleaning method using the cleaning di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fo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
KR20050108744A (en) * | 2004-05-13 | 2005-11-17 |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 Cleaner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
JP2008288517A (en) | 2007-05-21 | 2008-11-27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Brush for cleaning substrate, and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
-
2009
- 2009-04-30 KR KR1020090038132A patent/KR1010227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4674A (en) | 1996-11-25 | 1998-06-09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and scrub cleaning member |
JP2003067918A (en) | 2001-08-27 | 2003-03-07 | Nippon Sheet Glass Co Ltd | Cleaning disk, scrub cleaning method using the cleaning di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fo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
KR20050108744A (en) * | 2004-05-13 | 2005-11-17 |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 Cleaner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
JP2008288517A (en) | 2007-05-21 | 2008-11-27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Brush for cleaning substrate, and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9169A (en) | 2010-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4439B1 (en) | Glass substrate cleaning unit and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1085190B1 (en) |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ubstrate cleaning equipment using same | |
KR101004438B1 (en) |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 |
KR101022782B1 (en) | Glass substrate cleaning unit and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0796372B1 (en) | Display panel cleaner | |
KR10122695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substrae, and facility for cleanig substrate using the same | |
KR20110111820A (en) | Compact glass polishing system with cleaning and drying equipment | |
KR100871135B1 (en) | Substrate Cleaning Equipment | |
JP200616752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of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 |
KR101004437B1 (en) | Glass substrate cleaning unit and glass substrate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1069889B1 (en) | unit for cleaning glass substrate and system for cleaning glass substrate having the same | |
JP2000254605A (en) | Cleaning device for flexible substrate | |
KR101009047B1 (en) | Substrate Cleaning Device | |
KR100884732B1 (en) | Display panel cleaner | |
KR20110103924A (en) | Substrate cleaning device and substrate cleaning equipment using the same | |
CN100389891C (en) | Panel cleaning apparatus and producing method for panel | |
KR20110081545A (en) | Substrate conveying conveyor device and substrate processing device | |
KR20140000375A (en) | Apparatus for cleaning panel | |
KR101145776B1 (en) | Apparatus for cleaning substrae | |
KR20130092315A (en) | Film cleaning apparatus for substrate | |
KR20080109495A (en) | Ion Air Knife and Substrate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100548944B1 (en) | Carrier of plate member | |
KR101310091B1 (en) | Cleaning apparatus for thin film | |
KR102278073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 |
KR20060013882A (en) | Substrate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