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323B1 -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323B1
KR101022323B1 KR1020080074939A KR20080074939A KR101022323B1 KR 101022323 B1 KR101022323 B1 KR 101022323B1 KR 1020080074939 A KR1020080074939 A KR 1020080074939A KR 20080074939 A KR20080074939 A KR 20080074939A KR 101022323 B1 KR101022323 B1 KR 10102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irder
forming
plat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426A (ko
Inventor
계문교
Original Assignee
계문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문교 filed Critical 계문교
Priority to KR102008007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3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베이스프레임(2); 상기 베이스프레임(2) 위에 설치되는 바닥저면폼(6); 제1측부프레임(8)의 내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외측면폼(10); 내측면폼(14); 상기 내측면폼(14)을 지지하기 위한 제2측부프레임(16); 상기 제2측부프레임(16)을 상기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수(懸垂)수단(20);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1측부프레임(8)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현수수단(20)을 기동시키기 위한 현수수단 기동부; 상기 거더(104)의 마구리면을 성형하기 위한 마구리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74939
거푸집, 거더, 교량, 콘크리트, 장치, 몰드

Description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본 발명은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철, 도로 등을 지상 또는 수면 위의 공중에 시공하기 위하여 교량 공사를 하여야 한다. 여러 가지의 교량 시공방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축조된 교각 위에 거더(girder, 대들보)를 연속되게 얹고 그 위에 슬래브 또는 철도 선로를 설치하게끔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철과 같은 궤도차량의 주행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거더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교량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가 제공하고자 하는 거더의 사시도이다.
지면에 콘크리트 기초(100)가 놓이고, 기초 위에 교각(102)이 축조된다. 교각(102) 위에 단면이 대략 유(U)자 형태인 거더(104)가 놓이며 거더(104) 위에 궤도차량을 위한 선로가 놓인다. 거더(104)는 평평한 바닥판(108)과 바닥판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110)과 일단이 상기 측판(110)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상판(11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거더(104)의 단면은 넓적한 그릇의 형태를 취한다. 거더(104)의 폭은 7 ~ 9m 정도가 된다. 상판(112)은 플랫홈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작업자 1인이 통행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며 상판(112)의 가장자리에는 난간이 설치된다. 거더(104)의 마구리면에는 거더(104) 상호간을 요철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측 마구리면에는 돌기(통상 '전단키(key)'라 일컫는다. 이하 전단키(114)로 명칭하기로 한다)가 타측 마구리에는 전단키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전단키(114)와 홈은 거더의 전단면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또한 거더(104)에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강선홀(116)이 전단면을 따라 마련된다. 이 강선홀(116)은 PSC빔을 위한 강선을 삽입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거더를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거더와 거더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게 설치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평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바닥판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바닥저면폼; 상기 베이스프레임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측부프레임; 상기 측판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에 상기 제1측부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외측면폼; 상기 측판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면폼; 상기 내측면폼을 지지하기 위한 제2측부프레임; 상기 제2측부프레임으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수(懸垂)수단; 상기 제2측부프레임이 상기 현수수단에 의해 매달린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외측면폼에 인접하는 위치로 힌지운동하게 하는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1측부프레임을 기동시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부에 선택적으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한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2 측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직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현수수단을 기동시키기 위한 현수수단 기동부; 거더의 마구리면을 성형하기 위한 마구리판; 상기 마구리판을 지탱시키기 위한 마구리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플랫홈의 기능을 위해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끔 상기 측판 상단 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상판을 동시에 성형하기 위한 상판성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판성형수단은 상기 내측면폼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면폼과 함께 기동되는 상판폼; 상기 거더의 양쪽 상단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서리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더의 마구리면 한쪽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폼은 이미 양생된 거더의 마구리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이미 양생된 거더가 놓인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거더이송대를 더 포함하며; 이 거더이송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저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아가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유압잭이 상부에는 설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들어 올린 후 위치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정한 단위 길이를 가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작업자는 성형된 거더를 운반해 시공현장에서 즉시로 연결 설치할 수 있어 교량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량의 직선구간이나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거더를 하나의 장치로써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이미 양생된 거더의 마구리면을 거푸집의 일부로 이용함으로써 이미 양생된 거더와 정확하 게 암수결합되도록 하는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작업의 진행상태에 따른 정면 구성도이다. 도 9는 측면구성도이다. 도 10은 곡선구간에 연속 설치되는 거더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11은 거더와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평면구성도이다. 거더에 대하여는 도 2를 통해 부여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바닥판(108), 상기 바닥판(108)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측판(110) 및 중심을 향해 연장되도록 측판(110) 상단에 설치되는 상판(112)으로 구성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이하, '거더'라 한다)를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거더(104)는 일정한 단위길이(예를 들어 3 ~ 3.5m)로 제작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닥판(108)이 얹히게 되는 베이스프레임(2)은 여러 개의 다리(4)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바닥판(108)의 저면(108a)을 성형하기 위한 바닥저면폼(6)이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2)의 각 다리(4)의 끝단에는 스크류(4a)가 설치되어 바닥저면폼(6)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 록 하고 있다.
제1측부프레임(8)이 베이스프레임(2)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다. 외측면폼(10)은 측판(110)의 외면(110a)을 형성하기 위에 제1측부프레임(8)의 내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다. 제1측부프레임(8)은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에 의해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측면폼(14)은 거더의 측판 내면(110b)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측부프레임(16)에 의해 지지된다. 현수(懸垂)수단(20)은 제2측부프레임(16)으로 하여금 베이스프레임(2)의 직상부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한다. 현수수단 기동부는 제2 측부프레임(16)이 베이스프레임(2)의 직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현수수단(20)을 기동시킨다.
이하, 현수수단 기동부를 설명한다. 제2측부프레임(16)은 현수수단(20)이 지면에 부착되는 레일(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베이스프레임(2) 위에 설치될 수 있다. 현수수단(20)의 저면에는 레일(22)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제1바퀴(24)가 설치되고 있다. 레일(22)은 제2측부프레임(16)이 베이스프레임(2)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지점으로 위치되거나(도 3과 도 9 참조) 제2측부프레임(16)이 베이스프레임(2) 직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길게 설치된다(도 6 및 도 7의 상태 참조).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는 제2측부프레임(16)이 현수수단(20)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내측면폼(14)에 인접하는 위치로 힌지운동하게끔 한다.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에 의해 제1측부프레임(8)과 베이스프레임(2)이 최대한 인접되게 되면 바닥저면폼(6)과 외측면폼(10)은 틈새없이 서로 접하여 거더의 바닥판 저면(108a) 및 측판의 외면(110a)과 대응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거더의 상판은 선택적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측판에 흡수되어 설명될 수 있다. 상판을 성형하기 위한 상판성형수단은 내측면폼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면폼과 함께 기동되는 상판폼(12)과; 거더의 양쪽 상단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서리폼(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성형수단은 상판(112)의 구체적 형상에 따라 좌우될 것이며 요구하는 형상에 따라 당업자는 얼마든지 형태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현수수단(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수수단(20)은 저면에 제1바퀴(24)가 설치되는 대차(26); 대차(26)의 후단에 직상방향으로 세워지는 기둥체(28); 및 상기 대차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기둥체(28)의 상단에 설치되는 루프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대차(26)와 루프프레임(30)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현수수단(20)은 측면도인 도 9를 참조하면 디귿(ㄷ)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루프프레임(30)은 기다란 외팔보의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루프프레임(30)과 제2측부프레임(16)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루프프레임(30)의 선단에는 처짐방지대(32)가 설치된다. 처짐방지대(32)는 거푸집의 합체후 베이스프레임(2) 등 고정체의 상면에 지지된다. 대차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대차(26)에도 스크류(26a)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의 3차원적 형체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은 단위중량을 감소시키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H-형강 또는 L-형강 등으로 제작된다. 다만 도면에는 4각봉의 형태로 간략하게 표현되었다.
이하,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에 대하여 도 3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러스 구조의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가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제1실린더(36)가 제1측부프레임(8)과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의 경계부위에 설치된다. 제1측부프레임(8)과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의 경계부위에는 용이한 이동을 위한 레일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1실린더(36)의 일측은 제1측부프레임(8)에, 타측은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변환을 겪게 된다. 이로써 제1측부프레임(8)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바닥저면폼과 외측면폼의 선택적 합체를 가능하게 한다. 때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부프레임(8)은 약간 아래 방향으로 향하면서 외측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제1측부프레임(8)과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의 경계를 비스듬하게 설정하면 된다.
이하, 도 3과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는 상단은 루프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레버(38)와, 루프프레임(30) 하부에 직삼각 형태로 고정되는 브래킷(40)을 통해, 일단은 루프프레임(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레버(38)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실린더(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측부프레임(16)은 관절 형태로 연결된 부위를 가지는데, 이는 폼의 분리시 제2측부프레임(16)의 말단부가 양생된 거더에 부딪히지 않도록 힌지축을 기준으로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제2측부프레임의 말단부(16a)는 제3실린더(46)의 길이변환에 의해 관절 형태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거더의 마구리면을 형성하기 위한 마구리판이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처음으로 제작되는 거더는 양쪽 마구리에 각각 마구리판을 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지만, 그 다음부터는 한쪽 마구리에는 앞서 제작된 거더로하여금 마구리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이미 제작된 거더를 한쪽 마구리판으로 대용하는 것은 거더와 거더의 정밀한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는 현장에서 거더를 연결할 때 연결부위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용이한 방책이 된다. 거더로 하여금 한쪽 마구리판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해 거더를 베이스프레임(2)의 앞쪽에 선단에 위치시켜야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마구리판프레임(48)은 마구리판(50)을 지탱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구리판(50)에는 전단키(114, 도 2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전단키성형부(5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PSC용 강선을 삽입하여 관통시키기 위한 파이프홀(54)이 타공되어 있다. 이 강선홀에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기다란 원형파이프가 인입되어 고정된다. 이 원형파이프는 거더의 양생에 의해 그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하나의 거더가 양생되면 그에 사용되었던 베이스프레임(2)은 거더를 받쳐 들고 도 5 또는 도 9상 "A"의 위치에서 "B"의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A"의 빈자리에는 재차 새로운 베이스프레임(2')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존의 베이스프레임(2)과 새로 설치한 베이스프레임(2') 사이에는 고정바(56)를 연결하여 서로간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생된 거더를 위치이동시키 위한 베이스프레임기동부가 더 제공된다. 거더는 기중기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들어올린후 이송시킬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압잭(58)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을 약간만 들어올린후 이동시키고 있다. 베이스프레임기동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변화될 수 있는 기중용 유압잭(58)과 레일(22)을 따라 직선운동되는 대차 형태로 된 거더이송대(60)를 포함한다. 기중용 유압잭(58)은 거더이송대(60)의 상면에 설치된다. 거더이송대(60)는 감속기(62) 및 제2바퀴(64)가 설치되는 하체프레임(66); 하체프레임(66) 위에 상대적 위치이동이 가능하게끔 얹히는 상체프레임(68); 및 하체프레임(66)에 대하여 상체프레임(68)을 도면상(도 6 및 도 11의 L1 구간 참조)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끔 제4실린더(70)가 설치된다. 제4실린더(70)는 러그를 통해 일측은 하체프레임(66)에 타측은 상체프레임(68)에 연결된다. 상체프레임(68)과 하체프레임(66)의 경계에는 마찰판이 개입되어 그들의 상대적 마찰운동을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체프레임(66)은 상기 레일(22)과 레일(22) 사이에 놓이게 되고, 상기 양 레일(22)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제2바퀴(64)와 이의 감속을 위한 감속기(62)가 양단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거더이송대(60)는 베이스프레임(2)과 양생된 거더를 마치 지게차처럼 떠서 도 9의 도면상 우측으로, 즉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송시킨후 내려놓는다. 이송거리는 거더의 길이에 해당되어야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곡선구간의 교량에 설치되는 거더를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10 내지 도 11의 평면 구성도를 통해 개념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거더는 전철 등의 선로가 놓이는 곳이어서 변곡률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도시된 것처럼 큰 곡률을 가지지는 아니한다. 즉, 도 10 내지 도 11은 이해의 편이를 위해 곡률 등을 다소 과장되게 표현하고 있다.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거더(10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직사각형이 아니며 대략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어져야 한다. 거더의 제1변(P1)과 제2변(P2)는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제3변(P3)은 제1변과 직각을 이루는 변(P3')에 대하여 최대 4 ~ 5°의 각도(α)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다리꼴 평면 형태를 가지는 거더를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 장치의 각 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도 11은 곡선부위에 사용되는 거더와 그의 거푸집의 관계를 평면도로써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미 양생된 거더(104')가 새로 성형될 거더(104)의 마구리판 기능을 한다고 이미 언급한바 있다. 이미 양생된 거더(104')는 거더이송대(60)에 의해 도 11의 도면상 아래의 위치로 이동된다(도 9에서는 우측으로). 나아가 새로 성형될 거더(104)와 이미 양생된 거더(104')는 소정의 각도(β)로 비뚤어진 상태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의하면 이미 양생된 거더의 선단(104'a)은 L1의 구간만큼 이동되어야 하며 새로 성형할 거더(104)의 일측판 외면을 성형하기 위한 외측면폼(10)은 L2의 구간만큼 뒤로 후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새로 성형할 거더(104) 의 마구리판(50) 또한 필요에 따라 L3의 구간만큼 각도변화를 겪어야할 것이다.
이미 양생된 거더(104')를 L1의 구간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위에 설명된 제4실린더(70)이다. 그리고 외측면폼(50)을 L2의 구간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5실린더(72)이다. 제5실린더(72)는 일단이 제1측부프레임(8)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면폼(10)에 연결되며, 제1측부프레임(8)의 높이방향을 따라 3~ 4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5실린더(72)는 베이스프레임 양측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제1측부프레임(8)에 각각 설치된다. 물론 제1측부프레임(8)과 외측면폼(10)은 상대적 유동이 가능하게끔 연결된다. 상대적 유동이란 약간(5 ~ 15cm)의 슬립이 가능하다는 정도이다.
마구리판(50) 역시 제6실린더(74)에 의해 L3의 구간에 해당하는 만큼 움직거릴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마구리판(50)은 도 11의 도면상 좌우 임의방향으로 비틀린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베이스프레임(2)과 제1측부프레임(8)만이 합체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마구리판프레임(48)이 베이스프레임(2)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는 거더를 처음으로 양생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마구리판(50)을 통해 강선홀(116)을 만들기 위한 원형파이프를 파이프홀(54)에 설치한다. 그리고 거더의 바닥판(108)을 성형하기 위해 바닥저면폼(6) 위에 콘크리트를 일정 두께로 타설하여 일정시간 경과하도록 놓아둔다.
바닥판이 어느 정도 경화된 후, 제2측부프레임(16)이 현수수단 기동부에 의해 현수수단(20)에 매달린 채로 베이스프레임(2) 직상부로 이동하여 도 4의 도시된 지점에 위치되며(도 6 참조),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에 의해 거푸집이 완전히 합체되게 된다. 이후 내측면폼(14)을 고정시키기 위해 수작업으로 버팀봉(76)을 제2측부프레임(16) 사이에 설치한다(도 7 참조). 그리고 거더의 측판(110)을 성형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러면 도 7의 상태가 된다.
시간이 경과하여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게 되면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에 의해 외측면폼(1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고,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는 내측면폼(14)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현수수단 기동부는 현수수단(20)으로 하여금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후퇴하도록 한다. 이후에 거더이송대(60)가 베이스프레임(2) 밑으로 이동하여 베이스프레임(2)을 들어올려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양생된 거더(104')를 이송시킨다. 이제부터 양생된 거더(104')는 일측 마구리판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2)이 원래 설치되어 있던 지점에는 새로운 베이스프레임(2')이 설치되어 새로운 거더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된 각 실린더(36,42,46,70,72,74)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길이변환되는 스크류잭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제3,6실린더(46,74)는 스크류잭으로 하는 것이 구성의 간편성을 위해 더 바람직하다.
도 1은 교량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가 제공하고자 하는 거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작업의 진행상태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10은 곡선구간에 연속 설치되는 거더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11은 거더와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평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베이스프레임 6 ; 바닥저면폼
8 ; 제1측부프레임 10 ; 외측면폼
12 ; 상판폼 14 ; 내측면폼
16 ; 제2측부프레임 18 ; 모서리폼
20 ; 현수수단 22 ; 레일
26 ; 대차 28 ; 기둥체
30 ; 루프프레임 48 ; 마구리판프레임
36,42,46,70,72,74 ; 제1,2,3,4,5,6실린더
50 ; 마구리판 60 ; 거더이송대
104 ; 거더

Claims (4)

  1. 바닥판(108), 상기 바닥판(108)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게 설치되는 측판(110)으로 구성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104)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 상기 바닥판의 저면(108a)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 위에 설치되는 바닥저면폼(6); 상기 베이스프레임(2)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측부프레임(8); 상기 측판의 외면(110a)을 형성하기 위에 상기 제1측부프레임(8)의 내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외측면폼(10); 상기 측판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면폼(14); 상기 내측면폼(14)을 지지하기 위한 제2측부프레임(16); 상기 제2측부프레임(16)으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수(懸垂)수단(20); 상기 제2측부프레임(16)이 상기 현수수단(20)에 의해 매달린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외측면폼(10)에 인접하는 위치로 힌지운동하게 하는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1측부프레임(8)을 기동시켜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양측부에 선택적으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한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2 측부프레임(16)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 직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현수수단(20)을 기동시키기 위한 현수수단 기동부; 상기 거더(104)의 마구리면을 성형하기 위한 마구리판(50); 상기 마구리판(50)을 지탱시키기 위한 마구리판프레임(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플랫홈의 기능을 위해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끔 상기 측판 상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상판(112)을 동시에 성형하기 위한 상판성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판성형수단은 상기 내측면폼(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면폼(14)과 함께 기동되는 상판폼(12); 상기 거더(104)의 양쪽 상단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부프레임(8)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서리폼(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마구리면 한쪽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폼은 이미 양생된 거더(104')의 마구리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이미 양생된 거더가 놓인 상기 베이스프레임(2)을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거더이송대(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더이송대(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 저부에 설치되는 레일(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아가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유압잭(58)이 상부에는 설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2)을 들어 올린 후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이송대(60)는
    상기 레일(22)과 레일(22) 사이에 놓이게 되고, 상기 양 레일(22)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제2바퀴(64)가 양단부에 설치되는 하체프레임(66),
    상기 하체프레임(66) 위에 상대적 위치이동이 가능하게끔 얹히는 상체프레임(68), 그리고
    상기 하체프레임(66)에 대하여 상체프레임(68)을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끔 일측은 하체프레임(66)에 타측은 상체프레임(68)에 연결되는 제4실린더(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1020080074939A 2008-07-31 2008-07-31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10102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39A KR101022323B1 (ko) 2008-07-31 2008-07-31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39A KR101022323B1 (ko) 2008-07-31 2008-07-31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26A KR20100013426A (ko) 2010-02-10
KR101022323B1 true KR101022323B1 (ko) 2011-03-21

Family

ID=4208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939A KR101022323B1 (ko) 2008-07-31 2008-07-31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1127B (zh) * 2010-10-26 2012-07-04 湖南中铁五新钢模有限责任公司 组合箱梁液压内模
CN110820513A (zh) * 2019-11-22 2020-02-2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曲线桥预制混凝土t梁横隔板对齐施工方法
CN113005907B (zh) * 2021-02-21 2022-12-23 广东乐达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便捷式安装的建筑模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417A (ja) * 1995-04-24 1996-11-05 Sumitomo Constr Co Ltd 橋桁セグメントの製作方法
JP2002088718A (ja) 2000-09-12 2002-03-27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箱げた橋の内型枠装置およびその移動方法
KR100369757B1 (ko) 1999-12-27 2003-01-30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아이엘엠용 피씨박스거더 교량제작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세그멘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417A (ja) * 1995-04-24 1996-11-05 Sumitomo Constr Co Ltd 橋桁セグメントの製作方法
KR100369757B1 (ko) 1999-12-27 2003-01-30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아이엘엠용 피씨박스거더 교량제작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세그멘트 제작방법
JP2002088718A (ja) 2000-09-12 2002-03-27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箱げた橋の内型枠装置およびその移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26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07167U (zh) 一种过混凝土连续梁免拆装移动模架
CN109403374A (zh) 用于明挖隧道整体式衬砌的工厂化施工方法
KR101001137B1 (ko)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108638296A (zh) 一种跨座式单轨轨道梁的模板系统及使用方法
CN102660925A (zh) 一种变幅宽曲线桥移动模架
WO2021031354A1 (zh) 移动模架过孔方法及过孔装置
KR101022323B1 (ko)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206016835U (zh) 隧道及地铁工程可变径模板台车
CN110106788B (zh) 轨道梁对接处的后浇段施工方法
KR101082418B1 (ko)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211547804U (zh) 悬臂式挡土墙快速施工装置
CN107642010A (zh) 中低速磁浮交通系统直线段承轨梁
CN108316156B (zh) 移动模板及其施工方法
CN106758577A (zh) 底模可移动的整体移转式跨座式单轨pc轨道梁模板
CN208179881U (zh) 用于单轨轨道梁模板的纵移小车及调节组件
CN208518323U (zh) 一种剪力墙的内墙爬模装置
CN208179882U (zh) 一种跨座式单轨轨道梁的模板系统
CN111119521A (zh) 一种地铁车站的预制站台板及其吊运安装方法
CN206736636U (zh) 底模可移动的整体移转式跨座式单轨pc轨道梁模板
CN202359511U (zh) 一种地铁隧道水沟与道床一次性浇筑模板结构
CN210068192U (zh) 一种箱涵施工用移动式内模台车
CN107288039A (zh) 铁路下承式钢混凝土结合桥面钢桁梁施工方法
CN112593495A (zh) 声屏障基础高大薄板结构混凝土墙施工设备
JPS604116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または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製橋架構造を区分毎に片持張出架設するための装置
CN212318016U (zh) 一种管廊横隔板快速联动施工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