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644B1 - 유아용 젖병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644B1
KR101021644B1 KR1020080118461A KR20080118461A KR101021644B1 KR 101021644 B1 KR101021644 B1 KR 101021644B1 KR 1020080118461 A KR1020080118461 A KR 1020080118461A KR 20080118461 A KR20080118461 A KR 20080118461A KR 101021644 B1 KR101021644 B1 KR 10102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feeding bottle
display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048A (ko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원 filed Critical 박재원
Priority to KR102008011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6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6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fluid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젖병은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꼭지부;와, 상기 용기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용기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용기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용기의 외표면에 경사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기의 상단부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아용 젖병이 제공된다.
젖병, 용기, 눈금, 잔량

Description

유아용 젖병 {FEEDING BOTTLE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상단부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젖병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우유(14) 등의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 젖병 몸체(10) 및, 일단은 그의 중심이 관통된 젖꼭지부(12)를 가지며, 타단은 상기 젖병 몸체(10)의 목부에 견고하게 나사결합되는 젖병 캡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젖꼭지부(12)의 상단은 우유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공(13)을 포함한다. 상기 젖병 몸체(10)의 일면에는 수직선 방향을 따라 수평선에 평행하게 복수개의 눈금선(15)이 제공되고, 상기 눈금선(15)에 제공되어 우유량을 표시하기 위한 숫자(16)이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단계적으로 증가되게 제공된다.
상기 종래의 젖병(1)에서는 상기 젖병 몸체(10)에 제공된 측면 눈금선(15)의 숫자를 통해 우유(14)의 액면에 대응하는 우유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러한 확인은 젖병 몸체(10)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가능하게 되며, 젖병(1)의 상단부가 하 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상태, 즉 유아가 우유(14)를 섭취하는 동안에는 우유(14)의 잔존량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의 외표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경사눈금 및 용기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잔량 표시 숫자부를 통해 용기의 상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용기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아용 젖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경사눈금이 용기의 외표면에 등고선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의 경사각도에 따라 동적인 내용물의 표면과 경사눈금을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용기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커버를 회전시켜 내용물의 표면과 경사눈금을 일치시킴으로써 유아가 내용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잔량 확인을 위해 용기자체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유아가 편안하게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꼭지부;와, 상기 용기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용기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용기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용기의 외표면에 경사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표시부는 상기 용기의 외표면에 등고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는 외측면에 원형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버를 마련하되, 상기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는 상기 커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외표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경사눈금 및 용기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잔량 표시 숫자부를 통해 용기의 상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용기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아용 젖병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경사눈금이 용기의 외표면에 등고선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의 경사각도에 따라 동적인 내용물의 표면과 경사눈금을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이 제공된다.
또한, 용기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커버를 회전시켜 내용물의 표면과 경사눈금을 일치시킴으로써 유아가 내용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잔량 확인을 위해 용기자체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유아가 편안하게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이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젖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은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10)와, 상기 용기(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꼭지부(120)와, 상기 용기(110)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제1표시부(130)와, 상기 용기(110)의 외표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표시부(130)는 상기 용기(110)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눈금(131)과, 상기 용기(110)의 하부로부터 채워지는 내용물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수평눈금(131)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110)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되는 공급량 표시 숫자부(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2표시부(140)는 상기 용기(110)의 외표면에 경사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등고선 형태의 경사눈금(141)과, 상기 용기(110)가 하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경사눈금(141)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11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되는 잔량 표시 숫자부(142)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의 전개도로서, 상기 제1표시부(130)는 용기(110)의 외측 임의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표시부(140)의 경사눈금(141)은 용기(110)의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전개상태에서 파형의 곡선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표시부(140)의 잔량 표시 숫자부(142)는 파형의 경사눈금(141)의 고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측 잔량 표시 숫자부(142a)와, 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측 잔량 표시 숫자부(142b)로 구성되며, 여러 방향에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경사눈금(141)의 고점과 저점을 연결하는 중간지점에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용기(110)의 상단부가 하측을 향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내용물의 표면과 경사눈금(141)을 평행하게 맞춘 경우 상기 경사눈금(141)의 고점은 용기(110)의 상측에 해당하는 위치가 되고 경사눈금(141)의 저점은 용기(110)의 하측에 해당하는 위치가 되는데, 상기 저점에 형성되는 잔량 표시 숫자부(142a)는 용기(110)의 상측에서 잔량 표시 숫자부(142)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뒤집힌 상태로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유아용 젖병의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이 세워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이 기울어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110)를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용 기(110)의 입구에 체결된 꼭지부(120)를 분해시킨 뒤 개구된 용기(110)의 수용공간으로 내용물을 공급하면, 내용물의 표면이 용기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측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용기(110)의 외측 일면에 형성된 제1표시부(130)의 수평눈금(131) 및 공급량 표시 숫자부(132)를 통해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액상의 내용물의 표면은 용기(110)의 하부가 바닥을 향해 놓여진 상태에서 지표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수평눈금(131) 및 공급량 표시 숫자부(132)를 통해 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110)의 내측에 내용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용기(110)의 입구측에 다시 꼭지부(120)를 체결한 다음,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아가 누운 상태에서 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편안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용기(110)의 상단부를 하측을 향해 기울이면, 액상의 내용물 표면은 용기(110)가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동적인 상태를 이루며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110)의 상단부가 하측을 향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유아가 꼭지부(120)의 일측을 입에 물고 내용물을 섭취하면 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용량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러한 내용물의 용량은 용기(110)의 외표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표시부(140)의 경사눈금(141)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경사눈금(141)에 대응하여 용기(11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잔량 표시 숫자부(142)를 통해 용기(110) 내부에 존재하는 내용물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눈금(141)이 용기(110)의 외표면에 등고선 형태로 마련되어 지표 면과 수평을 이루는 액상의 내용물 표면에 대하여 경사눈금(141)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용기(1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는 액상의 내용물 표면과 제2표시부(140)의 경사눈금(141)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용기(110)를 축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용물의 표면과 경사눈금(141)을 일치시키면 내용물의 용량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투명한 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기울어진 용기(110)의 상측으로부터 관찰하게 되는데, 이때 용기(110)의 하측에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잔량 표시 숫자부(142b)는 용기(110)의 상측에서 바라보면 올바른 방향으로 표시되므로, 하측의 잔량 표시 숫자부(142)를 통해서도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젖병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6은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젖병은 용기(110)의 외측에 원형의 안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용기(110)의 안착홈(111)을 감싸 양단이 서로 부착되는 투명필름 형태 또는 투명재질의 원통형 커버(150)를 마련하며, 제1표시부(130) 및 제2표시부(140)는 상기 회전가능한 커버(150)에 형성되는 점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구성상의 차이를 갖는다.
즉, 용기(110)가 하측방향을 향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유아가 용기(110)의 입구측에 조립된 꼭지부(120)의 일부를 입에 물고 내용물을 섭취하는데, 도 8과 같이 내용물의 상측 표면과 제2표시부(140)의 경사눈금(141)이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의 외측에 형성된 안착홈(11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있는 커버(150)를 회전시켜 내용물의 상측 표면에 제2표시부(140)의 경사눈금(141)을 평행하게 맞추면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내용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유아가 용기(110) 내부의 내용물을 섭취함에 있어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해 꼭지부(120)가 조립되어 있는 용기(110)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유아가 편안하게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11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투명재질의 커버(150)에 제1표시부(130) 및 제2표시부(140)가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용기(1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의 상측 표면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은 제2표시부(140)이므로 제1표시부(130)는 용기(110)에 형성되고 제2표시부(140)는 커버(15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용기(110)와 커버(150)의 조립면 사이에는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커버(15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용기(110)의 외측면 또는 커버(150)의 내측면에 돌기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종래 유아용 젖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이 세워진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이 경사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용기, 111:안착홈, 120:꼭지부,
130:제1표시부, 131:수평눈금, 132:공급량 표시 숫자부,
140:제2표시부, 141:경사눈금, 142:잔량 표시 숫자부,
150:커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꼭지부;
    상기 용기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용기의 외측 일면에 표시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용기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용기의 외표면에 경사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표시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외측면에 원형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버를 마련하되, 상기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는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6.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꼭지부;
    상기 용기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용기의 외측 일면에 표시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용기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용기의 외표면에 경사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표시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외측면에 원형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버를 마련하되, 상기 제2표시부는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KR1020080118461A 2008-11-27 2008-11-27 유아용 젖병 KR10102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461A KR101021644B1 (ko) 2008-11-27 2008-11-27 유아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461A KR101021644B1 (ko) 2008-11-27 2008-11-27 유아용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48A KR20100060048A (ko) 2010-06-07
KR101021644B1 true KR101021644B1 (ko) 2011-03-17

Family

ID=4236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461A KR101021644B1 (ko) 2008-11-27 2008-11-27 유아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94B1 (ko) * 2014-05-02 2015-05-11 장하다 유아용 젖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34U (ja) * 1992-07-28 1994-06-28 旦子 吉村 哺乳びん
JPH0661247U (ja) * 1993-02-08 1994-08-30 幹夫 小栗 哺乳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34U (ja) * 1992-07-28 1994-06-28 旦子 吉村 哺乳びん
JPH0661247U (ja) * 1993-02-08 1994-08-30 幹夫 小栗 哺乳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94B1 (ko) * 2014-05-02 2015-05-11 장하다 유아용 젖병
WO2015167064A1 (ko) * 2014-05-02 2015-11-05 장하다 유아용 젖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48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11353B (zh) 注射器收纳容器
EP2507142B1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US7234606B2 (en) Baby bottle with enlarged lower portion
EP15217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tering liquid nutritional supplements
CA2602986C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device
US20150182047A1 (en) Spill resistant transition cup
KR101021644B1 (ko) 유아용 젖병
JP2014061949A (ja) 密封装置
KR200343042Y1 (ko) 젖병의 잔존량 표시장치
CN202505760U (zh) 一种液体药品包装瓶
JP2007191186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ES2231605T3 (es) Inserto para recipiente de liquidos bajo presion, especialmente recipiente de bebidas.
JP3152639U (ja) 液体計量キャップ
JP2007084107A (ja) 粉体又は粒体用可変計量振出し容器
CN208318883U (zh) 定量饮药杯
CN201775798U (zh) 改良式婴儿哺乳装置
US9682017B2 (en) Baby bottle
KR200312456Y1 (ko) 포유젖꼭지 연결용 어댑터의 구조
WO2016030586A2 (fr) Porte biberon à coque avertisseur de débit
JP2010274978A (ja) 計量キャップ
KR20090109166A (ko) 표시(처방)된 용량의 물약 또는 내용물을 정확히 계량하여사용할 수 있는 용기 또는 물약용기
ES2730089B2 (es) Envase de liquidos con dosificador interior
KR200339579Y1 (ko) 소분용계량용기
KR100975741B1 (ko) 영유아용 약물 공급기
KR20210010261A (ko)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