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261A -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261A
KR20210010261A KR1020190087959A KR20190087959A KR20210010261A KR 20210010261 A KR20210010261 A KR 20210010261A KR 1020190087959 A KR1020190087959 A KR 1020190087959A KR 20190087959 A KR20190087959 A KR 20190087959A KR 20210010261 A KR20210010261 A KR 20210010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beverage
nipple
baby bott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우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우비
Priority to KR102019008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261A/ko
Publication of KR2021001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용기는, 용기 내부에 음료수를 담는 주입구가 유아용 젖꼭지를 끼우는 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나사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태의 음료수 용기는, 액상의 음료 섭취 시 젖꼭지를 필요로 하는 유아와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 유아에게 음료를 먹이기 위해 별도의 젖병을 가져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출이 더욱 간편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a beverage container that combines with the nipple of a Feeding bottle}
고안은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용 젖꼭지를 끼우는 젖꼭지 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주입구를 가진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토로우를 사용하지 못하는 유아들에게 음료수(두유 및 기타의 유아용 음료)또는 액상으로 출시되는 분유를 먹이고자 할 때, 이를 별도의 젖병에 담아 먹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젖병을 삶거나 씻는 횟수가 많아지게 되어 유아를 돌보는 어머니들에게는 육체적으로 매우 힘든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유아를 데리고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에는 유아용 음료를 먹이기 위한 젖병을 별도로 챙겨야 하기 때문에, 짐의 부피가 늘어나 커다란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젖병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제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젖병을 삶을 때 젖병으로부터 나오는 환경호르몬은 아이에게 나쁜 나쁜영향을 미칠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유아에게 음료수를 먹일때 마다 젖병을 씻어야 하는 수고를 덜고, 유아를 데리고 장시간 외출 시 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음료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는 음료수를 담는 몸체와 상기 음료수를 담는 몸체와 연결되
고, 일반적인 젖병의 젖꼭지를 끼우는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측면에 나사형 요철(凹凸)부가 구성된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료수를 담는 몸체는 정육면체 이거나, 원통형이거나 중심이 안으로 굴곡진 원통형 이거나, 그리고 정면은 세로로 길고 아래쪽으로 양측이 모아지는 평행사변형 형상이고 측면은 삼각형 형상이거나, 몸체의 측면이 팔각형 형상으로 각져 구성되거나, 육각형 형상으로 각져 구성되거나, 정면이 평행 사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 포장방법은 내부에 유아용 음료를 포함하고, 유아용 젖꼭지를 끼우는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는 주입구가 구성된 음료수 용기를 오픈부를 구비한 보호상자의 내부에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는, 주입구를 유아용 젖꼭지 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유아에게 음료를 먹일 때 마다 별도로 젖병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유아와의 장시간 외출시 짐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료를 젖병에 따르지 않고 용기 자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젖병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젖병 세척 시 사용되는 세제량도 줄일 수 있으므로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예에 따른 음료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유아용 젖꼭지가 끼워진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음료수 용기의 주입구만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음료수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와 젖꼭지 연결부가 결합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g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진공 포장된 음료수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8a와 도 8b는 음료수 용기를 담는 박스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예에 따른 음료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유아용 젖꼭지가 끼워진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100)는 음료(두유, 우유, 기타 유아용 음료)를 담는 몸체(102)가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음료수 용기(100)의 주입구(102)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원통형 주입구(104) 외측면에는 나사형 철(凸)부(10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나사형 요(요(凹))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104)는 일반적으로 제작되어 팔리는 젖병의 구성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젖꼭지(110)를 끼우는 젖꼭지 연결부(112)와 결합이 가능한 크기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료수 용기(100)의 주입구(104)는 나사형 철(철(凸))부로 성형하기 용이한 동시에, 음료수 용기(100)의 몸체(102)에 담긴 음료액과 반응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음료수 용기(100)의 몸체(102)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알루미늄, 종이재질 및 종이의 일면에 알루미늄을 코팅한 테트라팩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도 있다.
이하, 도 3과 4를 참조하여,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입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음료수 용기의 주입구만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음료수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용 젖꽂지 연결수단(도 2의 112)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측면이 나사형 철(凸)부로 구성된 주입구(104)는 음료(미도시)와 반응하지 않고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주입구의 상부는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막(130)으로 봉합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얇은 막에는 이를 벗겨낼 수 있는 오픈 수단(A)을 구비한다.
더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도 3의 104)를 덮을 수 있고 내부에 나사형 요(凹)부가 있어, 상기 음료수용기(도 2의 100)의 주입구(도 3의 104)와 결합이 가능한 뚜껑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봉합막(130)은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와 젖꼭지 연결부가 결합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용기(100)의 주입구(미도시)에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젖꼭지 연결부(112)을 연결하게 되면, 유아에게 수월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젖꼭지 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음료수 용기는, 이유식을 시작하는 유아들에게 유아용 음료를 줄 때마다 별도의 젖병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유아를 데리고 장시간 외출하는 어머니들에게는 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음료를 젖병에 따르지 않고 용기 자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젖병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젖병 세척 시 사용되는 세제량도 줄일 수 있으므로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젖병을 삶을 때 혹 생길 수 있는 환경호르몬의 걱정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제 2 실시예 -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용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음료수 용기(200)는 음료를 담는 몸체(210)가 일반 젖병의 형상과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원통형 몸체(210)의 상단에는 유아용 젖꼭지 연결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외측에 나사형 요(凹)부가 형성된 주입구(212)를 가진다.
이때, 주입구의 직경(d)은 상기 유아용 젖꼭지 연결부(도 2의 112)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야 한다.
도 6a의 구성은 음료수 용기가 단순한 원통형이지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수 용기(200)는 몸체(210)가 유아 또는 어머니가 잡기 편하도록 양측이 안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구(412)를 위로 향하도록 하였을 경우, 음료수를 담는 몸체(410)의 정면은 세로로 길고 아래쪽으로 양측이 모아지는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구성하고, 양측면은 삼각형 모양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는 도 6d와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수 용기(500,600)의 몸체가 팔각형 및 6각형이 되도록 몸체에 각을 주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입구(512,612)와 몸체(510,610)사이의 결합부(B)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이 지도록 구성할 수 도 있고, 각이 없이 부드럽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700)는 몸체(710)의 정면이 평행사변형 형상이고, 상부와 하부는 원형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6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용기(800)는 몸체(700)에 다수의 볼록부(C1,C2)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 예로, 몸체(810)의 일부에는 몸체를 감싸는 링형상의 볼록부(C2)가 다수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그 외의 영역에는 도트(dot)형상의 볼록부(C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볼록형상은 동일한 모양만을 구성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는 앞서 설명한 도 6a 내지 도 6g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도 6a 내지 도 6g에 제안된 음료수 용기는 직경이 큰 몸체와 이에 비해 직경이 작은 주입구 사이의 결합부분(B)이 경사지도록 하여 음료수를 따를 때 남겨지는 것이 없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음료수 용기의 몸체는 내부에 담긴 음료와 반응하지 않는 안정한 재질의 플라스틱류 또는 종이재질 및 알루미늄 재질과 유리재질 또는 종이내부에 알루미늄코팅이된 테트라팩(tetra pack)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입구는 앞서 제 1 실시예의 도 4와 5에 설명한 주입구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입구에 결합 가능한 뚜껑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유아용 음료수를 담았을 경우, 이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한 음료수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음료수는 천연의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용 음료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외부를 진공포장팩(900)으로 감싼 형태의 음료수 용기(100)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유아용 음료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안전하게 유아에게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8a 와 도 8b에 음료수 용기를 보관하는 또 다른 포장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포장된 음료수 용기(950) 또는 별도의 비닐재질로 포장된 음료수 용기(950)를 보호상자(910,912)의 내부에 구성하여 제품화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상자(910,912)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하며, 음료수 용기를 꺼낼수 있는 오픈부(914,916)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상자(910)를 세워놓았을 때 상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상자(912)의 둘레에 구성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오픈부(914,916)는 잡아당기면 뜯겨져 내부의 물건을 꺼낼 수 있는 형식이거나, 상자를 열고 닫는 뚜껑의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장형태는 음료수 용기에 담긴 유아용 음료의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음료수 용기 자체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Claims (10)

  1. 음료수를 담는 몸체와 상기 음료수를 담는 몸체와 연결되고, 일반적인 젖병의 젖꼭지를 끼우는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측면에 나사형 요철(凹凸)부가 구성된 주입구를 포함하는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를 담는 몸체는 정육면체 이거나, 원통형이거나 중심이 안으로 굴곡진 원통형 이거나, 그리고 정면은 세로로 길고 아래쪽으로 양측이 모아지는 평행사변형 형상이고 측면은 삼각형 형상이거나, 팔각형 형상 이거나, 육각형 형상 이거나, 정면이 평행 사변형인 원통형상인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입구는 내부의 음료와 반응하지 않고 성형이 쉬운 플라스틱 재질이거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를 담는 몸체는 음료와 반응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 또는 종이재질 또는 종이의 내부에 알루미늄막을 코팅한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한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음료수는 두유, 액상분유, 유아용 음료인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용기의 몸체와 주입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용기의 몸체의 바깥면에 다수의 불록부가 구성된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도트(dot) 형상이거나, 몸체의 외부를 감싸는 링(ring) 형상으로 구성된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9. 음료수를 담는 몸체와 상기 음료수를 담는 몸체와 연결되고, 일반적인 젖병의 젖꼭지를 끼우는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측면에 나사형 요철(凹凸)부가 구성된 주입구와 상기 몸체및 주입구를 감싸고 내부에 공기가 없도록 처리된 진공팩을 포함하는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진공팩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상자를 더욱 포함하는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KR1020190087959A 2019-07-19 2019-07-19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KR20210010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959A KR20210010261A (ko) 2019-07-19 2019-07-19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959A KR20210010261A (ko) 2019-07-19 2019-07-19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61A true KR20210010261A (ko) 2021-01-27

Family

ID=7423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959A KR20210010261A (ko) 2019-07-19 2019-07-19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2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43429A (en) Collapsible disposable container and nursing unit
ES2978410T3 (es) Producto alimenticio envasado y método de producción del producto alimenticio envasado
NL8600202A (nl) Speen met aansluitnippel.
US11033462B2 (en) Infant feeding assembly
US20040074859A1 (en) Baby bottle package
US5273171A (en) Disposable nursing container
ES2325231T3 (es) Envase desechable para bebidas.
KR200385096Y1 (ko) 음료수 용기
KR20210010261A (ko) 유아용 젖병 젖꼭지와 결합하는 음료수 용기
KR101817420B1 (ko) 다용도 저장팩
WO2017197461A1 (en) Baby bottle assembly
US5193239A (en) Baby food bottle tool
US20140001144A1 (en) One-piece cap with flexible straw and sealing disk for baby bottle
KR200271878Y1 (ko)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FR2684549A1 (fr) Biberon jetable a compartiment de sterilisation et de reserve de tetine incorporee.
KR100456030B1 (ko) 빨대가 내장된 스탠딩 용기
KR20010007121A (ko) 스트로 지지구
US20070176071A1 (en) Container clip
JPH0591475U (ja) 飲料缶に付設するストロー
JP3068859U (ja) 粉ミルク袋
KR20180083142A (ko) 일회용 분유 저장 및 젖병 비닐용 팩
JPS591946Y2 (ja) 湯茶容器
RU2276048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JP2002145359A (ja)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KR850002444Y1 (ko) 우유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