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129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29B1
KR101021129B1 KR1020090010584A KR20090010584A KR101021129B1 KR 101021129 B1 KR101021129 B1 KR 101021129B1 KR 1020090010584 A KR1020090010584 A KR 1020090010584A KR 20090010584 A KR20090010584 A KR 20090010584A KR 101021129 B1 KR101021129 B1 KR 10102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ybrid vehicle
power module
heel holding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404A (ko
Inventor
장기영
이영국
정진환
주정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1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18Hill h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3Torqu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판길을 주행하는 EV 주행모드 조건에서 전기모터만을 이용하여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힐 홀딩(hill holding) 기능이 인버터의 파워모듈에 가혹 조건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용이하게 발휘되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이 EV모드 주행중 등판길에서 정지할 때, 전기모터만으로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키는 힐 홀딩(hill holding) 제어를 진행하되, 상기 힐 홀딩 제어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제어기인 HCU에서 모터에 대하여 힐 홀딩을 위한 토크 지령을 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각을 감지하는 레졸버의 감지신호가 RDC(Resolver-to-Digital Converter)를 거쳐 모터 제어기에 입력신호로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제어기는 모터의 회전각도중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로 맞춰서 모터의 힐 홀딩이 이루어지도록 인버터 파워모듈의 모터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힐 홀딩, 제어, 인버터, 모터제어기, 파워모듈, 모터, 회전각도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hill holding of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판길을 주행하는 EV 주행모드 조건에서 전기모터만을 이용하여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힐 홀딩(hill holding) 기능이 인버터의 파워모듈에 가혹 조건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용이하게 발휘되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원을 보조 동력원으로 채택하여, 배기가스 저감 및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미래형 차량으로서, 그 동력전달장치의 배열에 따라 직렬형 또는 병렬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엔진(10), 모터(20), 자동변속기(30)가 일축상에 직결되어 있고, 엔진(10) 및 모터(20)는 클러치(4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자동변속기(30)는 드라이브샤프트(60)에 동력을 전달 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20)의 동작을 위하여 인버터(70)와 고전압배터리(80)가 모터에 연결되고, ISG(50, ISG(Integrated Starter Generator ; 일체형 기동 발전기)가 벨트에 의하여 엔진의 크랭크 풀리와 직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electric vehicle)모드와, 엔진의 회전력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보조 동력으로 이용하는 보조모드인 HEV(hybrid electric vehicle)모드와, 차량의 제동 혹은 관성에 의한 주행시 차량의 제동 및 관성 에너지를 상기 모터에서 발전을 통하여 회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회생제동(RB: Regenerative Braking)모드를 통하여 그 주행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저속구간에서는 전기 모터(20)만으로 차량을 주행하는 EV(electric vehicle)모드 주행 전략을 갖는 바, 등판길을 주행하는 조건에서 별도의 브레이크 조작이 아닌 EV(electric vehicle)모드 즉, 전기모터만을 이용하여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힐 홀딩(hill holding)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상 상기 전기모터만으로 힐 홀딩(hill holding)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은 감당하기 어려우며, 그 이유는 힐 홀딩(hill holding) 토크를 유지하는 조건이 엔진 회전수가 0rpm이므로, 결국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기내의 인버터 파워회로에 가장 가혹한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모터제어기의 인버터 파워회로가 가혹조건이 되면, 모터제어기내의 파워모듈에 국부적인 온도상승을 초래하여, 모터제어기내의 각종 소자들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중 전기모터만으로 힐 홀딩(hill holding) 기능을 구현하되, 모터의 회전각도를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에 맞추어 정지하도록 모터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인버터 파워모듈의 가장 가혹한 조건시의 소비전류에 비하여 전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전류 감소에 따른 파워모듈의 발열량을 감소시켜, 힐 홀딩을 위한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이 EV모드 주행중 등판길에서 정지할 때, 전기모터만으로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키는 힐 홀딩(hill holding) 제어를 진행하되, 상기 힐 홀딩 제어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제어기인 HCU에서 모터에 대하여 힐 홀딩을 위한 토크 지령을 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각을 감지하는 레졸버의 감지신호가 RDC(Resolver-to-Digital Converter)를 거쳐 모터 제어기에 입력신호로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제어기는 모터의 회전각도중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로 맞춰서 모터의 힐 홀딩이 이루어지도록 인버터 파워모듈의 모터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의 회전각도중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에 맞추어 힐 홀딩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인버터 파워모듈의 가혹한 조건시에 비하여 소비전류의 감소 및 발열량이 감소되어, 힐 홀딩(hill holding)을 위한 모터 토크가 증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이 등판로에서 정지할 때, 모터의 회전각도중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에 맞추어 모터가 정지하도록 모터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인버터 파워모듈의 가장 가혹한 조건시의 소비전류에 비하여 전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전류 감소에 따른 파워모듈의 발열량을 감소시켜, 파워모듈의 각종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힐 홀딩을 위한 토크를 증대시켜 차량이 등판로에서 안정화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인버터 시스템 구성과, 인버터의 파워모듈에 따른 모터의 정상 구동시 및 모터의 힐 홀딩시 전류파형, 등가열모델, 파워모듈의 구성간 정션온도 변화 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버터(70)는 모터제어기의 일 구성으로서,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배터리(80)와 릴레이(72)에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20)에 3상 전류를 제공하는 파워모듈(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워모듈(90)의 인버터에 대한 1상 회로도만을 나타내는 첨부한 도 3을 참조하면, P채널의 스위칭 디바이스(QT)와 다이오드(DT), 그리고 N채널의 스위칭 디바이스(QB)와 다이오드(DB)에 의하여 전기모터쪽으로 U상, V상, W상 전압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모터의 정상 구동시(EV모드 주행시), 상기 P채널의 스위칭 디바이스(QT)와 N채널의 다이오드(DB)에 흐르는 전류 파형을 측정해 보면 첨부한 도 4의 파형도에서와 같이 최소전류지점에서 최대전류지점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다시 최대전류지점에서 최소전류지점까지 하강하는 형태인 볼록한 곡선이 반복되는 형상을 띠게 되고, 주행중의 정상 구동되는 모터의 실질적인 전류 파형도 첨부한 도 5의 파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상, V상, W상 전류가 서로 엇갈리며 사인(sin)파형을 띠게 된다.
반면에, 차량이 EV모드 주행모드로 가동되다가 등판길에서 엔진 RPM이 제 로(0)상태가 됨과 함께 차량이 정지하여, 모터의 힐 홀딩(hill holding)이 이루어질 때, 상기 P채널의 스위칭 디바이스(QT)와 N채널의 다이오드(DB)에 흐르는 전류 파형을 측정해 보면 첨부한 도 6의 파형도에서와 같이 최대전류지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직선 형상을 띠게 되고, 첨부한 도 7의 파형도에서와 같이 특히 U상 전류가 최대치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인가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워모듈의 실제 단면 구조 및 등가열모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은 파워모듈의 실제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9는 모터 정상 구동시 등가열 모델을, 도 10은 모터 힐 홀딩시 등가열 모델을 나타낸다.
상기 파워모듈(90)은 상기 구리 및 알루미늄 합금이 상하로 적층된 베이스플레이트(92)와, 접착수단인 솔더(solder)에 의하여 구리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적층되는 제1구리패턴(93: DBC(Direct Bonding Copper)) 및 제2구리패턴(94)과, 상기 제1 및 제2구리패턴 사이에 적층되는 질화 알루미늄 패턴(95)과, 상기 제2구리패턴(94)상에 구성되는 IGBT(9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에서, TA는 알루미늄 베이스플레이트의 온도를, TH 및 TC는 구리 베이스플레이트와 알루미늄 베이스플레이트간의 정션(접함점:junction)온도를, TJ는 IGBT의 정션온도 내지 IGBT의 다이오드 온도를 측정하는 지점을 지시하고 있고, 도 9 및 도 10에는 파워 공급에 따른 상기 TA, TH, TC, TJ를 측정하기 위한 등가열 모델 및 통상의 측정 계산식 도출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도 9 및 도 10의 등가열 모델에 제시된 측정 계산식에서, 각 측정 지점의 저항은 다음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9008145078-pat00001
여기서, 첨부한 도 9의 모터 정상 구동시 등가열모델에 기재된 일련의 통상적인 수식을 이용한 인버터 파워모듈의 IGBT 정션 온도(TJ(Q))는 아래와 같이 구해진다.
TJ(Q) = TA + PQAV*Re(J-C)Q + 2(PQAV+PDAV)*(1/3Re(C-H) + 1/3Re(H-A))
= 65 + 0.31PQAV + 0.18PDAV = 150℃(PQAV = 239W, PDAV = 63W @240ARMS)
또한, 첨부한 도 9의 모터 정상 구동시 등가열모델에 기재된 일련의 통상적인 수식을 이용한 인버터 파워모듈의 다이오드 정션온도(TJ(D))는 아래와 같이 구해진다.
TJ(D) = TA + PDAV*Re(J-C)D + 2(PQAV+PDAV)*(1/3Re(C-H) + 1/3Re(H-A))
= 65 + 0.18PQAV + 0.42PDAV = 134℃(PQAV = 239W, PDAV = 63W @240ARMS)
이렇게 모터 정상 구동시 등가열모델에 기재된 일련의 통상적인 수식을 이용한 인버터 파워모듈의 IGBT 정션 온도(TJ(Q))와 다이오드 정션온도(TJ(D))를 구한 결과, IGBT 정션 온도(TJ(Q))는 150℃로, 그리고 다이오드 정션온도(TJ(D))는 134℃로 나타났고, 이 온도에서 통상의 토크 측정장비를 통해 모터 토크를 구해 보았는 바, 그 결과 모터는 205Nm의 토크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반면에, 첨부한 도 10의 모터 힐 홀딩시(가장 가혹한 조건) 등가열모델에 기재된 일련의 통상적인 수식을 이용한 IGBT 정션 온도(TJ(Q))는 아래와 같이 구해진다.
TJ(Q) = TA + 3PQAV*Re(J-C)Q + 3(PQAV+PDAV)*(1/3Re(C-H) + 1/3Re(H-A))
= 65 + 0.66PQAV + 0.27PDAV = 231℃(PQAV = 196W, PDAV = 136W @240ARMS)
또한, 첨부한 도 10의 모터 힐 홀딩시(가장 가혹한 조건) 등가열모델에 기재된 일련의 통상적인 수식을 이용한 다이오드 정션온도(TJ(D))는 아래와 같이 구해진다.
TJ(D) = TA + PQAV*Re(J-C)D + 2(PQAV+PDAV)*(1/3Re(C-H) + 1/3Re(H-A))
= 65 + 0.27PQAV + 0.99PDAV = 253℃(PQAV = 196W, PDAV = 136W @240ARMS)
이렇게 모터 힐 홀딩시, 상기 등가열모델에 기재된 일련의 통상적인 수식을 이용한 인버터 파워모듈의 IGBT 정션 온도(TJ(Q))와 다이오드 정션온도(TJ(D))를 구한 결과, IGBT 정션 온도(TJ(Q))는 231℃로, 그리고 다이오드 정션온도(TJ(D))는 253℃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고온이 지속되면 IGBT 및 다이오드 소자들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자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IGBT 정션 온도(TJ(Q))와 다이오드 정션온도(TJ(D))를 약 150℃로 유지해야 하므로, 240ARMS의 전류를 108ARMS로 제한하여야 하며, 이렇게 전류를 108ARMS의 전류로 다운 제한하면서 통상의 토크 측정장비를 통해 모터 토크를 구해 보았는 바, 그 결과 모터는 92Nm의 토크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등판길을 주행하는 EV 주행모드 조건에서 차량이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터가 힐 홀딩(hill holding) 토크를 발휘될 때, 모터에 제공되는 3상 전류의 크기가 최대이든 최소이든 상관없이 정지시점(모터가 힐 홀딩(hill holding) 토크를 발휘하는 시점)이 정해지게 되므로, 모터에 대한 전류 및 전압제어를 담당하는 모터제어기내의 인버터 및 그 파워모듈이 가혹 조건으로 동작하여 IGBT 및 다이오드 소자 등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0), 모터(20), 자동변속기(30)가 일축상에 직결되어 있고, 엔진(10) 및 모터(20)는 클러치(4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모터(20)에 인버터(70)와 고전압배터리(80)가 연결된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이 EV모드 주행중 등판길에서 정지할 때 전기모터만으로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키는 힐 홀딩(hill holding) 기능을 구현하되, 모터의 회전각도를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에 맞추어 정지하도록 모터 출력을 제어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렇게, 모터의 회전각도중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에 맞추어 힐 홀딩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버터 파워모듈의 가장 가혹한 조건시의 소비전류에 비하여 전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전류 감소에 따른 파워모듈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결국 인버터의 파워모듈의 발열량 감소는 힐 홀딩을 위한 모터 토크의 증대로 이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중 현재 적용되는 모터는 16극이므로, 기계각으로는 7.5(=60/8(영구자석 갯수))도가 되며, 이러한 모터에서 전류가 최소가 되는 각도는 전기각으로 60도마다 반복된다.
따라서,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이 EV모드시 등판로에서 정지조건에 진입하게 되면, 첨부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제어기(상위제어기)인 HCU에서 모터에 대하여 힐 홀딩을 위한 토크 지령을 하고, 모터의 위치각을 감지하는 레졸버(102)의 감지신호가 RDC(104: Resolver-to-Digital Converter)를 거쳐 모터 제어기(100)에 입력신호로 입력되고, 상기 인버터 즉, 모터제어기는 모터의 회전각도가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로 맞춰서 정지할 수 있도록 파워모듈(90)의 모터 출력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각도중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에 맞추어 힐 홀딩이 이루어짐에 따라, 즉 첨부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상에 집중되는 열발생이 최소화되는 운점점으로 힐 홀딩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인버터 파워모듈의 소비전류는 가장 가혹한 조건시의 소비전류에 비하여 약 0.866(=sin60°)배로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른 파워모듈의 발열량도 0.8배로 줄어들게 되며, 결국 인버터의 파워모듈의 발열량이 0.8배로 줄어들면 모터의 출력가능한 토크는 100Nm로 증대(최악조건에서의 출력 가능한 토크인 92Nm 대비 약10% 증대됨)될 수 있으므로, 힐 홀딩(hill holding)을 위한 모터 토크를 약 100Nm까지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인버터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인버터의 파워모듈에 대한 1상 회로도,
도 4 및 도 5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의 정상 구동시 전류파형을 설명하는 파형도,
도 6 및 도 7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의 힐 홀딩시 전류파형을 설명하는 파형도,
도 8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인버터의 파워모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의 정상 구동시 및 모터의 힐 홀딩시 각 구성간의 정션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는 등가열 모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을 위한 제어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시 전류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20 : 모터
30 : 자동변속기 40 : 클러치
60 : 드라이브샤프트 70 : 인버터
72 : 릴레이 80 : 고전압배터리
90 : 파워모듈 100 : 모터 제어기
102 : 레졸버 104 : RDC

Claims (2)

  1. 하이브리드 차량이 EV모드 주행중 등판길에서 정지할 때, 전기모터만으로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키는 힐 홀딩(hill holding) 제어를 진행하되,
    상기 힐 홀딩 제어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제어기인 HCU에서 모터에 대하여 힐 홀딩을 위한 토크 지령을 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각을 감지하는 레졸버의 감지신호가 RDC(Resolver-to-Digital Converter)를 거쳐 모터 제어기에 입력신호로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제어기는 모터의 회전각도중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로 맞춰서 모터의 힐 홀딩이 이루어지도록 인버터 파워모듈의 모터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각도중 전류가 최소화되는 각도에 맞추어 힐 홀딩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인버터 파워모듈의 가혹한 조건시에 비하여 소비전류의 감소 및 발열량이 감소되어, 힐 홀딩(hill holding)을 위한 모터 토크가 증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KR1020090010584A 2009-02-10 2009-02-10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KR10102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584A KR101021129B1 (ko) 2009-02-10 2009-02-10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584A KR101021129B1 (ko) 2009-02-10 2009-02-10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404A KR20100091404A (ko) 2010-08-19
KR101021129B1 true KR101021129B1 (ko) 2011-03-14

Family

ID=4275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584A KR101021129B1 (ko) 2009-02-10 2009-02-10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355B1 (ko) * 2011-10-10 2013-10-04 현대위아 주식회사 디지털 나침 장치를 구비한 도수운반형 박격포
US9463800B2 (en) 2014-09-22 2016-10-11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for motor-driven vehicle and control syste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130469A1 (it) * 2013-08-30 2015-03-01 Magneti Marelli Spa Metodo di controllo di un veicolo ibrido per evitare l'arretramento e l'avanzamento del veicolo ibrido durante l'arresto su un piano stradale in pendenza
KR101886093B1 (ko) * 2016-06-03 2018-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용 모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22847B1 (ko) * 2019-01-30 2024-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모터 힐 홀드 성능 개선 방법
CN110492811B (zh) * 2019-07-18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驻坡能力提升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912A (ja) * 1995-10-31 1997-05-1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の駆動制御装置
JP2004248499A (ja) 2004-04-28 2004-09-02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駆動制御装置
JP2007168680A (ja) 2005-12-26 2007-07-05 Toyota Motor Corp 車両の駆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912A (ja) * 1995-10-31 1997-05-1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の駆動制御装置
JP2004248499A (ja) 2004-04-28 2004-09-02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駆動制御装置
JP2007168680A (ja) 2005-12-26 2007-07-05 Toyota Motor Corp 車両の駆動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355B1 (ko) * 2011-10-10 2013-10-04 현대위아 주식회사 디지털 나침 장치를 구비한 도수운반형 박격포
US9463800B2 (en) 2014-09-22 2016-10-11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for motor-driven vehicle and control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404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New SR drive with integrated charging capacity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EP2244370B1 (en) Motor drive apparatus, hybrid driv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drive apparatus
US10351002B2 (en) Inverter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device
US10236803B2 (en) Hybrid-vehicle variable-voltage traction motor drive
JP4359250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及び電力変換装置並びに車載用電機システム
JP5109290B2 (ja) 電動機駆動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164282B2 (en) Motive power output apparatus and vehicle with the same
KR10102112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힐 홀딩 제어 방법
US20200220479A1 (en) Inverter control device
CN103648832A (zh) 车辆的驱动装置
WO2007041948A2 (fr) Systeme de commande multiplicateur de demarrage et de generation et procede d&#39;utilisation de ce systeme et vehicule dynamique hybride a deplacement electrique utilisant ce systeme et ce procede
US8188702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control system and vehicle drive system
US7570008B2 (en) Power module, power converter, and electric machine system for mounting in vehicle
JP4974988B2 (ja) 界磁巻線式同期発電電動機
CN103338966A (zh) 车辆及车辆用控制方法
JP4489001B2 (ja) パワーモジュール,電力変換装置及び車載用電機システム
JP5358622B2 (ja) 回転電機制御装置
CN101873078A (zh) 一种可控整流装置以及使用该整流装置的电动机
JP5303295B2 (ja) 車両用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動車両
JP2010035279A (ja) 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JP2011083072A (ja) 電気システム
JP5400835B2 (ja) 車両用回転電機制御装置
Chari et al. Novel and Robust Hysteresis Current Control Strategies For a BLDC Motor: A Simulation Study and Inverter Design
Hofmann et al. SiC-MOSFET Inverter in High-Performance PHEV Applications
JP5755583B2 (ja) 電力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